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419B1 -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419B1
KR101991419B1 KR1020180137960A KR20180137960A KR101991419B1 KR 101991419 B1 KR101991419 B1 KR 101991419B1 KR 1020180137960 A KR1020180137960 A KR 1020180137960A KR 20180137960 A KR20180137960 A KR 20180137960A KR 101991419 B1 KR101991419 B1 KR 101991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file
mounting
lower profil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기
김효순
윤희병
김상원
이재준
이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8013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15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는, 미닫이형 문짝이나 창짝을 이루는 프로파일들 중에서 호차가 장착되어야 할 하부 프로파일과 호차가 장착되지 않는 상부 프로파일을 선별하고 선별된 하부 프로파일에 호차를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들이 프레임에 마련된 이송 로울러들에 의해 상면 한쪽에 마련된 선별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프로파일들에 표시된 인식표시를 스캔하거나, 아래를 향하는 호차 설치공을 감지하여 상기 프로파일들이 상기 하부 프로파일인지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프로파일 선별부; 상기 프로파일 선별부에서 선별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프레임의 상면 다른 쪽에 마련된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하되, 상기 호차 설치공이 상향이 되도록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픽업하여 반전시킨 후 상기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상기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의 상기 호차 설치공에 호차 공급장치로부터 차례대로 공급되는 호차를 삽입하기 위한 호차 장착부; 및 자동나사 체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호차 장착부에 의해 상기 호차가 상기 호차 설치공에 삽입되어 가 결합된 상태로 체결위치로 이송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에 호차를 나사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파일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프로파일 중에서 호차가 장착되어야 하는 하부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선별부에서 선별하여 위치를 반전시킨 후 호차를 장착하여 이송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미닫이형 문짝이나 미닫이형 창짝을 이루는 프로파일들 중에서 호차가 장착되어야 하는 프로파일만을 선별하여 호차를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AUTO COMBINATION EQUIPMENT OF ROLLER FOR PROFILE}
본 발명은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형 문짝이나 미닫이형 창짝을 이루는 프로파일 중에서 호차가 장착되어야 하는 프로파일만 선택하여 호차 장착 위치로 이동시킨 후 호차를 장착하여 배출하도록 된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차는 레일을 타고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형 문짝이나 창짝에 설치하는 부품 중 하나로서, 창짝이나 문짝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면서 롤러의 구름운동에 의해 창짝이나 문짝이 부드럽게 닫히거나 열리게끔 유도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호차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7-0035539호, 대한민국특허등록출원 제10-2012-0014018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도 1에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롤러(22)가 축설되도록 양측 격벽(21)을 가지는 상부 개방형 "ㄷ" 형태를 이루는 호차하우징(20)이 구성되고, 호차하우징(20)은 상부 양측이 수평으로 돌출 형성 및 볼트공(31)이 형성된 결합편(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새시의 호차결합공에 진입을 위한 결합돌부(40)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양측 격벽(21)은 상기 결합돌부(40) 양측에서 수직을 이루는 수직브라켓(50)에 의해 간격의 유지 및 서로간에 긴밀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호차(10)를 새시(6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새시(60)의 수평지지대(61)에는 호차결합공(6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호차(10)의 결합돌부(40)를 이용하여 호차결합공(62)에 진입시킨 후 상기 결합편(30)를 호차결합공(62)의 양측에서 수평지지대(61)에 밀착 면접되면 볼트공(31)을 통해 새시(60)에 볼트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새시(60)에 장착된 호차는 새시(60 - 창짝 또는 문짝을 이루는 틀 또는 프로파일 등)를 구름 지지하게 되므로 창짝이나 문짝의 미닫이 작동(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호차를 새시에 장착하기 위하여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편을 새시에 밀착시킨 후 볼트(또는 나사)로 체결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이 볼트나 나사 등으로 호차를 새시에 장착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 10-2018-0001741호(공개일자 :2018.01.05)에는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호차는 걸림턱을 구비한 탄력부재가 호차에의 양쪽에 결합된 상태에서 새시의 설치홈에 끼움에 따라 걸림턱이 설치홈에 걸림으로써 호차가 볼트나 나사 없이 새시에 장착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호차도 작업자가 직접 호차를 새시에 장착해야 함으로써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99942호(공고일 : 2018.09.18)에는 프로파일에 호차를 자동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자동 장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호차가 장착되어야할 프로파일에만 호차를 장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호차가 장착되어야할 프롬파일을 별도로 구별한 후 장착위치로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7-0035539호 . 대한민국특허등록출원 제10-2012-0014018호 .