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667B1 -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667B1
KR101996667B1 KR1020180036249A KR20180036249A KR101996667B1 KR 101996667 B1 KR101996667 B1 KR 101996667B1 KR 1020180036249 A KR1020180036249 A KR 1020180036249A KR 20180036249 A KR20180036249 A KR 20180036249A KR 101996667 B1 KR101996667 B1 KR 101996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wer plate
frame
ladde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순
Original Assignee
고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순 filed Critical 고인순
Priority to KR102018003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하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에 의해 상판이 연결되어 있는,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사다리차에 장착된 사다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의 상단면에 장착되며, 레일(121)이 장착되어 있는 레일 프레임(120);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판(131); 상기 하판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 및 타측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190);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의해 상기 하판과 연결되어 있는 상판(132); 일측이 상기 하판의 후방에서 상기 하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상판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상판의 후방과 상기 하판의 후방의 간격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133); 및 상기 하판(131)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하판에 장착된 상기 지지바(133)를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APPARATUS OF TRANSPORTING A CARGO BOX FOR LADDER TRUCK}
본 발명은 사다리차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적재함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삿짐이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로 이동될 때, 사다리차가 이용된다.
사다리차에는 고층 건물에 도달할 수 있는 사다리가 장착되며, 상기 사다리에는 적재함 이송장치가 배치된다.
상기 적재함 이송장치가 상기 사다리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이삿짐 또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적재물들이, 고층 건물로 이송되거나 고층 건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적재함 이송장치는 레일이 구비된 레일 프레임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적재물이 놓여지는 적재함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함 이송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층 건물에 걸쳐져 있는 사다리에 장착되어 이용된다.
상기 적재함 이송장치가 고층 건물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상기 적재함 이송장치의 상판에 실려진 적재물을 건물 내부로 배출하거나, 건물 내부에 있는 적재물을 상기 적재함 이송장치의 상판에 올려 놓는다.
이 경우, 상기 상판과 고층 건물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 공간으로 적재물이 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의 발이 빠지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적재함에 짐이 실릴 때, 적재함의 하판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적재함 중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본체의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적재함의 본체의 폭은 사다리의 폭에 따라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상기 적재함이 상기 사다리의 최하 위치로 하강할 때, 상기 본체의 높이가 낮아야 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의 길이 역시 크게 형성되기 어렵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부에 의해 상판이 연결되어 있는,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길이가 자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는,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사다리차에 장착된 사다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의 상단면에 장착되며, 레일(121)이 장착되어 있는 레일 프레임(120);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판(131); 상기 하판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 및 타측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190);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의해 상기 하판과 연결되어 있는 상판(132); 일측이 상기 하판의 후방에서 상기 하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상판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상판의 후방과 상기 하판의 후방의 간격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133); 및 상기 하판(131)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하판에 장착된 상기 지지바(133)를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사다리차에 장착된 사다리를 따라 이송되는 본체(500);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590);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상판(132); 및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상판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상판의 후방과 상기 하판의 후방의 간격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133)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500)는, 상기 체결부(590)가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사다리(200)의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바퀴(531)들; 상기 고정부(51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의 외곽에 구비된 보조 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바퀴(532)들; 상기 고정부(5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과 후방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520); 및 상기 이동부(52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3 바퀴(533)들을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사다리차에 장착된 사다리를 따라 이송되는 본체(500);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짐이 실리는 상판(132)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500)는, 상기 사다리에 장착되어 이동하는 고정부(510); 및 상기 고정부(5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과 후방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하판의 정면 방향으로 상판이 돌출되는 거리가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물과 상판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판과 건물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적재물 또는 사용자의 발이 빠지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다리가 지면으로부터 큰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사다리를 따라 이동하는 적재함 이송장치의 적재함이, 상기 적재함 이송장치의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재함이 레일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발생되는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짐이 실려진 상판을 지지하는 본체 또는 이송부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짐이 실려진 상판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제1 고정 프레임과 제1 이동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들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들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차에 장착된 사다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의 상단면에 장착되며, 레일(121)이 장착되어 있는 레일 프레임(120),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판(131), 상기 하판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 및 타측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190),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의해 상기 하판과 연결되어 있는 상판(132), 일측이 상기 하판의 후방에서 상기 하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상판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상판의 후방과 상기 하판의 후방의 간격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133) 및 상기 하판(131)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하판에 장착된 상기 지지바(133)를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상기 상판(132)에 장착되어 상기 상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기울기 정보에 따라, 상기 지지바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상기 레일 프레임(120)에 장착되는 지지부(140) 및 상기 하판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140)에 삽입되는 삽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판(131)의 전방은, 상기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가 사다리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사다리의 상단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하판의 후방은, 상기 사다리의 하단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하판(131)의 전방은, 상기 하판의 후방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상판(132)의 전방은 상기 하판(131)의 전방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상판의 후방은 상기 하판의 후방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적재함은, 상기 하판(131), 상기 상판(132),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바(133)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회전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레일(121)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적재함의 상단에는 적재물이 놓여진다. 