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390B1 - 토근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 - Google Patents
토근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70390B1 KR100370390B1 KR10-2000-0013243A KR20000013243A KR100370390B1 KR 100370390 B1 KR100370390 B1 KR 100370390B1 KR 20000013243 A KR20000013243 A KR 20000013243A KR 100370390 B1 KR100370390 B1 KR 1003703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smoking
- basic
- alkaloid
- amou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근(Radix ipecauanhae)의 알칼로이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을 금연 프로그램에 적용할 경우 시험에 참가한 자원자 중 상당수가 오심의 상태를 느끼게 되어 흡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근(Radix ipecauanhae)의 알칼로이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토근(Radix ipecacuanhae)의 염기성 알칼로이드 분획 또는 염기성 에메틴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담배(Nicotiana tabacum의 잎), 회향 (Herba foeniculi), 익모초 (Herba leonuri), 잔대 (Herba adenophorae), 길초엽 (Folia valerianae), 병풀 (Herba centellae) 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보조 약제를 가미한 금연 유도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의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배에는 니코틴, 타르, 다이옥신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장기간에 걸쳐 흡연할 경우 특히 폐 계통의 질환 및 각종 암의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기호품이다.
이러한 담배를 끊기 위하여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금연약 또는 보조제가 개발되어 왔으나, 이들은 인체에 해를 미치거나 또는 금연을 성공적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보다 효율적인 금연 방법이나 금연 유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토근은 종래 최토제로써 해독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사용량에 따라서는 이질 치료, 거담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참조 문헌: Deutsches Arzneibuch, British Herbal Pharmacopea, Gerhardt Madaus's Lehrbuch der Biologischen Heilmittel, Georg Olms 1976). 그러나, 지금까지 이것이 금연 유도에 사용된 적은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효율적인 금연 유도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하던 중 토근의 염기성 알칼로이드 분획 또는 그의 구성 성분인 에메틴이 금연 유도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여러 가지 임상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근의 염기성 알칼로이드 분획 또는 에메틴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성분으로서 토근의 알칼로이드 분획 또는 에메틴 외에 여감자, 담배, 잔대엽, 병풀잎, 엉겅퀴엽, 회향, 익모초, 사삼, 길초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에 있어서 주성분으로는 구토성 성분인 토근(Cephaelis ipecacuanha의 뿌리, 吐根)의 알칼로이드 추출물을 사용한다. 토근은 꼭두선이과 (Rubiaceae)의 한 종으로서 그의 용도는 구토제 및 이질치료약 (anti-dysentry)으로 알려져 있다. 토근은 1.9 - 2.1%의 총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Deutsches Arzneibuch 9. Edition 1986; British Herbal Pharmacopeia 1979). 이 알칼로이드 추출물의 주성분으로는 에메틴(6',7',10,11-tetramethoxyemetan), 세팰린(cephaelin)이 주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의 주성분에서 토근 추출물은 염기성 알칼로이드 분획 또는 에메틴의 형태로 사용된다.
에메틴의 구토 작용 기전을 보면 다음과 같다: 에메틴은 위 및 장을 자극하여 최후야(最後野, area postremia)의 화학수용체 방아쇠 영역(chemo-receptor trigger zone)과 고속핵 (孤束核, solitary tract nucleus)의 5-HT3(5-hydroxytriptamine-receptor)에 신호 전달하고, 이때 발생하는 신호가 연수(延髓, Medulla oblongota)에 있는 구토 중추를 자극하고, 이는 다시 미주신경, 횡격신경 및 복부 근육신경을 통하여 오심을 거처 구토 상태에 이르게 한다 (참조문헌: Goodman Gilman,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th Edition 1996).
토근 중의 알칼로이드는 대개 산의 염으로 되어있음은 물론 시중의 에메틴도 염산 에메틴으로 되어 있다. 이들 염을 그대로 흡연하는 경우 산 부분은 연소시에 개스 상태의 산으로 변하여 구강과 기관지, 폐 등에 유해한 작용을 함은 물론, 산이 염산인 경우에는 식물성 방향족, 특히 페놀 및 연소시에 2차적으로 생성되는 페놀성 물질과 반응하여 유독성인 다이옥신계 물질을 생성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금연 유도 조성물에 있어서 토근 알칼로이드의 염 및 에메틴의 염은 염기성 알칼로이드로 변환시킨 다음 사용해야 한다.
