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736A -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736A
KR20160088736A KR1020150008199A KR20150008199A KR20160088736A KR 20160088736 A KR20160088736 A KR 20160088736A KR 1020150008199 A KR1020150008199 A KR 1020150008199A KR 20150008199 A KR20150008199 A KR 20150008199A KR 20160088736 A KR20160088736 A KR 20160088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ed modul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호
Original Assignee
쎈바이오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쎈바이오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쎈바이오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736A/ko
Priority to CN201520222045.3U priority patent/CN204879468U/zh
Publication of KR2016008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21V23/042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the switch being part of, or disposed on the tail cap portion thereof
    • F21W210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 기판에 방향표시기능을 위한 제1 엘이디 모듈과 경광등기능을 위한 제2 엘이디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장착시에는 기 장착된 지시등과 더불어 방향표시기능을 함께 작동시켜 줌에 따라 주행 및 추돌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교통, 소방, 유모차, 자전거 등에 다방면으로 활용하여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방향표시기능을 갖도록 한 다수개의 이색 발광의 제1 엘이디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쪽 면에 설치되어 경광등 기능을 갖도록 한 다수개의 단색 발광의 제2 엘이디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고정캡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2 스위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제1 수납실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조작으로 제1,2 엘이디 모듈의 점등 및또는 소등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조작으로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에 의한 방향표시기능과 상기 제2 엘이디 모듈에 의한 경광등 기능이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한다.

Description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Portable lighting apparatus having for function indication of direction}
본 발명은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 기판에 방향표시기능을 위한 제1 엘이디 모듈과 경광등기능을 위한 제2 엘이디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장착시에는 기 장착된 지시등과 더불어 방향표시기능을 함께 작동시켜 줌에 따라 주행 및 추돌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교통, 소방, 유모차, 자전거 등에 다방면으로 활용하여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조명장치는 손전등으로 명명되고 있으며, 일몰 후 야외나 빛이 없는 실내에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내부에 장착된 건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전구에서 빛을 조사하여 어두운 곳을 밝히는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조명장치에서 빛을 발산하는 전구로는 필라멘트 전구, 혹은 수은이나 나트륨을 이용한 전구 등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전구들은 소비 전력량이 높아 장시간 사용이 어렵고, 전구의 수명이 짧아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또한 폐기 처분시 환경 파괴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이하, 엘이디라 함)를 이용한 조명장치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엘이디는 전원이 공급되면 빛을 발산하는 소자로서, 소비 전력량이 작고, 수명이 일반조명등보다 길며, 형광등과 같이 수은 등 유해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인식되어 산업용과 가정용 조명장치뿐만 아니라 휴대용 조명장치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조명장치들 중에서 특히 휴대용 조명장치는 다른 일반 조명장치(일정 장소에 체결고정된 고정식 조명장치)와 달리 이동중에도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에 장착된 건전지로 만으로 장시간 사용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이디 적용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엘이디를 구비한 휴대용 조명장치는 단순히 기존에 필라멘트 전구, 수은 또는 나트륨 전구 등을 엘이디로 교체하는 수준에 불과하였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는 복수개의 엘이디칩을 인쇄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하고, 교체 가능하도록 장착된 일회용 건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구동되었다. 다만, 엘이디 사용에 따라 구조적인 변동의 하나로는 엘이디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을 설치하는 수준이 전부였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는 엘이디를 적용함에 따라 일반 전구를 사용하는 조명장치에 비해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이점을 얻을 수는 있으나 여전히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엘이디 특성상 빛의 직진성 때문에 눈부심이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눈의 피로감을 주어 장시간 사용시 시력을 저하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건전지가 방전되면 건전지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가 복잡하고, 항상 별도로 여비 건전지를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는 단순히 조명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휴대용 조명장치는 조명 기능 뿐만 아니라 방향지시 기능을 추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휴대용 조명장치는 차량 내부의 뒷유리 쪽에 설치하여 차량의 각 지시등과 접속될 수 있게 하되, 좌측 방향, 우측 