상기 적재물은 이삿짐이 될 수도 있으며, 각종 공사 현상에서 사용되는 자재들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우선, 상기 이송부(110)는 상기 사다리(200)를 따라 이송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110)는 적어도 네 개의 바퀴(111)들을 포함한다. 상기 바퀴들은 상기 사다리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부(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또는 로프(이하, 간단히 승하강부라 함)(400)와 연결된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사다리차에 구비된 구동장치 또는 상기 구동부(16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를 따라 상기 이송부(110)는 상기 사다리(200)의 상단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사다리의 하단까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4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레일 프레임(120)은 상기 이송부(200)의 상단면에 장착된다. 상기 레일 프레임(120)의 상단면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레일(121)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판(131)은 상기 두 개의 레일(121)들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레일(121)들 위를 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일 프레임(120)의 전방 또는 상단면에는 상기 지지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하판(131)은 상기 레일(121)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하판(131)에는 상기 레일(121)에 체결되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50)는 상기 하판(131)의 상기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상판(132)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회전부(190)에 의해 상기 하판과 연결된다.
상기 상판(132)의 전방과 상기 하판(131)의 전방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회전부(19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상판(132)의 후방과 상기 하판(131)의 전방은, 상기 지지바(133)에 의해 연결된다.
다음, 상기 지지바(133)는 상기 상판의 후방과 상기 하판의 후방의 간격을 조정한다. 상기 지지바의 일측은 상기 하판의 후방에서 상기 하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상판의 후방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바(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후방의 좌우 양측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바(133)가 상기 하판(131)과 상기 상판(132)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33)의 길이는 상기 구동부(160)에 의해 조정되며, 상기 지지바(133)의 길이가 조정됨에 따라, 상기 하판(131)과 상기 상판(132)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33)의 길이가 조정됨에 따라, 상기 상판(132)이 지면에 나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다리(200)의 경사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바(133)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판(132)은 지면과 나란하게 상기 사다리(20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회전부(190)는 상기 상판(132)을 상기 하판의 전방으로 더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상판(132)은, 도 2에 도시된 상판(132)보다, 상기 하판(131)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부(19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판(132)은 상기 회전부(190)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하판의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이 건물의 외벽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과 건물의 외벽 또는 난간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판과 건물의 외벽 또는 난간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적재물 또는 사용자의 발이 빠지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회전부(190)는 상기 하판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190)의 일측 및 타측은 상기 회전부(19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다.
상기 회전부(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전방의 좌우 양측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회전부(190)가 상기 하판(131)과 상기 상판(132)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90)는, 일측에 상판 체결홀(196)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바 체결홀(19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 체결홀(196)과 상기 가이드바 체결홀(197) 사이에 하판 체결홀(19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 체결홀과 상기 가이드바 체결홀(197)이 상기 하판 체결홀(195)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 회전판(191), 상기 상판 체결홀(196)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132)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시키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 체결홀(195)에 삽입되어 상기 하판(131)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시키는 하판 체결부 및 상기 가이드바 체결홀(197)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바(19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판 체결홀(195)과 상기 상판 체결홀(196)의 사이 및, 상기 하판 체결홀(195)과 상기 가이드바 체결홀(197) 사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 체결부(193)가 체결되는 보조 하판 체결홀(198)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91)의 형태는 도 9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판 체결홀(196) 및 상기 가이드바 체결홀(197)은 상기 하판 체결홀(195)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40도 내지 170도 사이의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부(160)에 의해, 상기 지지바(133)가 상기 하판(131)의 상기 전방(도1에 도시된 C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190)가 회전하여, 상기 상판(132)이 상기 이송부(11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하판(131)의 전방의 우측에 장착된 상기 회전부(190)가 순차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판(132)이 상기 하판(13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회전부(190)가 도 3에 도시된 회전부보다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상판(132)이 도 3에 도시된 상판보다 상기 하판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 역시, 상기 하판(131)의 전방의 우측에 장착된 상기 회전부(190)가 순차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판(132)이 상기 하판(13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회전부(190)가 도 7에 도시된 회전부보다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상판(132)이 도 7에 도시된 상판보다 상기 하판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60)에 의해, 상기 지지바(133)가 상기 하판(131)의 상기 후방(도1에 도시된 C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190)가 회전하여, 상기 상판(132)이 상기 이송부(11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레일 프레임(120)의 전방에는 상기 회전부(190)의 타측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199)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에는 하나의 가이드(199)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레일 프레임(120)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레일 프레임(120)의 전방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회전부(190) 각각에 대응되는 가이드(199)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 프레임(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회전부(190)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199)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판(132)의 전방에는 상기 회전부(190)의 일측과 연결되는 상판 돌출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 돌출부(135)는 상기 상판 체결부에 의해 상기 회전판과 연결된다.