염을 염기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인 알칼로이드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염기성 알칼로이드 복합물이 주로 함유된 분획을 얻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알칼로이드 분획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설명하자면, 토근 분말 일정량을 취하고 이를 헥산 등으로 탈지(脫脂)한 다음 남은 식물체에 암모니아 등 알카리류를 가하여 염기성이 되게한 다음 에테르 등의 물과 혼화되지 않는 용매로 추출한다. 이 추출물을 건조하여 직접 사용한다. 이 분획은 총알칼로이드 70-80 %를 함유한다. 또한 염산 에메틴을 물에 용해시킨 다음 에테르 등 물과 혼화되지 않는 용매로 추출하여 에메틴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에메틴 염산염의 진해거담 목적의 투여량은 에메틴 염산염 1일 1.0 - 1.5 mg 이며, 토근의 진해거담 목적의 사용량은 1일 0.03 - 0.15 g, 최토 목적의 사용량은 1회 0.5 - 1.0 g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물질을 금연의 목적에 맞도록 적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토근은 최토 작용 보다는 오심(惡心) 작용을 그 실제적 목적으로 두고 있으므로 최토 작용은 오히려 부작용으로 보고 있다. 토근의 최토(催吐) 목적의 투여량이 1 회에 0.5 - 1.0 g임에 비추어 금연 목적으로 사용되는 토근의 사용량은 최토 작용을 위한 것 보다 훨씬 작은 양이어야 된다. 이후 설명하는 니코틴과의 상승효과를 통하여 토근의 양, 즉 토근의 알칼로이드 흡입량을 대폭 줄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근의 알칼로이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염기성 알칼로이드 분획 0.01 내지 2 wt% 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 wt%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에메틴이 금연 유도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포함될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5 wt%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15 wt%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니코틴을 상기 금연 유도 조성물의 부형제로서 포함시킬 경우에는 이는 전체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의 양으로 첨가한다. 예컨대 조성물의 중량이 100 g이고, 토근의 알칼로이드 함량이 2000 mg일 경우, 엽연초는 98g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니코틴 성분을 함유한 연초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에 연초를 포함시키는 경우 이는 부형제의 기능 외에 담배 고유의 성질을 부여할 수 있다. 니코틴은 복잡하고 예상 불가능한 작용 기전을 갖고 있다. 이 물질은 다양한 신경전달 체계에 작용할 뿐만아니라, 작용량에 따라 수용체를 자극하기도 하고 탈감각작용도 한다. 보통 흡연을 통하여 흡수되는 니코틴의 양은 탈감각 작용의 상태에는 이르지 않고 수용체의 자극과 흥분 상태를 유발시킨다. 니코틴의 구토 작용은 에메틴과 같은 기전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니코틴의 구토 기전은 연수(medulla oblongata) 내 최후야(area postremia)의 구토성 화학수용체 방아쇠 영역을 자극하여 구토작용. 또한 반사작용을 받아들이는 미주(vagal) 및 척수(spinal) 신경 (afferent)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구토를 촉진시킨다.
