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486B1 -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 Google Patents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486B1
KR100998486B1 KR1020100096184A KR20100096184A KR100998486B1 KR 100998486 B1 KR100998486 B1 KR 100998486B1 KR 1020100096184 A KR1020100096184 A KR 1020100096184A KR 20100096184 A KR20100096184 A KR 20100096184A KR 100998486 B1 KR100998486 B1 KR 10099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moking
liquid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wood vine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도근
조윤식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에프티씨
조윤식
백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에프티씨, 조윤식, 백도근 filed Critical (주) 케이에프티씨
Priority to KR102010009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24B15/303Plant extracts other than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Abstract

본 발명은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로, 목초액,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탄올을 필수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데, 프로필렌글리콜과 글리세린으로 인해 흡연시와 유사하게 연기를 발생시키는 시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흡연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에탄올을 첨가하여 프로필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이 쉽게 기화되게 하므로 연기발생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초액을 함유하여 담배와 유사한 향이 나므로 담배성분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흡연시와 유사한 향취가 나고 타르, 일산화탄소 및 니코틴 등과 같은 담배 유해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 이러한 성분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목초액은 자율신경계의 안정화 효과,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효과,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 효과, 담배 흡연시 나타나는 천식, 폐암 등의 호흡기 질환 예방효과가 있어 흡연할 때와 동일한 향을 느낌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Description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Liquid composition of antismoking aid containing wood vinegar}
본 발명은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초액,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탄올을 포함하여 흡연시와 동일하게 담배 향취와 연기가 발생되는 효과, 불안 및 우울증개선 등의 자율신경계의 안정화 효과,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효과,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 효과가 있는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목초액은 나무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액화시켜 채취한 뒤, 6개월 이상 숙성시켜 독성과 유해물질을 제거한 것이다. 최초로 나오는 물연기는 타르, 메탄올, 페놀과 같은 유해성분이 많아 식용으론 부적합하고 굴뚝온도가 80~150℃ 일때 나오는 황색연기로부터 채취한 것이 제일 유용하고 독성 물질이 적어 이 황색연기로부터 조목초액을 채취한다. 조목초액(숯연기에서 갓 채취한 목초액)을 장기간 용기에 보관하면 상·중·하의 세층으로 분리되는데, 중층의 물에 녹는 액이 목초액이다. 그리고 상층과 하층의 기름에 녹는 액이 각각 식용이 불가능한 경유질과 타르이다. 목초액은 채취 후 수개월에서 1년 정도 숙성 및 정취를 한 후 타르성분을 충분히 분리시킨 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타르분에 크레졸과 같은 유해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정제전의 목초액은 투명한 호박색을 나타내지만, 목타르 등의 유해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목초액은 엷은 노란색을 띠는 식초와 비슷한 투명한 액체가 된다. 정제된 목초액은 담배와 비슷한 향취가 나고, 유기산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미네랄성분, 비타민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초산을 포함한 유기산이 3%정도로 포함되어 있으며 비타민 B1 및 B2도 함유되어 있다. 보통 물을 상온에서 보관시는 하루만 지나면 미생물이 검출되지만 정제된 목초액은 수많은 유기물이 풍부히 있어 미생물 번식에 양호한 영양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상온에서 한 달 이상 보관하여도 대장균이나 일반 세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데 이는 정제된 목초액 자체가 균 성장 억제기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정제된 목초액은 농업에서는 농약 대신에 이용하며, 축산업에서는 분뇨 냄새나 악취를 제거할 때 또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기도 하며, 정장제, 정로환 등 의약품의 원료와 사료로 사용되며 무좀, 아토피피부염 등에 효과가 있으며, 세포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포의 호흡회로를 정상화하는 SOD 기능이 탁월하여 세포를 건강하게 하므로 각종 난치병을 치유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목초액은 액체이면서도 강력한 원적외선을 갖고 있는데 흔히 원적외선은 광물질에서만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목초액은 액상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흡연은 매일 혹은 가끔 담배를 피우는 것을 말하는데 담배연기 속에는 약 4000여종이나 되는 많은 독성 화학물질이 들어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담배는 불에 탈 때 그 중심온도가 섭씨 900도에 이르게 되는데 이러한 고온에서 유기물질이 열분해, 열합성, 증류, 승화, 수소화, 산화, 탈수화 등의 과정을 거쳐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이 생성된다. 흡연시 발생하는 물질 중 건강에 가장 해로운 물질은 타르, 일산화탄소(CO), 니코틴 3가지 성분이라 할 수 있다. 타르는 맹독성 물질로 폐로 들어가 혈액에 스며들어 우리 몸의 모든 세포, 모든 장기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잇몸, 기관지 등에는 직접 작용하여 표피세포 등을 파괴하거나 만성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담뱃진’이라 불리는 타르는 흡연이 우리 건강에 해를 주는 대부분의 유해물질의 원천으로 각종 독성물질과 발암물질이다.
