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495Y1 - 식물식재형 울타리 - Google Patents

식물식재형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495Y1
KR200432495Y1 KR2020060013940U KR20060013940U KR200432495Y1 KR 200432495 Y1 KR200432495 Y1 KR 200432495Y1 KR 2020060013940 U KR2020060013940 U KR 2020060013940U KR 20060013940 U KR20060013940 U KR 20060013940U KR 200432495 Y1 KR200432495 Y1 KR 200432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planting
fence
plate
type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김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현 filed Critical 김지현
Priority to KR2020060013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4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Fenc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식재형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성토 층을 적층 할 수 있는 공간을 울타리의 구성체로 만들어서, 그 구성부분에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울타리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비용 없이 식물을 울타리와 같이 식재하여 친환경적인 주변을 꾸밀 수 있는 식물식재형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울타리에 설치된 식물식재공간에 성토층이 있어 식물이 식재되어 자랄 수 있도록 하고, 물을 주었을 때, 물이 빠져나갈 배수로까지 형성되어 있어서, 울타리를 설치한 장소에 울타리의 주기능인 경계선 기능과 보호울타리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을 같이 식재하여 키울 수 있는 친환경적인 공간을 이룰 수 있어 녹화형 경관시설물용 울타리를 형성할 수 있다.
울타리, 휀스, 식물식재형 휀스, 식물식재형 울타리, 식물식생 휀스, 식물식생 울타리

