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811B1 -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 Google Patents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811B1
KR101997811B1 KR1020170151440A KR20170151440A KR101997811B1 KR 101997811 B1 KR101997811 B1 KR 101997811B1 KR 1020170151440 A KR1020170151440 A KR 1020170151440A KR 20170151440 A KR20170151440 A KR 20170151440A KR 101997811 B1 KR101997811 B1 KR 101997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case
pattern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637A (ko
Inventor
박세희
정자혜
Original Assignee
박세희
정자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희, 정자혜 filed Critical 박세희
Priority to KR102017015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8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H05B37/0227
    • H05B37/028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은,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광을 발산하는 광원;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투과 가능한 광 투과플레이트; 및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 상부에 마련되며 절개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절개문양 형태로 변환하여 대상면에 발산하도록 하는 복수의 무늬지가 책자 형태로 마련되는 광 투과 문양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무늬지는 서로 다른 절개문양을 가지며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무늬지를 변경함으로써 대상면으로 발산되는 광 형태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 투과플레이트의 상부에 다양한 절개문양이 구비된 책자 형태의 광 투과 문양부를 거치함으로써 천장에 이야기 스토리를 갖는 동화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아들의 흥미를 한층 유발하여 유아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재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아의 수면을 더욱 쉽게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THE MULTI-FUNCTION LAMP FOR BABY}
본 발명은,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세 이상 유아의 유아용 취침등(수면등), 독서등, 수유등, 테이블 조명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실내 천장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천장에 이야기 스토리를 갖는 동화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수면등으로 사용할 시 유아의 흥미를 한층 유발하여 유아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재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아의 수면을 더욱 쉽게 유도할 수 있는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는 인체내 시계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켜, 체온의 리듬이나 수면과 각성 리듬 등의 다양한 리듬으로 인체가 생활하는 시계와 동조시키기 위해서는 아침은 밝고, 밤은 어둡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침에 밝은 빛을 받으면 체내시계는 24시간의 리듬으로 재조정되어 다른 리듬과도 동조해 활동하기 시작하고, 이에 반해 밤에 밝은 빛을 받아 버리면 뇌에 있는 수면과 각성 리듬을 지배하는 체내시계가 늦어지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밤에는 150룩스 미만의 조명으로 특히 자기 1시간 전부터는 은은한 청색빛 또는 우유빛의 조명을 비추어 수면자의 뇌의 흥분이나 교감신경의 활동을 낮춰 수면을 취하기 쉽게 하며, 멜라토닌의 분비도 활발하게 하여 수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LED 수면등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led 수면등은 주변 공간에 빛을 조명하는 기능 이외에 별다른 기능을 갖고 있지 않으며, 특히 2세 미만의 유아를 취침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경우 유아를 취침시키기 위해 특별히 도움이 될 만한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3573호(2017. 10. 16.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6-0001382호(1986. 07. 09.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세 이상 유아의 유아용 취침등(수면등), 독서등, 수유등, 테이블 조명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실내 천장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천장에 이야기 스토리를 갖는 동화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수면등으로 사용할 시 유아의 흥미를 한층 유발하여 유아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광을 발산하는 광원;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투과 가능한 광 투과플레이트; 및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 상부에 마련되며 절개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절개문양 형태로 변환하여 대상면에 발산하도록 하는 복수의 무늬지가 책자 형태로 마련되는 광 투과 문양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무늬지는 서로 다른 절개문양을 가지며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무늬지를 변경함으로써 대상면으로 발산되는 광 형태를 변경 가능한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이 제공된다.
