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616B1 - 무드조명 - Google Patents

무드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616B1
KR101523616B1 KR1020130146004A KR20130146004A KR101523616B1 KR 101523616 B1 KR101523616 B1 KR 101523616B1 KR 1020130146004 A KR1020130146004 A KR 1020130146004A KR 20130146004 A KR20130146004 A KR 20130146004A KR 101523616 B1 KR101523616 B1 KR 10152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ade
gear
pattern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준
이화준
Original Assignee
최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준 filed Critical 최낙준
Priority to KR1020130146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0Rotating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22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드조명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작동부로 조명갓을 정해진 각도 회전시키되, 이 조명갓에 형성된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다양한 무늬가 벽면에 조사되도록 하여 장소 및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빛이 다양한 무늬를 갖도록 조사되어 장소 및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고, 다양한 무늬를 갖는 조명갓으로 교체 사용가능하며, 벽면에 다양한 무늬의 빛이 조사되어 유아 또는 어린아이들이 어두운 공간에 대한 공포감을 잊고, 어두운 공간에 쉽게 적응할 수 있으며, 빛에 대한 흥미 유발과 동시에 다양한 무늬(예컨대, 한글, 영문, 동물모양 등)를 통해 학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조명갓 터치시 조명갓이 일그러지면서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빛의 형상에 변화가 생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흥미를 갖으며, 빛이 상대적으로 밝은 낮 시간에 등갓을 덧씌움으로써, 조명갓의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등갓에 표시되어 입체적인 효과를 갖는 무늬를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드조명{Mood lighting}
본 발명은 무드조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갓의 무늬홈을 통해 다양한 무늬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무드조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어두운 공간에 빛을 밝히거나 혹은 무대의 예술적인 효과 또는 촬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빛을 비추는 장치로, 다양한 장소에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조명장치는 때와 장소에 따라 상황에 맞추어 느껴지는 분위기를 달리하거나 혹은 멋을 내도록 다양한 색깔 혹은 형상으로 빛을 비추게 된다.
특허문헌 1은 무드등 겸용 접이식 탁상용 전기 스탠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특허문헌 1을 간략 설명하면, 관절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몸체부과 직각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LED발광부에서 빛을 하방으로 조사하여 스탠드 역활을 하게 된다.
반면, 관절부를 기준으로 상부의 내입부가 상기 몸체의 돌출부에 삽입 체결되면, 상기 LED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몸체와 상기 상부 사이를 통해 어두운 공간에 은은하게 조사되어 무드등 역활을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무드등과 스탠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빛이 퍼지도록 단순하게 조사되는 방식으로 장소 및 상황에 맞추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없고, 단순한 빛 퍼짐효과로 쉽게 질리며, 벽면에 빛을 직접적으로 조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어두운 공간에 대한 공포감을 갖는 유아 또는 어린아이들이 은은한 조명에 의해 더욱 큰 공포감을 얻게 되고, 빛이 사방으로 흩어지도록 퍼져 산만하며, 이로 인해 어린이 혹은 유아들이 조명에 흥미를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 빛이 밝은 낮 시간에 빛의 밝기가 저하되어 분위기 조성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20-2012-0006972 U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작동부로 조명갓을 정해진 각도 회전시키되, 이 조명갓에 형성된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다양한 무늬가 벽면에 조사되도록 하여 장소 및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드조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갓의 상방에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외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등갓을 덧씌어, 빛이 밝은 낮 시간에도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선명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무드조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은,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구동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부 상부에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회전판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작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복수의 LED소자를 형성하고 있는 회로기판; 및 상기 하우징 상부에 구비되고, 외면에 상기 LED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통과시키는 무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작동부의 회전판에 결합되어 회전작동되는 조명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는, 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모터에 맞물려 회전동력을 상기 회전판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부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 상방에 구비되고, 저면에 상기 기어부의 기어에 맞물리는 내측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모터와 복수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가 웜기어 구조로 맞물리고, 상기 회전판의 내측기어와 상기 기어부의 기어 중 어느 하나가 내치기어 구조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는 회전판 외면에는 환형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갓은 저면에 상기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에 있어서, 상기 조명갓 상방에는 상기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외면에 표시하는 등갓이 덧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에 있어서, 상기 등갓은 상기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외면에 표시하는 환형의 스크린과, 내부에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형성되어 일단을 상기 스크린에 연결하되, 타단을 상기 조명갓 상방에 얹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에 있어서, 상기 조명갓 및 등갓은 PVC 또는 아크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빛이 다양한 무늬를 갖도록 조사되어 장소 및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고, 다양한 무늬를 갖는 조명갓으로 교체 사용가능하며, 벽면에 다양한 무늬의 빛이 조사되어 유아 또는 어린아이들이 어두운 공간에 대한 공포감을 잊고, 어두운 공간에 쉽게 적응할 수 있으며, 빛에 대한 흥미 유발과 동시에 다양한 무늬(예컨대, 한글, 영문, 동물모양 등)를 통해 학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조명갓 터치시 조명갓이 일그러지면서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빛의 형상에 변화가 생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흥미를 갖으며, 이로 인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빛이 상대적으로 밝은 낮 시간에 등갓을 덧씌움으로써, 조명갓의 무늬홈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등갓에 표시되어 입체적인 효과를 갖는 무늬를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의 회전작동부를 분해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에서 빛이 조사되어 벽면에 비추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름 무드조명의 조명갓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의 조명갓에 등갓이 덧씌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이고, 저면에 고무패드(101)가 부착된다.
