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175B1 - 분기 어댑터 - Google Patents

분기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175B1
KR101989175B1 KR1020170126460A KR20170126460A KR101989175B1 KR 101989175 B1 KR101989175 B1 KR 101989175B1 KR 1020170126460 A KR1020170126460 A KR 1020170126460A KR 20170126460 A KR20170126460 A KR 20170126460A KR 101989175 B1 KR101989175 B1 KR 10198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rt
water
knob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950A (ko
Inventor
김영관
김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비엘
Priority to KR102017012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1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통해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 물을 분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편심유니온에 분기 조립되는 분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치된 싱크대용 수전금구는 분리하지 않고 간편하게 분기 어댑터를 설치하여 정수기 등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싱크대의 수전금구에 급수되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기 어댑터{AN ADAPTER FOR BRANCHING PIPE}
본 발명은 분기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통해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분기 조립되는 분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는 설거지를 하거나 야채 등의 식품을 세척하기 위한 수전금구가 설치되어 있고, 최근에는 싱크대에 설치된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 물을 공급하도록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조립되는 분기 어댑터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싱크대의 급수전(수전금구)(10)은 몸톰(15)에 구비된 조절레버(11)의 조작에 따라 배출부(13)를 통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벽 배관부(23), 편심유니온부(21), 필터부(25), 급수조절부(27)를 포함한다.
이때,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도 물을 공급하도록 벽배관부(23)에 급수연결장치(30)를 분기하여 설치하는데, 급수연결장치(30)는 벽배관부(230)에 연결된 스크류밸브(33) 및 급수호스(40)와 연결되는 연결니플(35)을 포함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을 위한 급수연결장치(30)를 설치하려면 먼저 기존에 설치된 싱크대용 급수전(10)을 벽배관부(23)로부터 분리한 후 급수연결장치(30)를 조립해야한다. 따라서, 연결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도 2와 같이,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65557호에서는 급수조절부(도 1의 27 참조)를 제거하고, 그 대신 부싱(130)을 통해 볼 밸브 몸통(121), 손잡이(123) 및 연결니플(127)로 이루어진 급수연결장치(120)를 조립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싱크대 급수전(100)을 분리할 필요없이 급수연결장치(120)를 쉽게 조립할 수는 있지만, 상기 급수조절부(27)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싱크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조절할 수 없다.
즉, 새로이 조립된 손잡이(123)를 이용하여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에 공급되는 물의 양만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싱크대용 급수전(100)의 기본 기능인 싱크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655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 설치된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분리하지 않고도 쉽게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을 설치할 수 있는 분기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어댑터를 조립하더라도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기본 기능인 메인 토출구를 통해 싱크대에 급수되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분기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는, 벽배관부와 연결되는 제1포트와, 싱크대의 수전금구에 연결되는 제2포트와, 상기 제1포트와 제2포트를 상호 연결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연결바와, 상기 제1포트와 연통되는 제3포트를 포함하는 싱크대 수전금구용 편심유니온의 제3포트에 장착되되, 상기 편심유니온의 제3포트 내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물이 통과되는 중공의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수공이 관통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편심유니온의 제3포트 내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제1포트 내부 유로의 전방측 출구를 개폐하며,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게이트패킹과;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 중공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됨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샤프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는 제1관체와, 상기 제1관체의 일측에 분기 형성된 제2관체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출수공을 통하여 배출된 물을 분기시키는 분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의 전방측에서 상기 샤프트의 전단부와 결합되는 노브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관체의 내부 중공은 출수공이 형성된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측의 직경이 전방측 보다 더 크게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진 경계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후방 단부에는 전방측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전방측에는 상기 메인관체의 내부 경사면에 상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출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 출수공 전후측에는 O-링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전방측은 폐쇄되고 후방측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후방측 중앙에 샤프트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양측으로부터 노브의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전방측 개구에는 상기 노브 중공에 끼움 결합되는 노브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브의 리브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노브결합부를 가로지르는 리브홈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기 설치된 싱크대용 수전금구는 분리하지 않고 사용자 측에 노출된 수량조절부를 회전시켜 제거후 간단하게 분기 어댑터를 설치함으로써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 물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의 수전금구에 급수되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를 나타낸 일 예이다.
