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420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420B1
KR101988420B1 KR1020177015541A KR20177015541A KR101988420B1 KR 101988420 B1 KR101988420 B1 KR 101988420B1 KR 1020177015541 A KR1020177015541 A KR 1020177015541A KR 20177015541 A KR20177015541 A KR 20177015541A KR 101988420 B1 KR101988420 B1 KR 101988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diaper
compression
pattern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173A (ko
Inventor
이즈미 타시로
요시히로 타키야마
아키라 소노다
토시히로 노다
다이시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49965A external-priority patent/JP65313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0741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39651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4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three-dimensional, e.g. embossed, textured, pleated, or with three-dimensional features, like gather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61F2013/4909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embossed
    • A61F2013/51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embossed in gr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착석에 의한 하중 등, 신체의 다양한 움직임에 따라서 기해지는 힘에 의하여도 변형되기 어렵고,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0)은, 액투과성의 표면시트(14)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12)와, 표면시트(14)와 이면시트(12)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13)를 가지고, 표면시트(14)측에는, 표면시트(14)와 흡수체(1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오목부(22)가 복수 배치된 홈(21)이 연장하며, 오목부(22)는, 측벽(21d)과 바닥부(21c)를 가진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수패드(소변패드)나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이하 'SAP'라고 함)나 부직포를 사용한, 일회용 기저귀(이하, 단순히 '기저귀'라고도 함) 등의 흡수성 물품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다양한 개량이 행하여져, 그 기능이나 착용감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체는,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 및 보유하기 위하여, 주로 플러프 형상 펄프와 SAP와의 혼합체인 흡수성 코어와, 이 흡수성 코어를 감싸는 티슈 등의 코어 피복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자원 절약화, 물류비용 삭감, 소매점 등에서의 수납효율의 개선 등의 관점에서, 초박형 등으로 호칭되는 경량 및 콤팩트한 것이 요구되며, 이것이 주류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초박형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의 중량 및 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흡수체의 중량을 낮추고, 또한 콤팩트하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즉, 플러프 형상 펄프와 SAP의 혼합체로 구성된 흡수체 코어의 박형화는, SAP의 상대 함유율을 높이거나, 혼합체 대신에 시트 형상의 SAP를 이용하거나 함으로써 실현화되고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에 의하여 배출된 체액의 대부분을 흡수한다. 여기에서, 흡수성 물품과 신체 사이에 간격이 있으면, 체액이 밖으로 유출되어, 누출이 일어나게 되므로, 밀착성은, 흡수성 물품에 요구되는 기능의 하나로서 중요하다. 하지만, 특히, 흡수성 물품이 체액을 흡수한 후에는, 피부와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이 다습해지는 한편, 흡수성 물품이 밀착되어 있으므로 통기성이 나쁘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은 밀착성과 함께, 통기성도 필요하게 된다. 특히 기저귀는, 배, 엉덩이 및 넓적다리 부분 등 하복부 전체를 덮는 피복면적이 넓은 것이고, 또한 소변 등의 대량의 체액을 흡수하여 습해지기 쉬우므로, 통기성이 요구된다.
흡수성을 확보하면서, 습함을 억제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의 피부에 직접 닿는 표면시트에, 지그재그 형상 패턴 등 서로 다르게 배치된 규칙적인 요철을 형성하여, 피부에 볼록한 부분의 선단이 접촉함으로써, 요철이 없는 것에 비하여,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저감하여서, 습함이나 발진을 억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275239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15-16218호
하지만, 기저귀는, 엉덩이나 가랑이 등, 착석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을 피복하고 있어, 흡수체, 표면시트에는, 빈번하게 착석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의 표면시트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부직포에 엠보싱 가공을 가하여 요철을 형성한 것이다. 표면시트 자체는, 그다지 두꺼운 것이 아니므로, 이 요철의 고저차도 미소한 것이다. 따라서, 착석시의 하중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볼록한 부분이 찌그러져 버려, 요철 가공에 의한 통기성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기저귀는, 엉덩이, 가랑이 등, 착석시의 하중에 크게 가해지는 부분을 피복하는 것이므로, 생리용 냅킨에 비하여 착석 압력에 의한 변형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착석에 의한 하중 등, 신체의 다양한 움직임에 따라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도 변형되기 어렵고,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제1 과제로 한다.
