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85Y1 - 수전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수전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85Y1
KR200485285Y1 KR2020160006924U KR20160006924U KR200485285Y1 KR 200485285 Y1 KR200485285 Y1 KR 200485285Y1 KR 2020160006924 U KR2020160006924 U KR 2020160006924U KR 20160006924 U KR20160006924 U KR 20160006924U KR 200485285 Y1 KR200485285 Y1 KR 200485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on
pipe
auxiliary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헌
Original Assignee
김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헌 filed Critical 김상헌
Priority to KR2020160006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18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branch pipe being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위한 수전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통해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분기 조립되는 수전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전용 어댑터{AN ADAPTER FOR FAUCET OF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위한 수전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통해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분기 조립되는 수전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는 설거지를 하거나 야채 등을 세척하기 위한 수전금구가 설치되어 있고, 최근에는 싱크대에 설치된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 물을 공급하도록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조립되는 수전용 어댑터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싱크대의 급수전(수전금구)(10)은 몸톰(15)에 구비된 조절레버(11)의 조작에 따라 배출부(13)를 통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벽 배관부(23), 편심유니온부(21), 필터부(25), 급수조절부(27)를 포함한다.
이때,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에도 물을 공급하도록 벽배관부(23)에 급수연결장치(30)를 분기하여 설치하는데, 급수연결장치(30)는 벽배관부(230)에 연결된 스크류밸브(33) 및 급수호스(40)와 연결되는 연결니플(35)을 포함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을 위한 급수연결장치(30)를 설치하려면 먼저 기존에 설치된 싱크대용 급수전(10)을 벽 배관부(23)로부터 분리한 후 급수연결장치(30)를 조립해야한다. 따라서, 연결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도 2와 같이,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65557호에서는 급수조절부(도 1의 27 참조)를 제거하고, 그 대신 부싱(130)을 통해 볼 밸브 몸통(121), 손잡이(123) 및 연결니플(127)로 이루어진 급수연결장치(120)를 조립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싱크대 급수전(100)을 분리할 필요없이 급수연결장치(120)를 쉽게 조립할 수는 있지만, 상기 급수조절부(27)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싱크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조절할 수 없다.
즉, 새로이 조립된 손잡이(123)를 이용하여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에 공급되는 물의 양만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싱크대용 급수전(100)의 기본 기능인 싱크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65557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 설치된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분리하지 않고도 쉽게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수전용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수전용 어댑터를 조립하더라도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기본 기능인 메인 토출구를 통해 싱크대에 급수되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전용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메인 토수구와 조절 레버가 설치된 몸체 및 급수로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몸체로 안내하는 유니온 배관부(U)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위한 수전용 어댑터에 있어서, 양측 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전방측 개구에 연결되는 가이드 배관부 및 상기 가이드 배관부로부터 분기된 보조 토수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가이드 배관부를 관통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며, 후방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보조 토수부까지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작동 샤프트와; 상기 유니온 배관부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후방측으로 이동시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급수로를 폐쇄하도록 밀착되고, 수압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시는 상기 급수로를 개방하는 게이트 패킹과; 상기 게이트 패킹이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급수로를 막도록 후방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체크 스프링; 및 양단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측은 상기 게이트 패킹을 관통하여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급수로에 노출되고, 전방측은 상기 작동 샤프트의 유로에 노출되는 보조 공급수관(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니온 배관부는 제1 포트, 제2 포트 및 분기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포트에는 상기 급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포트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 포트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가이드 배관부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제2 포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니온 배관부에 조립된 커넥터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 토수부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배관부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제2 포트 단부에 맞닿아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 샤프트는 전방측 단부에 구비된 수량 조절버튼과; 