상기 고무패드(101)는 상기 하우징(100)이 바닥에 놓여진 상태에서 미끄러져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상기 회전작동부(200)의 회전작동과 상기 회로기판(300)의 LED소자(301) 온/오프 작동 및 상기 LED소자(301)에서 조사되는 빛 색상을 변경하는 조작버튼(102)이 형성된다.
회전작동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구동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부(210) 상부에 상기 회전구동부(210)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회전판(22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구동부(200)는 상기 회로기판(300)에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판(220)을 정해진 각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구동부(210)는 모터(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모터(211)에 맞물려 회전동력을 상기 회전판(220)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212a)로 구성된 기어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11)는 회전동력을 상기 복수의 기어(212a)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여 상기 기어부(212)를 작동시킨다.
상기 회전구동부(210)의 모터(211)는 복수의 상기 기어(212a) 중 어느 하나와 웜기어 구조로 맞물려 작동된다.
상기 기어부(212)는 복수의 기어(212a)로 구성되고,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작동된다.
상기 회전판(220)은 상기 회전구동부(210) 상방에 구비되고, 저면에 상기 기어부(212) 기어(212a)에 맞물리는 내측기어(221)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220)은 상기 기어(212a)의 회전동력을 내측기어(221)로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조명갓(400)을 정해진 각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판(220)의 내측기어(221)는 상기 기어부(212)의 기어(212a) 중 어느 하나와 내치기어 구조로 맞물려 작동된다.
상기 회전판(220) 외면에는 환형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22)은 상기 조명갓(400)의 체결돌부(402)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조명갓(400)이 상기 회전판(220)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체결돌부(402)를 상기 회전판(220)의 회전방향으로 밀어낸다.
회로기판(300)은 상기 회전구동부(210)와 상기 회전판(220) 사이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복수의 LED소자(301)를 형성한다.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조작버튼(102)에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작동부(200)를 회전작동시키거나 혹은 상기 LED소자(301)의 온/오프 작동 및 상기 LED소자(301)에서 조사되는 빛 색상 변경을 제어한다.
상기 LED소자(301)는 다수의 색상으로 빛을 조사하고, 이 색상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갓(400)은 상기 하우징(100) 상부에 구비되고, 외면에 상기 LED소자(301)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통과시키는 무늬홈(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작동부(401)의 회전판(220)에 결합되어 회전 작동된다.
상기 무늬홈(401)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그 형상은 글씨(예컨대, 한글, 영문등의 다양한 언어), 동물, 도형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무늬홈(401)은 상협하광 구조를 갖는 상기 조명갓(400)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LED소자(301)에서 조사되는 빛을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조사한다.
상기 조명갓(400)은 저면에 상기 체결홈(222)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돌부(40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부(402)는 상기 체결홈(222)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작동되는 상기 회전판(220)의 체결홈(222)에 밀려 상기 조명갓(400)을 상기 회전판(220)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조명갓(400) 상방에는 상기 무늬홈(40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외면에 표시하는 등갓(410)이 덧씌워진다.
상기 조명갓(400) 및 등갓(410)은 PVC 또는 아크릴 재질로 제작되고, 유아 또는 어린이가 터치시 유동되면서 상기 무늬홈(401)을 통해 조사되는 빛 무늬 형상에 변화가 생긴다.