타르에는 약 2천여 종의 독성 화학물질이 들어있으며, 그 중 약 20여 종류의 A급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타르는 그 자체로도 맹독성이 있어 적은 양으로도 작은 동물이나 곤충을 죽일 수 있기 때문에 예전에는 담배꽁초를 모아 화장실에 구더기가 스는 것을 막는데 에도 사용하였고 산에서 뱀을 퇴치하는 데에도 이용되었다. 담배의 독특한 맛은 바로 이 타르에서 오는 것이며, 타르는 담배연기를 통하여 폐로 들어가 혈액에 스며들어 우리 몸의 모든 세포, 모든 장기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잇몸, 기관지 등에는 직접 작용하여 표피세포 등을 파괴하거나 만성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일산화탄소는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떨어뜨려 만성 저산소증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신진대사에 장애를 주고 조기 노화현상을 일으킨다.
일산화탄소(CO)는 무연탄 냄새로 이미 우리에게 잘 알려진 물질이다. 담배를 피우는 것은 마치 적은 양의 무연탄 냄새를 지속적으로 맡고 있는 것과 같으며, 지속적인 일산화탄소 흡인은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떨어뜨려 만성 저산소증 현상을 일으켜 신진대사에 장애를 주고 조기 노화현상을 일으킨다. 담배를 많이 피우거나 담배연기가 가득한 방에 오래 있으면 머리가 아프고 정신이 멍해지는 것의 주범은 바로 일산화탄소이다. 일산화탄소는 낮은 농도에서는 증상이 없으나 농도가 높아지면 기억력 상실, 호흡곤란, 구토 등을 나타내고 60% 이상 되면 사망하게 된다. 니코틴은 담배의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는 마약성 물질로 담배 한 개피에는 대략 1mg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사람의 경우 40mg이 치사량이다.
니코틴은 15세기 스페인 주재 불란서 대사 짠 니코(Jean Nicot)의 이름에서 명명된 것으로 특유하고 복합적인 약리작용을 갖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아편과 거의 같은 수준의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기 때문에 약학적으로는 마약으로 분류되고 있는 물질로 담배를 일단 피우기 시작하면 매 30~40분에 한 대씩 피워야만 하는 이유가 바로 담배 속에 있는 니코틴 때문이다. 적은 양의 니코틴은 신경계에 작용하여 교감 및 부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쾌감을 얻게 하고, 많은 양의 니코틴은 신경을 마비시켜 환각상태에까지 이르게 한다. 또한 각성효과가 있어 글을 쓰거나 작업을 할 때 일시적으로 창의력을 향상시키기도 하며 흥분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진정시키는 효과도 있다. 니코틴은 말초혈관을 수축하며 맥박을 빠르게 하고 혈압을 높이며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화증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에게서 심장병, 버거스씨병, 동상이 잘 생기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 외에도 니코틴은 소화기계에 작용하여 궤양을 일으키고 내분비계 및 호흡기에도 나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담배의 유해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거나 흡연시와 동일하게 담배 향취나 연기가 발생되는 금연보조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1983-9742호에는 목초산을 주제로 하여 담배 건류물 및 박하뇌, 글리세린, 에탄올, 계피유 등으로 구성되어 담배 향취를 흡입 내지 흡취할 수 있으며 흡연 대용으로 사용 가능한 담배 대용물의 조성,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2009-97069호에는 정제된 목초액, 에탄올, 식물에서 추출한 액상의 니코틴, 감초추출물, 녹차추출물 등으로 구성되어 연기발생이 없어 간접흡연의 피해가 없으며 발암성물질과 독성화학 물질로 인한 각종의 호흡기 질환으로부터 안전한 효과가 있는 휘발성 액상담배 니코틴의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2010-8811호에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탄올, 유해한 타르와 니코틴을 함유하지 않는 담배 에센스, 산화방지제 등의 혼합 물질 액체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흡연자의 건강한 삶을 도와주며, 흡연자의 흡연 습관을 충족시켜 금연 성공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금연보조 전자흡연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목초액과 기타 다른 첨가물이 함유된 금연보조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목초액,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탄올이 함유되어 있으며 흡연시와 유사하게 연기와 향취가 발생되는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담배의 유해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면서 흡연시와 동일하게 담배 향취와 연기가 발생되는 금연보조제 조성물에 대해 연구한 결과, 목초액,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탄올을 