상기 하판(131)의 전방에는 상기 회전부(190)의 상기 중심부와 연결되는 하판 돌출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 돌출부(136)는 상기 하판 체결부에 의해 상기 회전판과 연결된다.
다음, 상기 감지부(180)는 상기 상판(132)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기울기 정보에 따라, 상기 지지바의 길이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지지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다면, 상기 상판은 상기 하판의 전방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상판의 기울어진 정도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상판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지지바의 길이를 줄여줌으로써, 상기 상판이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하판(131)을 상기 레일 프레임의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지지바(133)의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승하강부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판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지지바의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이송장치는, 상기 지지부(140) 및 상기 삽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레일 프레임(120)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50)는 상기 하판(131)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0)와 상기 삽입부(150) 각각은 '
Figure 112018031123935-pat00001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150)의 볼록한 끝단은 상기 지지부(140)의 개방된 면을 통해 상기 지지부(140)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부(150)가 상기 지지부(140)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삽입부(150)의 외부면은 상기 지지부(140)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즉,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지지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150)를 상기 레일(121) 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50)와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에서 설명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의 위치는 상기 회전부(19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레일 프레임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어떠한 위치에 놓여지더라도, 상기 삽입부(150)가 상기 지지부(1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레일 프레임(120)의 전방과 후방으로 전후진 하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1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이, 도 1의 A 및 B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상기 지지부(140)가 상기 삽입부(150)를 지면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은 A 및 B 방향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서는, 상기 적재함(130)의 상기 하판(131)이 상기 레일 프레임(120)의 레일(121)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120)이 장착된 이송부(110)가 사다리(200)를 따라 이동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서는, 상기 하판(131)과 상기 레일 프레임(120)과 상기 이송부(1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판(131), 상기 레일 프레임(120) 및 상기 이송부(110)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간단히 본체(131)라 한다. 이하의 설명 중, 상기 하판(131), 상기 레일 프레임(120) 및 상기 이송부(110) 외에, 상기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제1 고정 프레임과 제1 이동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들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재함에 짐이 실릴 때, 적재함의 하판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적재함 중 상판을 지지하는 본체의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적재함의 본체의 폭은 사다리의 폭에 따라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상기 적재함이 상기 사다리의 최하 위치로 하강할 때, 상기 본체의 높이가 낮아야 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의 길이 역시 크게 형성되기 어렵다. 즉, 종래의 상판을 지지하는 본체의 면적은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판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짐이 실려진 상판이 승강할 때,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본체의 길이가 자동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넓은 면적의 본체가 짐이 실려져 있는 상판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판의 어느 한 측에 무게가 많이 실리는 경우에도 안전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짐이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차에 장착된 사다리를 따라 이송되는 본체(500),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590),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상판(132) 및 일측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상판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상판의 후방과 상기 하판의 후방의 간격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133)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체결부(590)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590)의 기능은, 상기 회전부(190)의 기능과 유사하다. 즉, 상기 체결부(590)는 상기 상판(132)과 상기 본체(500)를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590)는 상기 상판(132)과 상기 본체(500)의 연결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상판(132)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판(132)의 구조 및 기능과 유사하다.
다만,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상판(132)은 상기 사다리(200)를 따라 직접 이동하는 상기 본체(500)에 장착되어 있으나,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상기 상판(132)은 상기 하판(131)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판(131)이 상기 레일 프레임(12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레일 프레임(120)이 상기 이송부(110)에 장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다음, 상기 지지바(133)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지지바(133)의 구조 및 기능과 유사하다.