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 10-2018-0001741호(공개일자 :2018.01.05)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99942호(공고일 : 2018.09.18)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닫이형 문짝이나 미닫이형 창짝을 이루는 프로파일들 중에서 호차가 장착되어야 하는 프로파일만 선택(또는 선별)하여 호차 장착 위치로 이동시킨 후 호차를 장착하여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미닫이형 문짝이나 창짝을 이루는 프로파일들 중에서 호차가 장착되어야 할 하부 프로파일과 호차가 장착되지 않는 상부 프로파일을 선별하고 선별된 하부 프로파일에 호차를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들이 프레임에 마련된 이송 로울러들에 의해 상면 한쪽에 마련된 선별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프로파일들에 표시된 인식표시를 스캔하거나, 아래를 향하는 호차 설치공을 감지하여 상기 프로파일들이 상기 하부 프로파일인지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프로파일 선별부; 상기 프로파일 선별부에서 선별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프레임의 상면 다른 쪽에 마련된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하되, 상기 호차 설치공이 상향이 되도록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픽업하여 반전시킨 후 상기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상기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의 상기 호차 설치공에 호차 공급장치로부터 차례대로 공급되는 호차를 삽입하기 위한 호차 장착부; 및 자동나사 체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호차 장착부에 의해 상기 호차가 상기 호차 설치공에 삽입되어 가 결합된 상태로 체결위치로 이송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에 호차를 나사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프로파일 선별부는, 상기 인식표시를 스캔하거나 상기 호차 설치공을 감지하도록 상기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인식표시를 스캔하기 위한 비젼스캐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호차 설치공을 감지하기 위한 포토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프로파일 선별부에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감지하면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들어올려 상기 이송 로울러에서 이격시키면서 상승한 후 상기 이송 로울러의 이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컨베이어장치;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 로울러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블럭; 및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픽업하여 반전시킨 후 상기 이송블럭에 안착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제1 픽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프로파일 선별부가 상기 상부 프로파일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이송 로울러를 작동시켜 상기 상부 프로파일을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대기위치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픽업부재는, 제1 핑거 엑츄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픽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 픽업핑거; 및 각각의 제1 픽업핑거의 각 일단이 제1 연결체에 의해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고, 제1 반전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 작동하여 상기 제1 픽업핑거를 180°로 반전시키도록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제1 반전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블럭은, 상기 제1 픽업부재에 의해 반전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이 안착되는 각각의 제1 안착핑거; 및 상기 제1 안착핑거가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이송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이동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단독 또는 동시에 이동되는 한 쌍의 제1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차 장착부는, 상기 하부 프로파일의 이송 방향과 직교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 호차 장착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직교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1 작동블럭; 상기 제1 작동블럭에 마련되는 제2 호차 장착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2 작동블럭; 및 상기 제2 작동블럭의 일단에 결합되고,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호차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호차를 픽업하여 상기 호차 설치공에 삽입하기 위한 호차픽업용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차 장착부는, 상기 호차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호차를 픽업한 후 호차가 상기 호차 설치공에 삽입되는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호차방향 변환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호차방향 변환수단은, 상기 호차 공급부의 공급부재에 대기하는 호차의 조절나사를 감지하기 위한 조절나사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작동블럭의 일단과 상기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와 호차픽업용 핑거가 구비된 핑거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나사 감지센서의 상기 조절나사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핑거블럭을 회전시키거나 정지시켜 상기 호차의 삽입방향을 선택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핑거 회전작동 엑츄에이터를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호차 장착부에 의해 상기 호차가 상기 호차 설치공에 삽입되면,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체결위치로 이송한 후 상기 체결위치를 벗어나도록 하기 위한 제2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호차 장착부에 의해 호차가 삽입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이 안착되는 각각의 제2 안착핑거; 및 상기 제2 안착핑거가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이동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단독 또는 동시에 이동되는 한 쌍의 제2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체와 제2 이동체는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이동체 의해 이송되는 상기 하부 프로파일이 상기 제2 안착핑거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체결부를 통과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상부 프로파일이 대기하는 대기위치로 반전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3 이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이송부는, 제2 핑거 엑츄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안착핑거에 안착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픽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픽업핑거; 각각의 제2 픽업핑거의 각 일단이 제2 연결체에 의해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고, 제2 반전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 작동하여 상기 제2 픽업핑거를 180°로 반전시키도록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제2 