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606A -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606A
KR20100114606A KR1020090033058A KR20090033058A KR20100114606A KR 20100114606 A KR20100114606 A KR 20100114606A KR 1020090033058 A KR1020090033058 A KR 1020090033058A KR 20090033058 A KR20090033058 A KR 20090033058A KR 20100114606 A KR20100114606 A KR 2010011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taphylococcus aureus
extract
cockscomb
anima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소미
구현옥
이명헌
지순옥
최보현
임숙경
남향미
장금찬
김재명
이재일
박성숙
손성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Priority to KR102009003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606A/ko
Publication of KR2010011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젖소 유방염의 주요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뿐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도 탁월한 성장발육 억제효과가 있어, 세균성 동물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동물용 항생항균제의 지속적 사용으로 인한 내성균 출현 등 공중보건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천연물질 유래 대체약물로 동물용의약품, 사료첨가제 등으로 개발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기능성보조사료 및 천연소독약 분야와 같은 동물의약산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맨드라미, 황색포도상구균, 최소억제농도, 동물사료

Description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Staphylococcus aureus}
본 발명은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 자생식물인 맨드라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종종 "스태프(staph)," "스태프. 아우레우스(Staph. aureus)" 또는 "에스. 아우레우스"로도 불리며, 건강한 개체의 피부 상에 또는 코에 일반적으로 보균되는 미생물로서, 임의의 지정 시점에서 집단의 대략 20∼30%가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집락화되며, 미국 내의 황색포도상구균의 50%를 초과하는 균주가 현재 메티실린-내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면, 1999년도에 미국 국립 병원 감염 감시 시스템(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Surveillance System, NNISS)에 보고된 모든 황색포도상구균 단리물 중 54.5%가 메티실린 내성이었다. 또한, 미국 질병 관리 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에서는 2002년도에 미국에서 대략 100,000건의 원내 MRSA 감염 사례가 있었고, 이러한 감염 문제는 오히려 악화된다고 추정하고 있다. 특정 아시아 및 유럽 국가에서 메티실린-내성률은 훨씬 더 크다(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72% MRSA율; 홍콩에서는 74%). 이와 더불어, 상기 황색포도상구균은 젖소 유방염의 중요한 원인균 중 하나로서, 수의학 분야에서도 매우 주목하고 있는 세균 중 하나이다.
젖소에 발생하는 유방염은 자연계에 분포되어 있는 여러 가지 미생물 감염에 의해 유선조직에 염증이 유발되는 질병으로서, 증상의 정도에 따라 유량감소, 유질저하, 발열, 식욕감퇴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심한 경우에는 젖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전염성이 있어 폐사되는 위기에까지 처하게 된다. 유방염으로 인한 유량감소 및 유질저하는 낙농가의 경제적 손실과 직접 관련되며, 특히 유질에 따라 유대를 차등지불하는 현행 제도하에서는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젖소의 유방염 치료에는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 및 화학요법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주로 연고상의 약제를 유두구를 통해 유방내로 주입해서 치료하는 방법을 취해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기존의 항생제나 화학요법제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각종 유방염 원인균에 내성이 생기게 되어 약효가 발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방내 정상적인 균총에 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항생제 또는 화학요법제의 투여로 유방의 저항성 저하 및 유방내 미생물총, 특히 세균총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어, 최근에는 아스퍼질러스속, 칸디다속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진균감염증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진균들은 연쇄상구균 등의 세균들과 중복감염을 일으켜 유방염을 만성화시켜 치료불능의 상태로까지 진행시키 게 된다. 또한, 종래의 항생제 및 화학요법제는 비유기에 투여할 경우 원유 및 젖소체내의 약물잔류 문제로 투여후 반드시 별도의 휴약기간을 설정할 것이 요구되었으며, 이 기간동안에는 우유를 납품할 수 없어 낙농가에는 큰 경제적 손실이 되어 왔다. 이밖에도 종래의 연고상 유방염치료제는 주로 기제로 유성물질을 사용하였으므로 우유중에 기름이 뜨는 수가 있어 이로 인한 우유의 손실 또한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로 인해 최근에는 가축에 항생항균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강력하게 규제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수의학 분야에서도 국내자생식물을 이용하려는 학술 및 임상학적 연구가 시도되는 등, 새로운 대체물질 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맨드라미는 일반적으로 화단용 또는 분화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화종으로서, 미국, 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열대 및 아열대지역이 원산지이며, 60여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많이 재배되고 이용되는 맨드라미의 품종은 흔히 닭벼슬 모양 또는 둥근 모양의 둥근 맨드라미라고 하는 Celosia cristata 종, 깃털 맨드라미라고 하는 Celosia plumosa 종, 우리나라에서 널리 분포하며 개맨드라미라고 불리는 Celosia argentea 종 및 이들의 교잡종들이 있으며, 국내에 자생하는 개맨드라미는 제주 및 남부지방을 위시하여 경기도 등 중부지방에도 일부 분포한다. 