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204B1 -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204B1
KR101996204B1 KR1020190006448A KR20190006448A KR101996204B1 KR 101996204 B1 KR101996204 B1 KR 101996204B1 KR 1020190006448 A KR1020190006448 A KR 1020190006448A KR 20190006448 A KR20190006448 A KR 20190006448A KR 101996204 B1 KR101996204 B1 KR 101996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eps
fixing
fixed
ep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종
이혜근
최형돈
Original Assignee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102019000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산수정원은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복수의 EPS(스티로폼) 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골격체; 상기 골격체를 구성하는 EPS 블록과 EPS 블록의 사이와 외곽에 장착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끝단과 EPS 블록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외곽에 위치하는 골격체의 EPS 블록과 배수관 및 고정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꾸밈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은 복수의 EPS(스티로폼)으로 구성되는 골격체의 수직과 수평방향 및 외곽으로 배수관을 장착하여 수목, 토양, 식물에 필요한 배수성과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관을 통해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의 흐름을 하부로 유도하여 집수 및 배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Mountain garden and its formation method}
본 발명은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자연 속에서 자연을 감상하면서 정서적 안정을 얻기를 갈망하여, 빌딩, 가옥, 아파트 단지 등의 일정 공간 내에 유명 명산이나 풍경을 도입한 자연축경식 산수정원을 만들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904044호는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1)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자연 재현장치(1)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지(10)에 합성수지 판넬로 이루어진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 위에 스티로폼이나 합성수지 발포폼 블록을 산 모양의 골격으로 만든 골격체(30) 상기 골격체(30) 상에는 덮여지는 메쉬(40), 및 메쉬(40) 위에 배치되는 토양층(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토양층(50)에는 표층식물(60), 나무(72), 자연석(74) 등의 치장물(70)이 배치된다. 이때 나무(72)나 자연석(74) 등은 홈을 만든 후에 심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1)는 메쉬(40)를 이용하여 토양층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있지만, 비바람과 같은 악천후에 의한 토양의 흘러내림을 충분히 방지하기 어렵고, 충분한 깊이의 토양층을 제공하기 힘들다.
또한, 종래의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1)는 골격체(30) 상의 토양층의 깊이를 깊게 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나무와 같은 식물(72)은 생존하기가 어려운 환경이고, 토양층이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어 물을 자주 보충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큰 나무(72)나 자연석(74)은 특정 위치, 홈이 형성된 수평면에만 심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연을 그대로 재현하는데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1269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665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EPS(스티로폼)으로 구성되는 골격체의 수직과 수평방향 및 외곽으로 배수관을 장착하여 수목, 토양, 식물에 필요한 배수성과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 브라켓과 투수 마개 및 고정 앙카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배수관과 복수의 EPS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수정원은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복수의 EPS(스티로폼) 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골격체; 상기 골격체를 구성하는 EPS 블록과 EPS 블록의 사이와 외곽에 장착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끝단과 EPS 블록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외곽에 위치하는 골격체의 EPS 블록과 배수관 및 고정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꾸밈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EPS 블록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서리 부분은 배수관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수관에 하부 고정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하부 고정돌기의 상부 끝단에는 방사형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수평 연결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끼움 장착되고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투수공이 형성된 마개 헤드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투수 마개; 및 알파벳 " J " 자 형상으로 수직부는 상기 EPS 블록에 끼움결합되고 곡면부는 고정 브라켓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앙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수 마개의 외면에는 부직포가 감싸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꾸밈재는 돌, 식물섬유망, 수목, 지피, 관목류를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수정원의 외곽으로 암석과 상기 암석을 고정하는 돌망태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망태는 암석과 밀착 또는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돌망태와 암석은 연결수단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암석에 일 단이 고정되는 고정 철근; 중공 형상의 두 개의 결합부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 철근의 타 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나사 결합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되는 볼트 결합구; 상기 볼트 결합구에 일 단이 고정되는 연결 철근; 및 상기 돌망태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 형상으로 두 개의 돌망태 결합부재로 분리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 철근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나사 