도 2 는 종래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를 나타낸 다른 예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가 기존 편심유니온에 결합되기 전(a)과 후(b)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 따른 분기 어댑터의 조립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의 수전금구측 유로 차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의 정수기측 유로 차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의 수전금구측 유로와 정수기측 유로가 동시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가 기존 설치된 편심유니온(200)에 결합되기 전(a)과 후(b)의 상태가 도시된다.
참고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유니온(200)은 하측 후방에 벽배관부와 연결되는 관체인 제1포트(P1)가 형성되고, 상측 전방에는 싱크대의 수전금구에 나사 결합되는 제2포트(P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포트(P1)와 제2포트(P2) 간에는 연결바(21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210) 내부에는 유로(A)가 형성되어 제1포트(P1)와 제2포트(P2)가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편심유니온(200)의 하측 전방에는 상기 제1포트(P1)와 연통되는 제3포트(P3)가 개구 형성된다. 상기 제3포트(P3)에는 본래 싱크대용 수전금구로 공급되는 물의 양(또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급수조절부(도 1 의 27 참조)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유니온(200)의 제1포트(P1) 내부 유로는 전방측 출구가 후방측 보다 직경이 더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포트(P1) 내부 유로의 전방측 출구는 후술하는 게이트패킹(1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포트(P1) 내부 유로의 개폐 작동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에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설치되어 있는 편심유니온(200)의 전방 하측에 구비된 급수조절부(도 1 의 27 참조)를 제거한 후 개구된 제3포트(P3)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는 기존 수전금구를 분리한 후 다시 결합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다.
도 5 및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분해 사시도와 조립 단면도로 각각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는 메인바디(110), 게이트패킹(120), 분기구(140), 샤프트(130) 및 노브(150)를 포함한다.
메인바디(1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통과되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인 중공 관체로서, 후방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기존 설치된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 내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상기 메인바디(110)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를 통하여 공급되어 메인바디(11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수공(11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출수공(111)은 메인바디(110)의 외주면을 따라 1개 또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출수공(111)을 통하여 배출된 물은 후술하는 분기구(140)를 통하여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로 공급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분기구(140)는 메인바디(11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메인바디(110)와 분기구(140) 사이에는 매우 작은 간극이 존재한다. 이렇게 간극이 너무 작으면 메인바디(110)의 출수공(111)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분기구(140)의 분기관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한다. 따라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공(111)이 형성된 메인바디(110)의 중앙 외주면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함몰된 오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2)에 출수공(111)이 형성되어, 메인바디(110)와 분기구(140)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형성됨에 따라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10)의 출수공(111)을 통하여 배출된 물이 후술하는 분기구(140)의 출수공(111) 이외의 다른 부분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바디(110)의 외주면 출수공(111) 전후측에는 O-링(113,114)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메인바디(110)의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110)의 후방측, 특히 나사산 전방측에 다수의 O-링(115,116)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10)의 전방측 개구에는 후술하는 노브(150)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인 노브결합부(117)가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술하는 노브(150)의 리브(154)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노브결합부(117)를 가로지르는 리브홈(118)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10)의 후방 단부에는 게이트패킹(120)이 결합된다. 상기 게이트패킹(120)은 상기 편심유니온(200)의 전방 하측에 개구 형성된 제3포트(P3)내에 삽입되어 제1포트(P1) 내부 유로의 전방측 출구를 개폐한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패킹(120)은 전방측이 후방측 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전방측이 메인바디(110)의 후방 단부 개구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게이트패킹(120)의 후방측 직경은 상기 편심유니온(200)의 제1포트(P1) 내부 유로 전방측 출구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포트(P1) 내부 유로 출구를 덮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게이트패킹(120)의 중앙에는 전후 축 방향으로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편심유니온(200)의 제1포트(P1)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메인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측 중공에는 샤프트(130)가 삽입 배치된다. 상기 샤프트(130)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됨에 따라 메인바디(11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부 중공은 출수공(111)이 형성된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측의 직경이 전방측 보다 더 크게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진 경계면에는 경사면(1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30)의 후방 단부에는 전방측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헤드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부(132)의 전방측에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부 경사면(119)에 상응하는 경사면(134)이 형성되고, 헤드부(132)의 외주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O-링(134a)이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샤프트(13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메인바디(110)의 내부 단차부 경사면(119)과 샤프트(130)의 헤드부(132) 경사면(134)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어 출수공(111)을 통하여 분기구(140)로 분기 배출되고, 샤프트(13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메인바디(110)의 내부 단차부 경사면(119)에 샤프트(130)의 헤드부(132) 경사면(134)이 맞닿게 됨에 따라 메인바디(110) 내부 유로가 차단되어 물이 분기구(140)로 분기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샤프트(130)의 중앙 외주면에는 메인바디(110) 내부 유로를 통과하는 물이 전방 노브(150) 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O-링(136)이 개재된다.
