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368B1 -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 Google Patents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368B1
KR101997368B1 KR1020170181362A KR20170181362A KR101997368B1 KR 101997368 B1 KR101997368 B1 KR 101997368B1 KR 1020170181362 A KR1020170181362 A KR 1020170181362A KR 20170181362 A KR20170181362 A KR 20170181362A KR 101997368 B1 KR101997368 B1 KR 101997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ection
nonwoven fabric
fabric layer
uppe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한
윤재호
공용식
김기원
Original Assignee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가 인접된 부분에서의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가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상단 보드, 하단 보드 및 부직포층이 프레싱되는 과정에서 라운드 형상의 함몰이 개선되고, 러기지 보드의 접힘 줄무늬 및 요철 무늬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CAR LUGGAGE BOARD OVERLAPPING IN AN OBLIQUE SHAPE}
본 발명은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가 인접된 부분에서의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가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상단 보드, 하단 보드 및 부직포층이 프레싱되는 과정에서 라운드 형상의 함몰이 개선되고, 러기지 보드의 접힘 줄무늬 및 요철 무늬를 개선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포츠형 다목적 차량(SUV)이 자동차 시장에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SUV는 화물적재공간이 일반 세단 차량보다 넉넉하여 실용성이 있기 때문이다.
SUV의 후방좌석 뒤에는 각종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화물적재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화물적재공간은 여러 가지 종류의 짐을 수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사람이 탑승하는 실내공간에 위치하므로 운행중이라도 짐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화물적재공간의 바닥은 통상적으로 러기지보드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러기지보드 및 러기지보드의 접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러기지보드가 접혔을 때의 접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러기지보드가 펴졌을 때의 측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며, 종래의 러기지보드의 구성 및 문제점을 살핀다.
일반적인 러기지보드는 부직포층(10)의 하부에 상부 보드(20) 및 하부 보드(30)가 결합되고, 상부 보드(20) 및 하부 보드(30)가 도 3과 같이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러기지보드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부직포층(10), 상부 보드(20) 및 하부 보드(30)를 지그에 물린 다음 프레싱을 통해 러기지보드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제작된 러기지보드에 있어서 상부 보드(20)와 하부 보드(30)의 상부 경계 및 하부 경계는 이상적으로 R1의 라운드로 처리되어야 한다(도 3 참조).
그러나, 실제 프레스하여 러기지보드를 제작하게 되면, 성형 공법의 한계상 라운드 형상 구간에서 좌굴이 발생되어 R2의 라운드로 처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라운드 부분의 무너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4와 같이 완성된 러기지보드의 상면의 실제 외관을 살펴보면, 이상적인 라운드보다 더 함몰되어 해당 부분의 부직포층이 가라앉게 되어 접힘 줄무늬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5와 같이 완성된 러기지보드의 하면의 실제 외관을 살펴보면, 상면과 마찬가지의 원리로 요철무늬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라운드 부분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가 인접된 부분에서의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가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상단 보드, 하단 보드 및 부직포층이 프레싱되는 과정에서 라운드 형상의 함몰이 개선되고, 러기지 보드의 접힘 줄무늬 및 요철 무늬를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단 보드와 하단 보드를 포함하는 보드 조립체 및 보드 조립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가 인접된 부분에서의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가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상단 보드 및 하단 보드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상단 보드는, 일단부가 부직포층의 하면과 수직되도록 맞닿아 연장 형성되는 상단 보드 제1 구간, 일단부가 상단 보드 제1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부직포층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단 보드 제2 구간, 일단부가 상단 보드 제2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하강하는 상단 보드 제3 구간, 일단부가 상단 보드 제3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부직포층의 하면과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단 보드 제4 구간 및 일단부가 상단 보드 제4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부직포층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단 보드 제5 구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하단 보드는 일단부가 부직포층의 하면과 수직되도록 맞닿아 연장 형성되는 하단 보드 제1 구간, 일단부가 하단 보드 제1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부직포층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단 보드 제2 구간, 일단부가 하단 보드 제2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하강하는 하단 보드 제3 구간, 일단부가 하단 보드 제3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부직포층의 하면과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단 보드 제4 구간 및 일단부가 하단 보드 제4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부직포층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단 보드 제5 구간을 포함하고, 상단 보드 제5 구간 및 하단 보드 제5 구간은 동일 선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상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4 구간과 하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4 구간의 상호 마주보는 구간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상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5 구간과 하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5 구간의 상호 마주보는 구간의 거리는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소정의 각도는 29도 이상 3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부직포층, 상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5 구간의 경계지점은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부직포층, 하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5 구간의 경계지점은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상단 보드 또는 하단 보드는 스킨층, 코어층 및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상단 보드, 하단 보드 및 부직포층이 프레싱되는 과정에서 라운드 형상의 함몰이 개선되고, 러기지 보드의 접힘 줄무늬 및 요철 무늬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러기지보드 및 러기지보드의 접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러기지보드가 접혔을 때의 접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러기지보드가 펴졌을 때의 측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와 종래의 완성된 러기지보드의 상면의 실제 외관이다.