Description

식물식재형 울타리{ a plant planting fence }
도 1 은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사시도.
도 2 는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조립 사시도.
도 3 은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수직판 조립디테일도.
도 4 는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식물식재 단면도.
도 5 는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양면형으로 사용상태도.
도 6 은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다양한 디자인 변형 사시도.
도 7 은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사용 사시도.
도 8 은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일반울타리와 혼합 사용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 : 지주(기둥 포스트)
20 : 지주 캡
30 : 수직판(목재나 철재재질외 프라스틱 제품)
40 : 수직판 고정대
50 : 고정볼트
60 : 전면 식재판(목재나 철재재질외 프라스틱 제품)
70 : 측면 식재판(목재나 철재재질외 프라스틱 제품)
80 : 후면 식재판(목재나 철재재질되 프라스틱 제품)
90 : 배면 식재판(목재나 철재재질되 프라스틱 제품)
100 : 식물( 덩쿨식물, 조경식물외 식생가능한 식물전체포함)
110 : 배수구
120 : 성토층(부양토)
130 : 부직포(매쉬 구조로 된 물체)
본 고안은 식물식재형 울타리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울타리 자체에 식물 식재가 가능하여, 울타리와 울타리주변의 공간을 자연친화적이면서, 녹화시키는 공간디자인과 식재된 식물이 자라면서 조경적인 식물을 바탕으로 친화적 식물식재형 울타리를 구성하는 것이다.
기존의 울타리들은 차가운 재질의 철재와 녹이슬지 않도록 하여 만든 스텐레스 울타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렇게 설치된 울타리들은 너무나 차가운 철의 울타리 느낌이 들면서, 이러한 울타리들은 최근 자연친화적 재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와 인간의 질적 향상이 되면서 목재울타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울타리들은 자연적 친화적이기 보다는 자연과 도시를 구획하는 울타리 개념으로만 쓰이고 있을뿐이다,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서 자연친화적인 목재같은 재질을 사용하지만, 주변의 공간과 자연친화적이기에는 재질이 자연재질 일뿐이라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재질에 극한된 자연친화적 휀울타리가 아닌 자연적이면서 조경식물과 같은 녹화적 울타리를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위에서 화단을 설치하거나 울타리 주변에 식물을 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자연친화적인 욕구를 해결하기위하여, 자연적인 소재의 조합및 자연식물자체의 조경식물식재가 가능한 식물식재형 울타리가 고안이 되어서, 식물식재형 울타리가 설치된 주변환경을 자연녹화시키면서, 환경친화적인 울타리를 설치할수 있다.
본 고안은 기존의 설치되는 울타리의 자연녹화적이지 못한 담점을 보완하기 위한것으로, 울타리의 기본 경계 , 보호역할을 하면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다는 자연환경친화적이고, 자연스러운 분위기 및 미적환경을 식물을 이용한 환경개선 동시에 식재된 식물이 자라면서 식물이 주는 자연과 어울리는 효과의 기능을 가져올수 있는 식물식재형 울타리를 제공하는것이다.
식물식재형 울타리에는 식물식재가 가능하도록 식재장소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직판에 후면 식재판이 고정볼트로 고정되어지고 후면식재판의 양쪽 옆으로 측면 식재판이 고정되어진다. 이렇게 고정된 측면식재판의 전면에 전면식재판과 아래쪽으로 배면 식재판이 고정하여, 구성된 내부 공간이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식재장소에 식물이 자랄 수있는 성토층의 흙성분이 놓이게 되고, 이러한 성토층을 이룰수 있는 식재장소에서 조경식물등 다양한 식물등을 식재하여, 자랄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동시, 식재된 식물이 자연친화적이면서 녹화적 울타리를 구성할수 있다. 또한 식재된 식물이 자라면서 다양한 식물의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녹화화 시킨다. 이러하게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게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땅의 경계나 보호를 목적으로 설치되어, 보호하는 지역이나 경계지역을 자연친화적이면서 녹화적인 공간을 디자인되는 동시에, 조경을 고려한 식물식재형 울타리로써, 이를 참고도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식물을 식재할수 있도록,식재장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후면 식재판(80)의 양쪽 측면으로 측면 식재판(70)이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된 양쪽의 측면 식재판(70)의 전면에 전면 식재판(60)이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구성체의 아래쪽으로 배면 식재판(90)이 고정되어진다. 이러게 구성된 배면 식재판(90)에는 물을 주었을때 물이 빠져나가기위한 배수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식물(100)을 식재할수 있는 식재장소 즉 식재공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렇게 구성된 식재장소에 식물을 식재할수 있도록 먼저 배수구(110)의 위쪽에 자갈을 놓아서 자갈층(130)이루고, 그위에 식물이 자랄수 있는 자연적인 흙성분이 성토층(120)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성토층(120)에 다양한 식물(100)을 식재할수 있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구성체의 후면 식재판(80)을 울타리의 기본 경계선 역활을 하는 수직판(30)의 전면에 고정볼트(50)로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된 수직판(30)은 지주(10)의 측면에 부착된 수직판 고정대(4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끼워지고, 끼워진 수직판(30)은 수직판 고정대(40)에 고정볼트(50)로 고정되어진다. 이렇게 지주(10)와 수직판(30)이 고정되어지고, 고정된 수직판(30)의 전면에 식물을 식재할수 있는 구성체의 후면 식재판(80)을 수직판(30)과 고정볼트(50)로 고정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면 식재판(80)의 양쪽 측면 식재판(70)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 식재판(80)의 반대쪽에 전면에 전면 식재판(60)이 고정되고, 배수구(110)가 있는 배면 식재판(90)이 아래쪽에 형성되어서, 그형성된 구성체의 안쪽의 맨 바닥층에는 식물식재시 주는 물이 빠져나갈수 있는 배수구(110)가 있고, 이러한 배수구(110)의 상부에 흙이 배수구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부직포(130)가 형성되고, 그 위층에 식물(100)을 식재할수 있도록, 성토층(120)이 채워져 식물(100)을 식재할수 있게 된다.
이때, 위와 같이 식물이 식재할수있도록 형성된 구성체는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수직판(30)의 전면에 후면 식재판(80)을 맞붙게 놓은다음, 고정볼트(50)를 이용하여 식물식재형 울타리를 형성한다.
또한, 식물을 식재하고, 물을 주었을때 성토층(120)에서 흡수되고 남은 물은 성토층(120)을 지나고, 부직포(130)의 조밀한 매쉬(mesh)된 면을 지나서, 배수구(110) 로 자연스럽게 흘러서 빠지게 된다.
또한, 부직포(130)는 상부의 성토층(120)이 배구수(110)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판(30)의 전면쪽과 후면쪽에서도 전면쪽과 같이 후면 식재판(80)과 양쪽 측면에 측면 식재판(70)을 고정하고, 전면에 전면 식재판(70)과 아래쪽에 배면 식재판(90)을 전면과 같이 후면쪽에도 형성을 할수 있어서, 전.후면 양쪽으로도 식물(100)을 식재할수 있는 구성체를 이룰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첨부 도면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 식재판(70)을 형태를 라운드의 원형형태나 사각형형태로 변형하여 시공이 가능하며, 측면 식재판(70)의 형태에 따라서 전면 식재판(60)의 형태도 달라져서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 식재판(7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도 시공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는 첨부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고안을 식물식재형 휀스를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고 ,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물식재형 휀스와 일반 목재형 휀스를 연결하여 시공이 가능하다.
식물이 식재할수 있도록 한 식물식재형 울타리에 있어서, 울타리에 식물식재를 도입하고, 또한 울타리에 기능적인 경계선 역할과 동시에 미적 녹지공간을 연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식물식재형 울타리는 식재된 식물의 자연적이고 친화적녹지공간을 만들어서 울타리를 설치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식재된 식물이 계절과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경관을 제공한다. 생태적이며 자연스러운 공간형성과 녹지공간이 부족한 공간에 울타리를 설치하여 경계선 역할을 하는 동시에 주변을 자연녹화경관으로 꾸며주며, 다양한 식물을 식재하여 보는 이에게 안전 경계선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식재된 식물이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을것이다.
또한, 식물식재형 울타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식물을 식재하여 울타리 주변을 기존의 화단처럼 다양한 식물원처럼 디자인이 가능하며, 기존의 설치된 차가운 철재 울타리와는 달리 녹지공간화 시키는 시너지효과를 줄수 있다.