방향, 양쪽 방향, 엘이디 전체 깜빡임 등의 방향표시기능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48754호[(발명의 명칭: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등록일자 2011년 07월 06일, 특허권자: (주)뷰트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 기판에 방향표시기능을 위한 제1 엘이디 모듈과 경광등기능을 위한 제2 엘이디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장착시에는 기 장착된 지시등과 더불어 방향표시기능을 함께 작동시켜 줌에 따라 주행 및 추돌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교통, 소방, 유모차, 자전거 등에 다방면으로 활용하여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 기판에 제1 엘이디 모듈과 제2 엘이디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1 엘이디 모듈이나 제2 엘이디 모듈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시 전력 소모를 줄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 기판에 접속단자 및 전원입력단자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시에는 접속단자를 이용하는 한편 전원입력단자를 통해서 차량의 시가잭이나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를 이용함에 따라 사용상 편의는 물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는, 양단이 개방된 제1 수납실이 내부에 형성된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의 제1 수납실에 넣어 보관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튜브 몸체의 개방된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단의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2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방향표시기능을 갖도록 한 다수개의 이색 발광의 제1 엘이디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쪽 면에 설치되어 조명 기능을 갖도록 한 다수개의 단색 발광의 제2 엘이디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고정캡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2 스위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제1 수납실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스위치의 조작으로 제1,2 엘이디 모듈의 점등 및/또는 소등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조작으로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에 의한 방향표시기능과 상기 제2 엘이디 모듈에 의한 경광등 기능이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도록 한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 몸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제1 엘이디 모듈의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투명부; 및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제2 엘이디 모듈의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유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캡의 일측에는, 자유단부가 제1 수납실을 향하도록 장착 플레이트가 연장 돌출되되,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제1 자석이 탈부착되도록 제1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저면에는 제2 자석(192)이 탈부착되도록 제2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수단은,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제2 수납실이 일방향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배터리 몸체; 및 그 배터리 몸체의 제2 수납실에 분리 가능하게 보관되며 제2 고정캡에 의해 밀봉되는 배터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고정캡은, 제1 수납실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 몸체의 일측 내벽에는 제1,2 고정홈이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제2 고정캡의 외부 표면에는 제1,2 고정 힌지가 일체로 형성되되, 그 제1,2 고정 힌지에는 튜브 몸체의 제1,2 고정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클립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클립은 양단이 절단된 클립 몸체; 및 그 클립 몸체의 자유 단부로부터 탄력 지지되게 일체로 연장되며, 제1,2 고정 힌지로 끼워져 튜브 몸체의 제1,2 고정홈에 분리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는 제1,2 고정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클립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2 스위치에 연동되는 제1,2 단자;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양단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캡에는 제1,2 스위치 사이에 위치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에는 삽입공과 연이어 통하도록 5~12V 범위의 전원입력단자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2 고정캡의 외주면에는 제1,2 고정링이 추가로 제공되어 제1,2 고정캡이 튜브 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고정캡의 전면에는 걸고리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광등기능 및 방향표시기능은 제2 스위치를 첫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2 엘이디 모듈이 전체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두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오른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세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왼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네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편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다섯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전체적으로 점등 및 소등이 반복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여섯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50%의 밝기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일곱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100&의 