상기 케이스의 상부는 일면에 절개구가 형성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는 상기 절개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발광제어부가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되, 상기 발광 제어부는 광원의 발광을 온오프하기 위한 터치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을 제어하고, 타이머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복수로 이루어지고, 대상면에 나타나는 광의 입체감을 위해 복수의 광원 중 상대적으로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1 광원은 상대적으로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광원에 비해 광 조사거리가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과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 사이에는 복수의 광 확산시트가 더 마련되되, 상기 제1 광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광 확산시트는 상기 제2 광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광 확산시트에 비해 광 확산 정도가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과 제2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 측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는 광 구획 가이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는 광을 반사하도록 반사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에 의하면, 광 투과플레이트의 상부에 다양한 절개문양이 구비된 책자 형태의 광 투과 문양부를 거치함으로써 천장에 이야기 스토리를 갖는 동화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아들의 흥미를 한층 유발하여 유아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재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아의 수면을 더욱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바닥 중앙부분에 배치된 제1 광원이 가장자리의 제2 광원에 비해 광 조사거리가 짧도록 하고 제1 광원에 대응하는 제1 광 확산시트가 제2 광원에 대응하는 제2 광 확산시트에 비해 광 확산정도가 크도록 함으로써 천장에 투영되는 동화 이미지의 입체감을 더욱 살릴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내에 광 구획 가이드를 마련하고 광 구획 가이드 양면과 케이스 내면에 반사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천장에 투영되는 동화 이미지를 더욱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의 무늬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에서 복수의 무늬지를 넘기면서 순차적으로 동화 스토리를 구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에서 광원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이하, 조명등)은, 유아용 취침등(수면등), 독서등, 수유등, 테이블 조명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타이머 기능이 포함되어 설정 시간을 지정하여 자동으로 소등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은 실내 천장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천장에 이야기 스토리를 갖는 동화를 구현(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수면등으로 사용할 시 유아의 흥미를 한층 유발하여 유아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은, 케이스(100), 광원(110), 광 투과플레이트(120), 광 투과 문양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케이스(100)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케이스(100)의 상부는 광 투과 문양부(130)의 거치를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광 발산 각도를 사선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일면에 절개구(101)가 형성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0)는 광원(110)의 빛이 일부 외부로 발산되도록 ABS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주변 공간에 은은한 조명 효과를 추가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광원(110)은 케이스(100) 내부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광을 발산하도록 복수로 마련되며, 예를 들어 led로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led는 복수의 백색 led, 복수의 RGB le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백색 led는 휘도와 광 조사거리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복수의 RGB led는 휘도와 광 조사거리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일부는 서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는 복수 광원(110)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발광 제어부(102)가 마련되고, 케이스(100)에는 유아의 부모가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터치센서(103) 또는 적외선센서(104)가 마련되며, 발광 시간을 조절하도록 타이머(105)가 마련되어 있다.
발광 제어부(102)는 IC 칩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으로서, 광원(110)의 발광을 온오프하기 위한 터치센서(103) 또는 적외선센서(104)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을 제어하고, 타이머(105)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 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케이스(100)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106)가 마련되고, 터치센서(103) 또는 적외선센서(104)는 함몰부(106) 내에 마련된다. 따라서, 센서의 외부 노출을 제한하여 유아, 5세 이상의 아동의 손에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파손, 작동 불량, 손상의 발생을 한층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관련 도면에는 도시 편의를 위해 케이스(100)에 터치센서(103)가 마련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부모는 터치센서(103)를 터치하는 터치 횟수, 터치 지속 시간, 여러번 터치할 때 터치 순간 사이의 딜레이 타임 등을 조절하여 복수의 백색 led, 복수의 RGB led의 발광 휘도, 발광 순서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IC칩에 프로그램된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한편, 적외선센서(104)로 적용될 경우, 함몰부(106)의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수광부와 발광부를 마련함으로써 작동 가능하며, 터치센서와 달리 함몰부 내측에 손가락을 집어넣는 동작만으로도 led의 발광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전술한 프로그램을 통해 가능하다. 타이머(105)는 케이스(100)에 마련되어 부모가 광원(110)의 발광 시간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광 투과플레이트(120)는 케이스(10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광원(110)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투과시켜 상측(천장)으로 발산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절개구(101)에는 가이드홈(107)이 마련되고 광 투과플레이트(120)에는 가이드홈(107)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108)가 마련되어 사용자는 광 투과플레이트(120)를 측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케이스(100)의 절개구(101)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광 투과플레이트(120)는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광 투과 문양부(130)의 안착을 위한 용도와 광 투과 용도로 마련된다.
다음,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투과 문양부(130)는, 광 투과플레이트(120) 상부에 마련되며 절개문양(131)이 형성되어 광원(110)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절개문양 형태로 변환하여 대상면(천장 등)에 발산하도록 하는 복수의 무늬지(132)가 책자 형태로 마련된다.