결합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되며, 일 측 끝단에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돌망태 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산수정원의 조성방법은 바닥을 조성한 후 배수판을 설치하는 배수판 설치단계;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복수의 EPS(스티로폼) 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EPS 블록 사이와 외곽에는 배수관을 장착하는 본체 및 배수관 장착단계; 상기 배수관의 끝단과 EPS 블록을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하는 고정단계; 및 외곽에 위치하는 본체와 배수관 및 고정수단의 상부에 돌, 식물섬유망으로 구성되는 꾸밈재를 통해 꾸밈재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꾸밈재 설치단계 이후로 상기 꾸밈재의 상부에 마사토와 경량토를 포설한 후 돌, 수목, 지피, 관목류로 구성되는 꾸밈재를 외관을 형성하는 추가 꾸밈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 꾸밈재 설치단계에서 수목, 관목류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경량토가 집중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은 복수의 EPS(스티로폼)으로 구성되는 골격체의 수직과 수평방향 및 외곽으로 배수관을 장착하여 수목, 토양, 식물에 필요한 배수성과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관을 통해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의 흐름을 하부로 유도하여 집수 및 배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은 고정 브라켓과 투수 마개 및 고정 앙카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배수관과 복수의 EPS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및 수리시 해당되는 부분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나타낸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한 골격체와 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하는 배수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하는 돌망태와 연결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연결수단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의 조성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차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나타낸 일 실시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한 골격체와 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하는 배수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수정원을 구성하는 돌망태와 연결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연결수단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산수정원(100)은 배수판(200), 골격체(300), 배수관(400), 고정수단(500), 꾸밈재(6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판(200)은 산수정원(100)이 설치되는 바닥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200)의 크기는 산수정원(100)의 크기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배수판(200)은 산수정원(100)을 형성하고자 하는 바닥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골격체(300)의 하부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 전달되는 물 등을 바닥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키게 된다.
상기 골격체(300)는 배수판(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골격체(300)는 배수판(200)의 상부에 복수의 EPS(스티로폼) 블록(320)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설계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EPS 블록(32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EPS 블록(320)은 원활한 설치를 위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골격체(3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EPS 블록(320)을 설계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하여 산수정원(100)의 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EPS 블록(320)은 모서리 부분(340)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EPS 블록(320)의 보관 및 운반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관(400)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수관(400)은 골격체(300)를 구성하는 EPS 블록(320)과 EPS 블록(320)의 사이와 외곽에 위치한 EPS 블록(320)의 외부에 장착된다.
즉, 상기 배수관(400)은 골격체(300)를 구성하는 EPS 블록(320)과 EPS 블록(320)의 사이에 수직 및 수평으로 장착되고, 아니라 외곽에 선택적으로 장착됨으로써 원활하게 배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수설비의 설치시 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관(400)은 EPS 블록(320)과 EPS 블록(320)이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340)과 모서리 부분(340)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장착되어, 상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펌프 등의 구동수단을 통해 상부로 물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400)의 지름과 길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400)의 외면에는 동파 방지 및 EPS 블록(320)과 EPS 블록(3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부직포(42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배수관(400)과 EPS 블록(320)을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500)은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400)과 상기 배수관(400)의 주변에 위치한 EPS 블록(320)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500)은 배수관(400)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510), 상기 고정 브라켓(510)에 끼움 결합되는 투수 마개(520), 상기 고정 브라켓(510)을 EPS 블록(320)에 고정하는 고정 앙카(5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500)을 구성하는 고정 앙카(530)는 배수관(400)의 설치위치와 환경 등에 따라 제외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고정 브라켓(510)은 중공형상으로 상기 배수관(400)의 끝단에 하부 고정돌기(512)가 삽입되고, 상기 하부 고정돌기(512)의 상부 끝단에는 방사형으로 결합공(516)이 형성된 판재 형상의 수평 연결부(5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브라켓(510)은 중공형상의 하부 고정돌기(512)의 끝단에 방사형으로 결합공(516)이 형성된 수평 연결부(514)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하부 고정돌기(512)를 배수관(400)에 끼움 고정하게 된다.