밝기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엘이디 조명등의 엘이디 광량 제어 장치는, 인쇄회로 기판에 방향표시기능을 위한 제1 엘이디 모듈과 경광등기능을 위한 제2 엘이디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장착시에는 기 장착된 지시등과 더불어 방향표시기능을 함께 작동시켜 줌에 따라 주행 및 추돌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휴대시에는 교통, 소방, 유모차, 자전거 등에 다방면으로 활용하여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회로 기판에 제1 엘이디 모듈과 제2 엘이디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1 엘이디 모듈이나 제2 엘이디 모듈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시 전력 소모를 줄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인쇄회로 기판에 접속단자 및 전원입력단자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시에는 접속단자를 이용하는 한편 전원입력단자를 통해서 차량의 시가잭이나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를 이용함에 따라 사용상 편의는 물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1 고정 캡의 방향에서 본 전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2 고정 캡의 방향에서 본 전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배터리 몸체, 배터리 및 제2 고정캡의 부분 확대도;
도 5a, 도 b는 도 3에서 A - A 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 5a는 고정클립의 제1,2 고정단이 튜브 본체의 제1,2 고정홈에 끼워진 상태이고, 도 5a는 고정클립의 제1,2 고정단이 튜브 본체의 제1,2 고정홈으로부터 빠진 상태;
도 6은 도 3에서 제2 엘이디 모듈의 방향에서 본 회로 기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3에서 제1 고정캡과 제2 고정캡으로부터 자석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의 순서도; 및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도록 한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는 가정용 조명장치 또는 도서실용 조명장치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작업용 조명장치 또는 도로의 작업시 차량을 안내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뒷유리 쪽에 설치하여 각종 시그널, 즉 좌회전 램프, 우회전 램프, 브레이크 램프, 후진 램프 등과 연동하여 적용될 수 있다. 그 밖의 군인의 행군, 유모차, 자전거 등에 설치하여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조명장치는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1 고정캡의 방향에서 본 전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2 고정캡의 방향에서 본 전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100)는 튜브 몸체(110)에 인쇄회로기판(PCB)을 넣어 보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튜브 몸체(110)의 내부에는 제1 수납실(112)이 형성된다. 제1,2 고정캡(120)(122)은 튜브 몸체(110)의 개방된 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제1 고정캡(120)(122)에는 인쇄회로기판(PCB)의 양단의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1,2 엘이디 모듈(130)(132)은 인쇄회로기판(PCB)에 제공된다. 여기서,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이색 발광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이색 발광, 즉 백색과 적색으로 교대하여 점등과 소등이 반복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1 엘이디 모듈(130)이 처음에는 백색으로 점등되었다가 소등 후 다시 점등되면 황색으로 점등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다.
특히, 도 1에서는 제1 엘이디 모듈(130)을 상면에 갖는 인쇄회로기판(PCB)이 튜브 몸체(110)의 내부에 있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 1에서는 제1 고정캡(120) 부분을 크게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에는 제1,2 스위치(140)(142)와 삽입공(120b)이 표현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도 2에서는 제2 고정캡(122) 부분을 크게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에는 제1,2 고정힌지(119a)(119b)를 통해 각각의 자유단부가 제2 고정캡(122)의 제1,2 고정홈(118a)(118b)에 끼워진 상태의 고정클립(160)을 보여주고 있다.
다수개의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인쇄회로기판(PCB)의 한쪽 면, 즉 상면에 설치되어 방향표시기능을 갖도록 한다. 제1 에이디 모듈(130)은 그 수가 많아 비교적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나, 이는 방향표시기능을 수행하여 외부에서 인식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수개의 제2 엘이디 모듈(132)은 인쇄회로기판(PCB)의 다른 쪽 면, 즉 저면에 설치되어 조명 기능을 갖도록 한다. 제2 엘이디 모듈(132)은 대략 5 내지 10개 이내가 바람직하다. 이는 주로 교통, 소방 및 공사 현장 등에서 경광등으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적은 숫자의 제2 엘이디 모듈(132)을 사용하고서도 외부의 주행자 등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줄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100)를 휴대용으로 사용할 때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2 스위치(140)(142)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고정캡(120)의 일측에 설치된다(도 2 참조).
도 4는 도 3에서 튜브 몸체(110)의 제1 수납실(112)로부터 배터리 몸체(150), 배터리(154) 및 제2 고정캡(122)이 차례로 분해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수단은 인쇄회로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튜브 몸체(110)의 제1 수납실(11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에서는 튜브 몸체(110)의 우측 단부에 끼워져 보관되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에서는, 제1 스위치(140)의 조작으로 제1,2 엘이디 모듈(130)(132)의 점등 및/또는 소등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경광등기능 및/또는 방향표시기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제2 스위치(142)의 조작으로 제1 엘이디 모듈(130)에 의한 방향표시기능과 제2 엘이디 모듈(132)에 의한 경광등 기능이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한다.