다만,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지지바(133)는 상기 상판(132)과 상기 본체(500)의 후방의 간격을 조정하고 있으나,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지지바(133)는 상기 상판(132)과 상기 하판(131)의 후방의 간격을 조정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500)는 사다리차에 장착된 사다리(200)를 따라 이송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50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하판(131), 상기 레일 프레임(120) 및 상기 이송부(110)가 결합된 구성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본체(500)는,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590)가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사다리(200)의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바퀴(531)들, 상기 고정부(51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의 외곽에 구비된 보조 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바퀴(532)들, 상기 고정부(5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과 후방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520) 및 상기 이동부(52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3 바퀴(533)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500)를 구성하는 상기 구성요소들 및 상기 사다리(200)의 특징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첫째, 상기 사다리(200)는 메인 레일(210)과 보조 레일(220)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레일(220)에는 돌출 레일(2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 레일(210)은, 상기 사다리(200)의 우측에 구비된 메인 우측 레일(211) 및 상기 사다리(200)의 좌측에 구비된 메인 좌측 레일(212)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레일(220)은, 상기 메인 우측 레일(211)의 우측 외곽에 구비된 보조 우측 레일(221) 및 상기 메인 좌측 레일(212)의 좌측 외곽에 구비된 보조 좌측 레일(222)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 레일(230)은 상기 보조 레일(220)의 최하단 부분의 좌우 양측의 상단면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
특히, 상기 돌출 레일(230)은, 상기 보조 우측 레일(221) 및 상기 보조 좌측 레일(222) 각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돌출 레일(230)들 각각의 전방은 상기 보조 레일(220), 즉, 상기 보조우측 레일(221) 및 상기 보조 좌측 레일(222)의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메인 레일(210)의 최하단에는, 상기 제3 바퀴(533)들을 정지시키는 정지부(240)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메인 우측 레일(211) 및 상기 메인 좌측 레일(212)의 최하단 각각에는, 상기 제3 바퀴(533)들을 정지시키는 정지부(240)가 장착되어 있다.
둘째, 상기 제1 바퀴(531)들은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사다리(200)의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한다.
특히, 상기 제1 바퀴(531)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전방에 각각 장착된다.
셋째, 상기 제2 바퀴(532)들은 상기 고정부(51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의 외곽에 구비된 보조 레일(220)을 따라 이동한다.
특히, 상기 제2 바퀴(53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3 고정 프레임(513)의 좌우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넷째, 상기 제3 바퀴(533)들은 상기 이동부(52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한다.
특히, 상기 제3 바퀴(533)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3 이동 프레임(523)의 좌우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다섯째, 상기 고정부(510)에는 상기 체결부(590)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상판(132)과 상기 고정부(510)는 상기 체결부(59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5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레일(210)을 구성하는 메인 우측 레일(211)에 인접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제1 고정 프레임(511), 상기 메인 레일(210)을 구성하는 메인 좌측 레일(212)에 인접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제2 고정 프레임(512),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후방을 연결하는 제3 고정 프레임(513) 및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전방을 연결하는 제4 고정 프레임(514)을 포함한다.
우선,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의 전방에는 상기 제1 바퀴(5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바퀴(531)는 상기 메인 우측 레일(211)을 따라 이동한다.
다음,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전방에는 상기 제1 바퀴(5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전방에 장착된 상기 제1 바퀴(531)는 상기 메인 좌측 레일(212)을 따라 이동한다.
다음, 상기 제3 고정 프레임(513)의 좌우측 각각에는 상기 제2 바퀴(532)가 장착되며, 상기 제2 바퀴(532)들은 상기 메인 우측 레일(211) 및 상기 메인 좌측 레일(212)의 외곽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보조 우측 레일(221) 및 상기 보조 좌측 레일(222)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제3 고정 프레임(513)은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의 후방의 외부 상단면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후방의 외부 상단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우측 레일(221) 및 상기 보조 좌측 레일(222)이 상기 메인 우측 레일(211) 및 상기 메인 좌측 레일(212)의 외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3 고정 프레임(513)의 길이는,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 간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6 및 도 17에는 설명의 편의 및 표현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2 바퀴(532)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퀴(532)는 상기 제3 고정 프레임(513)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다리(200)의 저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보조 우측 레일(221) 및 상기 보조 좌측 레일(222)이 상기 메인 우측 레일(211) 및 상기 메인 좌측 레일(212)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바퀴(532)의 끝단은, 상기 메인 우측 레일(211) 및 상기 메인 좌측 레일(212)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서 상기 제2 바퀴(532)는 상기 보조 우측 레일(221)의 표면과 이격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4 고정 프레임(514)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전방이 연결된다.