에메틴 및 니코틴의 작용 기전은 공통 경로를 거치는 신경 영역이 많은 것으로 보아, 이 두 물질은 상승 작용, 또는 상가 작용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니코틴을 엽연초의 형태로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에 포함시킬 경우, 이는 통상의 담배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형제로서 포함되는 양, 예를 들면 금연 유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이 100 g이고, 주성분으로서 에메틴의 함량이 500 mg일 경우 엽연초는 99.5g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에 함유된 니코틴의 함량 만으로도 상가 또는 상승작용을 나타내기에 충분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의 일면에 의하면 엽연초의 대용으로 흡연이 가능한 식물성 재료를 첨가하여 금연 유도 조성물을 조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처방의 경우 부피의 대부분을 이루는 식물 재료로는 잔대엽(Herba adenophorae의 잎), 병풀잎(Herba centella asiaticae), 엉겅퀴엽(Circii herb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은 식물성 페놀이 적게 함유한 식물을 선택하였다. 잔대엽은 넓은 잔대(Adenophora triphyllavar. japonica)의 잎으로서 도라지과에 해당하고, 사포닌류를 주로 함유하고 있다. 그의 용도로는 거담(去痰), 치폐(治肺), 인후염치료(咽喉炎治療)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풀잎의 사용은 흡연으로 인한 상피세포의 손상을 방지 또는 치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금연 유도에는 미각, 방향성, 진정작용 등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의 성분들을 첨가해도 좋으며, 이러한 성분들로서는 회향 (Herba foeniculae), 여감자(Fructus Phyllanthus emblicae), 길초엽 (Herba valerianae), 익모초 (Herba leonuri sibiricus) 또는 담배향 등을 들 수 있다. 회향은 방향성을 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미나리과에 속하는 대회향 (Foeniculum vulgaris, 大茴香)의 잎을 사용한다. 이것의 열매는 주로 방향제, 복통, 통경, 요통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의 뿌리에는 아네쏠(anethole), 펜콘(fenchone), 펠란드렌(phellandrene) 등 정유 성분 3 - 6%가 포함되어 있다. 여감자 (Fructus Phyllanthus emblicae, 餘甘子)의 추출물은 맛을 낼뿐만 아니라 흡연으로 자극되어 있는 목 및 기관지에 대하여 진정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으로서 첨가한다. 이는 비타민 C, 갈로탄닌(gallotannin)류를 1.0 - 1.8%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에 정신적 안정을 도모하고자 길초엽 (Herba valerianae)을 첨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습관되지 않는 비연초성 궐련의 맛을 위장하기 위하여 고미(苦味)를 갖는 익모초 (Herba Leonuri sibiricus)와 담배향을 첨가한다. 익모초에는 레오뉴린(leonurine) 등 익모초 알칼로이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월경부조, 수종창만, 청혈해독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열거한 보조 약재의 양은 부작용은 나타내지 않고 목적하는 유리한 효과만을 나타내는 범위내에서 특별히 한정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약재들은 흡연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삭제할 수도 있고, 양적 가감을 행할 수도 있다. 이들의 양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면 상기한 바의 엽연초와 같은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예를 들면 이들 보조 약제를 금연 유도 조성물에 첨가하고자 할 경우, 유효 성분으로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토근의 염기성 알칼로이드 분획 0.01 - 2 wt% 또는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염기성 에메틴 0.005 - 0.5 wt%와 나머지 중량의 상기 보조 성분을 혼합하여 궐련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금연 궐련의 처방구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일정량의 엽연초에 여러 농도의 토근에서 추출한 염기성 알칼로이드 분획을 혼합하는 방법이다. 시판되는 상태의 궐련 1개비 (필터를 뺀 무게 0.8 - 1.0g)에 대하여 알칼로이드 분획 또는 에메틴을 여러 단계의 양으로 혼합한다. 알칼로이드 함유량은 본 발명의 목적에서 보면 사실상의 부작용으로 생각해야 되는 최토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의 양이어야 한다. 알칼로이드의 투여량의 다양성은 흡연자의 예민도를 고려하여 개인차에 따라서 최적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 궐련의 제조에 있어서 두가지의 적용 방법을 고려했다. (1) 토근의 염기성 총 알칼로이드 복합물 또는 에메틴을 담배와 동시에 혼합해 주는 방법과, (2) 토근의 염기성 총 알칼로이드 복합물 또는 에메틴으로 구성된 궐련을 만들고 이를 미리 흡연시켜 화학 수용체 유발대역(trigger zone)을 미리 예민하게(sensitize) 해놓은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담배를 피워 니코틴을 작용하게 하여 상승 효과를 유발시키는 방법 등이 그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험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금연 유도의 구성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토근으로 부터 염기성 알칼로이드 분획의 제조
