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712B1 - 기능성 인조미 - Google Patents

기능성 인조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712B1
KR101991712B1 KR1020180169417A KR20180169417A KR101991712B1 KR 101991712 B1 KR101991712 B1 KR 101991712B1 KR 1020180169417 A KR1020180169417 A KR 1020180169417A KR 20180169417 A KR20180169417 A KR 20180169417A KR 101991712 B1 KR101991712 B1 KR 10199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eight
parts
functional additi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순
Original Assignee
삼성유기급식사업단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유기급식사업단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삼성유기급식사업단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8016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5Degradation products of starch, e.g. hydrolysates, dextrins; Enzymatically modified starch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1Addition of antibiotics, vitamins, amino-acids, or miner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분말, 기능성첨가제, 덱스트린,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조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인조미{Functional artificial rice}
본 발명은 모링가 등 기능성첨가제의 첨가량이 높으면서도, 제조과정, 보관과정, 취반과정 등에서 쌀형태의 유지성이 높은 기능성 인조미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평균 신장이 신장하고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암, 당뇨병, 비만, 고혈압성 질환 등의 성인병의 발병율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 속에서 건강에 대한 욕구와 관심의 고조가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한편 쌀에 다른 종류의 곡류 또는 두류를 혼합하여 취반한 혼식이 쌀밥에 부족한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 등의 영양성분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쌀밥만을 섭취할 때 발생되는 영양결핍 또는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방편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쌀과 다른 곡류를 혼합하여 취반하는 경우에는 사전조리절차가 수반되고, 두류는 곡류와 취반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조리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각종 곡물을 반죽으로 혼합한 후, 압착식 성형방식으로 제조한 인조미가 제품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인조미에 관한 종래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 2002-0026765호에는 난백, 카라기난, 한천, 알긴산, 젤라틴, 베타카로텐, DHA, EPA, 키토산등의 기능성 식품성분을 원재료 분말에 혼합하여 수분 10-15%가 되도록 하는 재 성형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 제시하는 인조미는 쌀알과 유사한 형태로 제조되지만, 취반과정 등에서 쌀알의 형태가 붕괴되어 대중의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유용한 성분의 첨가가 극히 미미한 수준을 차지하여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 2002-0026765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용한 성분의 함량을 늘리면서도 제조과정, 보관과정, 취반과정 등에서 쌀형태의 유지성이 높은 기능성 인조미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인조미는 쌀분말, 기능성첨가제, 덱스트린,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기능성첨가제는 분말형태 또는 액상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쌀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기능성첨가제 10 내지 100중량부, 덱스트린 10 내지 50중량부, 혼합제제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혼합제제에는 베타카로틴, 에틸헥실글리세린, 면실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쌀분말, 기능성첨가제, 덱스트린,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 외주연에 도포되며 해초추출물과 상기 기능성첨가제를 포함하는 왁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인조미는 모링가 등 기능성첨가제가 내부에 혼입된 형태로서 기능성첨가제의 유효한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토록 하면서도 제조과정, 보관과정, 취반과정 등에서 쌀형태의 유지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를 나타내는 제품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인조미는 쌀분말, 기능성첨가제, 덱스트린,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쌀분말은 쌀을 분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쌀분말의 평균입경은 10 내지 30 ㎛인 것이 타당하다. 쌀분말의 평균입경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인조미의 복원력 및 조직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타 조성과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아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고 인조미로 제조되기 어려워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상기 기능성첨가제는 상기 쌀분말과 혼합되어 인조미의 주성분으로서 첨가되는 것으로 다양한 유효성분이 기능성첨가제로서 혼합되어 취식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능성첨가제로 모링가가 첨가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기능성첨가제를 쌀분말과 배합하여 다시 인조미로 제조되도록 하는 이유는 밥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모링가 등 유효성분이 섭취되도록 하여 별도로 이러한 유효성분을 섭취할 필요가 없으며 밥의 제조과정 등에서 유효성분이 이탈을 제어하여 다량의 유효성분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성첨가제는 분말형태 또는 액상형태로서 상기 조성들과 배합되어 인조미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은 증점제로서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쌀분말과 상기 기능성첨가제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조성들이 