필수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조성물이 흡연시와 동일하게 담배 향취와 연기 발생 효과로 기호도를 현저하게 높이면서, 목초액이 가지는 불안 및 우울증개선 등의 자율신경계의 안정화 효과,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효과,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 효과를 극대화하여 새로운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목초액,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탄올에 의해 흡연시와 동일하게 담배 향취와 연기가 발생하며, 불안 및 우울증개선 등의 자율신경계의 안정화 효과,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효과,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 효과가 있는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전체 중량 100%에 대해,
목초액 1~1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5~55 중량%;
글리세린 35~55 중량%; 및
에탄올 0.5~12 중량%;
를 포함하는 것으로 흡연시와 동일하게 연기와 향취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에 통상의 첨가제로서 착향제, 과일추출물, 허브추출물 또는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1~10 중량%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조성물은 연소에 의해 흡입되는 형태가 아닌 액체 상태의 조성물이 기화되면서 흡입될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흡연기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소과정에 대한 유해성이나 수동적인 흡연에 대한 위험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상조성물은 통상적인 전자담배 카트리지 내부에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초액은 참나무를 가마솥에 넣고 100~130℃에서 탄화시킬때 발생하는 기체를 액화시켜 생성된 목초액을 6개월 이상 숙성시키고 활성탄으로 1차 여과하여 페놀등 불순물을 제거하고, 3회 증류시켜 메탄올 등을 제거시킨 후, 다시 활성탄으로 여과하여 페놀 등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목초액 제조시 참나무 외에 대나무, 향나무, 편백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올리브나무, 가문비나무, 감나무, 밤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복숭아나무, 포도나무, 유자나무, 귤나무, 앵두나무, 생강나무, 대추나무, 매실나무, 모과나무, 무화과나무, 살구나무, 석류나무, 은행나무, 호두나무, 사철나무, 박달나무, 비자나무, 두충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동백나무, 닥나무, 벚나무, 아카시나무, 오리나무,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피나무, 삼나무, 자작나무, 팽나무, 음나무, 사시나무, 뽕나무, 산초나무, 상수리나무, 육계나무, 버들나무, 무궁화나무, 오갈피나무, 오미자나무, 물푸레나무, 두릅나무, 생강나무, 오리나무, 오동나무, 박달나무, 등나무, 칡나무, 백리향나무, 산수유나무 및 녹차나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목초액은 담배와 유사한 향이나 담배성분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흡연시와 유사한 향이 나며, 타르, 일산화탄소 및 니코틴 등과 같은 담배 유해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 이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목초액은 불안 및 우울증개선 등의 자율신경계의 안정화 효과,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효과,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 효과가 있어 흡연할 때와 동일한 향을 느낌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목초액 첨가량이 0.5~10 중량%를 벗어날 경우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은 담배 향취와 유사한 향이 나는 목초액의 향취를 더욱 증강시키며, 글리세린은 목초액,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및 기타 다른 첨가물 혼합시 혼화가 용이하도록 하며, 글리세린 첨가량이 35 중량% 미만일 경우, 혼합물의 혼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프로필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은 흡연시와 동일하게 연기를 발생시켜 시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에탄올을 더 첨가하므로 프로필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이 쉽게 기화되어 연기발생 효과에 도움이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로 목초액,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탄올 외에 기타첨가제로 착향제, 과일추출물, 허브추출물 및 한약재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일 수 있다.