토근 분말 1000g을 5000 ml 크기의 속스레트 추출기에 넣고 2000 ml 헥산으로 3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어서, 헥산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남은 잔류 토근으로부터 잔류 헥산을 제거한 다음 토근 분말을 5000 ml 크기의 교반 추출기에 가하여 메탄올 2000 ml로 40 ℃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출물을 여과하고 토근 잔류물을 같은 방법으로 2회 더 추출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을 합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잔류물 35 g을 얻었다. 잔류물을 물 500 ml에 현탁시키고 여기에 0.1 N-수산화 나트륨을 가하여 pH를 약 7.0 ∼ 7.5으로 조절한 후, 에테르 500 ml 씩으로 2회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에테르 추출액을 얻고, 이것을 물 100 ml으로 2회 세척한 후 건조하여 알칼로이드 분획 18g을 얻었다 (총 알칼로이드 분획). 이 분획을 독일약전 (Deutsches Arzneibuch 9. Ausgabe 1986) 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80%의 총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2: 이염산 에메틴으로 부터 에메틴의 제조
이염산 에메틴(5분자 결정수 함유) 5 g을 물 100 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0.1 N 수산화 나트륨을 가하여 pH를 7.5로 조정하고 에테르 100 ml 씩으로 3회 추출하였다. 에테르를 제거하고 남은 에메틴의 양은 약 4 g이었다 (에메틴).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은 총 알칼로이드 10 mg을 40% 에탄올 10 ml에 용해시킨 다음 시중에서 판매되는 궐련 용 담배 100g에 분무하고 혼합하였다. 총 수분의 함량이 10 ∼ 12%가 되게 조절하였다. 이 혼합물로 부터 궐련 100 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8
알칼로이드 분획 및 에탄올 함량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준하여 하기 실시예 2 내지 18의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 알칼로이드의 양 | 에탄올의 양 |
2 | 20 mg | 10 ml |
3 | 40 mg | 10 ml |
4 | 60 mg | 10 ml |
5 | 100 mg | 15 ml |
6 | 150 mg | 10 ml |
7 | 200 mg | 20 ml |
8 | 250 mg | 20 ml |
9 | 300 mg | 20 ml |
10 | 400 mg | 25 ml |
11 | 500 mg | 30 ml |
12 | 600 mg | 30 ml |
13 | 700 mg | 30 ml |
14 | 800 mg | 30 ml |
15 | 900 mg | 30 ml |
16 | 1000 mg | 30 ml |
17 | 1500 mg | 30 ml |
18 | 2000 mg | 30 ml |
실시예 19
제조예 2에서 얻은 에메틴 5 mg을 40% 에탄올 2 ml에 용해시킨 다음 시판 궐련용 연초 100g에 분무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의 수분 함량이 약 10 - 12%가 되게 조절한 다음 궐련 100 개를 만들었다.
실시예 20-30
에메틴 및 에탄올 함량을 다음의 표 2에 나타낸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의 방법에 준하여 하기 실시예 20 내지 30의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 에메틴의 양 | 에탄올의 양 |
20 | 10 mg | 2 ml |
21 | 20 mg | 2 ml |
22 | 50 mg | 10 ml |
23 | 100 mg | 10 ml |
24 | 130 mg | 10 ml |
25 | 150 mg | 15 ml |
26 | 200 mg | 20 ml |
27 | 250 mg | 20 ml |
28 | 300 mg | 20 ml |
29 | 400 mg | 30 ml |
30 | 500 mg | 30 ml |
제조예 3: 여감자 엑기스의 제조
여감자 1000 g을 5000 ml 크기의 교반 추출기에 넣고 95% 에탄올 3000 ml 씩으로 3회 추출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을 증발 농축시키고 남은 엑기스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4: 원료의 세절과 수분 조절
수분 함량이 약 20%인 잔대엽, 익모초, 회향, 길초엽, 병풀엽 및 엉겅퀴를 연초용 세절기로 세절한 다음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5% 정도가 되도록 건조시켰다.
제조예 5: 원료 혼합물 1, 2 및 3의 제조
원료 혼합물 1은 제조예 4에서 얻은 잔대엽 50 g, 익모초 15 g, 대회향 5 g, 길초엽 1 g, 담배향 10 mg, 제조예 3에서 얻은 여감자 엑기스 5g을 혼합하였다(원료 혼합물 1). 원료 혼합물 2는 제조예 4에서 얻은 잔대엽 25 g, 병풀엽 25g, 익모초 15g, 대회향 5g, 길초엽 1g, 담배향 10mg, 제조예 3에서 얻은 여감자 엑기스 5g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원료 혼합물 2). 원료 혼합물 3은 제조예 4에서 얻은 잔대엽 25 g, 엉겅퀴엽 25g, 익모초 15g, 대회향 5g, 길초엽 1g, 담배향 10mg, 및 제조예 3에서 얻은 여감자 엑기스 5g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원료 혼합물 3).