복수의 무늬지(132)는 각각 서로 다른 절개문양(131)이 형성되며 종이, P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가 광 투과플레이트(120)에 직접적으로 접촉 또는 거치되는 무늬지(132)를 변경함으로써 절개문양(131)을 통과한 후 천장에 투영되는 이미지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원(110)으로부터 발산된 빛은 광 투과플레이트(120), 절개문양(1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천장 등에 투영되는데, 예를 들면, 복수의 무늬지(132)에 연속적인 동화 스토리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절개문양(131)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무늬지(132)를 한 장씩 넘기면서 유아에게 동화를 구현해줄 수 있으므로 유아의 집중력을 한층 향상시키고 흥미를 유발하여 더욱 집중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동화책의 한 장면이 천장에 투영되고 무늬지(132)를 한장씩 넘길수록 동화책의 다른 장면이 투영되면서 아이들이 동화책을 보면서 잠에 들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관련 도면에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광원(210)은 복수로 이루어지고, 대상면(천장)에 나타나는 광의 입체감을 위해 복수의 광원(210) 중 상대적으로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1 광원(211)은 상대적으로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광원(212)에 비해 광 조사거리가 짧게 이루어지고 휘도는 높은 것으로 적용한다. 즉, 복수의 제1 광원(211)은 복수의 제2 광원(2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조사거리가 짧고 휘도는 높은 스펙을 갖는 led로 적용하며, 이러한 광 조사거리 차이에 따라 천장에 투영되는 투영 이미지에서 중앙 영역은 상대적으로 실내 바닥면과 가까운 거리에 형성될 수 있고 가장자리 영역은 상대적으로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먼 거리에 형성됨으로써 실내 바닥면에 누워 천장을 바라보면서 동화 스토리를 학습 또는 시청하는 유아에게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여 더욱 흥미를 유발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210)과 광 투과플레이트(220) 사이에 복수의 광 확산시트(240)가 더 마련된다. 광 확산시트(240)는 광원(210)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절개문양(231) 내측의 빈 영역으로 최대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천장에 동화 이미지가 더욱 선명한 모습으로 투영되도록 할 수 있다. 광 확산시트(240)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광원(210)의 빛이 광 투과플레이트(220)를 통과하면서 사방으로 산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절개문양(231) 내측의 빈 영역 중 일부에는 상대적으로 조도가 약한 빛이 통과할 수 있게 되므로 결국 천장에 투영되는 이미지의 선명도가 감소하는 단점이 생긴다.
여기서, 복수의 광 확산시트(240) 중 제1 광원(2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광 확산시트(241)는 제2 광원(2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광 확산시트(242)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확산 정도가 크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천장에 투영되는 동화 이미지 중 상대적으로 중앙 영역에 비춰지는 이미지가 가장자리 영역에 비춰지는 이미지에 비해 더욱 선명하도록 할 수 있어 바닥에 누워 천장을 바라보는 유아에게 더욱 입체감 있는 동화 스토리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관련 도면에 3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광원(311)과 제2 광원(312)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광 투과플레이트(320) 측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구획하도록 케이스(300) 내에는 광 구획 가이드(350)가 더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는 제2 실시예의 광 확산시트(340)가 추가 가능하며, 관련 도면에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광 구획 가이드(350)는 제2 실시예에 추가된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광 조사거리가 짧고 휘도는 높은 제1 광원(311)의 빛과, 상대적으로 광 조사거리가 길고 휘도는 낮은 제2 광원(312)의 빛이 서로 혼합되어 절개문양(331)을 통과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결국 천장에 투영되는 동화 이미지의 선명도와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켜주게 된다. 여기서, 광 구획 가이드(350)의 외면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360)가 마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케이스(300)의 내벽에 광을 반사하도록 필름 형태의 반사부재(360)를 더 마련함으로써 케이스(300) 내에서의 광 발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케이스 102: 발광 제어부
103: 터치센서 104: 적외선센서
105: 타이머 107: 가이드홈
108: 가이드돌기 110: 광원
120, 320: 광 투과플레이트 130: 광 투과 문양부
131: 절개문양 132: 무늬지
211, 311: 제1 광원 212, 312: 제2 광원
240: 광 확산시트 350: 광 구획 가이드
360: 반사부재

Claims (6)

  1.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광을 발산하는 광원;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투과 가능한 광 투과플레이트; 및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 상부에 마련되며 절개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절개문양 형태로 변환하여 대상면에 발산하도록 하는 복수의 무늬지가 책자 형태로 마련되는 광 투과 문양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무늬지는 서로 다른 절개문양을 가지며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무늬지를 변경함으로써 대상면으로 발산되는 광 형태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는 일면에 절개구가 형성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는 상기 절개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아크릴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원은 복수로 이루어지고, 대상면에 나타나는 광의 입체감을 위해 복수의 광원 중 상대적으로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1 광원은 상대적으로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광원에 비해 광 조사거리가 짧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광원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발광제어부가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되, 상기 발광 제어부는 광원의 발광을 온오프하기 위한 터치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을 제어하고, 타이머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4.