반전 회전체; 및 상기 제2 픽업핑거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로 반전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상부 프로파일과 함께 상기 이송 로울러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위치에 해당하는 프레임에는, 프로파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프로파일을 상기 선별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이송 로울러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이송 로울러보다 낮도록 하강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파일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프로파일 중에서 호차가 장착되어야 하는 하부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선별부에서 선별하여 위치를 반전시킨 후 호차를 장착하여 이송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미닫이형 문짝이나 미닫이형 창짝을 이루는 프로파일들 중에서 호차가 장착되어야 하는 프로파일만을 선별하여 호차를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호차가 장착되어야 할 프로파일과 장착되지 않아야할 프로파일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해당 프로파일에 호차를 장착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자가 프로파일을 선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프로파일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파일 선별부 및 제1 이송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호차 장착부 및 체결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호차 장착부의 호차방향 변환수단을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2 이송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3 이송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파일 선별부 및 제1 이송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호차 장착부 및 체결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 이송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3 이송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100)는, 미닫이용 문짝이나 창짝을 구성하는 프로파일 중에서, 호차(W)가 장착되지 않는 상부 프로파일(P1)과 호차가 장착되는 하부 프로파일(P2)를 선별하여, 하부 프로파일(P2)에만 호차(W)를 자동으로 장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프로파일(P)들이 프레임(200)에 마련된 이송 로울러(210)들에 의해 상면 한쪽에 마련된 선별위치(A1)로 이송되면, 프로파일(P)들에 표시된 인식표시를 스캔하거나, 아래를 향하는 호차 설치공(H)을 감지하여 프로파일(P)들이 하부 프로파일(P2)인지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프로파일 선별부(300)와, 프로파일 선별부(300)에서 선별된 하부 프로파일(P2)을 프레임(100)의 상면 다른 쪽에 마련된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하되, 호차 설치공(H)이 상향이 되도록 하부 프로파일(P2)을 픽업하여 반전시킨 후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부(400)와, 제1 이송부(400)에 의해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된 하부 프로파일(P2)의 호차 설치공(H)에 호차 공급장치(510)로부터 차례대로 공급되는 호차(W)를 삽입하기 위한 호차 장착부(500)와, 자동나사 체결장치(610)를 구비하고, 호차 장착부(500)에 의해 호차(W)가 호차 설치공(H)에 삽입되어 가 결합된 상태로 체결위치(A3)로 이송된 하부 프로파일(P2)에 호차(W)를 나사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60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파일 선별부(300)는, 프로파일(P)들이 프레임(200)에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마련된 이송 로울러(210)들에 의해 상면 한쪽에 마련된 선별위치(A1)로 이송되면, 프로파일(P)들에 표시된 인식표시(바코드나 QR코드 등)(312)를 스캔하거나, 아래를 향하는 호차 설치공(H)을 감지하여 프로파일(P)들이 상부 프로파일(P1)인지 하부 프로파일(P2)인지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표시(312)를 스캔하거나 호차 설치공(H)을 감지하도록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감지수단(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감지수단(320)은, 인식표시(312)를 스캔하기 위한 비젼스캐너로 이루어지거나, 호차 설치공(H)을 감지하기 위한 포토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젼스캐너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프로파일 선별부(300)의 감지수단(320)이 감지한 신호를 토대로 제어부(700)는, 하부 프로파일(P2)이면 제1 이송부(400)를 작동시키고, 상부 프로파일(P1)이면 이송 로울러(210)를 구동시켜 상부 프로파일(P1)을 대기위치(A4)로 이송시킨다.
선별위치(A1)에 해당하는 프레임(200)에는, 프로파일 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프로파일(P)을 선별위치(A1)에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230)가 마련된다. 스토퍼(230)는 스토퍼용 엑츄에이터(240)에 의해 이송 로울러(210)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향으로 상승하고, 이송 로울러(210)보다 낮도록 하강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스토퍼용 엑츄에츄에이터(240)는 제어부(700)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 이와 같이 프로파일(P)이 공급될 때 스토퍼(230)가 상승하게 되므로, 프로파일(P)은 항상 선별위치(A1)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이송부(400)는, 전술한 프로파일 선별부(300)에서 선별된 하부 프로파일(P2)을 프레임(100)의 상면 다른 쪽에 마련된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호차 설치공(H)이 상향이 되도록 하부 프로파일(P2)을 픽업하여 반전시킨 후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이송부(400)는, 프로파일 선별부(300)의 감지수단(320)이 하부 프로파일(P2)을 감지하면 하부 프로파일(P2)을 상향으로 들어올려 이송 로울러(210)에서 이격시키면서 상승한 후 이송 로울러(210)의 이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부 프로파일(P2)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컨베이어장치(410)와, 하부 프로파일(P2)을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하도록 이송 로울러(2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블럭(420)과, 제1 컨베이어장치(410)에 의해 이송된 하부 프로파일(P2)을 픽업하여 반전시킨 후 이송블럭(420)에 안착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제1 픽업부재(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이송부(400)는, 프로파일 선별부(300)가 상부 프로파일(P1)을 감지한 경우에, 제1 컨베이어장치(410)를 작동시키지 않고 이송 로울러(210)를 작동시켜 상부 프로파일(P1)을 프레임(200)에 마련된 대기위치(A4)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프로파일 선별부(300)의 감지수단(320)이 감지한 신호가 상부 프로파일(P1)인 경우에, 제어부(700)는 제1 컨베이어장치(410)를 