실시예 31
제조예 1에서 얻은 총 알칼로이드 분획 10 mg을 40% 에탄올 2 ml에 용해시킨 다음 제조예 5의 원료 혼합물 1에 분무한 후 잘 혼화시키고 건조하여 에탄올을 증발시킨 다음 수분 함량이 10-12%가 되게 조절하였다. 이로부터 궐련 76 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2-58
알칼로이드 분획, 에탄올 함량 및 원료 혼합물을 다음의 표 3에 나타낸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의 방법에 준하여 하기 실시예 32 내지 58의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 알칼로이드의 양 | 에탄올의 양 | 제조예 5의원료 혼합물 |
32 | 20 mg | 2 ml | 1 |
33 | 40 mg | 10 ml | 1 |
34 | 60 mg | 10 ml | 1 |
35 | 100 mg | 15 ml | 1 |
36 | 150 mg | 15 ml | 1 |
37 | 200 mg | 15 ml | 1 |
38 | 250 mg | 15 ml | 1 |
39 | 300 mg | 15 ml | 1 |
40 | 10 mg | 2 ml | 2 |
41 | 15 mg | 2 ml | 2 |
42 | 20 mg | 2 ml | 2 |
43 | 40 mg | 10 ml | 2 |
44 | 60 mg | 10 ml | 2 |
45 | 100 mg | 15 ml | 2 |
46 | 150 mg | 15 ml | 2 |
47 | 200 mg | 15 ml | 2 |
48 | 250 mg | 15 ml | 2 |
49 | 300 mg | 15 ml | 2 |
50 | 10 mg | 2 ml | 3 |
51 | 20 mg | 2 ml | 3 |
52 | 40 mg | 10 ml | 3 |
53 | 60 mg | 10 ml | 3 |
54 | 100 mg | 15 ml | 3 |
55 | 150 mg | 15 ml | 3 |
56 | 200 mg | 15 ml | 3 |
57 | 250 mg | 15 ml | 3 |
58 | 300 mg | 15 ml | 3 |
실시예 59
제조예 2에서 얻은 에메틴 10 mg을 40% 에탄올 2 ml에 용해시킨 다음 제조예 5에서 얻은 원료 혼합물 1에 분무하여 혼합하고 에탄올이 없어질때까지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이 혼합물의 수분 함량이 약 10 - 12%가 되게 조절한 다음 궐련 76 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0-82
에메틴, 에탄올 함량 및 원료 혼합물을 다음의 표 4에 나타낸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9의 방법에 준하여 하기 실시예 60 내지 82의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 에메틴의 양 | 에탄올의 양 | 제조예 5의원료 혼합물 |
60 | 20 mg | 2 ml | 1 |
61 | 50 mg | 2 ml | 1 |
62 | 70 mg | 10 ml | 1 |
63 | 100 mg | 10 ml | 1 |
64 | 130 mg | 10 ml | 1 |
65 | 150 mg | 15 ml | 1 |
66 | 200 mg | 20 ml | 1 |
67 | 250 mg | 20 ml | 1 |
68 | 300 mg | 20 ml | 1 |
69 | 400 mg | 30 ml | 1 |
70 | 500 mg | 30 ml | 1 |
71 | 10 mg | 2 ml | 2 |
72 | 20 mg | 2 ml | 2 |
73 | 50 mg | 2 ml | 2 |
74 | 70 mg | 10 ml | 2 |
75 | 100 mg | 10 ml | 2 |
76 | 130 mg | 10 ml | 2 |
77 | 150 mg | 15 ml | 2 |
78 | 200 mg | 20 ml | 2 |
79 | 250 mg | 20 ml | 2 |
80 | 300 mg | 20 ml | 2 |
81 | 400 mg | 30 ml | 2 |
82 | 500 mg | 30 ml | 2 |
제조예 6: 원료 혼합물 4, 5 및 6의 제조
제조예 5에서 여감자를 제외시켜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즉, 원료 혼합물 4는 제조예 4에서 얻은 잔대엽 50 g, 익모초 15 g, 대회향 5 g, 길초엽 1g, 담배향 10m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고(원료 혼합물 4), 원료 혼합물 5는 제조예 4에서 얻은 잔대엽 25 g, 병풀엽 25g, 익모초 15g, 대회향 5g, 길초엽 1g, 담배향 10m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원료 혼합물 5), 원료 혼합물 6은 제조예 4에서 얻은 잔대엽 25 g, 엉겅퀴엽 25g, 익모초 15g, 대회향 5g, 길초엽 1g, 담배향 10m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원료 혼합물 6).