도 5와 종래의 완성된 러기지보드의 하면의 실제 외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러기지보드의 상면의 실제 외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러기지보드의 하면의 실제 외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살핀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는 보드 조립체 및 부직포층(300)을 포함한다. 보드 조립체는 상단 보드(100) 및 하단 보드(200)를 포함한다.
상단 보드(100) 및 하단 보드(200)는 스킨층-코어층-스킨층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위, 샌드위치 판넬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미도시된 부직포층(300) 하부의 필름이 녹아, 보드 조립체와 부직포층(300)이 결합된다.
또한, 보드 조립체와 부직포층(300)은 프레싱(pressing) 과정을 통해 접착된다.
상단 보드(100)는 상단 보드(100)의 측부를 따라 제1 구간(110) 내지 제5 구간(150)으로 나뉜다. 또한, 제1 구간(110) 내지 제5 구간(150)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연결된다.
상단 보드(100)의 제1 구간(110) 내지 제5 구간(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구간(110)은 부직포층(300)의 하면에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부직포층(300)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구간(120)은 제1 구간(110)과 맞닿는다. 제2 구간(120)의 일단부가 제1 구간(110)의 타단부와 맞닿는다. 또한, 부직포층(300)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구간(110)과 제2 구간(120)은 수직되는 형상을 지니게 된다.
제3 구간(130)은 제2 구간(120)과 맞닿는다. 제3 구간(120)의 일단부가 제2 구간(120)의 타단부와 맞닿는다.
이때, 제3 구간(130)은 제2 구간(120)과 소정의 각도(θ1)를 지니면서 하강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빗면 형상이게 된다. 이때, 소정의 각도(θ1)는 29도 이상 3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9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9는 최대하중실험의 실제 모습이다.
차량용 러기지보드에 무게를 지닌 물체를 올려놓고, 러기지보드의 오버랩구조가 어느 하중까지 견딜 수 있는 실험이다. 최대하중을 넘어서는 경우, 오버랩구조가 무너지게 되고, 부직포층에 주름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험 결과값이 종래의 차량용 러기지 보드의 최대하중실험에 따른 결과값과 유사하게 나와야, 구조를 빗면구조로 하여도 정상적인 제품으로 판명될 수 있다. 즉,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구조를 변형하여 시험 성능은 만족하되,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최대하중(kgf)은 200이였다. 통상적으로, 최대하중실험에서의 오차값은 플러스 마이너스 10을 둔다. 이에, 소정의 각도(θ1)를 변수로하고, 각도(θ1)를 변형하면서 러기지보드의 최대하중을 실험하였다. 그 실험 결과는 하기와 같다.
θ1(단위 : 도) 최대하중(단위 : kgf)
22 155
23 157
24 157
25 164
26 167
27 171
28 172
29 194
30 195
31 198
32 201
33 205
34 206
35 207
36 184
37 182
38 180
39 175
40 174
위와 같이, 소정의 각도(θ1)가 29도 미만인 경우에는 최대하중이 종래의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최대하중에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소정의 각도(θ1)가 35도 초과인 경우 또한 종래의 차량용 러기지보드의 최대하중에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정의 각도(θ1)는 29도 이상 35도 이하의 범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고, 29도 및 35도의 경계점에서 최대하중의 현저한 변화가 발생되므로 임계적 의의 또한 존재하게 된다.
제4 구간(140)은 제3 구간(130)과 맞닿는다. 제4 구간(140)의 일단부가 제3 구간(130)의 타단부와 맞닿는다.
이때, 제4 구간(140)은 부직포층(300)의 하면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구간(150)은 제4 구간(140)과 맞닿는다. 제5 구간(150)의 일단부가 제4 구간(140)의 타단부와 맞닿는다.
