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300B1 -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300B1
KR101270300B1 KR1020090094815A KR20090094815A KR101270300B1 KR 101270300 B1 KR101270300 B1 KR 101270300B1 KR 1020090094815 A KR1020090094815 A KR 1020090094815A KR 20090094815 A KR20090094815 A KR 20090094815A KR 101270300 B1 KR101270300 B1 KR 10127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emulsion
ethyl alcohol
red pepper
spicy
p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389A (ko
Inventor
김종태
김철진
조용진
김민지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9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3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0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생고추로부터 60% 이상의 에틸알코올로 매운맛 성분을 추출하고, 중량비로 매운맛 성분 1에 대하여 유화제 0.7 내지 1.5를 포함하고 물을 1 내지 50을 포함하여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나노에멀젼이 개시된다.
고추, 매운맛, 추출, 나노에멀젼, 에틸알코올

Description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A METHOD OF PRODUCING NANOEMELSION COMPRISING SPICY COMPONENT OF KOREAN CHILLI}
본 발명은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본 발명은 생고추와 건조고추로부터 매운맛 성분을 추출하여 3개월 이상까지도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고추의 매운맛 성분과, 유화제 및 물을 포함하는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주재로 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고추는 2005년 현재 우리나라 농업생산액 순위에서 기준 미곡 다음의 2위로 생산액 1조 1488억원 규모의 생산액으로 395,000톤 생산되고 있다(2006 농림업 주요통계). 우리나라의 고추 소비량은 세계 1위(2.2kg/인)로서, 매운맛과 단맛이 특징인데 특히 매운맛 성분인 캡사노이드(capsainoids)의 캡사이신(capsaicin)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dihydrocapsaicin)은 매운맛의 80-90%를 차지하며 항암효과를 제공하고, 홍고추의 붉은색 성분인 캡산틴(capsanthin), 캡소루빈(capsorubin), 베타-크립토산틴(β-cryptoxanthin), 젝산틴(zeaxanthin) 등은 항암효과, 혈중 저 밀도지질의 산화 억제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추는 일반적으로 수확 후 저장성이 약하여 건조시킨 다음 건조고추를 저장하였다가 분말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건조고추의 경우 긴 건조시간 및 건조기간중 일기와 건조장소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부패하거나 위생적인 관리가 어려워 색소의 파괴, 조직의 변화, 유효성분의 손실, 미생물 및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과 같은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고추를 수확한 후 생고추 상태 또는 건조고추를 원료로 하여 매운맛 성분인 캡사노이드를 추출하고 이를 나노에멀젼화 함으로서 제품성 및 생산성에서 부가가치를 높인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를 생산하는 기술개발은 고추산업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의 영양기능이나 기호기능 이외에 생체기능을 강조하는 식품군을 말하는데, 섭취시 개인의 건강, 육체적 운동능력, 정신적 상태 및 영양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질병예방 및 치료 등의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식품군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식품군 중에서 향신료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추의 경우, 매운맛 성분이 생리활성 기능을 제공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이 되면서 향신료를 원료로 한 생리활성 소재의 발굴이 기능식품 소재산업 분야에서 큰 관심사 중 하나이다. 이러한 향신료 성분 중 캡사이신은 유효한 생리활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로 인하여 식품분야에서 생리활성 화합물로 이용도와 활용기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캡사이신은 고추에 캡사이신 동족체 형태로 약 0.5% 함유되어 있는데 에너지 대사, 항진작용, 항산화활성, 혈중 지질개선 작용, 면역조절작용, 항암활성, 유 전자 발현조절작용, 식용증진작용, 타액분비 항진작용, 식염 섭취량 저하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1940년대 후반, 캡사이신이 처음에는 강한 자극을 주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진통작용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그 후 캡사이신 유도체를 합성하여 새로운 진통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주요 농산물 중 하나인 고추의 정유성분 캡사이신은 물에 용해하지 않는 특징이 있어 섭취가 용이한 제품으로 제조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물에 용해하지 않는 물질을 안정화시키고 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에멀젼으로 만드는 것인데, 물과 기름의 에멀젼은 물과 기름의 혼합물을 강하게 흔들어서 형성한다. 그러나 이런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불안전하다. 식품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기름, 물, 유화제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기계적 또는 초음파 에너지를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이 에멀젼은 불투명하고 일정기간 동안은 안정성을 보이나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특징을 가져서 장기간의 안정성은 보여 주지 못하고 있다.