상기 착향제는 멘톨, 커피향, 홍차향, 초콜릿향, 바닐라향, 카라멜향, 겨자향, 요구르트향, 혼합과일향, 한약제향, 파인향, 사과향, 바나나향, 살구향 및 레몬향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과일 추출물은 감추출물, 귤추출물, 딸기추출물, 레몬추출물, 망고추출물, 메론추출물, 바나나추출물, 복숭아추출물, 사과추출물, 오렌지추출물, 자몽추출물, 자두추출물, 키위추출물, 파인애플추출물 및 포도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허브추출물은 페퍼민트추출물, 스피어민트추출물, 카모마일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타임,추출물 제라니움추출물, 자스민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파인니들추출물, 클로보추출물, 세이지추출물, 택솔추출물, 버가못트추출물, 바질추출물, 타임추출물, 발러리안추출물, 히숍추출물, 티트리추출물, 미르추출물 및 주니퍼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한약재추출물은 감초추출물, 산두근추출물, 진피추출물, 울금추출물, 천마추출물, 치자추출물, 모과추출물, 알로에추출물, 대추추출물, 차전자추출물, 나복자추출물, 정향추출물, 하수오추출물, 오가피추출물, 산사추출물, 오미자추출물, 고본추출물, 당귀추출물, 녹각추출물, 계피추출물, 금은화추출물, 익모초추출물, 길경추출물, 인삼추출물 및 홍삼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프로필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을 함유하여 흡연시와 유사하게 연기를 발생시키는 시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흡연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에탄올을 첨가하여 프로필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이 쉽게 기화되게 하므로 연기발생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목초액을 함유하여 담배와 유사한 향이나 담배성분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흡연시와 유사한 향이 나며, 타르, 일산화탄소 및 니코틴 등과 같은 담배 유해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 이러한 성분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목초액은 자율신경계의 안정화 효과,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산화방지 및 환원작용 효과, 담배 흡연시 나타나는 천식, 폐암 등의 호흡기 질환 예방효과가 있어 흡연할 때와 동일한 향을 느낌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기존의 담배는 고온에서 유기물질이 열분해, 열합성, 증류, 승화 등의 과정을 거쳐 여러 종류의 유해성분을 생성시키는데,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담배성분이 아닌 천연물질의 목초액을 함유하므로 유해성분을 생성시키지 않으므로 흡연시 주변 사람들에게 간접흡연으로 나타나는 피해를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참나무 목초액 제조
참나무를 가마솥에 넣고 120℃에서 탄화시킬때 발생하는 액체를 액화시켜 생성된 목초액을 6개월 숙성시킨 후, 활성탄으로 1차 여과하여 페놀 등 불순물을 제거하고 3회 증류시켜 메탄올 등을 제거한 후, 다시 활성탄으로 여과하여 페놀 등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참나무 목초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참나무 목초액 0.5㎏,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세린 48.5㎏ 및 에탄올 1㎏을 혼합하여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3>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은 실시예 3~13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3>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비교예 1~23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목초액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탄올 기타첨가제
실시예 2 0.5 50 48.5 1 -
실시예 3 2 47.5 47.5 3 -
실시예 4 4 45.5 45.5 5 -
실시예 5 6 43.5 43.5 7 -
실시예 6 8 41.5 41.5 9 -
실시예 7 10 39 39 12 -
실시예 8 10 35 43 12 -
실시예 9 10 43 35 12 -
실시예 10 6 41 41 7 5(멘톨)
실시예 11 6 41 41 7 5(레몬추출물)
실시예 12 6 41 41 7 5(페퍼민트추출물)
실시예 13 6 41 41 7 5(감초추출물)
비교예 1 - 44 44 12 -
비교예 2 10 - 78 12 -
비교예 3 10 78 - 12 -
비교예 4 10 45 45 - -
비교예 5 - - 88 12 -
비교예 6 - 88 - 12 -
비교예 7 - 50 50 - -
비교예 8 88 - - 12 -
비교예 9 10 - 90 - -
비교예 10 10 90 - - -
비교예 11 100 - - - -
비교예 12 0.1 40.5 47.4 12 -
비교예 13 15 36.5 36.5 12 -
비교예 14 20 34 34 12 -
비교예 15 10 30 48 12 -
비교예 16 10 60 18 12 -
비교예 17 10 65 13 12 -
비교예 18 10 48 30 12 -
비교예 19 10 18 60 12 -
비교예 20 10 13 65 12 -
비교예 21 10 44.5 45 0.5 -
비교예 22 10 36.5 36.5 17 -
비교예 23 10 34 34 22 -
<시험예 1>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의 기호도 평가
상기 실시예 2~13과 비교예 1~23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의 기호도 비교평가를 하였다. 남녀 흡연자 20명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금연보조제 카트리지에 상기 실시예 2~13과 비교예 1~23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이 각각 충전된 전자담배를 흡연하게 하였으며, 10점 척도법으로 흡연시와 유사한 연기 발생 정도와 향취를 기준으로 하여 기호도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2 : 아주 나쁨