상기 투수 마개(520)는 중공 형상으로 고정 브라켓(520)에 끼움 장착되고,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투수공(524)이 형성된 마개 헤드부(5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투수 마개(520)는 고정 브라켓(520)에 끼움 결합되면서 마개 헤드부(522)의 투수공(520)을 통해 물의 유입시 배수관(400)에 원활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수 마개(520)의 외면에는 부직포(540)가 감싸지는데, 이는 물을 제외한 토사 등의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 앙카(530)는 알파벳 " J "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앙카(530)는 수직부(532)가 상기 EPS 블록(320)에 끼움결합되고, 곡면부(534)는 고정 브라켓(510)의 결합공(516)에 끼움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 앙카(530)는 수직부(532)에 EPS 블록(320)의 블록 장착홈(340)에 끼움 결합되고, 곡면부(534)는 배수관(400)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510)의 결합공(516)에 각각 결합된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고정 앙카(530)는 배수관(400)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510)을 원주 방향으로 따라 적어도 두 곳 이상 고정하게 된다.
상기 꾸밈재(600)는 외곽에 위치한 골격체(300)의 EPS 블록(320)과 배수관(400) 및 고정수단(5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꾸밈재(600)는 돌, 식물섬유망, 수목, 지피, 관목류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꾸밈재(600)는 골격체(300)의 외부와 배수관(400) 및 고정수단(500)의 상부에 돌, 식물섬유망, 수목, 지피, 관목류 등을 설치하여 자연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7 및 8은 산수정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산수정원(100)은 외곽으로 암석과 돌망태(700)가 더 포함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산수정원(100)은 외곽으로 미관의 향상 위해 연속 또는 간격을 두고 암석을 장착하고 골격체(300)에 EPS 블록(320)을 대신하여 돌망태(70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암석과 돌망태(700)는 연결수단(800)을 통해 고정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800)은 고정 철근(810), 볼트 결합구(820), 연결 철근(830), 돌망태 결합구(8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철근(810)은 소정의 지름 및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철근(810)은 공지된 철근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석에 일 단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볼트 결합구(820)는 중공 형상으로 두 개의 결합부재(821)를 분리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 철근(810)의 타 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822)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나사 결합구(85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선(8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볼트 결합구(820)는 고정 철근(810)의 타 단과 연결 철근(830)의 일 단의 연결 부분에 결합부재(821)를 배치한 후 상기 나선(823)을 따라 결합되는 나사 결합구(850)를 통해 고정 철근(810)과 연결 철근(83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연결 철근(830)은 소정의 지름 및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철근(830)은 공지된 철근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상기 볼트 결합구(820)에 일 단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돌망태 결합구(840)는 돌망태(7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 형상으로 두 개의 돌망태 결합부재(841)로 분리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 철근(830)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842)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나사 결합구(85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선(843)이 형성되며, 일 측 끝단에는 지지판(84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돌망태 결합구(840)는 연결 철근(830)의 타 단에 돌망태 결합부재(841)를 배치한 후 상기 나선(843)을 따라 결합되는 나사 결합구(850)를 통해 연결 철근(830)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망태 결합구(840)는 지지판(844)이 돌망태(700)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기 나사 결합구(850)를 통해 연결 철근(830)과 돌망태(700)를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산수정원의 조성방법은 배수판 설치단계(S110), 골격체 및 배수관 장착단계(S120), 고정단계(S130), 꾸밈재 설치단계(S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수정원(100)을 구성하는 배수판(200), 골격체(300), 배수관(400), 고정수단(500), 꾸밈재(600)는 상기와 동일하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바닥을 조성한 후 산수정원(100)을 형성하고자 하는 바닥의 상부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배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배수판(2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200)의 상부로 사각형 형상으로 모서리 부분(340)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EPS 블록(320)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산수정원(100)의 골격체(3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골격체(300)를 구성하는 EPS 블록(320)과 EPS 블록(320)의 사이와 외곽에는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며 외면에 부직포(420)가 장착되는 배수관(400)를 선택적으로 장착한다.