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1 조립홈과; 상기 제1 조립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2 조립홈; 및 전체 길이 중 상기 보조 토수부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되며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조립홈까지 연통된 유출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조립홈 및 유출공을 포함하여 상기 보조 토수부까지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상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 샤프트(22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물공급 홈(224a)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공급 홈(224a)에 상기 유출공(2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이트 패킹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급수로(IN)를 막도록 밀착되며, 전방부는 상기 제1 조립홈 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이트 패킹은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급수로를 막도록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 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제1 조립홈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수압에 의해 상기 게이트 패킹이 이동시 상기 작동 샤프트에 의해 걸림 동작이 일어나도록, 상기 작동 샤프트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밀착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크 스프링은 상기 제1 조립홈 내에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 패킹이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급수로를 막도록 후방측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공급수관은 상기 제1 조립홈을 통과하여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조립홈 내부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 샤프트의 제2 조립홈 내부에 삽입 고정된 잠금 패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출공은 상기 잠금 패킹과 보조 공급수관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작동 샤프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잠금 패킹이 상기 보조 공급수관의 전방측 단부 개구를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 샤프트의 후방측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량 조절버튼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샤프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기 설치된 싱크대용 수전금구는 분리하지 않고 사용자 측에 노출된 수량 조절버튼을 회전시켜 제거하고, 거기에 바로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을 위한 수전용 어댑터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새로운 수전용 어댑터를 조립하더라도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기본 기능인 메인 토출구를 통해 싱크대에 급수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를 나타낸 일 예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를 나타낸 다른 예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를 나타낸 조립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의 작동 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의 게이트 패팅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의 제1 상태(수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의 제2 상태(잠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본 고안에 다른 수전용 어댑터는 싱크대용 수전금구(도 1의 10 참조)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메인 토수구와 조절 레버가 설치된 몸체(도 1의 15 참조)로 물을 공급하는 '유니온 배관부(U)'에 설치되는 것으로 커넥터(210)를 구성하는 가이드 배관부(211)와 연결된다.
이러한 유니온 배관부(U)는 벽 배관 등과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몸체(15)를 연결하는 연결부로써, 일 예로 제1 포트(P1)에는 급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포트(P2)는 개방되어 있으며 분기 포트(P3)는 몸체(15)에 연결된다.
또한, 유니온 배관부(U)는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찬물과 더운물을 공급하도록 각각 몸체(15)에 연결된 2개의 편심유니온부(도 1의 21 참조)나 1개의 단일 유니온부(미도시)를 비롯하여 다양한 타입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기 설치된 싱크대용 수전금구인 경우라도 전방부(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전방'이라 하며, 이하 동일함)에 노출된 급수조절부(도 1의 27)를 풀어 제거한 후 그 위치에 끼워 조립된다. 이때,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기 설치된 급수조절부(27)의 위치에 따라 전방부는 물론, 측부나 상부를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벽 배관 등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설치 이후에는 커넥터(210)에 구비된 보조 토수부(212)나 니플(N)에 정수기나 식기 세척기 등(이하, 정수기라 함)의 공급 호스(도 1의 40 참조)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를 조립하더라도 커넥터(210)에 삽입 설치된 작동 샤프트(220)의 수량 조절버튼(221)을 조작하여 메인 토출구(도 1의 13 참조)를 통해 싱크대에 급수되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도 4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는 일 실시예로써 커넥터(210), 작동 샤프트(220), 게이트 패킹(230)(gate packing), 체크 스프링(240)(check spring) 및 보조 공급수관(250)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써 상술한 구성(210 내지 250)들 이외에 오링(O1 내지 O3), 스톱링(S-R) 및 잠금 패킹(2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210)는 싱크대용 수전금구 중 유니온 배관부(U)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각종 구성이 설치되는 하우징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 배관부(211) 및 보조 토수부(212)를 포함한다.
가이드 배관부(211) 및 보조 토수부(212)는 각각 별도로 제작 후 서로 조립될 수도 있지만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가이드 배관부(211)로부터 보조 토수부(212)가 분기된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넥터(210) 중 가이드 배관부(211)는 양측 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후방측 단부는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구성하는 유니온 배관부(U)의 제2 포트(P2)(즉, 전방측 개구)에 연결된다.
