KR20000037553A -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고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고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553A
KR20000037553A KR1019980052170A KR19980052170A KR20000037553A KR 20000037553 A KR20000037553 A KR 20000037553A KR 1019980052170 A KR1019980052170 A KR 1019980052170A KR 19980052170 A KR19980052170 A KR 19980052170A KR 20000037553 A KR20000037553 A KR 20000037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upper half
road sign
wall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5084B1 (ko
Inventor
김궁철
Original Assignee
김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궁철 filed Critical 김궁철
Priority to KR101998005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0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0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8Lane delineators for physically separating traffic lanes and discouraging but not preventing crossing

Abstract

이 발명은 쌍방향진행차로의 중앙선의 야간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도로표지병에서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에너지를 얻는 솔라셀(25)을 구비하며, 지중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하부절반부(12) 및, 상기 하부절반부(12)에 대해 반복적인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절반부(11)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절반부(11)의 상면에는 솔라셀(25)의 채광을 위한 채광창(14)이 노출되어 있고, 상기 상부절반부(11)의 내부에는 솔라셀(25)과 발광램프 및 각종 회로소자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채광창(14)은 밖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그 위에 이물질이 누적됨이 없이 청결하고 투명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10)이 제공된다. 상기 상부절반부(11)의 상면 중앙부에는 솔라셀 조립체(13)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솔라셀 조립체(13)는 투명수지로 형성된 사각하우징(27) 및 상기 하우징(27) 속에 배치된 2세트의 솔라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7)의 내부의 공간은 2세트의 솔라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격벽(37)에 의해 두 개의 격실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격벽(37)의 단부는 외벽(35, 36)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연장된다.