4 : 나쁨
6 : 보통임
8 : 좋음
10 : 매우 좋음
구분 기호도
실시예 2 9.2
실시예 3 9.3
실시예 4 9.4
비교예 5 9.5
실시예 6 9.6
실시예 7 9.7
실시예 8 9.5
실시예 9 9.6
실시예 10 9.7
실시예 11 9.5
실시예 12 9.7
실시예 13 9.0
비교예 1 2.9
비교예 2 6.5
비교예 3 6.9
비교예 4 7.3
비교예 5 1.5
비교예 6 2.1
비교예 7 2.3
비교예 8 4.3
비교예 9 4.5
비교예 10 5.3
비교예 11 2.5
비교예 12 5.5
비교예 13 6.3
비교예 14 6.5
비교예 15 5.5
비교예 16 6.0
비교예 17 5.7
비교예 18 6.2
비교예 19 7.7
비교예 20 7.3
비교예 21 7.1
비교예 22 7.0
비교예 23 6.8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2~13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기호도가 9.2~9.7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1~23은 기호도가 1.5~7.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13의 금연보조제 액상 조성물은 목초액 0.5~1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5~55 중량%, 글리세린 35~55 중량% 및 에탄올 1~12 중량%로 첨가하여 흡연시와 동일하게 담배 향취가 나며 연기를 발생시므로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의 금연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2~9와 비교예 1~12, 15 및 20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에 따른 금연효과 비교평가를 하였다. 상기 실시예 2~9와 비교예 1~12, 15 및 20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을 비교대상으로 하였으며, 20~50세의 남녀 흡연자 5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대상(540명)에게 2010년 3월 1일부터 2010년 3월 30일(30일간)까지 시판 전자담배(에바코사) 내부 카트리지에 상기 실시예 2~9와 비교예 1~12, 15 및 20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이 충전된 전자담배와 여분의 충전물(실시예 2~9와 비교예 1~12, 15 및 20에서 제조된 각각의 조성물)을 각각 30명씩 그룹으로 나누어 제공하고 흡연욕구가 발생할 때마다 흡연하게 하였다. 평가항목은 금연성공여부, 금단현상의 발생여부이며,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금연성공여부 금단현상의 발생여부
급연(명) 흡연(명) 발생함(명) 발생하지 않음(명)
실시예 2 22 8 7 23
실시예 3 23 7 7 23
실시예 4 24 6 5 25
실시예 5 25 5 4 26
실시예 6 26 4 4 26
실시예 7 27 3 3 27
실시예 8 25 5 5 25
실시예 9 26 4 4 26
비교예 1 4 26 26 26
비교예 2 10 20 26 4
비교예 3 12 18 17 13
비교예 4 14 16 13 17
비교예 5 0 30 12 18
비교예 6 0 30 30 0
비교예 7 0 30 30 0
비교예 8 5 25 30 0
비교예 9 6 24 26 4
비교예 10 8 22 24 6
비교예 11 2 28 22 8
비교예 12 15 15 20 10
비교예 15 17 13 14 16
비교예 20 19 11 13 17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2~9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을 흡연한 흡연자 중 22명~27명이 금연에 성공하였으며, 3~7명에게서 금단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1~12, 15 및 20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을 흡연한 흡연자 중 0~19명이 금연에 성공하였으며, 12~30명에게서 금단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9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목초액,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탄올이 함유되어 있어 담배 흡연시와 동일하게 향취와 연기가 발생하므로 금연에 도움이 되며, 목초액은 담배성분(니코틴)을 함유하지 않으나 흡연자가 금연시 나타나는 니코틴에 대한 강력한 갈망, 긴장, 집중력 저하, 불안 및 흥분 증상을 개선하는 니코틴 대체 효과가 있어 금연시 니코틴에 따른 금단현상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의 충치균 및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 효과
3-1. 충치균에 대한 항균 효과
상기 실시예 2~7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의 충치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비교평가 하였다. 충치균(Streptococcus mutans KCTC3289)을 BHI (53.05% Brain Heart Infusion, 20% Calf brain, 25% beef heart, 1% proteose peptone, 0.2% dextrose, 0.5% sodium chloride, 0.25% disodium phosphate)배지를 사용하여 37℃의 배양기에서 12~24시간 배양한 후 이를 1.2×107cells/㎖ 균수를 조절하여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2~7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1g을 30% 설탕멸균수 10㎖에 용해하였다. 상기 용해액에 전배양한 1.2×107cells/㎖의 충치균(Streptococcus mutans KCTC3289)액 1㎖를 접종하였다. 상기 접종 후, 0분, 30분 및 1, 2, 4시간 간격으로 샘플을 취하여 BHI agar(33.7% Brain heart digest, 19.2% proteose peptone, 3.7% dextrose, 9.6% sodium chloride, 4.8% disodium phosphate, 28.8% Agar) 배지에 1㎖ 접종하여 24~48시간 배양한 후 충치균의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측정균수
0시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실시예 2 12,100,000 10,100,000 5,007,000 1,300,000 195,0000 9,800