작동시키지 않고 이송 로울러(21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제1 컨베이어장치(410)는, 설치부재에 의해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프로파일(P)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컨베이어장치(410)는 폭이 좁게 구성되는데, 이는 한쪽이 각 이송 로울러(210) 사이에 위치하여 상승시 프로파일(P)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컨베이어장치(410)는 하부 프로파일(P2)인 경우에 하부 프로파일(P2)을 이송 로울러(210)의 상부에서 제1 픽업부재(430)의 하부 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픽업부재(430)는, 제1 핑거 엑츄에이터(434)를 구비하여 제1 컨베이어장치(410)에 안착되어 이송된 하부 프로파일(P2)을 취부하여 픽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 픽업핑거(432)와, 각각의 제1 픽업핑거(432)의 각 일단이 제1 연결체(436)에 의해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고, 제1 반전 엑츄에이터(437)에 의해 회전 작동하여 제1 픽업핑거(432)들을 180°로 반전시키도록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제1 반전 회전체(438)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픽업부재(430)는, 제어부(700)에 의해 작동 제어되며, 제1 픽업핑거(432)들이 하부 프로파일(P2)를 픽업한 상태에서 제1 반전 회전체(438)가 180°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픽업부재(430)로 하부 프로파일(P2)를 180°로 반전시키는 것은 호차 설치공(H)이 향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추후 호차(W)의 장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블럭(420)은, 제1 픽업부재(430)에 의해 반전되어 위치가 변경된 하부 프로파일(P2)을 지지하여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픽업부재(430)에 의해 반전된 하부 프로파일(P2)이 안착되는 각각의 제1 안착핑거(422)와, 제1 안착핑거(422)가 상면에 결합되고 프레임(200)에 마련된 이송레일(25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이동용 엑츄에이터(424)에 의해 단독 또는 동시에 이동되는 한 쌍의 제1 이동체(426)를 포함한다. 제1 안착핑거(422)는 안착핑거 엑츄에이터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안착된 하부 프로파일(P2)를 취부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이동체(426)는 서로 거리를 유지하여 이송레일(25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이동체(426)의 저면에는 제1 이동용 엑츄에이터(424)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424-1)가 구비되고, 이송레일(250)의 측면에는 피니언기어(424-1)와 맞물리는 랙기어(250-1)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피니언기어(242-1)의 구동에 의해 제1 이동체(426)는 이송레일(25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송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송레일(250)의 양쪽 끝단에 마련된 구동휠과 피동휠에 기어벨트가 마련되고, 기어벨트의 한쪽에 제1 이동체(426)가 고정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구조에 의해 기어벨트가 제1 이동체(426)를 호차 장착위치(A2)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이송부(400)에 의해 제1 컨베이어장치(410)에 안착된 하부 프로파일(P2)을 180°반전시켜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호차 장착부(5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부(400)에 의해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된 하부 프로파일(P2)의 호차 설치공(H)에 호차 공급장치(510)로부터 차례대로 공급되는 호차(W)를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프로파일(P2) 방향과 직교되도록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제1 호차 장착용 엑츄에이터(522)에 의해 직교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1 작동블럭(524)와, 제1 작동블럭(524)에 마련되는 제2 호차 장착용 엑츄에이터(52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2 작동블럭(527)과, 제2 작동블럭(527)의 일단에 결합되고,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에 의해 호차 공급장치(510)로부터 공급된 호차(W)를 픽업하여 호차 설치공(H)에 삽입하기 위한 호차픽업용 핑거(529)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작동블럭(524)는, 이송레일(250)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 브라켓(521)에 설치된다. 그리고, 호차픽업용 핑거(529)는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에 의해 오므라들고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호차(W)를 집어서 호차 설치공(H)에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는 호차픽업용 핑거(529)의 각 일단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벌어지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 핑거블럭(528)의 저면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호차픽업용 핑거(529)의 각 일단에 결합되어 호차픽업용 핑거(529)들을 서로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도록 작동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서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는 2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1개로 이루어져 링크 등을 구비하여 양쪽의 호차픽업용 핑거(529)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호차 장착부(5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차 공급부(510)로부터 공급되는 호차(W)를 픽업한 후 호차(W)가 호차 설치공(H)에 삽입되는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호차방향 변환수단을 구비한다. 즉 호차(W)에 구비되는 조절나사(W-1)가 하부 프로파일(P2)의 각 단부방향(PS)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문짝이나 창짝의 조립 완료 후 창짝이나 문짝의 외측에서 호차(W)의 조절나사(W-1)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방향 설정없이 호차 공급부(510)로부터 공급부재(512)로 공급된 호차(W)의 조절나사(W-1)를 감지하여 호차(W)의 장착 방향을 변환하기 호차방향 변환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호차방향 변환수단은, 호차 공급부(510)로부터 공급부재(512)에 공급되어 대기하는 호차(W)의 조절나사(W-1)를 한쪽방향 또는 양쪽방향에서 감지하도록 공급부재(512)의 내측에 설치되는 조절나사 감지센서(533)와, 제2 작동블럭(527)의 일단 저면과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와 호차픽업용 핑거(529)가 구비된 핑거블럭(528) 사이에 설치되어, 조절나사 감지센서(533)의 조절나사(W-1) 감지여부에 따라 핑거블럭(528)을 회전시키거나 정지시켜 호차(W)의 삽입방향을 선택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핑거 회전작동 엑츄에이터(53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핑거블럭(528)의 내부에는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호차픽업용 핑거(529)가 구비된다. 