Description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고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이 발명은 쌍방향진행차로의 중앙선의 야간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에서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또한 그러한 구조를 갖는 도로표지병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쌍방향진행차로의 중앙선이나 노견한계선 등을 표시하는 선은 식별력을 강화하기 위해 광반사성이 양호한 황색 형광도료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도료의 광반사성만으로는 야간운전자에게 그다지 양호한 식별력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시별력강화를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자체발광성을 갖는 각종 표지병들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표지병들은 발광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유선을 따라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거나,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한 자체에너지를 이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도로표지병들은 주행차량의 바퀴에 의한 충격 등과 같은 매우 큰 충격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충격은 도로표지병의 외부에 노출된 케이스나 발광창 등을 파손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의 발광회로 등을 손상시킴으로써 발광불능으로 만들기도 한다. 특히,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에서는 채광창의 파손은 물론이고, 솔라셀 자체의 손상 및 솔라셀을 포함한 전기회로의 손상이 극심하다.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의 상대적 우수성, 즉, 다른 도로표지병에 비해 양호한 식별성, 저렴한 설치비용, 저렴한 유지비용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극심한 파손 및 손상의 우려로 인해 광범위한 사용이 제한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도로표지병, 특히,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에서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도 1 -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의 사시도
도 2 - 도 1에 도시된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의 상부절반부의 평면도
도 3 - 도 1에 도시된 솔라셀을 구비한 도로표지병의 하부절반부의 사시도
도 4 - 도 2에 도시된 상부절반부를 솔라셀 조립체를 빼낸 채로 도시한 사시도
도 5 - 도 2에 도시된 상부절반부로부터 빼낸 솔라셀 조립체의 사시도
도 6 - 도 5에 도시된 솔라셀 조립체의 VI-V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 - 도 5에 도시된 솔라셀 조립체의 주요부분인 솔라셀세트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 - 도 7에 도시된 솔라셀세트의 VIII-V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 - 도 7에 도시된 솔라셀세트의 하면 쪽에 씌우는 커버부재의 사시도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르면, 도로상에 고정되어 해당 위치의 야간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에너지를 얻는 솔라셀을 구비하며, 지중에 매립될 스템과 그러한 스템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전개된 고정평판을 포함하는 하부절반부 및, 상기 하부절반부에 대해 반복적인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절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에는 솔라셀의 채광을 위한 채광창이 노출되어 있고, 상기 상부절반부의 내부에는 솔라셀과 발광램프 및 각종 회로소자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채광창은 밖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그 위에 이물질이 누적됨이 없이 청결하고 투명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이 제공된다.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 중앙부에는 솔라셀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솔라셀 조립체는 투명수지로 형성된 사각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속에 배치된 2세트의 솔라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공간은 2세트의 솔라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해 두 개의 격실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단부는 외벽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연장됨으로써 상면에서 누르는 하중을 격벽과 외벽이 분담하게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솔라셀세트는 아래로부터 인쇄회로기판층과 납층과 솔라셀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며, 상기 코팅층은 별도의 라미네이팅 재료를 융착시키거나, 랙카와 같은 도포재료를 스프레이하여 건조시킨 것일 수 있다.
각각의 솔라셀의 음극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납땜부에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면 납땜의 박리를 좀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솔라셀세트는 연질의 커버부재가 씌워진 채로 상기 하우징 속에 삽입되고, 그러한 커버부재는 솔라셀세트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프레임부와 솔라셀세트의 하면을 덮는 바닥부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에는 솔라셀세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격실에의 상기 솔라셀세트의 삽입은 연질의 커버부재가 변형되면서 억지끼움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하우징의 상벽의 하면과 상기 솔라셀세트의 상면은 약간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고, 그러한 공간은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의 사각홈의 내벽과 상기 솔라셀 조립체의 하우징의 외벽의 사이에 연성 본딩재료가 충진되어 경화되면, 이물질 및 수분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절반부와 상기 하부절반부는 상기 상부절반부의 외면에 노출된 스크류를 풀고 조임으로써 간단하게 분해 또는 조립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이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 중앙부에는 솔라셀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각홈 속에 밖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채광창을 구비한 솔라셀 조립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의 사각홈의 내벽과 상기 솔라셀 조립체의 외벽의 사이에 연성 본딩재료를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에 이용되는 솔라셀세트는 배선층이 노출된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액체납을 도포하는 단계와, 액체납 위에 적절한 수의 솔라셀을 서로 겹치지 않게 나열한 후에 가열하여 액체납을 경화시키는 단계와, 각각의 솔라셀의 상면에 노출된 음극단자를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노출된 양극단자에 납땜하여 솔라셀들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납땜부에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면의 전체에 걸쳐 코팅을 행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 코팅단계에서는 별도의 라미네이팅 재료를 융착시키거나, 와니스나 랙카로부터 선택된 도포재료를 스프레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도 1에는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도로표지병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6에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10)의 상부절반부(11)와, 그러한 상부절반부(11)에서 분리된 솔라셀 조립체(13) 및, 하부절반부(12)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하부절반부(12)는 스템(17)과 스템(17)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전개된 고정평판(1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도로표지병(10)을 도로상에 설치할 때에는, 하부절반부(12)의 스템(17)은 지중에 매립되고, 고정평판(18)만 노면상에 노출된다.