상기 샤프트(130)의 전방측으로의 이동후 후방측으로 원활한 복귀를 위해, 샤프트(130)의 전방측 외주면에는 스프링(138)이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138)의 후단측은 샤프트(130)의 중앙 O-링이 설치된 돌출 단턱에 지지되고, 전단측은 메인바디(110)의 내측 단턱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30)가 전방측으로 이동될때 스프링(138)이 수축되고, 후방측으로 이동시에는 스프링(138)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130)가 원활하게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분기구(140)는 메인바디(110)의 출수공(111)을 통하여 배출된 물을 분기시켜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10)의 중앙부 둘레에 삽입 결합되는 제1관체(142)와, 상기 제1관체(142)의 일측에 분기 형성된 제2관체(1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관체(142)와 제2관체(144)는 연통공(146)에 의해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구(140)의 연통공(146)은 메인바디(110)의 출수공(111)이 형성된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10)의 출수공(111)은 오목부(112)에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메인바디(110)의 오목부(112) 구간에 상기 분기구(140)의 연통공(146)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메인바디(110)의 출수공(111)을 통하여 오목부(112) 공간으로 배출된 물은 분기구(140)의 연통공(146)을 통해 제2관체(144)로 분기되어 흘러간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110)의 출수공(111) 전후방 측에 각각 개재된 O-링(113,114)에 의해 출수공(111)을 통해 배출된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분기구(140)는 메인바디(110)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관체(144)의 방향이 변경 가능하게 되므로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의 최전방측에는 노브(150)가 배치된다. 상기 노브(150)는 메인바디(110)를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회전시키거나, 상기 샤프트(130)를 전후방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 또는 당기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속이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전방측은 폐쇄되고 후방측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동전 또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돌릴 수 있도록 오목홈(152)이 형성된다. 상기 노브(150)의 후방측에는 중앙에 샤프트(130)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153a)이 형성된 원통형의 결합돌기(15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53a)에는 샤프트(130)의 전단부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130)는 상기 결합홈(153a)에 나사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방식 등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153)의 양측으로부터 노브(150)의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리브(154)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154)는 메인바디(110)의 전단부에 형성된 리브홈(118)에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동전 또는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노브(150)를 회전시키면 메인바디(110)가 함께 회전되어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 내측에 나사 결합되고, 사용자가 노브(150)를 파지한 후 전방측으로 당기면 노브(150)에 결합된 샤프트(130)가 전방측으로 수평 이동됨에 따라 메인바디(110)의 내부 유로가 차단된다. 이러한 작동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의 구성을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의 작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의 구성이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에 메인바디(110)의 후단부를 삽입하여 나사 결합한다.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가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에 나사 결합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10)를 최대 한계까지 회전시켜 나사 결합하게 되면, 메인바디(110)의 후단측에 결합된 게이트패킹(120)이 제1포트(P1) 내부 유로의 전방 출구를 커버함에 따라 제1포트(P1)의 유로가 차단되어 연결바(210)의 내부 유로(A)로 물이 흐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포트(P2)에 연결된 싱크대의 수전금구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게이트패킹(120)의 중앙 관통공(122)은 편심유니온(200)의 제1포트(P1) 내부 유로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바디(1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그리고, 현 상태에서는 샤프트(130)의 헤드부(132)가 메인바디(110)의 내주면 경사면(119)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간극을 통하여 물이 통과된다. 통과된 물은 출수공(111)을 통하여 배출된 후 분기구(140)의 연통공(146)을 통하여 제2관체(144)로 분기되어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으로 공급된다.