실시예 83
제조예 1에서 얻은 총 알칼로이드 분획 10 mg을 40% 에탄올 2 ml에 용해시킨 다음 제조예 6의 원료 혼합물 4에 분무한 후 잘 혼화하고 건조하여 에탄올을 증발시킨 다음 수분 함량이 10-12%가 되게 조절하였다. 이로부터 궐련 76 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4-109
알칼로이드, 에탄올 함량 및 원료 혼합물을 다음의 표 5에 나타낸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3의 방법에 준하여 하기 실시예 84 내지 109의 궐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 알칼로이드의 양 | 에탄올의 양 | 제조예 6의원료 혼합물 |
84 | 20 mg | 2 ml | 4 |
85 | 40 mg | 10 ml | 4 |
86 | 60 mg | 10 ml | 4 |
87 | 100 mg | 15 ml | 4 |
88 | 150 mg | 15 ml | 4 |
89 | 200 mg | 15 ml | 4 |
90 | 250 mg | 15 ml | 4 |
91 | 300 mg | 15 ml | 4 |
92 | 10 mg | 2 ml | 5 |
93 | 20 mg | 2 ml | 5 |
94 | 40 mg | 10 ml | 5 |
95 | 60 mg | 10 ml | 5 |
96 | 100 mg | 15 ml | 5 |
97 | 150 mg | 15 ml | 5 |
98 | 200 mg | 15 ml | 5 |
99 | 250 mg | 15 ml | 5 |
100 | 300 mg | 15 ml | 5 |
101 | 10 mg | 2 ml | 6 |
102 | 20 mg | 2 ml | 6 |
103 | 40 mg | 10 ml | 6 |
104 | 60 mg | 10 ml | 6 |
105 | 100 mg | 15 ml | 6 |
106 | 150 mg | 15 ml | 6 |
107 | 200 mg | 15 ml | 6 |
108 | 250 mg | 15 ml | 6 |
109 | 300 mg | 15 ml | 6 |
실험예
특별한 질환이 없는 건강한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의 금연 유도 효과에 관하여 시험하였다. 금연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원자들 중에서 40명을 무작위로 선발하여 금연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이중 맹시험에 따라 자원자를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는 본 발명의 금연처방 궐련(실시예 4의 궐련)을 제공하고 다른 그룹에 대해서는 통상의 니코틴을 포함하는 모의 처방의 궐련을 제공하였다. 금연 프로그램을 시행하기에 앞서 각 개인의 흡연 성향에 대한 설문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필요한 양의 금연 유도 궐련을 제공하였다. 실험 자원자들의 흡연 성향을 주당 1회씩 점검하여 6주 동안 점검하고, 그 결과를 다음의 표 6 에 나타냈다.
시간(주)의 경과에 따른 흡연 포기자의 수 | 누 계 | ||||||
1 | 2 | 3 | 4 | 5 | 6 | ||
본 발명의 금연 처방 조성물 | 4 | 4 | 3 | 1 | 0 | 0 | 12/20 |
모의 금연 처방 조성물 | 2 | 1 | 1 | 0 | 0 | 0 | 4/20 |
이상의 결과로부터, 금연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6주후의 시점에서 시험한 자원자들 중 60%가 흡연에 대한 욕구가 없었으며, 모의 처방의 경우에는 20%가 흡연 욕구를 가지지 않았다. 금연에 성공한 시험자들은 금단 증상, 불안감, 감정의 변화 등이 없는 상태로 담배의 사용을 중단하였다.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의 사용에 의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약용량 보다 훨씬 낮은 양의 에메틴과 보통 흡입하는 니코틴의 양을 동시에 투여하든지, 또는 에메틴을 먼저 투여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흡연케 하면 흡연자는 오심의 상태 또는 거부감의 상태에 이르게 되어 결국 금연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연 유도 조성물을 사용하여 특별한 부작용이 없이 흡연에 대한 욕구를 감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 토근의 염기성 알칼로이드 분획 또는 염기성 에메틴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알칼로이드 함량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 wt%이거나, 염기성 에메틴의 함량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5 wt%인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알칼로이드 함량이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0.3wt% 이거나, 염기성 에메틴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15wt%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보조 약제로서 담배잎, 여감자, 잔대엽, 익모초, 회향, 길초엽, 병풀엽 및 엉겅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 삭제
-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금연 유도용 궐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3243A KR100370390B1 (ko) | 2000-03-16 | 2000-03-16 | 토근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3243A KR100370390B1 (ko) | 2000-03-16 | 2000-03-16 | 토근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0202A KR20010100202A (ko) | 2001-11-14 |