상부절반부(11)는 이 실시예에서는 네 곳에 형성된 나사구멍(21)을 통해 하부절반부(12)의 대응하는 나사구멍(22)에 조여지는 스크류(47)에 의해 하부절반부(12)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부절반부(11)의 외면에는 발광창(15)과 채광창(14)이 노출되며, 내부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25) 및,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는 발광램프(26)를 포함하는 각종 소자 및 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있다.
도 4에 보이듯이, 상부절반부(11)의 상면 중앙부에는 솔라셀 조립체(13)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한 사각홈(19) 속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솔라셀 조립체(13)가 삽입되어 도 1 및 도 2에 보이듯이 조립된다.
도 6에는 도 6에 도시된 솔라셀 조립체(13)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보이듯이, 솔라셀 조립체(13)는 폴리카바네이트 등과 같은 투명수지로 된 사각하우징(27) 및 그러한 하우징(27) 속에 배치된 2세트의 솔라셀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상태에서 하우징(27)의 상면은 채광창(14)으로서 작용하며, 그러한 상면은, 도 4에 보이듯이,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높이가 변하면서 둥그스름한 곡면을 이루게 형성된다. 이렇게 곡면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도로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 하우징(27)의 상면 위에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흘러내리게 하며, 그럼으로써, 내부에 배치된 솔라셀(25)의 채광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하게 한다. 또한,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의 공간은 동일한 크기의 2세트의 솔라셀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격실로 나뉘어 있다. 두 개의 격실 사이의 격벽(37)은 그 단부가 외벽(35, 36)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연장됨으로써 상면에서 누르는 하중을 격벽(37)과 외벽(35, 36)이 분담하게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도 7 및 도 8에는 각각의 솔라셀세트(28)의 평면도 및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보이듯이, 솔라셀세트(28)는 아래로부터 인쇄회로기판층(31)과 납층(32)과 솔라셀층(33) 및 코팅층(3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솔라셀세트(28)의 제조에 있어서는, 우선, 배선층이 노출된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액체납을 도포하고, 액체납 위에 적절한 수의 솔라셀(25)을 서로 겹치지 않게 나열한 후에 가열하여 액체납을 경화시키며, 각각의 솔라셀(25)의 상면에 노출된 음극(-) 단자를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노출된 양극(+) 단자에 납땜하여 솔라셀(25)들을 직렬로 연결시키고, 납땜부(39)에는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등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납땜의 박리를 방지하며, 그 후에 상면의 전체에 걸쳐 코팅을 행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코팅단계에서는 별도의 라미네이팅 재료를 융착시키거나, 와니스나 랙카 등과 같은 도포재료를 스프레이하여 솔라셀(25) 및 납땜부(39)의 부착력을 보강해 줌으로써 박리를 방지한다.
한편, 도 9에는 솔라셀세트(28)를 하우징(27)에 삽입하기 전에 솔라세세트(28)의 하면 쪽에 씌우는 커버부재(4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그러한 커버부재(40)가 씌워진 솔라셀세트(28)가 삽입된 상태의 하우징(27)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부재(40)는 솔라셀세트(28)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프레임부(41)와 솔라셀세트(28)의 하면, 즉,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을 덮는 바닥부(43)로 구성되며,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부(41)에는 도 6 및 도 9에 보이듯이, 솔라셀세트(28)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40)가 씌워진 상태의 솔라셀세트(28)의 외곽의 치수는 하우징(27)에 형성된 격실의 내벽의 치수보다 약간 크고, 그러한 격실에의 솔라셀세트(28)의 삽입은 연질의 커버부재(40)가 변형되면서 억지끼움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하우징(27)의 상벽의 하면과 솔라셀세트(28)의 상면은 약간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양호하며, 격실에의 솔라셀세트(28)의 삽입을 진공환경에서 행함으로써, 위 공간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진공상태는 솔라셀의 체광면에 습기가 차거나 결로현상에 의한 채광효과의 저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살펴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솔라셀조립체(13)는 도 4에 도시된 상부절반부(11)의 상면에 형성된 사각홈(19) 속에 끼워져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다. 그 후에, 사각홈(19)의 내벽과 솔라셀 조립체(13)의 하우징(27)의 외벽의 사이에는 연성 본딩재료 등이 충진되어 경화됨으로써, 흙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이나 진동 등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로표지병(10)의 발광창(15)은 삽입홈의 최외단보다 약간 후퇴되게 삽입됨으로써, 표면긁힘이나 파손을 우려를 줄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부절반부(11)의 전후단부는, 아치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굴러오는 바퀴와의 충돌시에 바퀴와 그러한 전후단부의 접면이 점점 넓어지게 하고, 그럼으로써, 그 충격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바퀴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부절반부(11)의 전후단부가 외부로 돌출된 아치형을 이루는 경우에는, 발광부가 삽입홈의 최외단보다 후퇴되게 배치되어도, 측면으로부터의 충분한 가시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상부절반부(11)에서 채광창(14)의 전후방에는 적절한 수의 반구형 돌출부(45)가 형성됨으로써,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굴러오는 차량의 바퀴가, 채광창(14)에 그다지 큰 충격을 가함이 없이, 도로표지병(10)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도로표지병(10)에서는 상부절반부(11)의 수리나 교체 등을 위해 필요할 경우에는, 상부절반부(11)의 외면에 노출된 4개의 스크류를 풀고 조임으로써 하부절반부(12)로부터 간단하게 분해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위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 하며, 그러한 실시예는 단지 이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이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도 위 실시예로부터의 조절이나 변경 또는 변화가 가능함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그러한 청구범위는 위 실시예로부터의 자명한 조절예나 변경예 또는 변화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충격이나 진동 등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양호하므로 쉽사리 파손 또는 고장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사용될 수 있으며, 혹시 파손되거나 고장나더라도, 상부절반부를 하부절반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내부의 부품을 수리하거나, 또는 고장난 일부의 부품을 교체하고 대부분의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한다.