물에 불용성인 기능성분을 안정화하거나 흡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기능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는 것이다. 나노에멀젼은 에멀젼이나 마이크로에멀젼에 비하여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에멀젼은 불투명하고 입자의 크기가 0.2 내지 50㎛의 범위에 속하며 일정기간 동안만 안정성을 보이고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반면에 나노에멀젼은 일반 에멀젼과 비교시 열역학적으로 안정하며 광분산이 작아서 투명한 용액상태를 보이고 입자의 크기가 5 내지 100㎚의 범위에 속한다. 나노에멀젼은 저장기간 중 크리밍 또는 침강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응집이 일 어나지 않아서 분산상태에서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나노에멀젼을 이루고 있는 작은 입자는 입자자체가 변형되지 않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합착현상의 발생이 억제되고 따라서 표면응집도 방지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추의 매운맛을 나노에멀젼화하여 물에 대한 용해성을 높이고 저장성을 향상시키며, 섭취가 용이하게 하며, 섭취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나노에멀젼을 제공함에 있다.
나노에멀젼의 제조에는 유화제가 사용되는데, 식품에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는 그 종류가 제한되어 있어 대두 인지질(레시틴), 수크로오스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릴젖산칼슘 등이 있다. 식품분야에서 유화제의 사용은 낮은 농도에서만 가능한데, 예로서 프로필렌 글리콜의 경우 식품 1kg에 대하여 1g 이상을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로서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를 사용한다.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는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소르비탄에 결합하는 지방산의 종류와 수 및 에스테르화 정도에 따라 성질과 용도가 상이하다. 시판되고 있는 것은 소르비탄모노에스테르인데, 소르비탄에 결합하는 지방산은 라우린산(Tween 20), 팔미틴산(Tween 40), 스테아린산(Tween 60), 및 올레인산(Tween 80)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 본 발명에서는 특히 Tween 80을 유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Tween 60도 Tween 80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나노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교반법, 고압균질화법, 초고압법, 초음파법, 마이크로유로 통과법 등이 있다. 교반법은 저에너지로 나노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고, 고압균질화법에서는 플런저(plunger)의 작동으로 발생한 고압의 유체가 밸브에 있는 작은 틈새를 고속으로 통과하면서 압력의 급격한 저하에 따른 캐비테이션(cavitation), 난류 및 전단력으로 나노사이즈의 미세입자로 쪼개지면서 액체의 성분이 완전히 균일한 상태로 된다.
청고추나 홍고추와 같은 생고추 및 건조고추에서 매운 맛을 추출하는 용매로서는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아세톤, 헥산, 에테르, 초산에틸 등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알코올, 헥산, 에테르 및 초산에틸을 사용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알코올을 사용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에틸알코올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할 경우, 생고추의 경우는 65%의 에틸알코올로써, 건조고추의 경우는 95%의 에틸알코올로써 추출하는 것이 각각의 고추로부터 최대의 추출율을 나타냈으며, 생고추의 경우는 매운맛 추출물의 수율이 중량대비 0.33-0.35%였고, 건조고추의 경우는 약 3배 정도 높은 1.1%의 수율을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범위의 에틸알코올을 사용하는 이유는 생고추와 건조고추의 수분함량 차이에 따른 것이며, 역시 수분함량 차이로 인하여 수율에 차이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행해진 고추 매운맛 성분의 추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분쇄한 생고추 또는 건조 고춧가루 각각 약 2.9-3.8 kg을 65% 및 95% 에틸알코올 11-19 L를 가하여 80-9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추출 한다. 추출물을 원심분리(2000g, 20분)하여 상등액과 잔사를 분리하고, 상등액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액-액분리를 거친후 상등액을 진공농축하여 매운맛 추출물을 획득한다.