국내 자생 개맨드라미는 약용효과로도 그 이용가치가 커서 경엽(莖葉) 및 근(根)은 청상, 종자를 청상자(靑箱子)라고 하고, 화서(花序)는 청상화라하여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맨드라미 추출물에는 10% 정도의 수산(蓚酸)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종자는 8-10월에 채취하는데 지방유(脂肪油)와 풍부한 황산칼륨과 니코틴산이 함유 되어 있다(Lee CB, Illustrated flora of Korea, 향문사, 서울, p321, 1999). 또한, 최근에는 맨드라미 추출물이 바이러스로 인한 동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60028호). 그러나, 현재까지 맨드라미를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인해 야기되는 동물 질환, 특히 젖소 유방염의 예방이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는 보고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학술 및 수의임상학적으로 약리효과가 검증된 국내 자생식물인 맨드라미 추출물이 동물 질환, 특히 젖소 유방염의 주요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뿐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도 탁월한 성장발육 억제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천연물 유래 동물용 의약품, 사료용 첨가제 및 기능성 보조사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탁월한 억제 효과를 갖는 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맨드라미는 둥근 맨드라미, 깃털 맨드라미, 개맨드라미 또는 이들의 교잡종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맨드라미 추출물은 조추출물 또는 유기용매 가용 추출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조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기용매 가용 추출물은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부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헥산으로 추출한 추출물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맨드라미 조추출물은 맨드라미를 채집하여 물로 수세한 후 음건하고, 이를 잘게 마쇄하여 맨드라미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 부피의 물, 에탄올 및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의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약 4℃ 내지 100℃에서 약 1시간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열수 추출, 환류 순환 추출, 가압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여 감압여과, 원심분리하고, 이를 다시 저급 알코올의 극성용매 또는 혼합용매로 추출한 후 이를 농축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맨드라미 유기용매 가용 추출물은 맨드라미를 채집하여 물로 수세한 후 음건하고, 이를 잘게 마쇄하여 맨드라미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 부피의 물, 에탄올 및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의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각 용매의 끓는점에서 약 1시간 내지 1일, 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 열수 추출, 환류 순환 추출, 가압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여 감압여과,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진공농축한다. 이를 다시 소량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용해한 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의 유기용매와 증류수를 동량으로 혼합한 혼합용매로 추출하고, 이를 농축함으로써 맨드라미 유기용매 가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맨드라미 유기용매 가용 추출물은 극성용매인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비극성용매인 헥산을 이용하여 추출되며, 7가지 다른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맨드라미 추출물은 항균 효과, 바람직하게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추출용매에 따른 항균 효과는 극성용매 추출물 중에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추출물이, 비극성용매 추출물 중에서는 헥산 추출물이 아주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황색포도상 구균 유래 질병, 바람직하게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매우 적합하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돼지나 닭에서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사람에게 전이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비의도적 감염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어 동물에서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젖소 유방염의 주요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뿐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도 탁월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2 및 표 3 참조). 또한, 상기 맨드라미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투여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맨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 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동물의 연령,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 ㎎/㎏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맨드라미 추출물은 20 내지 90%의 고농축액,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동물사료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물사료 첨가제는 구연산, 푸말산, 아디프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각종 보조제가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 성분, 건조 첨가제를 모두 혼합한 후, 액체 성분과, 가열 후에 액체가 되는 성분, 즉 지질,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해 임의로 액화시킨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 등과 같은 주성분 이외에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과 