튜브 몸체(110)는 투명부(114)와 유색부(11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부(114)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제1 엘이디 모듈(130)의 빛이 투과되도록 한다. 유색부(116)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제2 엘이디 모듈(132)의 빛이 투과되도록 한다. 유색부(116)는 주로 황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유색부(116)가 황색인 이유는 주로 도로 등에서 유사시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도 7은 도 3에서 제1 고정캡과 제2 고정캡으로부터 자석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캡(120)의 일측에는, 자유단부가 제1 수납실(112)을 향하도록 장착 플레이트(124)가 연장 돌출되되, 그 장착 플레이트(124)의 저면에는 제1 자석(190)이 탈부착되도록 제1 안착홈(120a)이 형성되고, 배터리 몸체(150)의 저면에는 제2 자석(192)이 탈부착되도록 제2 안착홈(12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2 자석(190)(192)은 엘이디 조명장치(100)를 차량과 같은 쇠종류에 부착시키기 위한 용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수단은,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제2 수납실이 일방향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배터리 몸체; 및 그 배터리 몸체의 제2 수납실에 분리 가능하게 보관되며 제2 고정캡에 의해 밀봉되는 배터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고정캡은, 제1 수납실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a, 도 b는 도 3에서 A - A 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 5a는 고정클립의 제1,2 고정단이 튜브 본체의 제1,2 고정홈에 끼워진 상태이고, 도 5a는 고정클립의 제1,2 고정단이 튜브 본체의 제1,2 고정홈으로부터 빠진 상태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몸체(110)의 일측 내벽에는 제1,2 고정홈(118a)(118b)이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제2 고정캡(122)의 외부 표면에는 제1,2 고정 힌지(119a)(119b)가 일체로 형성되되, 그 제1,2 고정 힌지에(119a)(119b)는 튜브 몸체(110)의 제1,2 고정홈(118a)(118b)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클립(160)이 제공된다.
여기서, 고정클립(160)은 양단이 절단된 클립 몸체(162); 및 그 클립 몸체(162)의 자유 단부로부터 탄력 지지되게 일체로 연장되며, 제1,2 고정 힌지(119a)(119b)로 끼워져 튜브 몸체(110)의 제1,2 고정홈(118a)(118b)에 분리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는 제1,2 고정단(164)(1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a에서와 같이 고정클립(160)의 제1,2 고정단(164)(166)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제2 고정캡(122)의 제1,2 고정홈(118a)(118b)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써 제2 고정캡(122)은 배터리 몸체(15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도 5b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화살표 방향으로 강제로 누르게 되면, 고정클립(160)의 제1,2 고정단(164)(166)은 제2 고정캡(122)의 제1,2 고정홈(118a)(118b)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그 결과, 작업자는 배터리 몸체(150)로부터 제2 고정캡(122)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2 고정단(164)(166)은 제1,2 고정힌지(119a)(119b)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도 6은 도 3에서 제2 엘이디 모듈의 방향에서 본 회로 기판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단자(T1)(T2)는 제1,2 스위치(140)(142)와 연동되도록 인쇄회로기판(PCB)의 일측 단부, 즉 도 5에서는 좌측 단부에 제공된 상태로 보여주고 있다. 접속단자(CT)는 배터리(1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인쇄회로기판(PCB)의 우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고정캡(120에는 제1,2 스위치(140)(142) 사이에 위치되도록 삽입공(120b)이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PCB)에는 삽입공(120b)과 연이어 통하도록 5~12V 범위의 전원입력단자(T3)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입력단자(T3)는 차량의 시가잭이 보통 12V이어서 이러한 시가잭과 연결시켜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아울러,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도시안됨)와 연결시켜 휴대용으로도 사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2 고정캡(120)(122)의 외주면에는 제1,2 고정링(170)(172)이 추가로 제공되어 제1,2 고정캡(120)(122)이 튜브 몸체(110)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캡(120)의 전면에는 걸고리(180)가 추가로 제공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100)를 필요한 장소에 걸어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의 순서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의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광등기능 및 방향표시기능은, 제2 스위치(142)를 첫 번째 눌렀을 때 제2 엘이디 모듈(132)이 전체적으로 점등되고, 제2 스위치(142)를 두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오른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제2 스위치(142)를 세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왼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제2 스위치(142)를 네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인쇄회로기판(PCB)의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편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제2 스위치(142)를 다섯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전체적으로 점등 및 소등이 반복되고, 제2 스위치(142)를 여섯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50%의 밝기로 점등되고, 제2 스위치(142)를 일곱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100&의 밝기로 점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100)의 조립 상태를 보면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튜브 몸체(110)의 제1 수납실(112)에는 제1,2 엘이디 모듈(130)(132)을 갖는 인쇄회로기판(PCB)을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제1 자석(190)이 제1 안착홈(120a)에 부착된 제1 고정캡(120)을 튜브 몸체(110)의 좌측 단부에 끼워 넣는다. 이때, 제1 고정캡(120)은 제1 고정링(170)에 의해 강제로 끼워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배터리 몸체(150)의 제2 수납실(152)에는 배터리(154)와 제2 고정캡(122)을 차례로 끼워 넣는다. 이때, 배터리 몸체(150)의 제2 안착홈(122a)에는 제2 자석(192)을 부착시킨 상태이다.