이하의 표 1을 참조하면, 생산지 영양의 품종명이 청량초인 청고추의 매운맛 성분에 있어 65% 에틸알코올을 사용한 경우 95% 에틸알코올보다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 함량이 각각 2배 및 1.4배 정도 높게 함유되었다. 생산지 음성의 품종명이 금탑인 홍고추의 경우 청고추보다 낮은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 함량을 보여 품종에 따라 매운맛 성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음성의 품종명이 삼관왕인 건조 고추로부터 추출한 매운맛 성분 함량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표 1] 고추 매운맛 추출물의 수율 및 매운맛 성분
Figure 112009061235358-pat00001
상기 표에서 95%의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는 생산지 영양의 품종명 청량초였다. 생고추나 건조고추의 매운맛 성분의 함량은 품종, 작황조건, 개체간, 부위 등에 따라서 차이가 난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체에 존재하는 기능성 성분은 대부분이 물에 불용성 상태로 존재하고, 일부는 수용성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수용성 및 수불용성 성분을 모두 획득하기 위하여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며, 생고추(청고추, 홍고추)는 수분함량이 82-90% 정도가 되기 때문에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의 에틸알코올, 건조고추는 60-70% 에틸알코올, 바람직하게는 65% 에틸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최대의 추출량을 얻을 수 있으나, 이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최대 추출율과는 상관관계 없이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매운맛 성분 추출용 에틸알코올의 퍼센티지 일반적으로 60% 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여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면, 고추의 매운맛 성분의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지고, 장기간에 걸친 저장성이 높아지며, 섭취가 용이하고, 더 나아가 사용시 매운맛의 섭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입자크기 및 전위차
65%의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영양, 청량초)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하여 매운맛 추출물, Tween80, 물을 표 2와 같은 중량비 로 혼합하여 1분간 교반혼합 후 초음파 장치에서 45%의 amplitude로 3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1차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1차 에멀젼을 0.5% 농도로 물에 용해시킨 후 150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매운맛 나노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매운맛 성분을 고정하고 Tween80의 사용량과 물의 함량의 변화에 따라서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형성되는 범위는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표 2] 6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및 전위차
Figure 112009061235358-pat00002
표 2의 결과에 의하면 매운맛 추출물 1에 대하여 Tween 80을 0.7로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10-50일 경우에, Tween80 1을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10-50일 경우에, 또한 Tween80 1.5를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1.0-4.0일 경우에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매운맛 성분을 고정하였을 경우 Tween80과 물의 상대적인 비율에 의하여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의 형성여부가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물의 함량이 상기의 상한치 이상일 경우에도 나노에멀젼은 형성되지만 농도가 매우 낮아 식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아니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로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60%의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의 나노에멀젼도 상기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화제의 식품에의 사용량은 한정적이므로 Tween80은 1.5를 상한으로 정하였다. 이하 같다.
