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557U -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557U
KR19980065557U KR2019970009774U KR19970009774U KR19980065557U KR 19980065557 U KR19980065557 U KR 19980065557U KR 2019970009774 U KR2019970009774 U KR 2019970009774U KR 19970009774 U KR19970009774 U KR 19970009774U KR 19980065557 U KR19980065557 U KR 199800655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connection device
dishwasher
suppl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관
Original Assignee
이영서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서,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서
Priority to KR2019970009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557U/ko
Publication of KR19980065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557U/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전(100)의 몸통(103) 상부에 온수와 냉수의 수량(水量)을 조절하는 조절레버(101)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103)의 하부로 조절레버(101)에서 조정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105)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103)의 양측 배면에는 온수와 냉수를 안내하는 안내부(110)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조절부(119)에 급수연결장치(120)가 형성하여 식기세척기의 급수호스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급수전에 형성된 배출부의 회전에도 전혀 제악을 주지 않고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조절부에 연결되는 급수연결장치를 형성하여 식기세척기의 급수호스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급수전에 형성된 배출부의 회전에도 전혀 제악을 주지 않고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옆에 설치되어 있는 급수전(수도꼭지)(10)은 몸톰(15)의 상부에 형성된 조절레버(11)로부터 배출부(13)를 통해 급수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형재 우리 나라의 일반적인 주택은 식기세척기나 정수기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급수연결장치가 없어서, 별도의 설치 부자재를 개발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싱글 레버식으로 이루어진 급수전(이를 한정짓는 것은 아니나 설명 및 대비가 용이하도록 싱글 레버 식으로 설명한다.)(10)의 안내부(20)에 형성된 벽 배관부(23), 편심유니온부(21), 필터부(25), 급수조절부(27)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급수전(10)의 안내부(20)에 형성된 벽배관부(23)에 급수연결장치(30)를 분기하여 설치하고 있다.
상기에서 급수연결장치(30)는 벽배관부(230의 외주면을 감싸고 결합 고정된 스크류밸브(33)와 상기 스크류 밸브(33)의 하단에 형성되어 식기세척기의 급수호스(40)와 연결되는 연결니플(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급수전은 벽배관부(23)의 경우 공업 표준화법에 따라 한국 광·공업품 규격에 의거하여 공업 진흥청이 그 제품을 표준적이라 인정한 표시품으로 통일되어 생산되는 것으로서, 상기 벽배관부(23) 이외의 편심유니온부(21), 필터부(25), 급수조절부(27)의 나사는 각 제조사별로 나사 규격이 여러가지의 모양과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작업하기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처럼 나사 규격이 다양하다 보니, 설치 부자재의 수량도 다양하여 설치 및 부품 조달 등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한 스크류 타입(Screw Type)의 경우에는 내부로부터의 누설이나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는 씰링(Sealing)을 설치하는 데 작업상에 문제가 많아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소비자가 급수호스의 잠금밸브를 열거나 잠글시에 여러번 돌려야 하므로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려서 소비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급수조절부에 연결되는 급수연결장치를 형성하여 식기세척기의 급수호스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급수전에 형성된 배출부의 회전에도 전혀 제악을 주지 않고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는 급수전의 몸통 상부에 온수와 냉수의 수량(水量)을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의 하부로 조절레버에서 조정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의 양측 배면에는 온수와 냉수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조절부에 급수연결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급수전101 : 조절레버
103 : 몸통105 : 배출부
110 : 안내부111 : 연결나사
113 : 필터부115 : 편심유니온부
117 : 벽배관부119 : 급수조절부
120 : 급수연결장치121 : 볼 밸브 몸통
123 : 손잡이125 : 엘보우 니플
127 : 연결니플130 : 부싱
140 : 급수호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서, 급수전(100)의 몸통(103) 상부에 온수와 냉수의 수량(水量)을 조절하는 조절레버(101)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103)의 하부로 조절레버(101)에서 조정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105)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103)의 배면 양측에는 온수와 냉수를 안내하는 안내부(110)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안내부(110)는 급수전(100)의 몸통(103)과 연결되는 연결나사(111)에 의하여 편심유니온부(115)와 연결 형성되어 이 편심유니온부(115)의 상부에 이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113)와, 건물의 벽면으로 형성된 급수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는 벽배관부(117)와, 상기 벽배관부(117)가 형성된 편심유니온부(115)의 전면으로 수량(水量)을 조절하는 급수조절부(119)가 형성된다.