한편, 흡수체에 있어서의 SAP의 함유율을 높이는 것에 따라서, 흡수체 자체의 탄력감이 소실되는 경향을 가진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 가랑이 영역에는, 착용자의 움직임, 특히 양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서 큰 비트는 힘이 가해지므로, 흡수체의 탄력삼이 손상되는 것은,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 있어서의 위화감의 증대로 이어진다.
그래서, 흡수체의 표면에 비스듬한 격자 형상의 압축홈을 형성하고, 흡수체에 가해지는 비트는 힘에 추종하여 흡수체를 이들 압축홈 부분으로부터 쉽게 굴곡시키도록 한 기술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흡수체의 구성에 의하여, 착용자에 대한 추종성을 높이고, 흡수체의 탄력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이와 같은 비스듬한 격자 형상에 의하여, 흡수체 표면에서의 액체의 확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흡수체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또한 비용의 저감이 상정된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비스듬한 격자 형상의 흡수체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흡수체 전체가 단단해지므로, 전체의 강성이 높아, 크게 비트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착용시에는 흡수체에 다양한 원인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하는데, 격자가 흡수체 전체에 균일하게 늘어서 있으면 패턴의 방향이 결정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밖에 부드러워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흡수체 전체에 비스듬한 격자 형상이 형성되면, 흡수체의 연장방향의 통기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고려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흡수체의 탄력감을 향상시키고, 또한 통기성이 좋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제2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의 표면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와, 표면시트와 이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표면시트측에는, 표면시트와 흡수체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복수 배치된 홈이 연장되며, 오목부는, 측벽과 바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흡수성 물품은, 본 발명의 제1 흡수성 물품으로서, 복수의 오목부는, 흡수체의 중앙영역을 사이에 끼우는 양단영역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패턴과, 제1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흡수성 물품은, 본 발명의 제2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체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는,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흡수체의 중앙영역을 사이에 끼우는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는, 양단영역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시트와 흡수체를 일체적으로 접합하여 형성한 통기홈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착석 압력에 의하여도 통기홈이 찌그러지지 않고,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체의 탄력감을 향상시키고, 또한 통기성이 좋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응용한 일 실시형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입체투영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기저귀를 착용한 하반신을 등쪽에서 본 입체투영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저귀를 전개하여 분해상태로 나타내는 입체투영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기저귀의 톱시트를 위로 한 부분상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기저귀의 가랑이 부분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기저귀의 통기홈 부분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기저귀의 통기홈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통기홈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13은 통기홈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14는 통기홈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상면도이다.
도 15는 기저귀의 통기도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기저귀를 전개하여,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다른 실시형태의 부분파단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기저귀를 XVII-XV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기저귀를 전개하여,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도 1에 도시한 기저귀의 흡수체 부분을 톱시트측에서 본 부분상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의 비스듬한 격자 형상의 엠보싱 패턴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적 부분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흡수체 부분의 XXI-XX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엠보싱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상면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엠보싱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상면도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엠보싱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상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응용한 실시형태 1의 외관에 있어서, 정면측에서 본 입체투영도를 도 1에 도시하고, 등쪽에서 본 입체투영도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는,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영유아가 착용하였을 때의 등쪽에서 본 하반신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더욱이, 도 1, 도 2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파단전개한 분해 상태로 도 3에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하, 단순히 기저귀라고 기술하는 경우가 있음)(10)는, 신체 앞쪽 영역(10F)과, 신체 뒤쪽 영역(10R)과, 이들 신체 앞쪽 영역(10F) 및 신체 뒤쪽 영역(10R)을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10C)을 가진다. 또한, 착용시에 신체 앞쪽 영역(10F)과 신체 뒤쪽 영역(10R)에서 착용자의 웨이스트 부분을 둘러싸는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10W)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체 앞쪽 영역(10F) 및 신체 뒤쪽 영역(10R)의 하단부 가랑이 영역(10C)에서 착용자의 양다리의 넓적다리 부분을 둘러싸는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시에 신체 앞쪽 영역(10F)은, 착용자의 배쪽에 위치하고, 신체 뒤쪽 영역(10R)은 착용자의 등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랑이 영역(10C)은, 착용자의 가랑이를 덮고,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에, 착용자의 다리가 각각 통과된 형태가 된다. 따라서, 다리 둘레 개구부(10L)는, 착용자의 양다리의 사타구니에서 넓적다리 부근의 어느 곳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기저귀의 신체 뒤쪽 영역(10R)에는, 기저귀 폐기시에 작게 말아서 고정하기 위한 폐기 테이프(10T)가 장착되어 있다.