실시예 2. 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입자크기 및 전위차
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영양, 청량초) 매운맛 추출물과 함께 Tween80과 물의 함량을 표 3과 같이 조절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여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형성되는 범위를 살펴 본 결과는 이하의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표 3] 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및 전위차
Figure 112009061235358-pat00003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의 경우는 6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에 비하여 보다 넓은 범위에서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의 비율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보인다. 즉, 65% 에틸알코올 추출은 95% 에틸알코올 추출에 비하여 캡사이신 함량이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 제조시 매운맛 성분의 용해정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중량비로 매운맛 성분 1에 대하여 Tween80을 0.7로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4-50일 경우에, Tween80 1을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3-50일 경우에, 또한 Tween80 1.5를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2-4일 경우에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매운맛 성분을 고정하였을 경우 Tween80과 물의 상대적인 비율에 의하여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의 형성여부가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에서 형성된 나노에멀젼은 3개월까지도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에서 형성된 나노에멀젼은 1년 까지도 입자크기 등에서 변화가 없어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예로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100%의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의 나노에멀젼도 상기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3.: 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홍고추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입자크기 및 전위차
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홍고추(음성, 금탑) 매운맛 추출물과 함께 Tween80 과 물의 함량을 표 4와 같이 조절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여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형성되는 범위를 살펴 본 결과는 이하의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표 4]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홍고추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및 전위차
Figure 112009061235358-pat00004
표 4의 결과에 의하면 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홍고추 매운맛 추출물의 경우는 9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추물과 매우 유사한 범위에서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매운맛 성분 1에 대하여 Tween 80을 0.7로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4-50일 경우에, Tween80 1을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4-50일 경우에, 또한 Tween80 1.5를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2-4 이상일 경우에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매운맛 성분을 고정하였을 경우 Tween80과 물의 상대적인 비율에 의하여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의 형성여부가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형성된 나노에멀젼은 3개월까지도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에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나노에멀젼은 1년까지도 입자크기 등에서 변화가 없어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예로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100%의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의 나노에멀젼도 상기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4: 6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건조고추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및 전위차
6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건조고추 매운맛 추출물과 함께 Tween80과 물의 함량을 표 5와 같이 조절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여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형성되는 범위를 살펴 본 결과는 이하의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표 5] 6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건조고추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및 전위차
Figure 112009061235358-pat00005
표 5의 결과에 의하면 6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건조고추의 매운맛 추출물의 경우는 매운맛 성분 1에 대하여 Tween80을 0.7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5-50일 경우에, Tween80 1을 사용했을 때는 물의 함량이 10-50일 경우에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에서 형성된 나노에멀젼은 5개월까지도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Tween80을 1.5 사용하였을 경우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지 아니하였다. 실험예에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나노에멀젼은 1년까지도 입자크기 등에서 변화가 없어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예로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100%의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청고추 매운맛 추출물의 나노에멀젼도 상기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5:저장중 나노에멀젼의 품질특성
형성된 나노에멀젼의 입자는 입자측정기(Nanotrac 250, Microtrac Inc., USA)를 사용하여 25℃에서 5반복 측정하였으며, 나노에멀젼의 전위차 측정은 전위차측정기(ZetaPlus, BrookHaven Instrument, NY, USA)를 25℃에서 5반복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2-5에 입자 크기가 150 nm 이하로 형성되는 나노에멀젼의 크기와 전위차 측정값을 나타내었으며, 각 표의 저장기간에 따라서 나노에멀젼 입자의 크기와 전위차 값이 큰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입자크기와 전위차 값은 저장기간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150 nm 이하에서 유지되어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이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형상
