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13B1 -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13B1
KR101991913B1 KR1020160010967A KR20160010967A KR101991913B1 KR 101991913 B1 KR101991913 B1 KR 101991913B1 KR 1020160010967 A KR1020160010967 A KR 1020160010967A KR 20160010967 A KR20160010967 A KR 20160010967A KR 101991913 B1 KR101991913 B1 KR 10199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ater
anima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955A (ko
Inventor
이우송
정형재
노문철
류영배
권형준
박수진
박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6009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8Moist f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용 및 사료첨가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동물 분뇨의 암모니아와 같은 악취를 유발하는 아민계 화합물을 감소시켜, 아민계 화합물에 의해 유발되는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육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An aqua-composition for decreasing bad smell comprising a mixture of natural extract as an effective ingredient, and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용 또는 사료첨가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의 기계화, 집약화, 규모화 및 집단화에 따라 사육기술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단위 면적당 축산 생산량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축의 분뇨로부터 증식되는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 등 각종 악취 유발가스에 대한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악취 유발가스는 사람에게 각종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악취 저감제는 분뇨의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있어, 새로운 악취 저감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1-2인 가구의 급증에 따른 반려동물(pet)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하여, 개와 고양이를 기르는 가구 비율은 2012년 기준으로 각각 16.0%, 3.4%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에 지출하는 비용도 함께 증가하여, 반려동물 용품을 포함한 국내 반려동물 시장의 규모는 2013년 1조1천400억원으로, 2014년에는 1조8천100억원, 2020년에는 약 6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온라인 오픈마켓에서 반려동물 용품에 대한 2012년 매출증가율은 전년대비, 애견 수제 간식은 65%, 고양이 사료는 49% 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반려동물은 뇨에서 특유의 악취가 발생하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변판, 배변 패드, 탈취제, 배변 처리용 모래 등의 수요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키토산, 솔잎 추출물, 아스코빅산, 느릅나무, 자작나무 추출액 등의 천연 물질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분뇨 악취 저감음료(한국공개특허 2013-0035060호)와 키토산, 자일리톨 및 비타민 C를 첨가한 애완동물 변 냄새 제거용 음료(한국공개특허 2004-0092051호)가 보고된바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532163호는 키토산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반려동물 뇨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악취 저감제에 대한 수요는 충족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동물의 분뇨의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울금 추출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할 경우, 동물, 특히 반려동물 분뇨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울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용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분뇨의 냄새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울금(Curcuma longa)은 생강과 커큐마 속에 속하며, 꽃의 색깔 등에서 강황과 차이가 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본 발명에서 울금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중국 북부, 시베리아, 이태리 남부, 만주, 몽고 등지에 자생 또는 재배된다. 본 발명에서 감초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감초는 신장의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키며 카드뮴에 의해 손상되는 간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 효과 및 이로 인한 동물 분뇨 냄새에 대해서는 알려진바 없다.
상기 커큐민(curcumin)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울금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고, 수용성 커큐민 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커큐민은 불용성인 커큐민을 수용화시키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화된 커큐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연어 이리 추출물(Salmon milt extract)은 연어 이리(정소)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어 이리에 산성 수용액 또는 효소를 처리한 추출물로서, 핵산을 고순도로 포함하는 추출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핵산(DNA 또는 RNA)을 추출물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99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어 이리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식품 또는 사료 첨가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연어 이리는 핵산이 풍부하여 각종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등록 특허 제3975448호는 연어이리로부터 얻어진 핵산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 억제용 건강식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공개특허 제2012-0063646호는 연어 정소를 이용한 화장품용 기능성 수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어이리 추출물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상기 울금 추출물 또는 감초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아민계 화합물 제거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울금 또는 감초 각각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울금 추출물 또는 감초 추출물은, 울금 또는 감초 각각의 건조물, 가공물, 또는 분쇄물을 건조 중량의 약 5 내지 30배, 구체적으로 약 10 내지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저급 알콜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용출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울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추출 온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20 내지 100, 구체적으로 60 내지 100에서, 추출기간은 약 1시간 내지 4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여과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울금 추출물 또는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울금 추출물의 분획물은 울금의 추출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감초 추출물의 분획물은 감초의 추출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의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Hexane),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클로로포름 (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울금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감초 추출물의 분획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민계 화합물은 아민기(NH2)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인돌 또는 스카톨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암모니아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이 악취를 유발하는 트리메틸아민 및 암모니아를 30분 내에 모두 제거함을 확인하였고(도 1), 동물 분뇨의 냄새 성분의 암모니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울금 추출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수제가 커큐민을 포함하는 음수제, 울금 추출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수제에 비하여 암모니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확인하였다(도 3).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아민계 화합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울금 추출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및 감초 추출물은 1:20 내지 1:20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울금 추출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은 0.5 내지 5 : 20 내지 200 : 0.5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울금 추출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은 1 : 20 내지 200 : 0.5 내지 5일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사료용 조성물은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당업계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동물 분뇨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사료용 조성물이 동물 분뇨에 포함된 암모니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3).