같은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는 또한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로,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주사 또는 경피로 또는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독 일일 투여량 또는 분할 일일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를 동물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맨드라미 추출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을 비-독성 제약상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석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추출물의 투여형은 정제, 캡슐제, 산제, 토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연 젤라틴 캡슐제, 또는 시럽제 또는 액체 현탁액제,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투여 형태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물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동물사료는 동물의 식이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 곡분일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 곡분 또는 옥수수/콩 곡분 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는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동물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 사료용 첨가제 및/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이는 상업상 중요한 포유류, 예를 들어 소, 돼지, 양, 염소, 실험용 설치 동물(랫트, 마우스, 햄스터 및 게르빌루스쥐), 모피 소유 동물(예, 밍크 및 여우) 및 동물원 동 물(예, 원숭이 및 꼬리 없는 원숭이) 뿐만 아니라 가축(예, 고양이 및 개)에게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업상 중요한 가금에는 닭, 터키,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가 포함된다. 송어와 같은 상업적으로 사육되는 어류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배합 방법의 한 예로는 맨드라미 추출물을 동물 사료에 건조 중량 기준으로 사료 1 ㎏당 약 1 g 내지 100 g의 양으로 혼입한다. 사료 혼합물은 완전히 혼합한 후, 성분들의 분쇄 정도에 따라 경점성의 조립 또는 과립 물질이 얻어진다. 이것을 매시로서 공급하거나, 또는 추가 가공 및 포장을 위해 원하는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때, 저장 중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물 사료에 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통상의 펠릿화, 팽창화, 또는 압출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잉의 물은 건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색포도상구균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황색포도상구균 소독용 조성물은 제제에 따라 첨가가 가능한 공지의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색포도상구균 소독용 조성물은 액제 또는 정제로 제조가 가능하며, 액제의 경우 동물 관련 시설 및 동물에 직접 분사용 소독제로서 뿐만 아니라 방제용 약제로 제공될 수 있고, 타블렛의 경우 동물 관련 시설 또는 위생을 요하는 접객 업소 등에서 손 및 기구 등의 세척을 위한 소독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 가능한 공지의 첨가제의 예로 는, 액상 배합의 경우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이 있다. 특히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자체적으로 소독력을 갖고, 인체에 무해하며, 특히 상기 약리 작용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 균일한 분산을 목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들 알코올의 유효 첨가량으로는 1.0 중량% 내지 4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내지 3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액상 배합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 소독제를 용해 및 분산시킬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제수의 함량은 첨가되는 성분의 함량이 정해지고 난 이후의 잔여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맨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젖소 유방염의 주요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뿐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도 탁월한 항균 효과가 있어, 동물용 항생항균제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내성균 출현 등과 같은 공중보건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천연물질 유래 대체제로서, 동물용의약품, 사료 첨가제, 기능성 보조사료 및 천연 소독약 등의 동물의약산업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 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탄올을 이용한 맨드라미 조추출물의 제조
맨드라미를 음건하여 건조한 후 세절한 적량을 10배의 에탄올로 4℃에서 3일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 No.1)로 여과하고, 잔사에 다시 5배의 에탄올을 넣고 2회 추출을 반복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모아 농축하여 맨드라미 조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극성 및 비극성용매를 이용한 맨드라미 유기용매 추출물의 제조
맨드라미를 음건하여 건조한 후 세절한 적량을 10배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각 용매의 끓는점에서 4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 No.1)로 여과하여 진공 농축하고, 이를 다시 소량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용해한 후, 동량의 헥산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분액 깔대기로 헥산층을 추출 및 농축하여 맨드라미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메탄올-헥산 추출물 또는 에탄올-헥산 추출물을 HPTLC 실리카 겔 60F254(20×10 cm)상에 10 ㎕씩 점적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28% 암모니아(3/3/1/0.1) 용액으로 전개한 후, 5% 황산-메탄올 용액으로 유도체화하였고, 254 및 366 nm 파장에서 검출하였다.