상기 등갓(410)은 상기 무늬홈(40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외면에 표시하는 환형의 스크린(411)과, 내부에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스크린(411)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조명갓(400) 상방에 얹혀지는 프레임(412)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411)은 빛의 투과율을 저하시키는 반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의 무드조명을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예컨대, 실,내외)에 위치시킨다.
이때, 무드조명이 위치되는 장소는 어두운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조작버튼(102)을 조작하여 상기 회로기판(300)의 LED소자(301)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LED소자(301)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조명갓(400) 내부를 밝힘과 동시에 상기 조명갓(400)의 무늬홈(401)을 통해 일부 빛이 통과되어 정해진 형상을 갖는 무늬의 빛이 벽면(W) 또는 외부에 설치된 스크린(미도시)등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조작버튼(102)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LED소자(301)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이 변화되어 벽면(W) 또는 외부에 설치된 스크린등에 다른 색상을 갖는 무늬의 빛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LED소자(301)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은 상기 조작버튼(102)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된다.
한편, 상기 조명갓(400)을 통해 조사되는 빛의 무늬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버튼(102)을 조작하여 상기 회전작동부(20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구동부(210)의 모터(211)가 복수의 상기 기어(212a) 중 어느 하나와 웜기어 구조로 맞물리게 작동되어 상기 기어부(212)를 작동시키고, 이 기어부(212)의 복수의 기어(212a) 중 또 다른 기어(212a)가 상기 회전판(220)의 내측기어(221)와 내치기어 구조로 맞물리게 작동되어 상기 회전판(22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판(220)의 체결홈(222)에 체결된 상기 체결돌부(402)는 상기 체결홈(222)에 의해 상기 회전판(220) 회전방향으로 밀리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돌부(402)가 상기 조명갓(400)을 상기 회전판(220)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조명갓(400)이 정해진 각도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갓(400) 외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무늬홈(401)이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그 각도에 따라 상기 조명갓(400)을 회전시켜 상기 무늬홈(401)을 통해 다양한 무늬의 빛을 조사하게 된다.
반면, 빛이 상대적으로 밝은 낮 시간에 무드조명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드조명 상방에 등갓(410)을 덧씌우게 된다.
그러면, 빛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반투명 재질의 상기 등갓(410) 표면에 상기 조명갓(400)의 무늬홈(40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의 무늬가 표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빛이 밝은 낮 시간에도 상기 조명갓(400)의 무늬홈(40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의 무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조명갓(400)과 등갓(410)을 PVC 또는 아크릴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아이들이 상기 조명갓(400)과 등갓(410)을 터치시 상기 조명갓(400)과 등갓(410)이 흔들리면서 상기 무늬홈(401)을 통해 조사되는 무늬에 변화가 생긴다.
상기와 같이 조명갓(400)을 회전시켜 다양한 무늬의 빛을 조사하고, 빛의 색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분의기를 연출하는 무드조명은, 빛이 다양한 무늬를 갖도록 조사되어 장소 및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고, 다양한 무늬를 갖는 조명갓(400)으로 교체 사용가능하며, 벽면(W)에 다양한 무늬의 빛이 조사되어 유아 또는 어린아이들이 어두운 공간에 대한 공포감을 잊고, 어두운 공간에 쉽게 적응할 수 있으며, 빛에 대한 흥미 유발과 동시에 다양한 무늬(예컨대, 한글, 영문, 동물모양 등)를 통해 학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조명갓(400) 터치시 조명갓(400)이 흔들리면서 무늬홈(40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의 형상에 변화가 생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흥미를 갖으며, 빛이 상대적으로 밝은 낮 시간에 등갓(410)을 덧씌움으로써, 조명갓(400)의 무늬홈(40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등갓(410)에 선명하게 표시되어 입체적인 효과를 갖는 무늬를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무드조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1 : 고무패드
102 : 조작버튼 200 : 회전작동부
210 : 회전구동부 211 : 모터
212 : 기어부 212a : 기어
220 : 회전판 221 : 내측기어
222 : 체결홈 300 : 회로기판
301 : LED소자 400 : 조명갓
401 : 무늬홈 402 : 체결돌부
410 : 등갓 411 : 스크린
412 : 프레임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구동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부(210) 상부에 상기 회전구동부(210)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회전판(220)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작동부(200);