그리고 급수전(100)의 급수조절부(119)에 연결되는 급수연결장치(120)는 작업자가 손쉽게 회전시켜 물을 단속하는 손잡이(123)가 구비된 볼 밸브 몸통(121)의 배면에 엘보우 니플(125)이 형성되고, 이 엘보우 니플(125)에 부싱(130)이 삽입 고정되어서 급수전(100)의 급수조절부(119)와 연결되며, 상기 볼 밸브 몸통(121)의 하부에는 연결니플(127)이 형성되어 식기세척기의 급수호스(140)와 연결된다.
한편 급수연결장치(120)의 볼 밸브 몸통(121)에 형성된 엘보우 니플(125)과 연결니플(17)은 9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볼 밸브 몸통(121)에 하단으로 형성된 연결니플(127)에 식기세척기의 급수호스(14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급수전(100)에 형성된 배출부(105)의 회전에도 전혀 제악을 주지 않고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급수조절부에 연결되는 급수연결장치를 형성하여 식기세척기의 급수호스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급수전에 형성된 배출부의 회전에도 전혀 제악을 주지 않고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급수전(100)의 몸통(103) 상부에 온수와 냉수의 수량(水量)을 조절하는 조절레버(101)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103)의 하부로 조절레버(101)에서 조정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105)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103)의 양측 배면에는 온수와 냉수를 안내하는 안내부(110)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조절부(119)에 급수연결장치(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연결장치(120)는 급수조절부(119) 및 벽배관부(117)에 손잡이(123)가 구비된 볼 밸브 몸통(121)의 배면에 엘보우 니플(125)이 형성되어 이 엘보우 니플(125)에 부싱(130)이 삽입 고정되어서 급수전(100)의 급수조절부(119)와 연결되며, 상기 볼 밸브 몸통(121)의 하부에는 연결니플(127)이 형성되어 식기세척기의 급수호스(14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연결장치(120)의 엘보우 니플(125)과 연결니플(17)은 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KR2019970009774U 1997-05-02 1997-05-02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KR199800655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774U KR19980065557U (ko) 1997-05-02 1997-05-02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774U KR19980065557U (ko) 1997-05-02 1997-05-02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557U true KR19980065557U (ko) 1998-12-05

Family

ID=69680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774U KR19980065557U (ko) 1997-05-02 1997-05-02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5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950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엔비엘 분기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950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엔비엘 분기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25894A (en) Water control devices
JP2837911B2 (ja) 混合弁ユニット
KR101237984B1 (ko)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KR19980065557U (ko) 식기세척기의 급수전 연결장치
JP3565368B2 (ja) 水栓
JP2578682Y2 (ja) 製氷機等の給水管接続構造
JP3363338B2 (ja) 水栓装置付洗面台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CN216382693U (zh) 一种龙头的把手结构和龙头
KR200393344Y1 (ko) 발코니용 수도꼭지
KR200286526Y1 (ko) 벽면설치용 수도밸브의 연결 어댑터
KR100700401B1 (ko) 발코니용 수도꼭지
CN217232077U (zh) 一种洗漱盆
CN221075405U (zh) 一种双通道出水水嘴
KR200260118Y1 (ko) 세탁기전용 수도꼭지
KR100600729B1 (ko) 가스식 건조기의 가스관 어셈블리
KR19980066888U (ko) 관붙이 앵글 밸브의 구조
KR200244724Y1 (ko) 급수밸브용 밸브 개폐장치
KR19980067369U (ko) 싱글 레버식 혼합수전
KR200180778Y1 (ko) 세탁기전용 수도꼭지
JP4916937B2 (ja) シャワー水栓のエルボの回動規制構造
JPH066848U (ja) 湯水混合栓
KR101912309B1 (ko) 급수밸브
KR200244723Y1 (ko) 수전 금구용 밸브 개폐장치
KR930007110Y1 (ko) 수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