이어, 작업자는 배터리 몸체(150)의 제2 수납실(152)에 제2 고정캡(122)을 끼워 조립할 때, 고정클립(160)의 클립 몸체(162)를 강제로 눌러 제1,2 고정단(164)(166)이 서로를 향하도록 조여 준 상태에서 놓게 되면, 자체의 탄성에 의해 제1,2 고정단(164)(166)의 자유단은 배터리 몸체(150)의 제1,2 고정홈(118a)(118b)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배터리 몸체(150)는 튜브 몸체(110)의 제1 수납실(112)에 끼워 결합시키면 된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몸체(150)는 배터리 몸체(150)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2 고정링(172)에 의해 튜브 몸체(11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100)에 대한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경광등기능은, 제2 스위치(142)를 첫 번째 눌렀을 때 제2 엘이디 모듈(132)이 전체적으로 점등되는 것으로 수행된다(S100).
이어, 방향전환기능은, 다음의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제2 스위치(142)를 두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오른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된다. 이는 자동차의 경우를 볼 때 우회전시에 적용된다 (S200).
제2 스위치(142)를 세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왼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된다, 이는 자동차의 경우를 볼 때 좌회전시에 적용된다(S210).
제2 스위치(142)를 네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인쇄회로기판(PCB)의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편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된다. 이는 자동차의 경우를 볼 때 브레이킹 작업이나 긴급 정차 등에 적용된다(S220)
제2 스위치(142)를 다섯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전체적으로 점등 및 소등이 반복된다. 즉, 이는 비상시나 나이트 클럽에 갔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즉, 백색 점등후 소등되면 황색이 점등되는 반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230).
제2 스위치(142)를 여섯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50%의 밝기로 점등된다. 가령, 백색으로서 밝기가 50%로 비교적 낮은 상태가 된다(S240).
제2 스위치(142)를 일곱 번째 눌렀을 때 제1 엘이디 모듈(130)은 100&의 밝기로 점등된다. 가령, 백색으로서 밝기가 50%로 비교적 낮은 상태가 된다(S250).
100 : 엘이디 조명장치 110 : 튜브 몸체
112 : 제1 수납실 114 : 투명부
116 : 유색부 118a, 118b : 제1,2 고정홈
119a, 119b : 제,2 고정힌지 120, 122 : 제1,2 고정캡
120a, 122a : 제1,2 안착홈
124 : 장착 플레이트 130, 132 : 제1,2 엘이디 모듈
140, 142 : 제1,2 스위치 150 : 배터리 몸체
152 : 제2 수납실 154 : 배터리
160 : 고정클립 162 : 클립 몸체
164, 166 : 제1,2 고정단 PCB : 인쇄회로기판
T1, T2 : 제1,2 단자 ET : 전원입력단자
CT : 접속단자 170, 172 : 제1,2 고정링
180 : 걸고리 190, 192 : 제1,2 자석

Claims (12)

  1. 양단이 개방된 제1 수납실이 내부에 형성된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의 제1 수납실에 넣어 보관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튜브 몸체의 개방된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단의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2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방향표시기능을 갖도록 한 다수개의 이색 발광의 제1 엘이디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쪽 면에 설치되어 경광등 기능을 갖도록 한 다수개의 단색 발광의 제2 엘이디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고정캡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2 스위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제1 수납실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조작으로 제1,2 엘이디 모듈의 점등 및또는 소등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조작으로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에 의한 방향표시기능과 상기 제2 엘이디 모듈에 의한 경광등 기능이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도록 한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의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투명부; 및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엘이디 모듈의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유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캡의 일측에는 자유단부가 상기 제1 수납실을 향하도록 장착 플레이트가 연장 돌출되되,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제1 자석이 탈부착되도록 제1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저면에는 제2 자석(192)이 탈부착되도록 제2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제2 수납실이 일방향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배터리 몸체; 및 상기 배터리 몸체의 제2 수납실에 분리 가능하게 보관되며 상기 제2 고정캡에 의해 밀봉되는 배터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캡은 상기 제1 수납실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의 일측 내벽에는 제1,2 고정홈이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캡의 외부 표면에는 제1,2 고정 힌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2 고정 힌지에는 상기 튜브 몸체의 제1,2 고정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클립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양단이 절단된 클립 몸체; 및 상기 클립 몸체의 자유 단부로부터 탄력 지지되게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제1,2 고정 힌지로 끼워져 상기 튜브 몸체의 제1,2 고정홈에 