여섯째, 상기 이동부(520)는 상기 고정부(5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과 후방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520)는,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이동 프레임(521),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이동 프레임(522) 및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과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후방을 연결하며, 상기 제3 고정 프레임(513)을 지지하는 제3 이동 프레임(523)을 포함한다.
우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3 이동 프레임(523)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3 이동 프레임(523)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제3 이동 프레임(523)의 좌우측 각각에는 상기 제3 바퀴(533)가 장착되며, 상기 제3 바퀴(533)들은 상기 메인 우측 레일(211) 및 상기 메인 좌측 레일(212)을 따라 이동한다.
다음,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의 후방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 각각의 후방에는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내부 측면들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의 외부 측면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540)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의 내부 측면들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의 외부 측면들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이동 프레임(521) 간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내부 측면들과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의 외부 측면들 역시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과 상기 이동 프레임(522) 간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내부 측면들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540)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부(540)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의 후방의 외곽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후방의 외곽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은 두 개의 상기 이격부(540)들 사이를 벗어날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내부 측면들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이격부(540)들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의 후방의 내측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후방의 내측, 즉,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이 마주하고 있는 방향에 장착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구동부(16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500)를 상기 사다리(200)를 따라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133)의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및 17을 참조하여,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제1 이동 프레임(521)의 연결 관계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과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의 연결 관계가 설명된다.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 각각의 후방의 내부 상단면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패드(516)가 장착되고,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 각각의 후방의 내부 하단면에는 제2 고정 패드(517)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 각각의 전방의 외부 하단면에는 이동 패드(526)가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패드(526)가 상기 제2 고정 패드(51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후방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의 구동 방법이 설명된다.
우선, 상기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200)의 최하단에 배치된 경우, 상기 고정부(510)를 구성하는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제2 고정 프레임(512)의 후방 끝단과 상기 제3 고정 프레임(513)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이동 프레임(523)에 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바퀴(531)들 및 상기 제3 바퀴(533)들은 상기 제1 메인 우측 레일(221) 및 상기 제2 메인 좌측 레일(222)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바퀴(532)들은, 상기 제1 보조 우측 레일(221) 및 상기 제2 보조 좌측 레일(222) 각각에 장착된 상기 돌출 레일(230)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퀴(532)들이, 상기 제1 보조 우측 레일(221) 및 상기 제2 보조 좌측 레일(222) 각각에 장착된 상기 돌출 레일(230)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기때문에,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의 후방은 상기 메인 레일(2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높은 위치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패드(516) 역시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함께 상승하며, 따라서, 상기 제1 고정 패드(516)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사이에는 일정한 이격 거리(X)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 거리(X)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패드(516)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간의 마찰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510)가 상기 사다리(200)를 따라 상승하면, 즉, 도 1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과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이 서로 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 만이 상승하며, 상기 이동부(52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 및 상기 제3 이동 프레임(523)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부(51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이 지속적으로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바퀴(532) 역시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바퀴(532)가 상기 돌출 레일(230)을 벗어나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한다.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면, 상기 제1 고정 패드(516)도 하강하여,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의 상단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한 후, 지속적으로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어는 순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2 고정 패드(517)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 각각에 구비된 상기 이동 패드(526)와 밀착된다.
상기 제2 고정 패드(517)는 지속적으로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으며, 따라서, 상기 제2 고정 패드(517)에 의해 상기 이동 패드(526) 역시,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패드(526)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 역시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국, 상기 이동부(520)는 상기 고정부(510)와 함께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 패드(516)들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상태, 즉, 짐이 실려진 상기 상판(132)이 상기 사다리(200)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상기 본체(500)의 길이는, 도 16에 도시된 상태, 즉, 상기 상판(132)이 상기 사다리(200)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본체(500)의 길이보다 더 길다.
즉, 짐이 실린 상기 상판(132)이 상기 사다리(200)를 따라 상승하는 동안, 상기 본체(500)의 길이가 더 늘어났기 때문에, 상기 본체(500)의 면적은 더 늘어나게 된다.