일 예로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0.1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투여할 동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kg 당 약 1g 내지 500g, 구체적으로는 10g 내지 250g의 양으로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음수제일 수 있다. 음수제란 액체 형상의 투여 가능한 형태를 의미하며,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사료용 조성물은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 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산수소나트륨, 벤토나이트(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E,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리이산 등의 보호아미노산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포유류, 가금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 즉, 사료 및 음용수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사료용 조성물을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분뇨의 냄새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사료용 조성물은 상기한 것과 같다.
상기 동물은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동물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사료용 조성물을 경구 또는 복강 투여하더라도 급성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2).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성분 이외에 추가로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칼륨, 인산나트륨, 중합 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친, 토코페롤, 비타민 C, 녹차 추출 물, 키토산, 탄니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은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산화, 항곰팡이,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각종 보조제 및 분쇄 또는 파쇄된 밀, 보리, 옥수수 등의 식물성 단백질사료, 혈분, 육분, 생선분 등의 동물성 단백질 사료,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 같은 주성분 이외에도 영양 보충제, 성장 촉진제, 소화 흡수 촉진제, 질병 예방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용 사료 첨가제는 동물의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사료와 별도로 단독으로 경구 제형, 주사 또는 경피로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쉽게 투여 할 수 있다. 투여량은 동물의 체중, 건강상태, 식이, 투여방법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당 업계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일 투여량은 약 0.1~10㎎/g, 구체적으로 0.05~1㎎/g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 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동물 분뇨의 냄새 제거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사료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사료 첨가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료 첨가제의 투여 형태는 비독성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 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와 콩 플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의 경우에는 정제, 산제, 토로키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액체형 담체의 경우 시럽제, 액체 현탁액제, 에멀젼제, 용액제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포유류, 가금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 즉, 사료에 적용할 수 있다. 상업용으로 중요한 돼지, 소, 염소 등의 포유류, 코끼리, 낙타 등의 동물원 동물, 개, 고양이 등의 가축에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배합 방법은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동물사료에 건조 중량 기준으로 1kg 당 약 10g 내지 500g, 구체적으로는 10g 내지 100g의 양으로 혼합하는 것이다. 또한 사료 혼합물을 완전히 혼합한 후, 매쉬로 공급하거나, 추가가공 공정을 통하여 팰렛화, 팽창화, 압출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한 것과 같다.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 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물 분뇨의 암모니아 등 악취를 유발하는 아민계 화합물과 반응하여 이를 제거함으로써, 아민계 화합물에 의해 유발되는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아민계 화합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병의 위험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울금 추출물 (KW-100), 감초 추출물(KC-100), 시제품-1(칵테일제제, KW-100/KC-100)에 대한 탈취효능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시제품-2(KW-100/KC-100/연어 이리 추출물) 투여에 따른 동물 조직에 대한 급성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a): 대조군, (b): 실험군(경구투여) (c): 실험군(복강투여)).
도 3은 KW-100, 시제품-1(KW-100/KC-100), 시제품-2(KW-100/KC-100/연어 이리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동물 분뇨의 암모니아 수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음수제 조성물의 제조
울금(Curcuma longa) 2 kg 에 95 %v/v의 에탄올(ethanol) 20 L를 가하여 실온에서 7일 동안 방치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한 후, 이를 농축 및 건조시켜서 울금의 에탄올 추출물 210 g을 제조하였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3 kg 에 95 %v/v의 에탄올 (ethanol) 20 L를 가하여 실온에서 7일 동안 방치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한 후, 이를 농축 및 건조시켜서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 230 g을 제조하였다.