도 6에서는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와 핑거블럭(528)의 부호를 같이 기재하였으나, 이는 핑거블럭(528)의 내부에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가 구비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핑거 회전작동 엑츄에이터(532)는 회전작동 엑츄에이터 블럭의 내부에 구비되어 핑거블럭(528)의 회전축을 180°회전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서 핑거블럭(528)은 회전작동 엑츄에이터 블럭의 하단에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조절나사 감지센서(533)는 공급부재(512)의 내부 어는 한쪽 방향에 설치되거나 양쪽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한쪽 방향에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절나사 감지센서(533)가 설치된 방향에 조절나사(W-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양방향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절나사 감지센서(533)가 위치한 방향의 조절나사 감지센서(533)가 조절나사(W-1)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호차방향 변환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하부 프로파일(P2)의 단부방향(PS)과 같은 방향에 해당하는 공급부재(512)의 내부에 설치된 조절나사 감지센서(533)가 공급부재(512)로 공급된 호차(W)의 조절나사(W-1)를 감지한 경우에, 호차(W)의 방향을 변환할 필요가 없므로 제어부(700)는 핑거 회전작동 엑츄에이터(532)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가 작동하여 호차픽업용 핑거(529)가 호차(W)를 픽업하여 호차 설치공(H)에 삽입한다. 그러나, 조절나사 감지센서(533)가 공급부재(512)로 공급된 호차(W)의 조절나사(W-1)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 제어부(700)는 반대 방향에 조절나사((W-1)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를 작동시켜 호차픽업용 핑거(529)가 호차(W)를 픽업하도록 한 후 핑거 회전작동 엑츄에이터(532)를 작동시켜 픽업블럭(528)을 180°회전시킨다. 따라서, 호차(W)의 조절나사(W-1)가 하부 프로파일(P2)의 단부방향(PS)을 향한 상태가 되어 호차 설치공(H)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차방향 변환수단에 의해 호차(W)의 조절나사(W-1)가 항상 하부 프로파일(P2)의 단부방향(PS)을 향한 상태로 호차 설치공(H)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체결부(600)는, 공급된 나사로 체결위치(A3)로 이송된 하부 프로파일(P2)에 안착된 호차(W)를 자동으로 체결하기 위한 자동나사 체결장치을 구비한다. 이 자동나사 체결장치는, 프레임(200)에 설치된 지지체(620)에 상하 이동용 엑츄체이터(630)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상하 이동블럭(640)에 설치된다. 자동나사 체결장치는 상하 이동블럭(640)에 마련된 한쌍의 자동체결부재(66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나사 체결장치는, 호차(W)가 안착된 하부 프로파일(P2)가 체결위치(A3)로 이송됨이 감지되면, 상하 이동블럭(640)이 하강하고, 이어서 자동체결부재(660)가 미리 공급된 나사로 호차(W)를 하부 프로파일(P2)에 체결하여 장착한다. 이러한 자동나사 체결장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프레임(200)에는, 호차 장착부(600)에 의해 호차(W)가 하부 프로파일(P2)의 호차 설치공(H)에 삽입되면, 하부 프로파일(P2)을 체결위치(A3)로 이송한 후 체결위치(A3)를 벗어나도록 하기 위한 제2 이송부(270)를 더 포함한다.
제2 이송부(270)는, 호차 장착부(600)에 의해 호차(W)가 삽입된 하부 프로파일(P2)이 안착되는 각각의 제2 안착핑거(274)와, 제2 안착핑거(274)가 상면에 결합되고 프레임(200)의 상면에 설치된 이송레일(25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이동용 엑츄에이터(276)에 의해 단독 또는 동시에 이동되는 한 쌍의 제2 이동체(27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이송부(270)의 이동 구조는 전술한 제1 이송부(420)와 같다. 이때, 제1 이동체(426)와 제2 이동체(272)는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는 제1 이동체(426) 의해 이송되는 하부 프로파일(P2)이 제2 안착핑거(274)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는 제1 이동체(426) 의해 이송되는 하부 프로파일(P2)이 그대로 제2 안착핑거(274)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 안착핑거(274)는 안착핑거 엑츄에이터에 의해 안착된 하부 프로파일(P2)를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안착핑거(422)에 안착된 상태의 하부 프로파일(P2)를 취부한 후 당겨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이송부(270)에 의해 체결부(600)에 의해 호차(W)가 장착된 하부 프로파일(P2)는 체결위치(A3)를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200)에는, 체결부(600)를 통과한 하부 프로파일(P2)을 상부 프로파일(P1)이 대기하는 대기위치(A4)로 반전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3 이송부(280)가 마련된다.
이 제3 이송부(280)는, 제2 핑거 엑츄에이터(282)를 구비하여 제2 안착핑거(274)에 안착된 하부 프로파일(P2)을 픽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픽업핑거(284)와, 각각의 제2 픽업핑거(284)의 각 일단이 제2 연결체(285)에 의해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고, 제2 반전 엑츄에이터(286)에 의해 회전 작동하여 제2 픽업핑거(282)를 180°로 반전시키도록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제2 반전 회전체(287)과, 제2 픽업핑거(282)에 의해 대기위치(A4)로 반전된 하부 프로파일(P2)을 상부 프로파일(P1)과 함께 이송 로울러(210)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컨베이어장치(28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이송부(280)는 전술한 제1 이송부(400)의 제1 컨베이어장치(410)과 제1 픽업부재(430)의 구성 및 작동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이상에서 각각의 엑츄에이터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스텝모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이나 케이스 또는 블럭의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의 구성품을 전진 후진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피니언과 랙기어, 스크류, 회전기어 등의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여 전술한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엑츄에이터의 작동은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100)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9를 토대로 설명한다.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100)에 프로파일(P)이 이송 로울러(210)들을 통하여 이송되면, 제어부(700)는 스토퍼용 엑츄에이터(240)을 작동시켜 스토퍼(230)가 상승 작동하도록 한다. 이 과정으로 프로파일 공급부로부터 이송되는 프로파일(P)이 선별위치(A1)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프로파일 선별부(300)의 감지수단(320)은 인식표시(312)를 인식하여 해당 프로파일(P)이 하부 프로파일(P2)인지 상부 프로파일(P1)인지 감지한다.