그 결과, 파장 254 및 366 nm에서 Rf(retention factor)가 1.7, 3.1, 6.5, 7.4, 8.5, 9.1, 9.6인 물질이 검출되었다(도 1).
실시예 3. 맨드라미 조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맨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그람 양성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가축유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6 균주에 대해 CLSI 미량액체 배지희석법(micorodilution)(n=3)에 따라 최소억제농도(MIC,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s)를 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MRSA 6 균주는 2008년 돼지비강, 축산환경, 그리고 젖소우유에서 분리한 것으로, 모든 분리균주에 대해서 메티실린 내성표현형과 내성유전자를 확인하였다. CLSI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옥사실린(oxacillin)과 세폭시틴(cefoxitin) 디스크(BBL)를 이용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검사한 결과 모든 균주가 메티실린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내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옥사실린과 세폭시틴의 E-테스트 스트립(AB-Biodisk)을 이용하여 MIC를 검사한 결과, 모든 균주가 4 ㎍/㎖ 이상을 나타내어(CLSI 기준: 4 ㎍/㎖ 이상) MRSA로 확인되었다. 또한, 메티실린 내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mecA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모든 균주가 mecA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1).
MRSA의 출처 및 특성
분리균주 분리년도 분리시료 내성표현형 내성
유전자
디스크확산법 최소억제농도(㎍/㎖)
옥사실린 세폭시틴 옥사실린 세폭시틴
08-A-SN-58 2008 돼지비강 내성 내성 12 16 mecA
08-G-MV-1(85) 2008 축산환경 내성 내성 32 32 mecA
08-J-HH-2(161) 2008 사람(축주) 내성 내성 32 32 mecA
08-G-Milk-15(182) 2008 젖소우유 내성 내성 32 32 mecA
08-G-Milk-21(188) 2008 젖소우유 내성 내성 32 32 mecA
08-A-SN-45 2008 돼지비강 내성 내성 6 12 mecA
상기의 방법으로 내성이 확인된 균주를 사용하여 CLSI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미량액체 배지희석법으로 MIC를 구하였다. 먼저, 96웰 플레이트에 액체 배지를 맨앞 웰을 제외한 나머지 웰에 100 ㎕씩 분주한 뒤, 액체 배지로 1000 ㎍/㎖로 희석한 시험물질을 맨앞 웰에 200 ㎕ 넣고 절반 희석하였다. 여기에 각 균주의 콜로니를 취하여 멸균식염수로 McFarland 0.5로 조정하고, 다시 액체 배지로 100배 희석한 균주를 넣어 37℃에서 16∼18시간 배양하여 육안으로 결과를 판독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맨드라미 조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 6 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가 0.125∼0.25 ㎎/㎖로 나타나, 뛰어난 항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2).
맨드라미 조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맨드라미
조추출물
항균 활성(MIC, ㎎/㎖)
황색포도상구균 MRSA 1 MRSA 2 MRSA 3 MRSA 4 MRSA 5 MRSA 6
에탄올 추출물 0.25 0.25 0.125 0.125 0.125 0.125 0.125
AMOX 0.0005 0.008 0.032 0.016 0.032 0.032 0.008
CIPRO 0.00025 >0.004 0.002 0.0005 0.002 0.002 >0.004
OXA 0.000125 0.004 0.032 0.016 0.032 0.064 0.004
상기에서, AMOX는 아목시실린(amoxicillin), CIPRO는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OXA는 옥사실린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맨드라미 유기용매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맨드라미 메탄올 또는 에탄올-헥산 추출물을 이용하여 그람 양성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 및 가축유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6 균주에 대해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CLSI 미량액체 배지희석법(n=3)에 따라 최소억제농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의 맨드라미 유기용매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 6 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가 0.25∼0.5 ㎎/㎖로 나타나, 뛰어난 항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3).