Claims (4)

  1. 식물을 식재할수 있도록 한 식물식재형 울타리에 있어서,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지주(10)의 측면에 수직판 고정대(40)가 부착이 되어져 있어서, 수직판(30)이 상부로 부터 수직판 고정대(40)안으로 끼워지고, 끼워진 수직판(30)을 고정볼트(50)로 고정하고, 수직판(30)의 전면에 후면 식재판(80)이 고정볼트로 고정되며, 후면 식재판(80)의 양쪽 측면으로 측면 식재판(70)이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된 양쪽의 측면 식재판(70)의 전면에 전면 식재판(60)이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구성체의 아래쪽으로 배면 식재판(90)이 고정되어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형 울타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전면 식재판(60), 측면 식재판(70), 후면 식재판(80), 배면 식재판(90)을 서로 고정하여 식물(100)을 식재할수 있도록 만든 공간과 배면 식재판(90)의 하부에 물을 주었을때 물이 빠져나갈수 있는 배수구(11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형 울타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식재형 울타리의 배면 식재판 위에 성토층(120)이 배수구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조밀한 매쉬(mesh)된 면을 가진 부직포(130)를 구성되고, 그 상부에 식물(100)이 식재하여 자라도록 성토층(120)이 구성되며, 구성된 성토층(120)에 식물(100)을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형 울타리.
  4. 제 1항에 있어서,
    측면 식재판(70)을 형태를 라운드의 원형형태로 시공이 가능하여, 측면 식재판(70)의 형태에 따라서 전면 식재판(60)의 형태도 달라져서 측면 식재판(70)의 원형형태의 식물식재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형 울타리
KR2020060013940U 2006-05-24 2006-05-24 식물식재형 울타리 KR200432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40U KR200432495Y1 (ko) 2006-05-24 2006-05-24 식물식재형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40U KR200432495Y1 (ko) 2006-05-24 2006-05-24 식물식재형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495Y1 true KR200432495Y1 (ko) 2006-12-04

Family

ID=4178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940U KR200432495Y1 (ko) 2006-05-24 2006-05-24 식물식재형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4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58B1 (ko) 2007-11-19 2008-05-23 주식회사 가람테크 착탈 가능한 화분박스가 구비된 난간
KR100852899B1 (ko) * 2007-07-16 2008-08-19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도로용 안전휀스
KR101035461B1 (ko) * 2008-09-10 2011-05-18 김철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99B1 (ko) * 2007-07-16 2008-08-19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도로용 안전휀스
KR100831958B1 (ko) 2007-11-19 2008-05-23 주식회사 가람테크 착탈 가능한 화분박스가 구비된 난간
KR101035461B1 (ko) * 2008-09-10 2011-05-18 김철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559B1 (ko) 다양한 벽면 연출이 가능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KR101035461B1 (ko)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KR101099361B1 (ko) 벽면녹화용 다공패널 구조체
KR200432495Y1 (ko) 식물식재형 울타리
KR20170052025A (ko) 지피식물을 위한 옥상녹화장치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KR101008967B1 (ko) 식생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방음벽 구조
CN201690832U (zh) 一种高架花盆
JP2004254559A (ja) 緑化パネル
KR200411792Y1 (ko) 수로관
CN202577237U (zh) 一种植物生态水沟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KR101948754B1 (ko) 정원조성모델 가이드 프레임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689263B2 (ja) 建築物の壁面緑化構築体
JP2007037408A (ja) 苔の栽培方法及び苔の栽培装置
CN219437665U (zh) 环保便捷的景观植物种植工具
CN202890033U (zh) 植栽容器及具植栽容器的花墙装置
JP2012120462A (ja) 緑化地盤ユニット
KR200291855Y1 (ko) 철망 블럭을 이용한 식생 방음벽
KR101280432B1 (ko) 다층형 식물 재배 장치
JPH1025753A (ja) 植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覆工構造
JP3116629U (ja) 植木鉢埋め込み式有孔錐形コ−ン
KR200281067Y1 (ko) 매직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