이때, 제5 구간(150)은 제4 구간(140)과 수직되며, 부직포층(300)과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 보드(200)의 제1 구간(210) 내지 제5 구간(2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하단 보드(200)의 제1 구간(210) 내지 제4 구간(240)은 상단 보드(100)의 제1 구간(110) 내지 제4 구간(140)과 소정의 거리(d)를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단 보드(200)의 제1 구간(210) 내지 제4 구간(240)은 상단 보드(100)의 제1 구간(110) 내지 제4 구간(140)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서 도시된 각 구간의 거리인 d1 내지 d4의 거리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로 인해, 하단 보드(200)의 제2 구간(220)과 제3 구간(230)이 이루는 소정의 각도(θ2) 또한, 상단 보드(100)의 제2 구간(120)과 제3 구간(130)이 이루는 소정의 각도(θ1)와 동일하게 된다. 소정의 각도(θ2)에 따른 효과는 θ1과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이로 인해, 특정 구간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오버랩 구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접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단 보드(200)의 제5 구간(250)은 하단 보드(200)의 제4 구간(240)과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되, 상단 보드(100)의 제5 구간(150)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단 보드(100)의 제5 구간(150)과 하단 보드(200)의 제5 구간(250)은 동일 선상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에서의 접힘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단 보드(100)의 제1 구간(110) 내지 제5 구간(150)과 하단 보드(200)의 제1 구간(210) 내지 제5 구간(250)의 각 구간의 양단부에서 형성되는 경계지점은 도 6과 같이 라운드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단 보드(100) 및 하단 보드(200)가 프레싱 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며, 종래의 러기지보드 보다 무너짐 현상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라운드의 함몰 정도가 개선되게 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보드는 제2 구간(120, 220)이라는 부직포층(300)과 평행하는 구간이 형성되고, 제3 구간(130, 230)이라는 부직포층(300)과 소정의 각도(θ1, θ2)를 이루는 구간이 형성되어 상단 보드(100)와 하단 보드(200)가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상단 보드(100)의 제1 구간(110)의 길이(a1), 상단 보드(100)의 제2 구간(120)의 길이(a2), 하단 보드(200)의 제4 구간(240)의 길이(a3) 및 상단 보드(100)의 제1 구간(110)에서 하단 보드(200)의 제4 구간(240)까지의 길이(a4)의 비율은 2:5:3: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 보드(100)의 제1 구간(110)의 길이(a1) 및 하단 보드(200)의 제4 구간(240)의 길이(a3)를 상대적으로 최소화함으로써, 상단 및 하단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a1과 a3의 비율이 2:3인 이유는 상단 보드(100)와 하단 보드(200)의 하면이 개방되었기 때문이다.
종래의 경우, 상단 보드와 하단 보드의 맞닿는 부분 중 가장 긴 부분이 부직포층과 평행하다. 이로 인해, 가장 긴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그 외의 부분에 프레싱을 가할 경우 라운드 형상 구간이 이론적인 경우보다 더 함몰되는 문제점이 있어 외관 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구조로 인해, 상단 보드(100) 및 하단 보드(200)가 빗면 형상을 따라 각 단부에 힘이 분배되어 라운드 형상 구간이 정상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빗면 형상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제2 구간(120, 220)이 존재하여 부직포층(300)과 평행하는 구간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단 보드(100)의 단부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효과로 인해, 프레싱 시 상단 접힘부 줄무늬가 종래에 비해 개선되고, 하단 요철 무늬가 종래에 비해 개선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러기지보드의 상면의 실제 외관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러기지보드의 하면의 실제 외관이다. 이를 통해, 개선 효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상단 보드
110…상단 보드 제1 구간
120…상단 보드 제2 구간
130…상단 보드 제3 구간
140…상단 보드 제4 구간
150…상단 보드 제5 구간
200…하단 보드
210…하단 보드 제1 구간
220…하단 보드 제2 구간
230…하단 보드 제3 구간
240…하단 보드 제4 구간
250…하단 보드 제5 구간
300…부직포층

Claims (10)

  1. 상단 보드와 하단 보드를 포함하는 보드 조립체 및 상기 보드 조립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보드 및 상기 하단 보드가 인접된 부분에서의 상기 상단 보드 및 상기 하단 보드가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 보드 및 상기 하단 보드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며,
    상기 상단 보드는,
    일단부가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과 수직되도록 맞닿아 연장 형성되는 상단 보드 제1 구간;
    일단부가 상기 상단 보드 제1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단 보드 제2 구간;
    일단부가 상기 상단 보드 제2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하강하는 상단 보드 제3 구간;
    일단부가 상기 상단 보드 제3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과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단 보드 제4 구간; 및
    일단부가 상기 상단 보드 제4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단 보드 제5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보드는,
    일단부가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과 수직되도록 맞닿아 연장 형성되는 하단 보드 제1 구간;
    일단부가 상기 하단 보드 제1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단 보드 제2 구간;