맨드라미 유기용매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맨드라미
조추출물
항균 활성(MIC, ㎎/㎖)
황색포도상구균 MRSA 1 MRSA 2 MRSA 3 MRSA 4 MRSA 5 MRSA 6
메탄올-헥산 0.5 0.5 0.35 0.25 0.3 0.35 0.35
에탄올-헥산 0.5 0.5 0.4 0.4 0.5 1.26 0.5
AMOX 0.0005 0.008 0.032 0.016 0.032 0.032 0.008
CIPRO 0.00025 >0.004 0.002 0.0005 0.002 0.002 >0.004
OXA 0.000125 0.004 0.032 0.016 0.032 0.064 0.004
제조예 1. 사료용 첨가제의 제조
맨드라미 에탄올 추출물 ·················· 240 g
부형제 (말분) ······················· 760 g
상기 성분을 이용하여 대한약전 산제제법에 준하여 사료용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사료용 첨가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사료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대한약전 산제제법에 준하여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2.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
맨드라미 에탄올 추출물··················· 3.0 g
과산화수소·························· 7 g
티몰···························· 1.0 g
에틸 파라벤·························0.4 g
글루타르알데하이드····················· 0.8 g
유제놀··························· 0.5 g
상기 조성의 혼합물에 물 및 pH가 4.0이 되도록 하는 소량의 H2SO4를 가하여 전체를 100 ㎖로 맞추었다. 상기의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소독조성물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해도 무방하다.
도 1은 실시예 2의 맨드라미 에탄올(또는 메탄올)-헥산 추출물의 박층크로마토그래피 상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Rf는 각 성분의 이동거리/용매 이동거리, 1∼4열은 메탄올-헥산 추출물, 5∼8열은 에탄올-헥산 추출물을 나타낸다.

Claims (6)

  1. 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맨드라미는 둥근 맨드라미, 깃털 맨드라미, 개맨드라미 및 이들의 교잡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의학적 조성물, 동물사료 첨가제,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및 소독용 조성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부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은 젖소 유방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90033058A 2009-04-16 2009-04-16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14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058A KR20100114606A (ko) 2009-04-16 2009-04-16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058A KR20100114606A (ko) 2009-04-16 2009-04-16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606A true KR20100114606A (ko) 2010-10-26

Family

ID=4313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058A KR20100114606A (ko) 2009-04-16 2009-04-16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60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497A (ko) 2013-12-23 2015-07-01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rsa 및 vrsa의 항균을 위한 조성물
CN104758709A (zh) * 2015-04-28 2015-07-08 张景悦 一种治疗有脓肿形成的急性乳腺炎患者乳房疼痛、失眠的中药药膏
US9102535B2 (en) 2011-12-27 2015-08-11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Flameless steam reformer
KR20170103521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0663B1 (ko) * 2018-05-24 2019-11-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맨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2535B2 (en) 2011-12-27 2015-08-11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Flameless steam reformer
KR20150073497A (ko) 2013-12-23 2015-07-01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mrsa 및 vrsa의 항균을 위한 조성물
CN104758709A (zh) * 2015-04-28 2015-07-08 张景悦 一种治疗有脓肿形成的急性乳腺炎患者乳房疼痛、失眠的中药药膏
KR20170103521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0663B1 (ko) * 2018-05-24 2019-11-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맨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913B1 (ko)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Abd El-Hack et al. Pharmacological, nutritional and antimicrobial uses of Moringa oleifera Lam. leaves in poultry nutrition: an updated knowledge
KR100777833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00114606A (ko)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3591B1 (ko)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86166B1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20061221A (ko) 붉나무, 지모, 가죽나무 추출물과 그 용도
JP4322498B2 (ja) 牛乳中の体細胞を低減させる方法
KR101491775B1 (ko) 항생제저항성 유해균의 생장 억제용 조성물
KR102254424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73276B1 (ko) 커큐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KR20100104723A (ko) 황색포도상구균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085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2287391B1 (ko) 모링가 지하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50096041A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102254425B1 (ko) 백목련 미성숙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663613B1 (ko)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7389B1 (ko) 인삼 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34868B1 (ko) 흰점박이꽃무지 코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89589B1 (ko) 야관문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용 항진균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86077B1 (ko) 장구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00089394A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8509098A (ja) 動物の健康のための薬用植物及びその抽出物の動物薬及び畜産での使用
KR102131454B1 (ko) 윤농참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06983771B (zh) 防治海马头部溃烂病的药物及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