한편,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으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5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당겨준다. 그러면, 노브(150)에 결합된 샤프트(130)가 전방측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후단측의 헤드부(132) 경사면(134)이 메인바디(110)의 내부 유로 단차부 경사면(119)에 맞닿으면서 메인바디(110) 내부 유로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으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된다.
이때, 노브(150)를 파지하여 당긴 후 다시 놓으면 스프링(138)에 의해 샤프트(130)가 후방측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메인바디(110) 내부 유로가 다시 열리게 되어 분기관을 통해 물이 배출된다.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초 설치를 위해서는 분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장기간 차단해야 하는바, 이러한 경우에는 노브(150)를 파지하여 당긴 후 회전시켜 샤프트(130)가 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5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중앙에 결합돌기(153)가 형성되고, 결합돌기(153)의 양측에는 리브(1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노브(150) 및 샤프트(130)가 당겨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노브(150)의 리브(154)가 메인바디(110)의 전단부 리브홈(118)에 끼워지고 메인바디(110)의 노브결합부(117)는 노브(150)의 중공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노브(150)를 전방측으로 당기게 되면, 노브(150)의 리브(154)가 메인바디(110)의 리브홈(118)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노브(150)를 회전시키면 리브(154)가 메인바디(110)의 전단 노브결합부(117)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샤프트(130)가 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30)의 헤드부(132)가 메인바디(110)의 내부 유로를 차단하게 되어 분기구(140)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역순으로 노브(150)를 회전시킨후 놓으면 스프링(138)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130)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메인바디(110)의 내부 유로가 개방됨에 따라 분기구(140)를 통하여 불이 배출되고 이와 연결된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으로 물이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어댑터(100)는 싱크대 수전금구로의 물 공급을 단속하거나 공급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패킹(120)이 편심유니온(200)의 제1포트(P1)의 유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결합된 메인바디(11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게이트패킹(120)이 편심유니온(200)의 제1포트(P1) 내부 유로 출구로부터 분리 이격된다. 이에 따라 해당 간극을 통해 물이 흘러 연결바(210)의 내부 유로(A)를 통해 제2포트(P2)로 배출됨에 따라 싱크대 수전금구로 물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노브(150)를 적절히 회전시켜 게이트패킹(120)과 편심유니온(200)의 제1포트(P1) 내부 유로 출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함으로써 싱크대 수전금구로 공급되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 에서와 같이, 메인바디(11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편심유니온(200)의 제1포트(P1) 내부 유로의 출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샤프트(13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메인바디(110)의 내부 유로가 개방된 경우에는, 편심유니온(200)의 제2포트(P2)와 연결된 싱크대의 수전금구 및 메인바디(110)에 결합된 분기관과 연결된 정수기 또는 식기세척기로 동시에 급수가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 메인바디 111 : 출수공
112 : 오목부 117 : 노브결합부
118 : 리브홈 119 : 경사면
120 : 게이트패킹 122 : 관통공
130 : 샤프트 132 : 헤드부
134 : 경사면 138 : 스프링
140 : 분기구 142 : 제1관체
144 : 제2관체 146 : 연통공
150 : 노브 152 : 오목홈
153 : 결합돌기 153a : 결합홈
154 : 리브

Claims (6)

  1. 벽배관부와 연결되는 제1포트(P1)와, 싱크대의 수전금구에 연결되는 제2포트(P2)와, 상기 제1포트(P1)와 제2포트(P2)를 상호 연결하며 내부에 유로(A)가 형성된 연결바(210)와, 상기 제1포트(P1)와 연통되는 제3포트(P3)를 포함하는 싱크대 수전금구용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에 장착되어 물을 분기하는 분기 어댑터(100)로서,
    상기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 내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됨에 따라, 회전에 의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물이 통과되는 중공의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수공(111)이 관통 형성된 메인바디(110)와;
    상기 메인바디(110)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편심유니온(200)의 제3포트(P3) 내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11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제1포트(P1) 내부 유로의 전방측 출구를 개폐하며,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공(122)이 형성된 게이트패킹(120)과;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측 중공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됨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샤프트(130)와;