Claims (13)

  1. 도로상에 고정되어 해당 위치의 야간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에너지를 얻는 솔라셀을 구비하며,
    지중에 매립될 스템과 그러한 스템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전개된 고정평판을 포함하는 하부절반부 및, 상기 하부절반부에 대해 반복적인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절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에는 솔라셀의 채광을 위한 채광창이 노출되어 있고,
    상기 상부절반부의 내부에는 솔라셀과 발광램프 및 각종 회로소자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채광창은 밖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그 위에 이물질이 누적됨이 없이 청결하고 투명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 중앙부에는 솔라셀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솔라셀 조립체는 투명수지로 형성된 사각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속에 배치된 2세트의 솔라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공간은 2세트의 솔라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해 두 개의 격실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단부는 외벽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연장됨으로써 상면에서 누르는 하중을 격벽과 외벽이 분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세트는 아래로부터 인쇄회로기판층과 납층과 솔라셀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별도의 라미네이팅 재료를 융착시키거나, 랙카와 같은 도포재료를 스프레이하여 건조시킨 것이며, 솔라셀 및 납땜부의 부착력을 보강해 주는 보강층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
  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솔라셀의 음극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납땜부에는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납땜의 박리를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세트는 연질의 커버부재가 씌워진 채로 상기 하우징 속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솔라셀세트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프레임부와 솔라셀세트의 하면을 덮는 바닥부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에는 솔라셀세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격실에의 상기 솔라셀세트의 삽입은 연질의 커버부재가 변형되면서 억지끼움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벽의 하면과 상기 솔라셀세트의 상면은 약간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은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의 사각홈의 내벽과 상기 솔라셀 조립체의 하우징의 외벽의 사이에는 연성 본딩재료가 충진되어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반부와 상기 하부절반부는 상기 상부절반부의 외면에 노출된 스크류를 풀고 조임으로써 간단하게 분해 또는 조립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
  10.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에너지를 얻는 솔라셀을 구비하며, 지중에 매립될 스템과 그러한 스템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전개된 고정평판을 포함하는 하부절반부 및, 상기 하부절반부에 대해 반복적인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절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에는 솔라셀의 채광을 위한 채광창이 노출되어 있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 중앙부에는 솔라셀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각홈 속에 밖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채광창을 구비한 솔라셀 조립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절반부의 상면의 사각홈의 내벽과 상기 솔라셀 조립체의 외벽의 사이에 연성 본딩재료를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 조립체는 투명수지로 형성된 사각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속에 배치된 2세트의 솔라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공간은 2세트의 솔라셀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해 두 개의 격실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단부는 외벽의 단부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연장됨으로써 상면에서 누르는 하중을 격벽과 외벽이 분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세트가,
    배선층이 노출된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액체납을 도포하는 단계와,
    액체납 위에 적절한 수의 솔라셀을 서로 겹치지 않게 나열한 후에 가열하여 액체납을 경화시키는 단계와,
    각각의 솔라셀의 상면에 노출된 음극단자를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노출된 양극단자에 납땜하여 솔라셀들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납땜부에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면의 전체에 걸쳐 코팅을 행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의 제조방법.
    상기 코팅단계에서는 별도의 라미네이팅 재료를 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에서는 와니스나 랙카로부터 선택된 도포재료를 스프레이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형 도로표지병의 제조방법.
KR1019980052170A 1998-12-01 1998-12-01 자체발광형도로표지병 KR100325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170A KR100325084B1 (ko) 1998-12-01 1998-12-01 자체발광형도로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170A KR100325084B1 (ko) 1998-12-01 1998-12-01 자체발광형도로표지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553A true KR20000037553A (ko) 2000-07-05
KR100325084B1 KR100325084B1 (ko) 2002-06-29

Family

ID=1956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170A KR100325084B1 (ko) 1998-12-01 1998-12-01 자체발광형도로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0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008A (ko) * 2000-08-16 2000-11-06 채효식 쏠라 차선
KR20150021263A (ko)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신화기공 로터리 제진기
KR101997889B1 (ko) * 2018-04-09 2019-10-01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도로표지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301B1 (ko) * 2010-02-05 2012-09-21 김길호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008A (ko) * 2000-08-16 2000-11-06 채효식 쏠라 차선
KR20150021263A (ko)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신화기공 로터리 제진기
KR101997889B1 (ko) * 2018-04-09 2019-10-01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도로표지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5084B1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317401Y (zh) 对光导体进行光输入的发光或显示元件
US6602021B1 (en) Pavement mar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632551A (en) LED vehicle lamp assembly
KR101119976B1 (ko) 수평조립 및 유지, 보수가 유리한 교체형 조명방음패널
US20140118990A1 (en) Led module
KR100325084B1 (ko) 자체발광형도로표지병
KR101074214B1 (ko) 볼라드
US20130277695A1 (en) LUMINOUS BODY WITH LED DIEs AND PRODUCTION THEREOF
JP455425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4068438A (ja) 標示用ポール
CN212123965U (zh) 一种透光皮革饰件
ES2284062T3 (es) Placa.
KR101330858B1 (ko) 도로표지병
KR200403556Y1 (ko)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CN218064509U (zh) 一种柔性led透镜灯带
KR20070035666A (ko)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JP2555855B2 (ja) 道路標識柱
CN218842913U (zh) 太阳能道钉
CN214410604U (zh) 一种户外防水led透明屏
CN104085360B (zh) 一种渣土车灯式车牌
CN204055638U (zh) 一种渣土车灯式车牌
KR200310745Y1 (ko) 쏠라 슬림형 표지병
CN220242947U (zh) 车顶组件和车辆
KR200321349Y1 (ko) 쏠라 표지병
CN204045151U (zh) 一种带有外凸块的立体组合式车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