매운맛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형상을 도 1에 나타내었다.
(A)는 6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건조고추 나노에멀젼 그림으로서 (1)에서 9까지는 매운맛 추출물을 중량비율로 1로 하고, Tween80을 0.7 넣은 상태에서 물을 각각 1, 1.3, 1.5, 2, 3, 4, 5, 10, 및 50을 첨가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을 보여주고 있으며, (B)의 (1)에서 (9)까지는 매운맛 추출물과 Tween80 1: 1로 고정한 상태에서 물을 각각 1, 1.3, 1.5, 2, 3, 4, 5, 10, 및 50을 첨가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을 나타낸다. (A) 및 (B)의 그림중 (8)번과 (9)번은 물의 첨가량이 다른 나노에멀젼에 비해서 많기 때문이다. (C)는 표 5중에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지 않는 에멀젼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최대로 추출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으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상기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65%의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경우만 나타냈으나 60-70% 에틸알코올로써 추출한 경우에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95%의 에틸알코올로써 추출한 경우만을 나타냈으나, 90% 이상의 에틸알코올로써 추출한 경우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의 (A)는 65%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건조고추 나노에멀젼 그림으로서 (1)에서 9까지는 매운맛 추출물을 중량비율로 1로 하고, Tween80을 0.7 넣은 상태에서 물을 각각 1, 1.3, 1.5, 2, 3, 4, 5, 10, 및 50을 첨가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
(B)의 (1)에서 (9)까지는 매운맛 추출물과 Tween80 1: 1로 고정한 상태에서 물을 각각 1, 1.3, 1.5, 2, 3, 4, 5, 10, 및 50을 첨가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
(C)는 표 5중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지 않은 에멀젼 그림.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laims (4)

  1.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생고추로부터 60%이상의 에틸알코올로 매운맛 성분을 추출하고, 중량비로 매운맛 성분 1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0.7 내지 1.5를 포함하고 물을 10 내지 50을 포함하는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2.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생고추로부터 90%이상의 에틸알코올로 매운맛 성분을 추출하고, 중량비로 매운맛 성분 1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0.7 내지 1.5를 포함하고 물을 4 내지 50을 포함하는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3.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함에 있어서,
    건조고추로부터 60% 이상의 에틸알코올로 매운맛 성분을 추출하고, 중량비로 매운맛 성분 1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0.7 내지 1을 포함하고 물을 10 내지 50을 포함하는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90094815A 2009-10-06 2009-10-06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127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815A KR101270300B1 (ko) 2009-10-06 2009-10-06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815A KR101270300B1 (ko) 2009-10-06 2009-10-06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89A KR20110037389A (ko) 2011-04-13
KR101270300B1 true KR101270300B1 (ko) 2013-05-31

Family

ID=4404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815A KR101270300B1 (ko) 2009-10-06 2009-10-06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9539B2 (en) 2018-04-17 2023-10-10 Astin Co., Ltd. Non-surfactant type oil-water dispersion composition, non-surfactant type water-oil dispersio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both compos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9539B2 (en) 2018-04-17 2023-10-10 Astin Co., Ltd. Non-surfactant type oil-water dispersion composition, non-surfactant type water-oil dispersio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both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89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9278B (zh) 一种增强降血脂作用的磷虾油微胶囊及其制备方法
JP6511588B2 (ja) 食品微粒子含有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4647712B1 (ja) アスタキサンチンを含む練粉焼成食品
KR100991675B1 (ko) 식물 정유를 함유하는 나노에멀션과 나노입자 및 그제조방법
JP4685355B2 (ja) 甘草疎水性成分含有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20090208472A1 (en)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containing licorice-derived polyphenol
FR3003134A1 (fr) Matiere grasse allegee et son utilisation en boulangerie et patisserie
CN107050438A (zh) 美肌促进剂及其利用
Zimmer et al. Methods of protection and application of carotenoids in foods-A bibliographic review
JP2018064553A (ja) 粉末油脂の製造方法、油脂含有食品の製造方法、及び、粉末油脂
KR100951706B1 (ko)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나노입자 및 그제조방법
TW201438598A (zh) 食品組成物以及含有其的軟膠囊
Rodríguez-Cortina et al. Microcapsules of Sacha Inchi seed oil (Plukenetia volubilis L.) obtained by spray drying as a potential ingredient to formulate functional foods
WO2019104972A1 (zh) 一种山核桃油的微胶囊化工艺
KR101270300B1 (ko) 고추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1730599B1 (ko) 마이크로캡슐화 공법을 도입하여 맛을 개선한 아로니아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아로니아 추출액이 포함된 식품
CN105831545A (zh) 一种即食植物凝胶食品的加工方法
JP2019135217A (ja) 粉状組成物、粉状組成物の製造方法、ドライアイ改善剤、肌質改善剤、飲食物、化粧品、及びペットフード
KR100991677B1 (ko) 향신료를 함유하는 점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419036B1 (ko) 감홍시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JP2021069287A (ja) 難水溶性物質の臭気又は呈味をマスキングしたグミ状組成物
JP2017509314A (ja) 機能性飲料
CN106857883B (zh) 一种富含天然水溶性提取物的食用油及其生产方法
JP7033232B1 (ja) 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3210193U (ja) 腸管吸収量向上用食品組成物の錠剤又はカプセル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