    상기 메인바디(110)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관체(142)와, 상기 제1관체(142)의 일측에 분기 형성된 제2관체(144)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바디(110)의 출수공(111)을 통하여 배출된 물을 분기시키는 분기구(140)와;
    상기 메인바디(110)의 전방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측에는 상기 샤프트(130)의 전단부가 결합되어,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130)가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바디(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110)가 회전되도록 하는 노브(150)를 포함하는 분기 어댑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부 중공은 출수공(111)이 형성된 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측의 직경이 전방측 보다 더 크게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30)의 후방 단부에는 전방측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헤드부(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어댑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부 중공의 단차진 경계에는 경사면(119)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130)의 헤드부(132) 전방측에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부 경사면(119)에 상응하는 경사면(1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어댑터.
  5.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바디(110)의 외주면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함몰된 오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12)에 상기 출수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110)의 외주면 출수공(111) 전후측에는 O-링(113,11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어댑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15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전방측은 폐쇄되고 후방측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후방측 중앙에 샤프트(130)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153a)이 형성된 결합돌기(15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53)의 양측으로부터 노브(150)의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리브(154)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10)의 전방측 개구에는 상기 노브(150) 중공에 끼움 결합되는 노브결합부(1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브(150)의 리브(154)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노브결합부(117)를 가로지르는 리브홈(1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어댑터.
KR1020170126460A 2017-09-28 2017-09-28 분기 어댑터 KR101989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60A KR101989175B1 (ko) 2017-09-28 2017-09-28 분기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60A KR101989175B1 (ko) 2017-09-28 2017-09-28 분기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50A KR20190036950A (ko) 2019-04-05
KR101989175B1 true KR101989175B1 (ko) 2019-06-14

Family

ID=6610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60A KR101989175B1 (ko) 2017-09-28 2017-09-28 분기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326B1 (ko) * 2021-07-27 2023-11-15 신현오 두방향 가로꼭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979A (ja) * 1998-12-02 2000-06-23 Toto Ltd 分岐水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614B1 (ko) 1997-01-13 1999-06-15 구자홍 인버터 히터펌프의 적상방지 제어방법
KR19980065557U (ko) * 1997-05-02 1998-12-05 이영서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979A (ja) * 1998-12-02 2000-06-23 Toto Ltd 分岐水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50A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4175B2 (en) Shower bar system
US8122528B2 (en) Shower device
US20140325752A1 (en) Plumbing Fixtures for Shower and Bathtub
KR101989175B1 (ko) 분기 어댑터
KR101090519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100739880B1 (ko) 스위치식 물분사기
KR102363334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급탕 분배기
KR200485285Y1 (ko) 수전용 어댑터
JP2021071021A (ja) 水抜き装置及び水抜き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101671809B1 (ko) 양변기용 밸브
JP5363040B2 (ja) 壁内蔵型給水栓及びその取付構造
JPH11280127A (ja) 水栓装置
JP2001207497A (ja) 水栓装置
JP3772074B2 (ja) 止水弁付ヘッダ
KR20220170107A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JP2001165378A (ja) 水栓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0414607Y1 (ko) 스위치식 물분사기
KR20220167566A (ko) 배관용 커플러
JP2001173052A (ja) 吐水器具
JP2001090127A (ja) 吐水装置
JPH0624078U (ja) 分岐栓
JP2001132032A (ja) 吐水具
JPH10338950A (ja) 水栓装置
JP2003003533A (ja) 水栓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