이때, 유니온 배관부(U)에 조립된 커넥터(2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210)의 전방측 연단부는 유니온 배관부(U)의 제2 포트(P2) 연단부에 맞닿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210)와 유니온 배관부(U)를 맞닿도록 연결하면 후술하는 작동 샤프트(220)를 지지축으로 하여 유니온 배관부(U)에 조립된 커넥터(210)만을 자유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조 토수부(212)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과 같이 가이드 배관부(211) 중 보조 토수부(212)가 연결된 부분에는 급수공(213)이 형성되어 있어서 급수공(213)을 통해 보조 토수부(212)로 물이 급수되고, 급수된 물은 보조 토수부(212)를 통해 토수된다.
따라서, 가이드 배관부(211)로부터 분기된 보조 토수부(212)에 직접 혹은 니플(N)을 통해 정수기의 연결 호스(도 1의 40 참조) 등을 연결하면, 보조 토수부(212)에서 급수된 물이 정수기로 공급된다.
가이드 배관부(211)의 내주면 중 전방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내측에 형성된 단턱(211a)은 작동 샤프트(2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시 수량 조절버튼(221)이 걸림 동작을 한다.
다음, 작동 샤프트(220)는 싱크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물론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핵심 부품으로, 가이드 배관부(211)를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전방부에서 삽입된다.
또한, 작동 샤프트(220) 가이드 배관부(211)를 관통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며, 후방측 단부에서부터 보조 토수부(212)까지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유로(223, 2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 샤프트(220)는 전체적으로 원형 기둥 형상의 샤프트가 사용되며, 다수의 끼움홈(G1, G2, G3, SRG), 수량 조절버튼(221), 제1 조립홈(222), 제2 조립홈(223), 유출공(224) 및 수나사산(225) 등을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끼움홈(G1, G2, G3, SRG)은 각각 오링(O1 내지 O3)이나 스톱링(S-R)이 끼워지는 것으로 작동 샤프트(220)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오링(O1) 내지 제3 오링(O3)을 끼우기 위한 3개의 끼움홈(G1, G2, G3) 및 스톱링(S-R)을 끼우기 위한 1개의 끼움홈(SRG)을 포함한다.
제1 오링(O1) 및 제2 오링(O2)은 조립시 커넥터(210) 내부에 위치하여 실링을 하고, 제3 오링(O3)은 조립시 유니온 배관부(U)의 제2 포트(P2) 내부에 위치하여 실링을 하며, 스톱링(S-R)은 커넥터(210)에 끼워진 이후 이탈을 방지한다.
수량 조절버튼(221)은 작동 샤프트(220)의 전방측 단부(사용자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손잡이 타입은 물론, 동전처럼 얇은 물체를 끼워 돌릴 수 있는 일자홈(221a)이 형성된 수량 조절버튼(221)과 같이 여러 타입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과 같이, 제1 조립홈(222) 및 제2 조립홈(223)은 작동 샤프트(220)의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제1 조립홈(222)은 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제2 조립홈(223)은 상기 제1 조립홈(2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조립홈(222) 및 제2 조립홈(223)은 모두 단면이 원형인 홈이며, 제1 조립홈(222)의 직경을 제2 조립홈(223)의 직경보다 넓게 성형함에 따라 제1 조립홈(222)의 중심부에 제2 조립홈(223)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조립홈(222)에는 게이트 패킹(230)이 좌우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조립홈(223)에는 보조 공급수관(250)이 끼워짐에 따라 커넥터(210)에 구비된 보조 토수부(212)까지 물의 토수가 안내될 수 있게 한다.