KR100370390B1 true KR100370390B1 (ko) | 2003-01-29 |
Family
ID=4578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13243A KR100370390B1 (ko) | 2000-03-16 | 2000-03-16 | 토근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703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0921A (ko) * | 2001-06-21 | 2001-07-27 | 조대훈 | 금연을 돕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
KR20040022763A (ko) * | 2002-09-07 | 2004-03-18 | 최은규 | 한약재를 이용한 금연제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96418A (ja) * | 1985-10-23 | 1987-05-02 | Sawai Yoko | 薬用チユ−インガム |
KR890001578A (ko) * | 1987-07-29 | 1989-03-27 | 김영설 | 소화기관용 약제 및 그 제조방법 |
JPH11310535A (ja) * | 1998-03-23 | 1999-11-09 | Dalmia Centre For Biotechnol | 慢性狭窄性肺疾患、気管支炎及び呼吸器疾患を治療する薬用植物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の製造方法 |
KR20000056383A (ko) * | 1999-02-19 | 2000-09-15 | 정삼섭 | 담배금연 보조용 생약제 |
-
2000
- 2000-03-16 KR KR10-2000-0013243A patent/KR1003703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96418A (ja) * | 1985-10-23 | 1987-05-02 | Sawai Yoko | 薬用チユ−インガム |
KR890001578A (ko) * | 1987-07-29 | 1989-03-27 | 김영설 | 소화기관용 약제 및 그 제조방법 |
JPH11310535A (ja) * | 1998-03-23 | 1999-11-09 | Dalmia Centre For Biotechnol | 慢性狭窄性肺疾患、気管支炎及び呼吸器疾患を治療する薬用植物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の製造方法 |
KR20000056383A (ko) * | 1999-02-19 | 2000-09-15 | 정삼섭 | 담배금연 보조용 생약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0202A (ko) | 2001-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78299B2 (en) | Green tea-based substitute for cigaret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370340B1 (ko) | 담배 대용 조성물 | |
KR20000038203A (ko) | 니코틴이 없는 담배 | |
DE202008005433U1 (de) | Kauzusammensetzung | |
US5513663A (en) | Tobacco substitutes | |
US7534454B2 (en) | Anti-cigarette herbal formulation as an antidote to tobacco | |
CN114652777A (zh) | 一种用于缓解肺部炎症的电子雾化液及其制备方法 | |
US6497234B1 (en) | Herbal composition as a substitute for tobacco | |
US6776169B1 (en) | Ginkgo biloba L. leaves cigarette | |
KR100274825B1 (ko) | 금연겸용 끽연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370390B1 (ko) | 토근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금연 유도 조성물 | |
CN107485673A (zh) | 以中药厚朴刺蒺藜等或其萃取成分为主配方的戒烟溶液 | |
CN108142983A (zh) | 一种电子雾化液组合物及其应用 | |
CN115721685A (zh) | 一种彼岸花的药物组合物和用途 | |
WO2004068974A1 (en) | A process of preparing a herbal filler composition for bidi cigarette and the like | |
US6552035B2 (en) | Composition for inducing smoking cessation comprising alkaloids from Radix ipecauanhae | |
US5130132A (en) |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nicotine dependency | |
CN1141042C (zh) | 人造低毒性烟基质 | |
DE102014007505A1 (de) | Nahrungs-und/oder Genussmittel vorzugsweise zur Raucherentwöhnung | |
CN110373264A (zh) | 一种用于烟草制品的含有工业大麻精油的组合物 | |
RU2736490C2 (ru) | Гомеопа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отвыкания от курения | |
RU2066196C1 (ru) | Средство "антиник" для облегчения отвыкания от табакокурения и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их бронхолегоч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курильщиков | |
JP3068084B1 (ja) | タバコ代用組成物 | |
Sanjeev et al. | Tobacco (Nicotiana tabacum)-A systemic review | |
KR20070075191A (ko) | 뽕잎을 주성분으로 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16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