다음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400)과 상기 배수관(400)의 주변에 위치한 EPS 블록(320)에 고정수단(500)을 각각 장착한다.
즉, 상기 배수관(400)에 중공형상으로 상기 배수관(400)의 끝단에 하부 고정돌기(512)가 삽입되고, 상기 하부 고정돌기(512)의 상부 끝단에는 방사형으로 결합공(516)이 형성된 판재 형상의 수평 연결부(514)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510)을 장착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520)에 중공 형상으로 고정 브라켓(520)에 끼움 장착되고,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투수공(524)이 형성된 마개 헤드부(522)가 형성되는 투수 마개(520)를 장착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520)과 EPS 블록(320)에는 수직부(532)가 상기 EPS 블록(320)에 끼움결합되고, 곡면부(534)는 고정 브라켓(510)의 결합공(516)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앙카(53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투수 마개(520)의 외면에는 물을 제외한 토사 등의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부직포(540)를 장착한다.
그리고 외곽에 위치한 골격체(300)의 EPS 블록(320)과 배수관(400) 및 고정수단(500)의 상부에 돌, 식물섬유망 등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꾸밈재(600)를 장착하면, 산수정원의 조성은 일차적으로 완료된다.
이후, 상기 꾸밈재(600)의 상부로 추가적인 꾸밈재(600)를 이용하여 자연환경을 조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사토, 경량토를 포설(S150)한 후 돌, 식물섬유망, 수목, 지피, 관목류 등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꾸밈재(600)를 추가로 설치하면 된다.(S16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산수정원 200 : 배수판
300 : 골격체 320 : EPS 블록
340 : 모서리 부분 400 : 배수관
420 : 부직포 500 : 고정수단
510 : 고정 브라켓 512 : 하부 고정돌기
514 : 수평 연결부 516 : 결합공
520 : 투수 마개 522 : 마개 헤드부
524 : 투수공 530 : 고정 앙카
532 : 수직부 534 : 곡면부
540 : 부직포 600 : 꾸밈재
700 : 돌망태 800 : 연결수단
810 : 고정 철근 820 : 볼트 결합구
821 : 결합부재 822 : 결합공
823 : 나선 830 : 연결 철근
840 : 돌망태 결합구 841 : 돌망태 결합부재
842 : 결합공 843 : 나선
844 : 지지판 850 : 나사 결합구

Claims (10)

  1.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복수의 EPS(스티로폼) 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골격체;
    상기 골격체를 구성하는 EPS 블록과 EPS 블록의 사이와 외곽에 장착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끝단과 EPS 블록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외곽에 위치하는 골격체의 EPS 블록과 배수관 및 고정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꾸밈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수관에 하부 고정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하부 고정돌기의 상부 끝단에는 방사형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수평 연결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끼움 장착되고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투수공이 형성된 마개 헤드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투수 마개; 및
    알파벳 " J " 자 형상으로 수직부는 상기 EPS 블록에 끼움결합되고 곡면부는 고정 브라켓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 앙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정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PS 블록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서리 부분은 배수관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정원.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수 마개의 외면에는 부직포가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정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꾸밈재는 돌, 식물섬유망, 수목, 지피, 관목류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정원.