상기 본체(500)의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본체(500)는 보다 더 안정적으로 상기 상판(132)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500)의 길이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프레임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프레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 관통홀과 상기 이동 프레임 관통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521)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522) 각각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511) 및 상기 제2 고정 프레임(512) 내부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500)의 길이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본체(5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부(110)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상판(132)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상기 이송부(110), 상기 레일 프레임(120) 및 상기 하판(1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110)는, 상기 레일 프레임(120)이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사다리(200)의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바퀴(531)들, 상기 고정부(51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의 외곽에 구비된 보조 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바퀴(532)들, 상기 고정부(5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과 후방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520) 및 상기 이동부(52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3 바퀴(53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이송부(110)가,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본체(500)의 기능을 수행하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에서도 상기 상판(132)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이송부 120: 레일 프레임
130: 적재함 140: 지지부
150: 삽입부 160: 구동부
200: 사다리 300: 사다리차
190: 회전부 180: 감지부
500: 본체 510: 고정부
520: 이동부 210: 메인 레일
220: 보조 레일 230: 돌출 레일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다리차에 장착된 사다리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의 상단면에 장착되며, 레일(121)이 장착되어 있는 레일 프레임(120);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판(131);
    상기 하판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 및 타측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190);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의해 상기 하판과 연결되어 있는 상판(132);
    일측이 상기 하판의 후방에서 상기 하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상판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상판의 후방과 상기 하판의 후방의 간격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133); 및
    상기 하판(131)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하판에 장착된 상기 지지바(133)를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110)는,
    상기 레일 프레임(120)이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사다리(200)의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바퀴(531)들;
    상기 고정부(51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의 외곽에 구비된 보조 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바퀴(532)들;
    상기 고정부(5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510)의 전방과 후방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520); 및
    상기 이동부(520)의 후방의 양측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메인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제3 바퀴(533)들을 포함하는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36249A 2018-03-29 2018-03-29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KR10199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49A KR101996667B1 (ko) 2018-03-29 2018-03-29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49A KR101996667B1 (ko) 2018-03-29 2018-03-29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667B1 true KR101996667B1 (ko) 2019-07-04

Family

ID=6725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49A KR101996667B1 (ko) 2018-03-29 2018-03-29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71A (ko) * 2019-07-01 2021-01-11 조이행 보조바퀴를 구비한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89Y1 (ko) * 1996-01-30 1998-10-15 김대봉 고층건물의 짐운반용 적재카
KR0134263Y1 (ko) * 1995-07-22 1999-02-18 조병호 짐 운반용 사다리차
KR20130005905U (ko) * 2012-03-30 2013-10-10 고인순 사다리차 운반대
KR20170113897A (ko) * 2016-03-29 2017-10-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 운반카의 각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263Y1 (ko) * 1995-07-22 1999-02-18 조병호 짐 운반용 사다리차
KR0126389Y1 (ko) * 1996-01-30 1998-10-15 김대봉 고층건물의 짐운반용 적재카
KR20130005905U (ko) * 2012-03-30 2013-10-10 고인순 사다리차 운반대
KR20170113897A (ko) * 2016-03-29 2017-10-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 운반카의 각도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71A (ko) * 2019-07-01 2021-01-11 조이행 보조바퀴를 구비한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KR102322278B1 (ko) * 2019-07-01 2021-11-05 조이행 보조바퀴를 구비한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8052B2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方法
JPH0524607U (ja) 先入先出物品保管棚装置
CN104487367A (zh) 独立卸货分选输送机
US6745422B1 (en) Container ramp
KR20160026240A (ko) 수직반송기
KR101996667B1 (ko)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JPS6249955A (ja) 少なくとも1台のクラツシヤ−のための装入装置
JP2007045287A (ja) 搬送用台車及びこれを用いた搬送システム
CN213140343U (zh) 一种载货台及高速料箱提升机
KR101404796B1 (ko) 무인운반차
US3228542A (en) Apparatus for the conveyance of standard size objects
US3704773A (en) Airport check-in counter with baggage receiving and handling facility
EP0300619A2 (en) Transferring device for conveyors
JP2001310811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2007076756A (ja) 搬送装置
WO1992012025A1 (en) Vehicle, and method for loading/unloading such vehicle
JP6587876B2 (ja) 荷役装置
KR20190007349A (ko) 사다리차용 적재함 이송장치
JP2007112549A (ja) 無動力降下搬送装置
JP2864350B2 (ja) 荷の間欠送り装置
JPH0348089B2 (ko)
CN214740027U (zh) 一种建筑施工用卸料平台
CN114291585B (zh) 一种适用于货运列车的站台全向搬运装卸系统及方法
CN218561019U (zh) 叉车
JPH04153125A (ja) ベルトシュータ式積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