유출공(224)은 전체 길이 중 보조 토수부(212)가 구비된 위치(더욱 정확히는 급수공 '213'이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작동 샤프트(220)의 외주면으로부터 그 중심부의 제2 조립홈(223)까지 연통되다. 이러한 유출공(224)의 형성 위치는 작동 샤프트(220)가 조립된 상태에서 보조 토수부(212)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위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작동 샤프트(220)의 후방측 단부에서부터 보조 토수부(212)까지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유로(223, 224)는 제2 조립홈(223) 및 유출공(22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다만, 작동 샤프트(22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물공급 홈(224a)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유출공(224)은 물공급 홈(224a)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유출공(224)을 통해 유출된 물이 물공급 홈(224a)을 따라 전방향으로 퍼진 후 보조 토수부(212)로 공급된다.
따라서, 물 공급이 더욱 원활해 짐은 물론, 커넥터(210)를 돌려 보조 토수부(212)의 자세를 조정함에 따라 보조 토수부(212)가 작동 샤프트(220)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각도에 배치되더라도 항상 정수기로 물이 공급되게 한다.
한편, 수나사산(225)은 작동 샤프트(220)의 후방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산(225)은 유니온 배관부(U)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작동 샤프트(220)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유니온 배관부(U)에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작동 샤프트(220)의 전방측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수량 조절버튼(221)을 회전시키면, 수량 조절버튼(2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작동 샤프트(2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량을 조절(도 9a 참조)하거나 잠금 동작(도 9b 참조)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게이트 패킹(230)은 체크 스프링(240)과 함께 벽 배관으로부터 싱크대용 수전금구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것으로, 유니온 배관부(U)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게이트 패킹(230)이 유니온 배관부(U) 내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는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폐쇄하도록 밀착되고, 수압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시는 급수로(IN)를 개방하게 된다.
특히, 도 5와 같이 게이트 패킹(230)의 후방측 단부는 유니온 배관부(U)의 제1 포트(P1)측 내부에 형성된 급수로(IN)를 막도록 밀착되며, 전방부는 상기 작동 샤프트(220)의 제1 조립홈(222) 내에 삽입 설치되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패킹(230)은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막도록 밀착되는 밀착부(231) 및 상기 밀착부(231) 보다 직경이 작으며 작동 샤프트(220)의 제1 조립홈(222) 내에 삽입 위치하는 돌출부(232)를 포함한다.
따라서, 벽 배관 등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게이트 패킹(230)에 수압이 가해지면 당해 게이트 패킹(230)이 전방부로 밀리면서 급수로(IN)가 개방되고, 그에 따라 유니온 배관부(U)의 분기 포트(P3)를 통해 싱크대로 물이 공급된다.
이때, 게이트 패킹(230)의 닫힘 동작은 후술하는 체크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보조 공급수관(250)의 후방측 단부가 급수로(IN)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 패킹(230)의 동작과 무관하게 정수기에 물이 공급된다.
다만, 이상과 같이 수압에 의해 게이트 패킹(230)이 전방으로 이동시 작동 샤프트(220)에 의해 걸림 동작(물 잠금 등)이 일어나도록, 작동 샤프트(220)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밀착부(231)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체크 스프링(240)은 게이트 패킹(23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것으로, 게이트 패킹(230)에 가해지는 수압이 없거나 수압이 체크 스프링(240)의 탄성력보다 작은 경우 체크 스프링(240)에 의해 게이트 패킹(230)이 복귀되어 급수로(IN)를 막고 역류를 방지한다.
이러한 체크 스프링(240)은 급수로(IN)를 막는 방향(즉, 후방)으로 게이트 패킹(23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면 그 설치 방법에 제한은 없으나, 일 예로 제1 조립홈(222) 내에 설치되어 게이트 패킹(230)을 후방측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체크 스프링(240)의 전방측 단부는 작동 샤프트(220)의 제1 조립홈(222) 바닥면에 지지되고, 반대 방향의 후방측 단부는 게이트 패킹(230)의 밀착부(231)에 지지되어 탄성 복원력을 작용한다. 이 경우 게이트 패킹(230)의 돌출부(232)는 체크 스프링(240)의 중공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다음, 도 8과 같이, 보조 공급수관(250)은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통해 공급된 물을 커넥터(210)의 보조 토수부(212)까지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조 공급수관(250)의 후방측은 게이트 패킹(2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에 노출되고, 전방측은 작동 샤프트(220)의 유로에 노출된다. 일 예로 상기 보조 공급수관(250)의 전방측은 제1 조립홈(222)을 통과하여 유로(223, 224)를 구성하는 제2 조립홈(223) 내부에 끼워진다.