  6. 청구항 1에
    상기 산수정원의 외곽으로 암석과 상기 암석을 고정하는 돌망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정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는 암석과 밀착 또는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돌망태와 암석은 연결수단을 통해 고정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암석에 일 단이 고정되는 고정 철근;
    중공 형상의 두 개의 결합부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고정 철근의 타 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나사 결합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되는 볼트 결합구;
    상기 볼트 결합구에 일 단이 고정되는 연결 철근; 및
    상기 돌망태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 형상으로 두 개의 돌망태 결합부재로 분리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 철근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나사 결합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되며, 일 측 끝단에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돌망태 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수정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06448A 2019-01-17 2019-01-17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 KR10199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448A KR101996204B1 (ko) 2019-01-17 2019-01-17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448A KR101996204B1 (ko) 2019-01-17 2019-01-17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204B1 true KR101996204B1 (ko) 2019-07-03

Family

ID=6725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448A KR101996204B1 (ko) 2019-01-17 2019-01-17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2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960A (ko) 2019-12-19 2021-06-2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눔형 공동체 정원 조성방법
KR20210078959A (ko) 2019-12-19 2021-06-2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익형 공동체 정원 조성방법
CN113833318A (zh) * 2021-09-26 2021-12-24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塑石假山的保温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735A (ko) * 2002-12-03 2003-02-11 (주)성신엔지니어링 섬유토양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용기와 인공정원
KR20090075476A (ko) * 2008-01-04 2009-07-08 (주)유일산업개발 사면녹화공법
KR20090126906A (ko) 2008-06-05 2009-12-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백화 현상과 구조를 개선한 강화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인공폭포
KR20110066566A (ko) 2009-12-11 2011-06-17 박정혁 인공 조경 시스템
KR101413255B1 (ko) * 2013-10-01 2014-06-27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413797B1 (ko) * 2013-11-05 2014-07-01 주식회사 에코피아 인공가산축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15514B1 (ko) * 2015-10-08 2017-03-22 임찬영 자연 축경식 명산 구조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735A (ko) * 2002-12-03 2003-02-11 (주)성신엔지니어링 섬유토양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용기와 인공정원
KR20090075476A (ko) * 2008-01-04 2009-07-08 (주)유일산업개발 사면녹화공법
KR20090126906A (ko) 2008-06-05 2009-12-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백화 현상과 구조를 개선한 강화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인공폭포
KR20110066566A (ko) 2009-12-11 2011-06-17 박정혁 인공 조경 시스템
KR101413255B1 (ko) * 2013-10-01 2014-06-27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413797B1 (ko) * 2013-11-05 2014-07-01 주식회사 에코피아 인공가산축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15514B1 (ko) * 2015-10-08 2017-03-22 임찬영 자연 축경식 명산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960A (ko) 2019-12-19 2021-06-2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눔형 공동체 정원 조성방법
KR20210078959A (ko) 2019-12-19 2021-06-2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익형 공동체 정원 조성방법
CN113833318A (zh) * 2021-09-26 2021-12-24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塑石假山的保温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204B1 (ko) 산수정원 및 그 조성방법
KR101275615B1 (ko)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FR2872381A1 (fr) Structure pour mur vegetalise
KR19990083047A (ko) 식물 재배 매트
KR101035461B1 (ko)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KR100904044B1 (ko)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05021681A1 (en) Construc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respect of water source and earth
KR100535743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조립식 조경수 버팀대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KR102317257B1 (ko) 동굴이 있는 인공산
KR200432495Y1 (ko) 식물식재형 울타리
KR100476122B1 (ko)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JP4275681B2 (ja) Alc自立塀
KR101042573B1 (ko)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JP3792009B2 (ja) 土壌流出防止システムおよび土壌流出防止方法
JP2005160381A (ja) 壁面緑化装置
JP5689263B2 (ja) 建築物の壁面緑化構築体
JP2008048645A (ja) コケ緑化用コンクリート体及びコンクリート体のコケ緑化構造
KR200420151Y1 (ko) 조경용 주택 울타리
JPH11152785A (ja) 保水構造を有する浸透施設
KR200376910Y1 (ko) 식생반이 부설된 방음벽
JP2012120462A (ja) 緑化地盤ユニット
KR101844804B1 (ko) 식생 경관석 제조방법
JP4767116B2 (ja)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