제어부(700)는, 감지수단(320)이 상부 프로파일(P1)을 감지하면, 스토퍼(230)을 하강시킨 후 이송 로울러(210)을 구동시켜 상부 프로파일(P1)을 대기위치로(A4)로 이송시키고, 감지수단(320)이 하부 프로파일(P2)을 감지하면, 제1 컨베이어장치(410)를 상승시켜 하부 프로파일(P2)를 이송 로울러(210)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제1 컨베이어장치(410)를 구동시켜 제1 픽업핑거(432)의 하부 위치로 이송시킨다.
제어부(700)는, 하부 프로파일(P2)이 제1 컨베이어장치(410)에 의해 제1 픽업핑거(432)의 하부 위치로 이송되면, 제1 픽업핑거(432)들로 하부 프로파일(P2)를 취부하도록 한 후, 제1 반전 엑츄에이터(437)를 작동시켜 제1 반전 회전체(438)가 제1 픽업핑거(432)들을 180°회전시켜 하부 프로파일(P2)를 호차 설치공(H)이 위를 향한 상태로 이송블럭(420)에 안착시킨다.
하부 프로파일(P2)이 이송블럭(420)에 안착되면, 제어부(700)는 이송블럭(420)을 호차 장착위치(A2)로 전진 이송시킨다.
이 과정으로 반전된 상태로 각 이송블럭(420)에 안착된 하부 프로파일(P2)는 호차 설치공(H)이 상향이 된 상태로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된다. 이때 제어부(700)는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를 돌출 작동시켜 이송된 하부 프로파일(P2)이 호차 장착위치(A2)에 정지하도록 한다.
이때, 이송블럭(420)이 하부 프로파일(P2)를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시킬 때, 제2 이송부(270)의 제2 이동체(272)는 이미 호차 장착위치(A2)에 위치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송블럭(420)이 호차 장착위치(A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송되는 하부 프로파일(P2)은 제2 이송부(270)의 제2 안착핑거(274)에 취부한 상태가 되어 제2 이송부(270)에 의해 체결위치(A3)로 이송될 수 있다. 즉, 제2 안착핑거(274)에 구비된 안착핑거 엑츄에이터가 작동하여 제2 안착핑거(274)에 안착된 하부 프로파일(P2)을 취부하여 당기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하부 프로파일(P2)는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될 수 있고, 호차의 안착이 완료되면 체결위치(A3)로 이송될 수 있다.
이어서, 도시되지 않은 진입센서에 의해 하부 프로파일(P2)가 호차 장착위치(A2)로 진입하면, 제어부(700)는 호차 장착부(500)를 작동시켜, 호차 공급장치(510)로부터 공급되는 호차(W)를 파지한 후 각 호차 설치공(H)에 삽입시켜 안착시킨다.
즉, 제1 이송부(400)에 의해 호차 장착위치(A2)로 이송되면,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528A)에 의해 호차픽업용 핑거(529)가 호차(W)를 파지하도록 하고, 호차픽업용 핑거(529)가 호차(W)를 파지하면, 제1 호차 장착용 엑츄에이터(522)가 작동하여 제1 작동블럭(524)을 이동시켜 파지된 호차(W)가 호착 장착위치(A2)의 호차 설치공(H)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제1 작동블럭(524)에 마련되는 제2 호차 장착용 엑츄에이터(526)에 의해 제2 작동블럭(527)이 하강하여 호차픽업용 핑거(529)에 파지된 호차(W)가 하부 프로파일(P2)의 호차 설치공(H)에 삽입되도록 한다.
호차(W)가 호차 설치공(H)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제어부(700)는 호차픽업용 핑거(529)가 장착된 제2 작동블럭(527)를 상승시키고, 제1 작동블럭(524)를 원위치로 이동시켜 다른 호차(W)를 픽업하거나 픽업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과정으로 호차(W)가 하부 프로파일(P2)의 호차 설치공(H)에 안착되면, 제어부(700)는, 제2 이송부(270)을 작동시켜 하부 프로파일(P2)을 체결위치(A3)로 이송시킨다.
제2 이송부(270)에 의해 체결위치(A3)로 하부 프로파일(P2)이 이송되면, 체결부(600)의 자동나사 체결장치(610)가 작동하여 나사로 호차(W)를 하부 프로파일(P2)에 체결한다.
이 과정으로 호차(W)는 하부 프로파일(P2)에 장착된다.
이어서, 자동나사 체결장치(610)가 작동하여 하부 프로파일(P2)에 호차(W)가 장착되면, 제어부(700)는 제2 이송부(270)를 작동시켜 하부 프로파일(P2)를 이송시켜 체결위치(A3)로부터 대기위치(A4)의 반대편으로 이송시킨다.
