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262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262B1
KR101674262B1 KR1020140152812A KR20140152812A KR101674262B1 KR 101674262 B1 KR101674262 B1 KR 101674262B1 KR 1020140152812 A KR1020140152812 A KR 1020140152812A KR 20140152812 A KR20140152812 A KR 20140152812A KR 101674262 B1 KR101674262 B1 KR 10167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coupled
gear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576A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102014015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2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03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interposition of elements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variable light transmissivity, e.g. liquid crystal elements or electrochrom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장치가 구비되고, 일 면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부; 일 측은 상기 발광부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발광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센서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인체의 접근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고, 높이 조절 및 회전 조절이 가능하며, 플렉서블 호스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대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이나 거실 또는 사무실등의 공간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전기 스탠드와 무드등을 사용한다. 종래의 전기스탠드는 사무용 및 독서용으로는 주로 형광등을 사용한 조명용 스탠드를 이용하고, 실내 장식으로서 사용되는 전기스탠드는 주로 전구를 사용한다. 형광등은 전구에 비해 밝고 조명 범위가 넓으며, 발열이 없어 많이 이용되고, 전구는 실용면보다 실내장식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조명 용도로 쓰이는 전기스탠드와는 달리, 무드등은 주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취침 시 어둠에 대한 공포감을 감소시키고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조명용 전기 스탠드와는 달리 어두운 백색광 또는 다양한 유색 등이 이용된다.
종래의 무드등은 단지 디자인 측면에서만 활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조명용 전기스탠드를 무드등으로 이용할 경우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발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명용 스탠드와 무드등을 따로 구매해야 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두 가지 조명장치를 모두 사용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드등을 밤새 켜놓을 경우 배터리 소모량이 크고 발열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인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꺼지고, 인체의 이동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켜지는 동작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플렉서블 호스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굽혀 스탠드로 활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조명장치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장치가 구비되고, 일 면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부; 일 측은 상기 발광부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발광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센서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빛이 투과되며, 상기 발광부의 외주면에는 켈리그라피를 이용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적어도 타조알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발광부를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서로 치합되는 복수개의 기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장치의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 장치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서장치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로 구비되며, 인체의 접근 유무에 따라 상기 발광부가 자동으로 온오프 제어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다수 개의 바디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다수개의 바디부는,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제1 바디부; 일 측이 상기 제1 바디부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발광부의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가 슬라이드 되면,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래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 측은 임의의 각도로 굽힐 수 있도록 적어도 고무 재질의 플렉시블 호스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의 하우징 내부에는 적어도 LED램프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무선컨트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무선컨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먼 거리에서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의 동작 및 접근 유무에 따라서 조명장치를 자동으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켈리그라피 메시지를 이미지화하여 표면할 수 있고, 빛의 투과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조명장치의 가까이 가지 않더라도 멀리서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높이가 조절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회전수단을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제어방식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에 플렉시블 호스가 구비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발광부 일 부분이 개방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높이가 조절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회전수단을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제어방식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1)는 발광부(10)와, 본체부(20)와,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0)는 빛이 발생하는 부분이며, 발광부(10)의 내부에는 배터리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는 전구나 형광등, 또는 LED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LED램프는 전력손실이 매우 적기 때문에 저전력으로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빛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광부(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하우징(11)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타조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일 면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2)를 잡고 수직 하방으로 눌러 하우징(11)의 상부 일 부분을 개방할 수 있다. 즉, 하우징(11)의 상부 일 부분은 덮개 형태로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덮개는 하우징(11)에서 완전히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부(14)가 구비되어 일 부분만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연결부(14)에 의해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발광부(10)의 하우징(11)은 빛을 투과시킬 수 있고, 외주면에는 켈리그라피를 이용한 메시지(M)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켈리그라피는 하우징(11)의 외주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새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의 외주면에 음각으로 새겨지는 형상을 도시하였다. 