쌀형상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형상이 유지되어야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덱스트린의 첨가에 의해 증점 효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덱스트린만을 첨가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인조미는 사용에 있어 수분 및 고온의 열에 노출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수분 및 고온에 노출되어도 쌀형상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덱스트린에 더하여 혼합제제가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제제에는 베타카로틴, 에틸헥실글리세린, 면실유를 포함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덱스트린은 고온에서 겔네트워크가 파괴되어 증점효과가 발현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원인에 기인하여 덱스트린만 첨가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인조미는 밥제조과정에서 고온에 노출되어 쌀형상이 붕괴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제제에 베타카로틴이 첨가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 베타카로틴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온도가 올라가는 경우에도 겔네트워크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인 고온에서 쌀형상의 붕괴되는 문제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제제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이 포함되도록 하는데, 상기 에틸헥실글리세린은 식물성 글리세린의 일종으로 유해성 없이 항균력이 뛰어나 유지의 산패로 인한 이취, 변색, 독성발현 등 인조미의 변질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며, 특히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제조과정 등에서 인조미로부터 수분이 증발되어 균열 등에 의해 쌀형상이 붕괴되는 문제가 제어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조과정, 제조된 인조미의 보관과정, 인조미를 이용한 취반과정에서 모세관현상으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쌀형상의 유지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제제에는 면실유가 포함되도록 하는데, 상기 면실유는 페이스트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조미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페이스트의 기포는 인조미의 강성을 저하시켜 크랙발생율을 높여 쌀형상의 유지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밥으로 제조된 후에도 식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혼합제제에 면실유가 첨가되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제제에는 베타카로틴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헥실글리세린 10 내지 20중량부, 면실유 10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토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인조미에는 쌀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기능성첨가제 10 내지 100중량부, 덱스트린 10 내지 50중량부, 혼합제제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인조미는 제조과정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조성들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고 이러한 반죽을 열 등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하는데 이러한 건조과정에서 외주연에는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는 바, 이러한 공극은 취반과정 등에서 쌀형상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인조미로부터 상기 기능성첨가제가 유출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로서 쌀분말, 기능성첨가제, 덱스트린,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 외주연에 도포되며 해초추출물과 상기 기능성첨가제를 포함하는 왁싱층을 포함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쌀분말, 기능성첨가제, 덱스트린,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코어를 제조하고, 이후에 코어 외주연에 해초추출물과 상기 기능성첨가제를 포함하는 왁싱조성물을 도포토록 하여 왁싱조성물이 코어 표면에 형성된 공극으로 충분히 충진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경화가 이루어져 왁싱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렇게 왁싱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인조미에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켜 쌀형상의 유지성을 더욱 배가시키는 것이며 기능성첨가제가 충분히 함유되도록 하여 기능성첨가제의 섭취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왁싱층은 해초추출물과 기능성첨가제를 중량비로 (70 : 30) 내지 (80 : 20)으로 혼합한 왁싱조성물을 상기 코어 외주연에 도포하면서 건조토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해초추출물은 점성이 부과되도록 하는 것으로 코어 외주연과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해초성분인 겔에 담겨있는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휘발하면서 냄새분자를 쪼개는 성질을 갖고 있어 코어에 베인 이질의 향을 없애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해초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비교예]
쌀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모링가분말 50중량부, 덱스트린 20중량부, 물 50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압출성형기에 투입하고, 80℃의 조건하에 압출성형기의 토출부로 사출하면서, 절단기를 구동하여 쌀알형태로 제조하고 40℃의 열풍으로 2시간 동안 건조시켜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와 동일하게 시료를 제조하되, 쌀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혼합제제 15중량부가 더 배합되고, 혼합제제에는 베타카로틴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헥실글리세린 10중량부, 면실유 10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표면을 해초추출물과 모링가분말이 중량비로 80 : 20으로 혼합된 왁싱조성물을 도포하여 왁싱층이 형성된 시료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의 각 시료를 가지고 취반을 하였고, 각가 취반된 밥 100g을 10℃의 물 500ml에 넣고 천천히 1분간 교반하여 밥알들을 서로 분리시킨 다음, 20메쉬의 체로 여과하여 밥알만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수득한 각 밥알 중에서 정상적인 형태를 갖는 밥알비율을 측정하였다.