실험군으로 칵테일제제 음수제(시제품-1)는 울금 추출물 1.0 g, 감초 추출물 100 g 및 멸균수 990 g에 녹여 제조하였다. 칵테일제제 음수제(시제품-2)는 울금 추출물 1.0 g, 감초 추출물 100 g, 연어 이리 추출물(일본의 (주) 마루하니치로 푸드에서 구입, 제품명 DNA-Na) 1.0 g, 멸균수 940 g에 녹여 음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제품-3 또는 시제품-4는 시제품-1 또는 시제품-2에서 울금 추출물 1.0g 대신 수용성 커큐민(㈜케이엔피나노푸드에서 구입) 1.0 g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대조군 음수제로, KW-100은 울금 추출물 1.0 g 에 멸균수 1000 g에 녹여 제조하였고, KC-100은 감초 추출물 100 g, 멸균수 990 g 에 녹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탈취 효과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음수제의 탈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실시예 1의 음수제 20 mL 를 5 L 반응용기에 넣은 후 밀봉하고, 악취 가스인 트리메틸아민 가스의 초기 농도를 50 umol/mol으로 하여 용기 내에 주입하였다. 실험온도는 25℃, 습도는 50%를 유지하였으며, 트리메틸아민 가스의 농도를 0분, 30분, 60분, 120분에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과 같이, 시제품-1의 처리에 따라 30분 내에 악취 물질인 트리메틸아민 및 암모니아가 모두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울금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이 아민계 화합물에 대한 제거 효과가 우수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2. 급성 독성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제품-2(KW-100/KC-100/연어 이리 추출물)에 대한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반려동물인 비글(10.0 내지 12.0 Kg/마리)을 케이지(140 X 80 X 80 cm)에 넣고 14일 동안 일반사료로 자율 급이 하고, 사육온도는 25±2 를 유지하며 사육하였다. 그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제품-2를 2000mg/Kg의 용량으로 7일 동안 복강 또는 경구로 투여하였다(실험군).
대조구(control)에는 실험군과 동일한 용량으로 멸균수를 투여하였다. 상기한 실험 모델은 하기 표 1와 같다.
급성독성 평가 동물(비글) 실험 모델
Group 개체 총 마리 수

(female)

(male)
a Control 1 1 2
b 실험군(경구투여) 1 1 2
c 실험군(복강투여) 1 1 2
총 마리 수 3 3 6
그 결과, 시제품-2를 투여했을 경우 경구투여군(b) 및 복강투여군(c)에서 모두 7일 동안 높은 생존율(100%)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2의 조직 사진과 같이, 사구체, 근위세뇨관 및 원위세뇨관의 경우에도 대조군(control)과 비교해 병리학적인 병변의 유발이 나타나지 않아 시제품-2는 독성이 거의 없어 사료로 사용하기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시제품-3, 시제품-4의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예 3. 음수제가 동물의 분뇨의 냄새에 미치는 영향 조사
사육장 내에서 실시예 1의 음수제의 첨가에 따라, 실험동물의 뇨의 냄새성분인 암모니아 수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육 온도를 25±2.0 로 유지하며 실시예 1의 KW-100, 시제품-1(KW-100/KC-100), 시제품-2(KW-100/KC-100/연어 이리 추출물)를 10일 동안 매일 10 mL 급이한 후, 실험동물의 방광에서 주사기로 뇨를 뽑아, 뇨에 들어 있는 암모니아의 수치(ppm)를 분석하였다. 대조구에는 동일한 용량으로 멸균수를 투여하였다. 암모니아 저감율(%)은 KW-100, 시제품-1, 시제품-2, 또는 멸균수 투여 전 후의 암모니아 수치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도 3 및 하기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대조구의 경우에는 비글의 뇨에 포함된 암모니아의 저감율이 3 %로 나타났으며, KW-100를 급이한 경우에는 47.8 %, 시제품-1(KW-100/KC-100)은 49.5 %, 시제품-2(KW-100/KC-100/연어 이리 추출물)를 급이한 경우에는 85.7 %로 나타났다. 시제품-4의 경우에도 시제품-2와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다.