하부 프로파일(P2)이 대기위치(A4)의 반대편으로 이송됨이 감지되면, 제어부(700)는 제3 이송부(280)의 제2 픽업핑거(284)를 작동시켜 각 제2 픽업핑거(284)가 하부 프로파일(P2)을 픽업한 후 180°로 반전시켜 제2 컨베이어장치(288)에 안착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700)는 제2 컨베이어장치(288)을 작동시켜 제2 픽업핑거(284)에 의해 반전되어 안착된 하부 프로파일(P2)를 대기위치(A4)의 이송 로울러(210)로 이송시킨다. 하부 프로파일(P2)가 이송 로울러(210)로 이송되면, 이송 로울러(210)를 작동시켜 미리 이송 로울러(210)에 대기하던 상부 프로파일(P1)과 함께 하부 프로파일(P2)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이상에서 같은 과정으로 프로파일 선별부(300)에서 선별된 상부 프로파일(P1)은 먼저 대기위치(A4)로 이송되고, 하부 프로파일(P2)은 1차 반전된 후 호차 장착위치(A2) 및 체결위치(A3)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호차(W)가 장착되며, 호차(W)가 장착된 하부 프로파일(P2)은 다시 재 반전된 후 대기위치(A4)로 이송됨으로써, 여러 프로파일(P)들 중에서 호차(W)가 장착되어야 할 하부 프로파일(P2)을 선별하여 호차(W)를 장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프로파일(P)을 선별해야 하는 불편함이 삭제될 수 있고, 호차(W)를 장착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200 : 프레임
300 : 프로파일 선별부 400 : 제1 이송부
500 : 호차 장착부 600 : 체결부
700 : 제어부

Claims (11)

  1. 미닫이형 문짝이나 창짝을 이루는 프로파일들 중에서 호차가 장착되어야 할 하부 프로파일과 호차가 장착되지 않는 상부 프로파일을 선별하고 선별된 하부 프로파일에 호차를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들이 프레임에 마련된 이송 로울러들에 의해 상면 한쪽에 마련된 선별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프로파일들에 표시된 인식표시를 스캔하거나, 아래를 향하는 호차 설치공을 감지하여 상기 프로파일들이 상기 하부 프로파일인지 여부를 선별하기 위한 프로파일 선별부;
    상기 프로파일 선별부에서 선별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프레임의 상면 다른 쪽에 마련된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하되, 상기 호차 설치공(H)이 상향이 되도록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픽업하여 반전시킨 후 상기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상기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의 상기 호차 설치공에 호차 공급장치로부터 차례대로 공급되는 호차를 삽입하기 위한 호차 장착부; 및
    자동나사 체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호차 장착부에 의해 상기 호차가 상기 호차 설치공에 삽입되어 가 결합된 상태로 체결위치로 이송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에 호차를 나사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선별부는,
    상기 인식표시를 스캔하거나 상기 호차 설치공을 감지하도록 상기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인식표시를 스캔하기 위한 비젼스캐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호차 설치공을 감지하기 위한 포토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프로파일 선별부에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감지하면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들어올려 상기 이송 로울러에서 이격시키면서 상승한 후 상기 이송 로울러의 이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이송하기 위한 제1 컨베이어장치;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호차 장착위치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 로울러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블럭; 및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픽업하여 반전시킨 후 상기 이송블럭에 안착시키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제1 픽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프로파일 선별부가 상기 상부 프로파일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이송 로울러를 작동시켜 상기 상부 프로파일을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대기위치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업부재는,
    제1 핑거 엑츄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픽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 픽업핑거; 및
    각각의 제1 픽업핑거의 각 일단이 제1 연결체에 의해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고, 제1 반전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 작동하여 상기 제1 픽업핑거를 180°로 반전시키도록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제1 반전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럭은,
    상기 제1 픽업부재에 의해 반전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이 안착되는 각각의 제1 안착핑거; 및
    상기 제1 안착핑거가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이송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이동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단독 또는 동시에 이동되는 한 쌍의 제1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차 장착부는,
    상기 하부 프로파일의 이송 방향과 직교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 호차 장착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직교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1 작동블럭;
    상기 제1 작동블럭에 마련되는 제2 호차 장착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2 작동블럭; 및
    상기 제2 작동블럭의 일단에 결합되고,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호차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호차를 픽업하여 상기 호차 설치공에 삽입하기 위한 호차픽업용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차 장착부는,
    상기 호차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호차를 픽업한 후 호차가 상기 호차 설치공에 삽입되는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호차방향 변환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호차방향 변환수단은,
    상기 호차 공급장치의 공급부재에 대기하는 호차의 조절나사를 한쪽 방향에서만 감지하기 위한 조절나사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작동블럭의 일단과 상기 호차픽업용 엑츄에이터와 상기 호차픽업용 핑거가 구비된 핑거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나사 감지센서의 상기 조절나사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핑거블럭을 회전시키거나 정지시켜 상기 호차의 삽입방향을 선택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핑거 회전작동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호차 장착부에 의해 상기 호차가 상기 호차 설치공에 삽입되면,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체결위치로 이송한 후 상기 체결위치를 벗어나도록 하기 위한 제2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호차 장착부에 의해 호차가 삽입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이 안착되는 각각의 제2 안착핑거; 및