음각기법은 메시지(M) 부분을 긁어서 나타내는 기법이며, 양각기법은 메시지(M)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긁어서 나타내는 기법이고, 디자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발광부(10)에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장치(13)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장치(13)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로 구비될 수 있고, 인체의 접근 유무에 따라 발광부(10)가 자동으로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발광부(10)의 일 측에는 발광부(1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4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수단(40)은 발광부(10)와 본체부(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서로 치합되는 복수 개의 기어장치(42, 43, 4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장치(42, 43, 44) 중 제1 기어(42)와, 제1 기어(42)와 맞물리는 다수 개의 제2 기어(43)와, 다수 개의 제2 기어(43)와 맞물리는 제3 기어(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42)는 일례로 선기어로 구비될 수 있고, 제2 기어(43)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기어(42)와 맞물리는 제2 기어(43)는 일례로 유성기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성기어는 제1 유성기어(431)와, 제2 유성기어(432) 및 제3 유성기어(43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기어(42)와 제3 기어(44) 사이에서 지지되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3 기어(43)는 링기어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기어(42) 및 제2 기어(4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광부(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기어(42)는 모터축(41)과 결합될 수 있고, 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기어(43) 및 제3 기어(4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3 기어(44)는 발광부(10)의 하우징(11) 일 측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광부(10)가 회전될 수 있다. 발광부(10)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모터(41)의 출력에 따라 다양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발광부(10)가 회전됨에 따라, 발광부(10)의 외주면에 새겨진 메시지(M)를 다양한 위치에서 볼 수 있어 시각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메시지(M)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체부(20)는 일 측이 발광부(10)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 측은 발광부(1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0)는 다수 개의 바디부(2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21)는 일 측이 지지판(22)의 상면과 결합되는 제1 바디부(210)와, 일 측이 제1 바디부(2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발광부(10)의 하우징(11)과 결합되는 제2 바디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는 바디부(21) 가운데 가장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바디부(210)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바디부(211)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11)는 제1 바디부(210)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 바디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의 상부 내측면에는 결합홈(2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바디부(211)의 하부 외측면에는 래치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부(213)는 적어도 탄성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바디부(211)가 제1 바디부(210) 내부로 삽입되도록 수직 하방으로 눌리면 래치부(213)가 제2 바디부(211)의 외측면 방향으로 압축되어 결합홈(212)에서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바디부(211)가 제1 바디부(210)에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슬라이드되어 수직 상방을 향하는 경우에는 래치부(213)가 압축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면서 결합홈(212) 내부에 끼워맞춤되면 제2 바디부(211)가 제1 바디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발광부(10)에 구비되는 센서장치(13)의 신호에 의해 발광부(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어부(30)는 인체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조명장치(1)를 자동으로 켜고 끄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인체가 기 설정된 반경범위 내에서 이동을 하게 되거나, 조명장치(1)와 접촉을 하게 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이동 또는 접촉이 감지되어 발광부(10)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반대로 인체가 기 설정된 반경범위 내에서 이동하지 않거나, 조명장치(1)와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인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므로 발광부(10)가 자동으로 꺼질 수 있다.
제어부(30)에는 무선컨트롤러(31)가 구비될 수 있다. 무선컨트롤러(31)는 제어부(3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조명장치(1)와 기 설정된 반경범위 외에서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발광부(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발광부(10) 근처에 가까이 가거나, 직접 터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에 플렉서블 호스가 구비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발광부 일 부분이 개방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는 발광부(10)와, 본체부(20)와,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발광부(10)는 상부 일 면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에 손잡이(12)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2)를 수직 하방으로 누르면(도 5참조), 상기 덮개의 일부 또는 전체가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하우징(11)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덮개가 개방되면 외부로 빛이 노출되는 개방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하우징(11)의 일 면에 구비되는 연결부(1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부(14)는 힌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힌지의 일 측은 상기 덮개에 결합될 수 있고, 타 측은 상기 덮개와 연결되는 하우징(11)의 일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덮개는 하우징(11)의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11)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연결부(14) 없이 상기 덮개 전체가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체부(20)는 바디부(21)와 지지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의 일 측은 발광부(1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고, 타 측은 지지판(22)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21)는 임의의 각도로 굽힘 가능하도록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호스는 적어도 고무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굽힘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플렉시블 호스는 탄성이 있는 고무튜브에 섬유나 고무로 만든 커버를 겹쳐서 제작할 수 있다.
일례로, 바디부(21)를 책상에서 사용하는 경우, 발광부(10)를 원하는 방향으로 눌러서 바디부(21)를 소정 각도만큼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명장치의 반경범위 내에 있는 동안에는 켜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스탠드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를 무드등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스탠드로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조명장치(1)를 침실이나 거실, 사무실등과 같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본체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발광부(10)를 회전작동시킬 수 있다.