항목 대조구 KW-100 시제품-1
(KW-100/
KC-100)
시제품-2
(KW-100 /KC-100 /연어 이리 추출물)
암모니아(N-NH3) 저감율 3 % 47.8 % 49.5 % 85.7 %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분뇨에 포함된 암모니아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울금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수제 조성물인 시제품-2(KW-100/MC-100/연어 이리 추출물)는 아민계 화합물의 제거 및 이로 인한 동물 분뇨 냄새 제거를 위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울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 분뇨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트리메틸아민 또는 암모니아인 것인, 동물 분뇨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민계 화합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는 것인, 동물 분뇨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및 감초 추출물은 1:20 내지 1:20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동물 분뇨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인, 동물 분뇨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사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인, 동물 분뇨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사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음수제인 것인, 사료 조성물.
  10. 제1항의 사료용 조성물을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분뇨의 냄새 제거 방법.
  11. 울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 분뇨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12. 울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수용성 커큐민;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 분뇨의 아민계 화합물 제거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60010967A 2015-01-28 2016-01-28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KR101991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3620 2015-01-28
KR1020150013620 2015-01-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765A Division KR20170003515A (ko) 2015-01-28 2016-12-29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955A KR20160092955A (ko) 2016-08-05
KR101991913B1 true KR101991913B1 (ko) 2019-06-24

Family

ID=565437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967A KR101991913B1 (ko) 2015-01-28 2016-01-28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KR1020160182765A KR20170003515A (ko) 2015-01-28 2016-12-29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765A KR20170003515A (ko) 2015-01-28 2016-12-29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27843A1 (ko)
JP (1) JP6462887B2 (ko)
KR (2) KR101991913B1 (ko)
CN (1) CN107466213A (ko)
WO (1) WO20161222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035B1 (ko) * 2021-11-23 2022-04-15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해조류 추출물과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악취 억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747A (ko) * 2016-09-26 2018-04-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화제 및 초음파를 이용한 강황으로부터 고함량의 커큐민 추출방법
JP6473526B2 (ja) * 2018-01-29 2019-02-20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ビサクロン抽出方法
KR101978693B1 (ko) * 2018-11-16 2019-05-15 주식회사 바이오에이엠 악취 억제를 위한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2114707A (zh) * 2019-07-02 2021-04-16 美商瑪斯公司 動物食物組合物
WO2021080388A1 (ko) 2019-10-25 2021-04-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9710B1 (ko) * 2020-01-08 2020-10-2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큐민 나노스피어, 그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N111214420A (zh) * 2020-03-16 2020-06-02 厦门汇承药业有限公司 一种宠物用除臭喷雾剂的制备方法
KR102211697B1 (ko) * 2020-06-10 2021-02-03 (주)비비코리아 반려동물 냄새제거를 위한 사료첨가용 미네랄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620557B1 (ko) * 2022-10-26 2024-01-04 김아연 동물 사료용 기호성 증진 조성물
KR102582313B1 (ko) * 2022-11-28 2023-09-22 김태윤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036A (ja) * 1999-09-09 2001-03-27 Nichiro Corp 悪酔いや二日酔いの予防用および改善用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KR100573811B1 (ko) 2006-02-13 2006-04-24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과립형 맥섬석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512022A (ja) * 2003-11-26 2007-05-17 ヒルズ・ペット・ニュートリシャ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ンパニオン動物の糞臭の低減方法
KR100998486B1 (ko) * 2010-10-04 2010-12-06 (주) 케이에프티씨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JP2014230966A (ja) * 2006-03-22 2014-12-11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504A (ja) * 1994-02-28 1995-09-12 Mitsumasa Kobayashi 抗菌脱臭剤及び発熱剤
JP3674640B2 (ja) * 1995-07-01 2005-07-2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核酸と核タンパク質の精製法