    상기 회전구동부(210)와 상기 회전판(220) 사이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복수의 LED소자(301)를 형성하고 있는 회로기판(300); 및
    상기 하우징(100) 상부에 구비되고, 외면에 상기 LED소자(301)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통과시키는 무늬홈(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작동부(200)의 회전판(220)에 결합되어 회전작동되는 조명갓(400);
    으로 구성되는 무드조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200)는,
    모터(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모터(211)에 맞물려 회전동력을 상기 회전판(220)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212a)로 구성되며, 이 복수의 기어(212a)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모터(211)와 웜기어 구조로 맞물리는 기어부(212)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210); 및
    상기 회전구동부(210) 상방에 구비되고, 저면에 상기 기어부(212)의 기어(212a)에 맞물리는 내측기어(221)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기어(221)와 상기 기어부(212)의 기어(212a) 중 어느 하나가 내치기어 구조로 맞물리는 회전판(2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명갓(400) 상방에는 상기 무늬홈(401)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외면에 표시하는 환형의 스크린(411)과, 내부에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형성되어 일단을 상기 스크린(411)에 연결하되, 타단을 상기 조명갓(400) 상방에 얹히는 프레임(412)으로 구성된 등갓(410)이 덧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200)는 회전판(220) 외면에는 환형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갓(400)은 저면에 상기 체결홈(222)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돌부(4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갓(400) 및 등갓(410)은 PVC 또는 아크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드조명.
KR1020130146004A 2013-11-28 2013-11-28 무드조명 KR10152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04A KR101523616B1 (ko) 2013-11-28 2013-11-28 무드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04A KR101523616B1 (ko) 2013-11-28 2013-11-28 무드조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616B1 true KR101523616B1 (ko) 2015-05-29

Family

ID=5339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004A KR101523616B1 (ko) 2013-11-28 2013-11-28 무드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6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356B1 (ko) * 2015-07-29 2017-06-15 송두환 인테리어 조명기구
CN113775977A (zh) * 2021-09-05 2021-12-10 广东海洋大学 一种智能感应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937Y1 (ko) * 1988-08-26 1991-09-17 하갱춘 스탠드 전등
JPH0543406U (ja) * 1991-09-27 1993-06-11 覚 津田 照明装置
KR200405399Y1 (ko) * 2005-10-11 2006-01-10 백형구 업소용 무대 조명 장치
KR20110099869A (ko) * 2010-03-03 2011-09-09 김덕휴 무대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937Y1 (ko) * 1988-08-26 1991-09-17 하갱춘 스탠드 전등
JPH0543406U (ja) * 1991-09-27 1993-06-11 覚 津田 照明装置
KR200405399Y1 (ko) * 2005-10-11 2006-01-10 백형구 업소용 무대 조명 장치
KR20110099869A (ko) * 2010-03-03 2011-09-09 김덕휴 무대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356B1 (ko) * 2015-07-29 2017-06-15 송두환 인테리어 조명기구
CN113775977A (zh) * 2021-09-05 2021-12-10 广东海洋大学 一种智能感应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79174A1 (en) Lighting arrangement
JP3150282U (ja) 押しボタン装置
US20170162346A1 (en) Encoder controlled illumination
JP2005222750A (ja) 調光機能を持つ照明装置
RU2687062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траж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варианты)
KR101523616B1 (ko) 무드조명
JP2011524608A (ja) 照明器具
US9605823B2 (en) Lighting apparatus
US20140268861A1 (en) Fiber lamp decoration
JP5666960B2 (ja) 遊技機
JP6240492B2 (ja) 装飾照明装置
KR20180087300A (ko)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4262B1 (ko) 조명장치
TW201420964A (zh) 具大範圍導光特性的導光結構
CN205504763U (zh) 环形照明装置以及车载设备
TWM527279U (zh) 具有動態成像效果的香薰燈
JP2023074917A (ja) 照明装置
JP7217736B2 (ja) 照明器具
KR101997811B1 (ko) 유아용 다기능 조명등
KR101986507B1 (ko) 조명 장치
TWM394918U (en) Light decoration with lighting pattern variation effect
JP5725317B1 (ja) 照明装置及び照明方法
KR20170048759A (ko) 조명장치
WO2020195281A1 (ja) 照明制御装置及び照明装置
JP3138741U (ja) 宝飾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