본체부(20)는 다수 개의 바디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광부(10)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12)를 수직 하방으로 눌러 바디부(21)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손잡이(12)를 수징 상방으로 당겨 바디부(21)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발광부(10)는 하우징(11)의 일 측에 결합되는 회전수단(40)을 이용하여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수단(40)을 회전 가능하게하는 모터(45)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모터(45)를 구동시키면, 모터축(41)에 연동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 개의 기어장치(42, 43, 44)가 차례로 회전되며, 다수 개의 기어장치(42, 43, 44) 중 제3 기어(44)가 발광부(10)의 하우징(11)과 연결되어 발광부(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조명장치(1)와 기 설정된 반경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신호가 전달되어 발광부(10)가 켜질 수 있고,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발광부(10)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무선컨트롤러(3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명장치(1)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발광부(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본체부(20)가 플렉시블 호스(21)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발광부(10)를 원하는 각도만큼 굽힐 수 있다. 일례로, 조명장치(1)를 스탠드로 이용하고자 한다면, 플렉시블 호스(21)를 스탠드 형태로 구부려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더 밝은 밝기로 이용하고자 한다면, 발광부(10) 상면의 상기 덮개를 일부 또는 전체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 조명장치 10: 발광부
11: 하우징 12: 손잡이
13: 센서장치 14: 연결부
15: 개방홀 20: 본체부
21: 바디부 22: 지지판
30: 제어부 31: 무선컨트롤러
40: 회전수단 41: 모터축
42: 제1 기어 43: 제2 기어
44: 제3 기어 45: 모터
210: 제1 바디부 211: 제2 바디부
212: 결합홈 213: 래치부
431: 제1 유성기어 432: 제2 유성기어
433: 제3 유성기어 M: 메시지

Claims (9)

  1. 조명장치에 있어서,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장치가 구비되고, 일 면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부;
    일 측은 상기 발광부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발광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센서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빛이 투과되며, 상기 발광부의 외주면에는 켈리그라피를 이용한 메시지가 삽입되며,
    인체가 상기 조명장치의 기설정된 반경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상기 조명장치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센서장치에 의해 이동 또는 접촉이 감지되어 상기 발광부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제어되고,
    이와 반대로 인체가 상기 조명장치의 기설정된 반경범위 내에서 이동하지 않거나, 상기 조명장치와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무선컨트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컨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며,
    인체가 상기 센서장치로부터 기설정된 반경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발광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타조알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발광부를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서로 치합되는 복수개의 기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장치의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 장치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 조명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다수 개의 바디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다수개의 바디부는,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제1 바디부;
    일 측이 상기 제1 바디부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발광부의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가 슬라이드 되면, 상기 제2 바디부를 상기 제1 바디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 측은 임의의 각도로 굽힐 수 있도록 적어도 고무 재질의 플렉시블 호스로 형성되는 조명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하우징 내부에는 적어도 LED램프가 구비되는 조명장치.
  9. 삭제
KR1020140152812A 2014-11-05 2014-11-05 조명장치 KR10167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812A KR101674262B1 (ko) 2014-11-05 2014-11-05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812A KR101674262B1 (ko) 2014-11-05 2014-11-05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76A KR20160053576A (ko) 2016-05-13
KR101674262B1 true KR101674262B1 (ko) 2016-11-08

Family

ID=5602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812A KR101674262B1 (ko) 2014-11-05 2014-11-05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267B1 (ko) * 2017-02-03 2018-10-19 옥승호 스마트 자개 조명장치
KR20220096180A (ko) * 2020-12-30 2022-07-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접목 플렉시블 교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855B1 (ko) * 2017-12-22 2018-02-26 김명곤 천장 이동형 실내 조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8936A1 (en) * 2013-02-07 2014-08-07 Wacker Neuson Produktion GmbH & Co. KG Transportable ligh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032B1 (ko) * 2012-06-12 2014-02-06 권오태 센서 보행등 및 가로등
KR20140010314A (ko) * 2012-07-16 2014-01-24 서림기전개발 주식회사 이동가능 한 충전식 스탠드 엘이디 조명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8936A1 (en) * 2013-02-07 2014-08-07 Wacker Neuson Produktion GmbH & Co. KG Transportable light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267B1 (ko) * 2017-02-03 2018-10-19 옥승호 스마트 자개 조명장치
KR20220096180A (ko) * 2020-12-30 2022-07-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접목 플렉시블 교재시스템
KR102495529B1 (ko) 2020-12-30 2023-02-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접목 플렉시블 교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76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2440B2 (ja) タッチパターン制御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た照明器具
KR101674262B1 (ko) 조명장치
CN203784725U (zh) 一种智能调光台灯
KR101055384B1 (ko) 꽃잎형 개폐방식을 갖는 조명기구
JP200923852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20080232104A1 (en) Display Pedestal for Decorative Objects
EP2045130A3 (en) Interior lamp
CN104373831B (zh) 一种多功能露营灯
US9109793B2 (en) Illuminated display unit
JP4491327B2 (ja) 照明器具
KR200489398Y1 (ko) 무드등 기능을 갖는 조형물
CN210891526U (zh) 一种环境光模拟装置
CN106813121A (zh) 一种多用途提灯
CN102287673B (zh) 触摸可变外形的交互式台灯
CN105114854A (zh) 照明区域可调的床头灯及其开关控制器
CN205877944U (zh) 一种led吸顶灯
KR20160085596A (ko) 센서가 구비된 실리콘 무드등
TWI392828B (zh) 燈具及其控制方法
KR102284242B1 (ko) 조명 장치
CN201286433Y (zh) 内置发光装置的旅行箱
KR200255440Y1 (ko) 전기스탠드
KR20180007966A (ko) 벽걸이 360 회전 스탠드
CN208724240U (zh) 一种手机蓝牙遥控的调光调色灯具
CN206222061U (zh) 台灯
JP3187302U (ja) 仏壇の照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