JPH1156559A (ja) * 1997-08-28 1999-03-02 Marutaka Co Ltd
JP2000050814A (ja) * 1998-08-05 2000-02-22 Takasago Internatl Corp 動物の排泄物の臭いを低減あるいは消去する方法、その方法に使用する配合剤およびその配合剤を含有する飼料、ペットフードあるいは食品
EP1195099B1 (en) * 2000-08-11 2017-03-15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Deodorant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TWI329516B (en) * 2000-12-12 2010-09-01 Kaneka Corp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multiple risk factor syndromes and visceral fat-type obesity
JP2005154323A (ja) * 2003-11-25 2005-06-16 Hosoda Shc:Kk 抗菌消臭剤
JP2005269913A (ja) * 2004-03-23 2005-10-06 Daicho Kikaku:Kk 魚類用飼料添加剤及び魚類用飼料
JP4865905B1 (ja) * 2010-10-29 2012-02-01 株式会社アルバ 消臭組成物
KR101198944B1 (ko) * 2010-12-17 2012-11-07 (주)애드바이오텍 사료 첨가제
KR20130035060A (ko) * 2011-09-29 2013-04-08 김은탁 애완동물의 분뇨 냄새 감소 기능의 음료와 그 제조방법
CN103113142B (zh) * 2013-01-30 2014-07-16 重庆富博生物技术有限公司 畜禽粪便除臭发酵液及其制备方法
KR101451085B1 (ko) * 2013-04-09 2014-10-15 이영훈 악취가 저감된 분뇨의 배설을 유도하는 가축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036A (ja) * 1999-09-09 2001-03-27 Nichiro Corp 悪酔いや二日酔いの予防用および改善用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JP2007512022A (ja) * 2003-11-26 2007-05-17 ヒルズ・ペット・ニュートリシャ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ンパニオン動物の糞臭の低減方法
KR100573811B1 (ko) 2006-02-13 2006-04-24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과립형 맥섬석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230966A (ja) * 2006-03-22 2014-12-11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
KR100998486B1 (ko) * 2010-10-04 2010-12-06 (주) 케이에프티씨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035B1 (ko) * 2021-11-23 2022-04-15 농업회사법인 로가바이오 주식회사 해조류 추출물과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악취 억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955A (ko) 2016-08-05
US20180027843A1 (en) 2018-02-01
WO2016122234A1 (ko) 2016-08-04
KR20170003515A (ko) 2017-01-09
JP6462887B2 (ja) 2019-01-30
JP2018506527A (ja) 2018-03-08
CN107466213A8 (zh) 2018-03-06
CN107466213A (zh)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913B1 (ko)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Zhang et al. Effects of dietary fish meal replacement by fermented moringa (Moringa oleifera Lam.) leaves on growth performance, nonspecific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in juvenile gibel carp (Carassius auratus gibelio var. CAS III)
Abd El-Hack et al. Pharmacological, nutritional and antimicrobial uses of Moringa oleifera Lam. leaves in poultry nutrition: an updated knowledge
JP2009234924A (ja) 免疫回復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飼料組成物
Lagos et al. Recent patents on the application of bioactive compounds in food: a short review
KR102192712B1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사료용 조성물 및 동물용 제품
JPWO2002045733A1 (ja) 鎮痒または抗掻痒活性を有する経口剤
KR102086166B1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Nalge et al. Effect of Aloe vera Leaf Extract on Performance Parameters in Broiler Birds.
JP6592010B2 (ja) 癌細胞増殖抑制組成物および癌細胞増殖の抑制方法
KR20100114606A (ko)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304755A (ja) ペット用食物
KR101765988B1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100573759B1 (ko) 흰반점증후군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증강효과를 갖는 동물사료 첨가제
JP2005255574A (ja) IgA産生恒常化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ストレス性疾患予防用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KR101949557B1 (ko) 땅두릅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조성물
CN106819576A (zh) 有益微生物无抗生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83929B1 (ko) 초식동물용 보조사료 조성물
KR20130008761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JP7253764B2 (ja) 運動能力向上剤
JP2009234926A (ja) 副腎肥大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飼料組成物又は治療用組成物
WO2008035925A1 (en)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a leaf extract of pinus koraiensis showing antioxidative activity
KR20220079352A (ko) 대두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751604B1 (ko) 음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Omoikhoje et al. Influence of Moringa oleifera and Senna occidentalis leaf meal composite mixture as alternative to antibiotics on the growth, nutrient digestibility, costs and returns of broiler chick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73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229

Effective date: 2018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