구분 밥알비율
비교예 33%
실시예1 88%
실시예2 96%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혼합제제가 첨가되지 않아 취반과정에서 쌀형태가 붕괴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과 대비 상기에서 언급한 왁싱층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취반과정에서 거의 쌀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쌀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기능성첨가제 10 내지 100중량부, 덱스트린 10 내지 50중량부, 혼합제제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제제에는,
    베타카로틴, 에틸헥실글리세린, 면실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조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첨가제는 분말형태 또는 액상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조미.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쌀분말, 기능성첨가제, 덱스트린,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 외주연에 도포되며 해초추출물과 상기 기능성첨가제를 포함하는 왁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조미.
KR1020180169417A 2018-12-26 2018-12-26 기능성 인조미 KR10199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417A KR101991712B1 (ko) 2018-12-26 2018-12-26 기능성 인조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417A KR101991712B1 (ko) 2018-12-26 2018-12-26 기능성 인조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712B1 true KR101991712B1 (ko) 2019-06-21

Family

ID=6705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417A KR101991712B1 (ko) 2018-12-26 2018-12-26 기능성 인조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7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765A (ko) 2000-10-02 2002-04-12 김대흥 곡류 및 기능성 식품소재를 이용한 재 성형 쌀의 제조방법.
KR20050061617A (ko) * 2003-12-18 2005-06-23 이기성 생리기능성 성분 코팅곡류의 제조방법
JP2007222070A (ja) * 2006-02-23 2007-09-06 Minoru Hishinuma 複合加工米及びその製造法
KR100804724B1 (ko) * 2006-10-23 2008-02-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 함유 칼슘 알지네이트 겔 비드의쌀성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69855A (ko) * 2008-12-17 2010-06-25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 재성형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765A (ko) 2000-10-02 2002-04-12 김대흥 곡류 및 기능성 식품소재를 이용한 재 성형 쌀의 제조방법.
KR20050061617A (ko) * 2003-12-18 2005-06-23 이기성 생리기능성 성분 코팅곡류의 제조방법
JP2007222070A (ja) * 2006-02-23 2007-09-06 Minoru Hishinuma 複合加工米及びその製造法
KR100804724B1 (ko) * 2006-10-23 2008-02-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 함유 칼슘 알지네이트 겔 비드의쌀성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69855A (ko) * 2008-12-17 2010-06-25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 재성형쌀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0082C2 (ru) Инкапсулирование легко окисляемых компонентов
JP5901617B2 (ja) オルガノゲルを含む食品組成物
CN1784150A (zh) 藻酸盐基质颗粒
KR20170083048A (ko) 분말유지, 당해 분말유지를 포함하는 음식품, 및 당해 분말유지의 제조방법
AU2016207019B2 (en) Solvent-free shellac coating composition
JP6263226B2 (ja) 凍結乾燥かき卵及びその製造方法
CN1652699A (zh) 粉末组合物
TW201544015A (zh) 由含澱粉的植物部分構成之食物產品的應用
CN102170790B (zh) 制备蛋白质微粒的方法
JP2009149796A (ja) 粉末油脂又は粉末油脂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剤
BR112020004518A2 (pt) processo de fabricação para a produção de um pó de fibra lipídica
KR20100069841A (ko) 기능성 코팅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1712B1 (ko) 기능성 인조미
EP3815549A1 (en) Frozen gyoza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598311B1 (ko) 모링가인조미
JP6032886B2 (ja) 調味料組成物
KR20160025774A (ko) 곤약 코팅 쌀의 제조 방법
KR101241308B1 (ko) 나노 분말 들깨유
KR101419036B1 (ko) 감홍시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Marsi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urple sweet potato starch-based edible film with optimized mixing temperature
KR20190065897A (ko) 젤리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젤리조성물
KR20140131701A (ko) 식품첨가용 상전이 수용성 아마씨유 엑기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WO2020184556A1 (ja) 天然由来の水溶性色素の泡立ちを抑制する方法
KR102555338B1 (ko)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1270300B1 (ko)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