실시예 3 12,100,000 8,500,000 3,600,000 750,000 10,300 520
실시예 4 12,100,000 7,000,000 2,200,000 180,000 190 35
실시예 5 12,100,000 6,200,000 1,500,000 110,000 105 11
실시예 6 12,100,000 5,600,000 910,000 63,000 51 0
실시예 7 12,100,000 3,800,000 730,000 23,000 11 0
비교예 1 12,100,000 10,050,000 12,800,000 13,030,000 9,800,000 108,000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2~7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목초액 함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치균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1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목초액 미함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치균 감소율이 실시예 2~7 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7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목초액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충치균에 대한 항균력이 뛰어나 흡연대용의 효과와 함께 충치균에 항균력이 있어 충치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2.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 효과
상기 실시예 2~7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조성물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비교평가 하였다. 치주질환균(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nucleatum KCTC 2640)의 전배양은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26.7% Tryptose, 26.7% Beef extract, 8.0% Yeast extract, 13.3% Dextrose, 13.3% Sodium chloride, 2.7% Soluble Starch, 1.3% Cysteine hydrochloride, 8.0% Sodium acetate)배지를 사용하여 37℃의 배양기에서 12~24시간 배양한 후 이를 2.5×106 cells/㎖ 균수를 조절하여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2~7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1g을 30% 설탕멸균수 10㎖에 용해하였다. 상기 용해액에 전배양한 2.5×106 cells/mL의 치주질환균(Fusobacterium nucleatum subsp. nucleatum KCTC2640)액 1㎖를 접종하였다. 상기 접종 후, 0분, 30분 및 1, 2, 4시간 간격으로 샘플을 취하여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19.0% Tryptose, 19.0% Beef extract, 5.7% Yeast extract, 9.5% Dextrose, 9.5% Sodium chloride, 1.7% Soluble Starch, 1.0% Cysteine hydrochloride, 5.7% Sodium acetate, 28.8% Agar)배지에 1㎖ 접종하여 24~48시간 배양한 후 치주질환균의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측정균수
0시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실시예 2 2,560,000 2,100,000 610,000 0 0 0
실시예 3 2,560,000 203,000 0 0 0 0
실시예 4 2,560,000 170,000 0 0 0 0
실시예 5 2,560,000 101,000 0 0 0 0
실시예 6 2,560,000 83,000 0 0 0 0
실시예 7 2,560,000 51,000 0 0 0 0
비교예 1 2,560,000 2,370,000 2,350,000 2,310,000 2,330,000 2,110,000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2~7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목초액 함유)은 실시예 2를 제외하고 모두 30분 경과 후 치주질환균이 완전히 사멸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1은 치주질환균이 완전히 사멸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7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목초액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력이 뛰어나 흡연대용의 효과와 함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어 치주질환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의 전자공여능 평가
상기 실시예 2~7에서 제조된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에 따른 전자공여능 비교평가를 하였다. Blois(4)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는데, 상기 실시예 2~7에서 제조된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각각 2㎖에 ×10-4M DPPH 1.0㎖를 넣고 볼텍스(vortex)한 후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phenolic acids와 flavonoids 및 기타 phenol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작용의 지표이며, 이러한 물질은 환원력이 큰 것일수록 전자공여능이 높다. 상기 전자공여능 비교평가에 사용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는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그것의 비공유전자로 인해 517㎚ 부근에서 최대 흡수 피크를 나타내며, 전자 또는 수소를 받으면 517㎚에서 흡광도가 감소하고,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이 이러한 라디칼을 환원시키거나 상쇄시키는 능력이 크면 높은 항산화 활성 및 활성 산소를 비롯한 다른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을 기대할 수 있있다.