또한, 보조 공급수관(250)의 후방측 단부에는 걸림턱(251)이 형성되어 있어서 게이트 패킹(230)의 전방측 측면을 지지한다. 일 예로 걸림턱(251)은 보조 공급수관(250)의 단부를 외측으로 펼쳐 제작한다.
따라서, 보조 공급수관(250)에 조립된 게이트 패킹(23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게이트 패킹(230)이 체크 스프링(24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면 보조 공급수관(250) 역시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보조 공급수관(250)의 잘못된 위치를 바로잡아 항상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게이트 패킹(230)에 수압이 가해진 경우 보조 공급수관(250)을 축으로 하여 왕복 이동이 가능하고, 급수로(IN)에서 제2 조립홈(223) 내부까지 연장된 보조 공급수관(250)에 의해 물의 흐름이 안내된다.
보조 공급수관(250)에 의해 급수로(IN)에서 제2 조립홈(223) 내부까지 안내된 물은 작동 샤프트(220)의 유출공(224)을 통해 외부로 안내되고, 유출공(224)에서 배출된 물은 커넥터(210)의 보조 토수부(212)를 통해 정수기로 공급된다.
다음, 잠금 패킹(260)은 작동 샤프트(220)의 왕복 이동 위치에 따라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작동 샤프트(220)의 제2 조립홈(223) 내부(바람직하게는 홈의 끝단)에 억지 끼움 방식 등으로 고정된다.
이때, 작동 샤프트(220)에 형성된 유출공(224)은 잠금 패킹(260)과 보조 공급수관(250)의 전방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 샤프트(2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잠금 패킹(260)이 보조 공급수관(250)의 전방측 단부 개구를 막아 정수기를 위한 물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게 한다.
물론, 잠금 패킹(260)이 없는 경우에도 작동 샤프트(220)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작동 샤프트(220)에 형성된 유출공(224) 역시 후방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작동 샤프트(220)에 의해 유출공(224)이 막히게 되지만(도 9b 참조), 본 고안은 잠금 패킹(260)을 더 포함하여 잠금 동작을 더욱 확실히 보장한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의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용 어댑터를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 패킹(230)이 체크 스프링(24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막는다.
따라서, 게이트 패킹(230)에 의해 유니온 배관부(U)의 제1 포트(P1)에 형성된 급수로(IN)가 막히면서 유니온 배관부(U)의 분기 포트(P3)에 형성된 출수로(S-out)와의 연결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때, 작동 샤프트(220)의 수량 조절버튼(221)은 조작하지 않은 상태(즉, 전방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작동 샤프트(220)의 단부가 게이트 패킹(23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그에 따라 수압에 의한 게이트 패킹(230)의 작동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9a는 수도전을 틀어 벽 배관부 등으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통해 물이 공급되어 게이트 패킹(230)에 수압이 가해지고, 게이트 패킹(230)이 도 5와 같은 위치에서 전방측으로 이동(체크 스프링 '240' 수축)하면서 급수로(IN)가 개방된다.