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상측으로 광을 발산하는 광원;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투과 가능한 광 투과플레이트; 및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 상부에 마련되며 절개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을 절개문양 형태로 변환하여 대상면에 발산하도록 하는 복수의 무늬지가 책자 형태로 마련되는 광 투과 문양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무늬지는 서로 다른 절개문양을 가지며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무늬지를 변경함으로써 대상면으로 발산되는 광 형태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광원은 복수로 이루어지고, 대상면에 나타나는 광의 입체감을 위해 복수의 광원 중 상대적으로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1 광원은 상대적으로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광원에 비해 광 조사거리가 짧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 사이에는 복수의 광 확산시트가 더 마련되되, 상기 제1 광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광 확산시트는 상기 제2 광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광 확산시트에 비해 광 확산 정도가 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과 제2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상기 광 투과플레이트 측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는 광 구획 가이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는 광을 반사하도록 반사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KR1020170151440A 2017-11-14 2017-11-14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KR101997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440A KR101997811B1 (ko) 2017-11-14 2017-11-14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440A KR101997811B1 (ko) 2017-11-14 2017-11-14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637A KR20190054637A (ko) 2019-05-22
KR101997811B1 true KR101997811B1 (ko) 2019-07-08

Family

ID=6667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440A KR101997811B1 (ko) 2017-11-14 2017-11-14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0550A (zh) * 2019-10-31 2020-01-31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故事陪伴灯的控制方法、装置、故事陪伴灯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667B2 (ja) * 1995-10-27 2000-10-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動床プ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382Y1 (ko) 1984-02-25 1986-07-09 정화수 조명등 겸용 수면유도등
US5011446A (en) * 1989-11-06 1991-04-30 Alec Feinberg Transparent toy house
JPH0469171U (ko) * 1990-10-24 1992-06-18
US6736530B2 (en) * 2002-05-23 2004-05-18 Alex J. Thevenot Image display device
JP3095667U (ja) * 2003-02-03 2003-08-15 有限会社ハル・コーポレーション 光投影型の装飾品
KR101828451B1 (ko) * 2015-12-23 2018-02-13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자가 조립형 조명기구 및 이의 판매시스템
KR20170003573U (ko) 2016-04-06 2017-10-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진자의 운동원리를 활용한 led 수면보조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667B2 (ja) * 1995-10-27 2000-10-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動床プ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0550A (zh) * 2019-10-31 2020-01-31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故事陪伴灯的控制方法、装置、故事陪伴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637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0525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WO2006102827A1 (fr) Lampe multifonction
JP6960613B2 (ja) 光環境演出システム、光環境演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48052A (ja) 寝室用光覚醒システム
KR101997811B1 (ko)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JP6964242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US11761597B1 (en) Downlight with multiple angles
JP5714382B2 (ja) 遊技機
JP5666960B2 (ja) 遊技機
JP2015069901A (ja) 照明器具
KR101597778B1 (ko) 다기능 베개장치
KR101837981B1 (ko) 조명기능이 부가된 거울
JP2019096414A (ja) 制御装置、点灯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0875972B1 (ko) 공간 연출기
JP2017091828A (ja) 照明装置
KR101523616B1 (ko) 무드조명
JP5455959B2 (ja) 遊技機
JP7217736B2 (ja) 照明器具
JP2002369729A (ja) 照明装置
JP3213871U (ja) 建物玩具
JP2008174133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JP2018078011A (ja) 照明装置
WO2017203652A1 (ja) 天井面の間接照明方法、およ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照明装置と筐体
JP2014053110A (ja) 照明装置
JP2007275086A (ja) 発光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