전자공여능은 100-[(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100]으로 나타내었으며, 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전자공여능(%)
실시예 2 91
실시예 3 93
실시예 4 94
실시예 5 95
실시예 6 96
실시예 7 97
상기 표 6과 같이, 실시예 2~7(목초액 함유)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전자공여능이 91~9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실시예 2~7에서 제조된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은 목초액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전자공여능이 높게 나타나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7)

  1. 참나무 목초액 1~1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5~55 중량%;
    글리세린 35~55 중량%; 및
    에탄올 0.5~12 중량%;
    를 포함하는 것으로 흡연시와 동일하게 연기와 향취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조성물에 첨가제로서 멘톨, 겨자향, 레몬추출물, 페퍼민트추출물, 스피어민트추출물, 자스민추출물, 감초추출물 또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1~10 중량%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제.
KR1020100096184A 2010-10-04 2010-10-04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KR10099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84A KR100998486B1 (ko) 2010-10-04 2010-10-04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84A KR100998486B1 (ko) 2010-10-04 2010-10-04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486B1 true KR100998486B1 (ko) 2010-12-06

Family

ID=4351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184A KR100998486B1 (ko) 2010-10-04 2010-10-04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4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900B1 (ko) 2011-11-16 2012-10-29 이춘구 전자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2955A (ko) * 2015-01-28 2016-08-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CN117814267A (zh) * 2024-02-29 2024-04-05 山东夙沙高科生物有限公司 一种植物源杀菌剂、制备方法及应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900B1 (ko) 2011-11-16 2012-10-29 이춘구 전자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2955A (ko) * 2015-01-28 2016-08-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KR101991913B1 (ko) * 2015-01-28 2019-06-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CN117814267A (zh) * 2024-02-29 2024-04-05 山东夙沙高科生物有限公司 一种植物源杀菌剂、制备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872B1 (ko) 녹차를 주성분으로 한 담배대용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370340B1 (ko) 담배 대용 조성물
KR101208473B1 (ko) 전자 담배용 무화용액 조성물
KR20180068236A (ko) 전자담배용 액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Mirvish et al. Test of catechol, tannic acid, Bidens pilosa, croton oil, and phorbol for cocarcinogenesis of esophageal tumors induced in rats by methyl-n-amylnitrosamine
KR100998486B1 (ko) 목초액 함유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KR101257828B1 (ko) 다마스콘 함유 금연보조제 조성물
Siegel et al. On the use of Tagetes lucida and Nicotiana rustica as a Huichol smoking mixture: The Aztec" yahutli" with suggestive hallucinogenic effects
KR20090097069A (ko) 휘발성 액상담배 니코틴의 조성물
KR101193900B1 (ko) 전자 금연보조제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0957B1 (ko) 담배의 제조방법
CN108968134A (zh) 一种用于替代传统香烟和帮助戒烟的组合物
KR20220121937A (ko) 케나프 잎을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1254B1 (ko) 뽕잎을 주성분으로 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2214A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CN110373264A (zh) 一种用于烟草制品的含有工业大麻精油的组合物
CN108185507B (zh) 一种富含硒的烟草咀嚼片
KR100499288B1 (ko)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방법
CN108142983A (zh) 一种电子雾化液组合物及其应用
KR101685530B1 (ko) 오리나무를 이용한 금연보조제
KR100370390B1 (ko) 토근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
CN114652777A (zh) 一种用于缓解肺部炎症的电子雾化液及其制备方法
KR200324132Y1 (ko) 녹차잎을 이용한 담배 대용 끽연재
KR20010001890A (ko) 두충과 쑥을 이용한 끽연물 제조방법
WO2023008063A1 (ja) 電子タバコ用リキッド、および電子タバコ用リキッド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タバコ用カートリッジ、電子タバ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