따라서, 유니온 배관부(U)의 제1 포트(P1)를 통과한 물이 유니온 배관부(U)의 분기 포트(P3)에 형성된 출수로(S-out)로 공급되고, 이때 싱크대 수전금구의 조절레버(도 1의 11 참조)를 열면 싱크대에 급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게이트 패킹(230)은 작동 샤프트(220)의 후방측 단부에 밀착될 때까지만 이동(즉, 개도량 조절)이 가능하므로, 수량 조절버튼(221)을 돌려 작동 샤프트(22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조절하여 수량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보조 공급수관(250)은 조립된 위치를 계속 유지하므로 후방측 단부가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에 노출되고, 급수로(IN)에서 공급된 물은 보조 공급수관(250)을 통해 유출공(224)으로 공급된다. 유출공(224)으로 공급된 물은 커넥터(210)의 보조 토수부(212)를 통해 정수기로 공급된다.
다음, 도 9b는 싱크대는 물론 정수기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잠근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10)의 전방측으로 노출된 작동 샤프트(220)의 수량 조절버튼(221)을 돌리면 작동 샤프트(220)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작동 샤프트(220)는 후방측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산(225)이 유니온 배관부(U)의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수량 조절버튼(221)을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 샤프트(220)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작동 샤프트(220)가 후방으로 끝까지 이동하면 작동 샤프트(220)가 게이트 패킹(230)을 가압함으로써 게이트 패킹(230)이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막고, 게이트 패킹(230)에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유니온 배관부(U)의 제1 포트(P1)에 형성된 급수로(IN)가 막히면서 유니온 배관부(U)의 분기 포트(P3)에 형성된 출수로(S-out)와의 연결이 차단되므로 싱크대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된다.
그와 동시에 작동 샤프트(220)의 제2 조립홈(223)에 고정된 잠금 패킹(260) 역시 작동 샤프트(2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여 보조 공급수관(250)의 전방측 개구를 막는다.
또는, 잠금 패킹(260)이 없는 경우라도, 작동 샤프트(220)에 형성된 유출공(224) 역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보조 공급수관(250)에 의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정수기로 공급되는 물 역시 차단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10: 커넥터 211: 가이드 배관부
212: 보조 토수부 220: 작동 샤프트
221: 수량 조절버튼 222: 제1 조립홈
223: 제2 조립홈 224: 유출공
225: 수나사산 230: 게이트 패킹
240: 체크 스프링 250: 보조 공급수관
260: 잠금 패킹 O1 내지 O3: 오링(O-ring)
S-R: 스톱링(stop-ring) U: 유니온 배관부

Claims (11)

  1. 메인 토수구와 조절 레버가 설치된 몸체 및 급수로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몸체로 안내하는 유니온 배관부(U)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수전금구를 위한 수전용 어댑터에 있어서,
    양측 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전방측 개구에 연결되는 가이드 배관부(211) 및 상기 가이드 배관부(211)로부터 분기된 보조 토수부(212)를 포함하는 커넥터(210)와;
    상기 가이드 배관부(211)를 관통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며, 후방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보조 토수부(212)까지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작동 샤프트(220)와;
    상기 유니온 배관부(U)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후방측으로 이동시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폐쇄하도록 밀착되고, 수압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시는 상기 급수로(IN)를 개방하는 게이트 패킹(230)과;
    상기 게이트 패킹(230)이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막도록 후방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체크 스프링(240)(check spring); 및
    양단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측은 상기 게이트 패킹(230)을 관통하여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에 노출되고, 전방측은 상기 작동 샤프트(220)의 유로에 노출되는 보조 공급수관(250);을 포함하여,
    상기 체크 스프링(240)에 의해 탄성 지지된 게이트 패킹(230)은 중공부에 끼워진 상기 보조 공급수관(250)을 고정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급수로(IN)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상기 유니온 배관부(U)는 제1 포트(P1), 제2 포트(P2) 및 분기 포트(P3)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포트(P1)에는 상기 급수로(IN)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포트(P2)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 포트(P3)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210)를 구성하는 가이드 배관부(211)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제2 포트(P2)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 샤프트(220)는 전방측 단부에 구비된 수량 조절버튼(221)과; 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1 조립홈(222)과; 상기 제1 조립홈(2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2 조립홈(223); 및 전체 길이 중 상기 보조 토수부(212)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되며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조립홈(223)까지 연통된 유출공(224)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조립홈(223) 및 유출공(224)을 포함하여 상기 보조 토수부(212)까지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상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공급수관(250)은 상기 제1 조립홈(222)을 