    상기 제2 안착핑거가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이동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단독 또는 동시에 이동되는 한 쌍의 제2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체와 제2 이동체는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이동체 의해 이송되는 상기 하부 프로파일이 상기 제2 안착핑거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체결부를 통과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상부 프로파일이 대기하는 대기위치로 반전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3 이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이송부는,
    제2 핑거 엑츄에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안착핑거에 안착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픽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픽업핑거;
    각각의 제2 픽업핑거의 각 일단이 제2 연결체에 의해 중간부에 각각 결합되고, 제2 반전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 작동하여 상기 제2 픽업핑거를 180°로 반전시키도록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제2 반전 회전체; 및
    상기 제2 픽업핑거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로 반전된 상기 하부 프로파일을 상기 상부 프로파일과 함께 상기 이송 로울러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위치에 해당하는 프레임에는,
    프로파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프로파일을 상기 선별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용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이송 로울러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이송 로울러보다 낮도록 하강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KR1020180137960A 2018-11-12 2018-11-12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KR101991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960A KR101991419B1 (ko) 2018-11-12 2018-11-12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960A KR101991419B1 (ko) 2018-11-12 2018-11-12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419B1 true KR101991419B1 (ko) 2019-09-30

Family

ID=6809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960A KR101991419B1 (ko) 2018-11-12 2018-11-12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41153A (zh) * 2023-02-20 2023-06-09 深圳清联同创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滑轨式汽车尾门推动机构及生产设备
KR102576710B1 (ko) * 2022-12-06 2023-09-08 (주)에이스홈데코 도어 자동 제작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5539U (ko) 1995-12-30 1997-07-26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조
KR20050041634A (ko) * 2003-10-31 2005-05-04 이창래 크리센트 자동 체결장치
KR20120014018A (ko) 2009-05-01 2012-02-15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음료 제조 기계
KR101126707B1 (ko) * 2009-04-29 2012-03-29 주식회사 서진캠 조립식 캠 샤프트용 센서피스 조립장치
KR101181200B1 (ko) * 2012-02-23 2012-09-18 (주)지엠티 프로파일 자동 로딩 적치 장치
KR101402458B1 (ko) * 2012-05-04 2014-06-03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창호용 하드웨어 자동 조립장치
KR20170065866A (ko) * 2015-12-04 2017-06-1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KR20180001741A (ko) 2016-06-28 2018-01-05 전창현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101899942B1 (ko) 2018-03-07 2018-09-18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호차 자동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5539U (ko) 1995-12-30 1997-07-26 자동차의 시트벨트 구조
KR20050041634A (ko) * 2003-10-31 2005-05-04 이창래 크리센트 자동 체결장치
KR101126707B1 (ko) * 2009-04-29 2012-03-29 주식회사 서진캠 조립식 캠 샤프트용 센서피스 조립장치
KR20120014018A (ko) 2009-05-01 2012-02-15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음료 제조 기계
KR101181200B1 (ko) * 2012-02-23 2012-09-18 (주)지엠티 프로파일 자동 로딩 적치 장치
KR101402458B1 (ko) * 2012-05-04 2014-06-03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창호용 하드웨어 자동 조립장치
KR20170065866A (ko) * 2015-12-04 2017-06-1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KR20180001741A (ko) 2016-06-28 2018-01-05 전창현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101899942B1 (ko) 2018-03-07 2018-09-18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호차 자동 장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710B1 (ko) * 2022-12-06 2023-09-08 (주)에이스홈데코 도어 자동 제작장치
CN116241153A (zh) * 2023-02-20 2023-06-09 深圳清联同创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滑轨式汽车尾门推动机构及生产设备
CN116241153B (zh) * 2023-02-20 2023-11-07 深圳清联同创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滑轨式汽车尾门推动机构及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530B1 (ko)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이송방법
KR101991419B1 (ko) 프로파일용 호차 자동 장착장치
KR100689710B1 (ko) 베어링 이송장치
EP1547943A1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system
WO2019172516A1 (ko) 호차 자동 장착장치
JP5939556B2 (ja) クレセントブラケットの自動取付装置
KR200425828Y1 (ko) 댐퍼 스토퍼장치
JPH03205222A (ja) パレツト供給装置
KR101725871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의 그립퍼 유닛
JP3877198B2 (ja) ワーク搬送機構
KR102137148B1 (ko) 창호용 프로파일 자동 이송 장치
US5862904A (en) Line synchronizing apparatus
KR100500728B1 (ko)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KR20110013713A (ko) 팔레트 수하물 센터링 머신
CN109877759A (zh) 天窗自动翻转装置
ITMI20000309A1 (it) Abbassatore con azionatore capace di movimento combinato di azionamento di un blocco e di supporto
US6607069B2 (en) Crank drive for returning work pieces
KR100831620B1 (ko) 필름 낱장공급장치
US6793067B1 (en)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KR100614208B1 (ko) 컨베이어 시스템
CN112791960A (zh) 循环式分拣机控制系统
CN219903085U (zh) 一种双向软着陆自动装框机
JP3696355B2 (ja) シリンダスリーブのチャック搬送装置
KR100428816B1 (ko) 차륜언로딩/배출자동장치
KR100764979B1 (ko) 트래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