    일단부가 상기 하단 보드 제2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하강하는 하단 보드 제3 구간;
    일단부가 상기 하단 보드 제3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과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단 보드 제4 구간; 및
    일단부가 상기 하단 보드 제4 구간의 타단부와 맞닿고,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단 보드 제5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보드 제5 구간 및 상기 하단 보드 제5 구간은 동일 선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4 구간과 상기 하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4 구간의 상호 마주보는 구간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5 구간과 상기 하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5 구간의 상호 마주보는 구간의 상기 거리는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29도 이상 3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 상기 상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5 구간의 경계지점은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 상기 하단 보드 제1 구간 내지 제5 구간의 경계지점은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보드 또는 상기 하단 보드는
    스킨층, 코어층 및 상기 스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KR1020170181362A 2017-12-27 2017-12-27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KR101997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362A KR101997368B1 (ko) 2017-12-27 2017-12-27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362A KR101997368B1 (ko) 2017-12-27 2017-12-27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368B1 true KR101997368B1 (ko) 2019-07-05

Family

ID=6722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362A KR101997368B1 (ko) 2017-12-27 2017-12-27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4212A1 (de) * 2021-04-06 2022-10-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lschaft Ladeboden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offerraum mit einer derartigen ladebodenanord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167A (ja) * 2007-03-30 2008-10-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荷室構造
JP2010120602A (ja) * 2008-11-21 2010-06-03 Daikyonishikawa Corp 樹脂パネル
JP2010188751A (ja) * 2009-02-16 2010-09-02 Howa Textile Industry Co Ltd 折り畳み型ボード及びこの折り畳み型ボードを備えた自動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167A (ja) * 2007-03-30 2008-10-16 Toyota Motor Corp 車両用荷室構造
JP2010120602A (ja) * 2008-11-21 2010-06-03 Daikyonishikawa Corp 樹脂パネル
JP2010188751A (ja) * 2009-02-16 2010-09-02 Howa Textile Industry Co Ltd 折り畳み型ボード及びこの折り畳み型ボードを備えた自動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4212A1 (de) * 2021-04-06 2022-10-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lschaft Ladeboden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offerraum mit einer derartigen ladebodenanordnung
GB2620883A (en) * 2021-04-06 2024-01-24 Porsche Ag Load flo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and boot comprising such a load floo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7463C (zh) 用于汽车的保险杠装置
JP4200204B2 (ja) 車輌の内部のための衝撃−吸収性ライニング要素
KR101997368B1 (ko) 빗면 형상으로 오버랩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JP6395841B2 (ja) 折り畳み式の貨物室フロアおよび車両リヤエンド構造
US62805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3-D deep-drawn article using a thermoplastic sandwich material
KR101106330B1 (ko) 자동차용 크래쉬 박스
US20040051344A1 (en) Hinge apparatus for vehicle floor systems
JP2017114115A (ja) 積層された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cfrp)ヌードルを用いた、cfrpストリンガーの終端の柔軟化
CA2904940A1 (en) Joined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1279308B2 (en) Crash pad including air-bag-door-opening part
JP2601712Y2 (ja) 車輌のトランクルーム内装材
KR101811727B1 (ko) 자동차용 트렁크 플로어
KR102371013B1 (ko) 운송 수단용 버블 시트의 제조 방법
US11511619B2 (en) Radiator side member and front structure of vehicle body provided with the same
CN105835670A (zh) 一种汽车、汽车背门内板及汽车背门雨刮加强板
EP3835089B1 (en) Pneumatic tire
CN203472466U (zh) 用于车辆中的开口的窗户
KR102620609B1 (ko) 자동차용 복합소재 러기지보드
US20150251699A1 (en) Under-floor frame system for vehicle
CN210174754U (zh) 一种手套箱与下护板间隙控制结构
CN214835599U (zh) 车门铰链加强结构、车门组件、车辆及车门的铰链加强件
TWI637867B (zh) 折疊式車用防汙墊結構
US9540048B2 (en) Panel with pattern block bead for car body
CN215056390U (zh) 一种汽车后门铰链加强板与防撞板连接结构
CN211494316U (zh) 料厚调整切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