통과하여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조립홈(223) 내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어댑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배관부(U)에 조립된 커넥터(210)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 토수부(212)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배관부(211)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제2 포트(P2) 단부에 맞닿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어댑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샤프트(22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물공급 홈(224a)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공급 홈(224a)에 상기 유출공(2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패킹(230)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막도록 밀착되며, 전방부는 상기 제1 조립홈(222)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패킹(230)은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막도록 밀착되는 밀착부(231) 및 상기 밀착부(231) 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제1 조립홈(222)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232)를 포함하며,
    수압에 의해 상기 게이트 패킹(230)이 이동시 상기 작동 샤프트(220)에 의해 걸림 동작이 일어나도록, 상기 작동 샤프트(220)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밀착부(231)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어댑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스프링(240)은,
    상기 제1 조립홈(222) 내에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 패킹(230)이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급수로(IN)를 막도록 후방측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어댑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샤프트(220)의 제2 조립홈(223) 내부에 삽입 고정된 잠금 패킹(26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출공(224)은 상기 잠금 패킹(260)과 보조 공급수관(250)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작동 샤프트(2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잠금 패킹(260)이 상기 보조 공급수관(250)의 전방측 단부 개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어댑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샤프트(220)의 후방측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유니온 배관부(U)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225)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량 조절버튼(221)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샤프트(2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용 어댑터.
KR2020160006924U 2016-11-29 2016-11-29 수전용 어댑터 KR200485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24U KR200485285Y1 (ko) 2016-11-29 2016-11-29 수전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24U KR200485285Y1 (ko) 2016-11-29 2016-11-29 수전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285Y1 true KR200485285Y1 (ko) 2018-01-18

Family

ID=6128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24U KR200485285Y1 (ko) 2016-11-29 2016-11-29 수전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8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78U (ja) * 1992-08-27 1994-03-29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分岐栓
JP2000170979A (ja) * 1998-12-02 2000-06-23 Toto Ltd 分岐水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78U (ja) * 1992-08-27 1994-03-29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分岐栓
JP2000170979A (ja) * 1998-12-02 2000-06-23 Toto Ltd 分岐水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801B2 (en) Pause assembly for showerheads
EP3309306B1 (en) A combined shower
KR100897859B1 (ko) 풀아웃형 수도꼭지
US8152078B2 (en) Faucet spray head
EP2896759B1 (en) Water dispensing device with spray head, particularly for sinks or similar hygienic-sanitary fixtures, with improved manoeuverability
US8800891B2 (en) Shower soap dispenser and cartridge
US7654282B2 (en) Easy-type water pressure reducing apparatus
US20140325752A1 (en) Plumbing Fixtures for Shower and Bathtub
US10287761B2 (en) Faucets providing additional control for water flow
KR200485285Y1 (ko) 수전용 어댑터
CA2979011C (en) Variable dual flow fitting
JP2007032271A (ja) 水栓装置
KR101751821B1 (ko) 샤워 헤드
KR101989175B1 (ko) 분기 어댑터
KR20220003442A (ko) 정수필터 내장형 수전
US5240040A (en) Mixing valve
CN111981161B (zh) 一种按压切换阀和龙头
KR100739854B1 (ko) 감압형 물분사기
KR200460406Y1 (ko) 샤워기 부착형 급수밸브
JP5610611B2 (ja) ボールタップ装置
KR102363334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급탕 분배기
KR100739880B1 (ko) 스위치식 물분사기
CN216789322U (zh) 一种浴缸龙头用水道主体及浴缸龙头
US11365534B2 (en) Hydraulic system including manifold, flush valve, and shut off
KR200413321Y1 (ko) 감압형 물분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