분리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는 제1,2 고정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2 스위치에 연동되는 제1,2 단자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양단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캡에는 상기 제1,2 스위치 사이에 위치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삽입공과 연이어 통하도록 5~12V 범위의 전원입력단자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캡의 외주면에는 제1,2 고정링이 추가로 제공되어 상기 제1,2 고정캡이 상기 튜브 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캡의 전면에는 걸고리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기능 및 방향표시기능은, 상기 제2 스위치를 첫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2 엘이디 모듈이 전체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두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오른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세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왼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네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편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다섯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전체적으로 점등 및 소등이 반복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여섯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50%의 밝기로 점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일곱 번째 눌렀을 때 상기 제1 엘이디 모듈은 100&의 밝기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표시기능을 갖도록 한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20150008199A 2015-01-16 2015-01-16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60088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99A KR20160088736A (ko) 2015-01-16 2015-01-16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CN201520222045.3U CN204879468U (zh) 2015-01-16 2015-04-13 具有方向显示功能的便携式发光二极管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99A KR20160088736A (ko) 2015-01-16 2015-01-16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736A true KR20160088736A (ko) 2016-07-26

Family

ID=5482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199A KR20160088736A (ko) 2015-01-16 2015-01-16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88736A (ko)
CN (1) CN20487946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744A (zh) * 2018-08-31 2019-01-11 宁波艾森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摆动开关式照明灯
KR102256367B1 (ko) 2021-02-25 2021-06-01 (주)알더블유티 안전지시 기능이 있는 분진방폭 등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4047A (zh) * 2016-08-03 2017-03-22 北京仿真中心 一种多功能方位指示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48754호[(발명의 명칭: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등록일자 2011년 07월 06일, 특허권자: (주)뷰트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744A (zh) * 2018-08-31 2019-01-11 宁波艾森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摆动开关式照明灯
CN109185744B (zh) * 2018-08-31 2024-01-09 万年县艾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摆动开关式照明灯
KR102256367B1 (ko) 2021-02-25 2021-06-01 (주)알더블유티 안전지시 기능이 있는 분진방폭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879468U (zh)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6172B1 (en) Colored headlamp
CA2558222A1 (en) Led light bulb with active ingredient emission
US9928764B2 (en) Illuminated support mount for vehicle flag
WO2006042050A3 (en) Dimmable reading light with emergency lighting capability
KR200469595Y1 (ko) 자동차용 할로겐 전구 대체를 위한 led 전구
KR100827374B1 (ko) 이동식 활주로 등
KR20160088736A (ko) 방향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0396903Y1 (ko) 휴대형 발광체
KR200479562Y1 (ko) 엘이디 등기구
EP2839989A1 (en) Vehicle light apparatus
US10182482B2 (en) Lamp kit for installation in a motor vehicle, and a motor vehicle
TW200724816A (en) High power LED full color flashlight
KR200389262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손전등
KR200479563Y1 (ko) 엘이디 등기구
CN210035255U (zh) 多彩吊灯
KR101758782B1 (ko) 플래시 라이트
US20080042867A1 (en) Illuminable indicator and light engine therefor
US9855891B2 (en) Removable electrical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205579245U (zh) 一种多功能手电筒
KR200353083Y1 (ko) 랜턴 및 조명등 겸용 조명기구
CN218237122U (zh) 一种车用手电筒
JP3173622U (ja) 発光ダイオード照明灯
KR200391982Y1 (ko) 스위치 패널의 조명장치
KR200479236Y1 (ko) 랜턴 케이싱
EP1146282A2 (en) Led lamp diffusing a multicolor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