가상선(P)은, 기저귀 중앙부에 있어서 배쪽에서 등쪽을 향하여, 가랑이 부분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선(P)은, 예를 들어 기저귀의 웨이스트측을 위, 가랑이측을 아래로 하면, 기저귀 표면을 따라서,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가랑이 부분을 경유하여, 등쪽에서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이 상하방향이란, 착용자의 머리에서 가랑이로의 신체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이고, 가상선(P)은, 신체의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0)는, 바깥쪽부터 순서대로 커버시트(11)와, 백시트(12)와, 흡수체(13)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톱시트(14)를 순서대로 겹쳐 접합한 것이다. 더욱이, 커버시트(11)는, 백시트(12)의 아래에 겹쳐지는 패드 커버시트(11A)와 이너 커버시트(11B), 아우터 커버시트(11C)로 세분되며, 모두 양호한 감촉을 얻기 위하여 얇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0)의 신체 앞쪽 영역(10F) 및 신체 뒤쪽 영역(10R)을 구획하는 이너 커버시트(11B), 아우터 커버시트(11C)의 좌우 양측 둘레부가 상호 접합되어 폐합부(10J)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의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10W)가 구획된다. 이너 커버시트(11B), 아우터 커버시트(11C)는, 가랑이 영역(10C) 부분에서 둘로 분리되어 있으며, 가랑이 부분은, 패드 커버시트(11A)가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양다리의 넓적다리 부분을 감싸는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는, 이러한 패드 커버시트(11A)의 단부와 폐합부(10J)의 단부에 의하여 구획된다. 액불투과성의 백시트(12)는, 패드 커버시트(11A)에 접합되며, 앞의 흡수체(13)는, 이 백시트(12)와 액투과성의 톱시트(14)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 흡수체(13)를 통하여 톱시트(14)가 백시트(12)에 접합된다. 한편, 이너 커버시트(11B), 아우터 커버시트(11C)는, 넓적다리 부분도 연속된 1매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다리 둘레 개구부(10L)는, 탄성실에 의한 개더가 밀린 형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도 4는 기저귀(10)의 가랑이 부분을, 톱시트(14)측에서 본 부분상면도이다.
톱시트(14)의 아래에 위치하는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주로 펄프와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이하 'SAP'라고도 함)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흡수체(13)는, 신체 앞쪽, 가랑이, 신체 뒤쪽에 걸치도록,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신체 앞쪽 부분(M1), 가랑이 부분(M2), 신체 뒤쪽 부분(M3)으로 셋으로 구분되어 있다. 가랑이 부분(M2)에는, 양다리의 넓적다리 부분을 감싸는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에 맞추어, 원호 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절결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절결부(13A)는, 흡수체(13)의 크기에 따라서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절결부(13A)가 설치되어 있고, 중앙부의 폭이 전후단에 비하여 좁은 모래시계형인 것인데, 본 발명의 흡수체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신체 앞쪽 부분에서 신체 뒤쪽 부분을 전후(상하)방향으로 하고,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면, 예를 들어 전후(상하)단의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있는 것, 전후(상하)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것, 원형의 것, 전후(상하) 좌우의 길이가 같은 정도의 직사각형의 것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시트(14) 표면으로부터 흡수체(13)를 향하여 규칙적인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통기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기홈(21)은, 흡수체(13)의 폭방향(도 4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중앙부에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기홈(21)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통기홈 형성영역(N1)으로 하고, 양단부의 통기홈(2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통기홈 비형성영역(N2)으로 한다. 통기홈(21)은, 적어도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홈이 없는 것에 비하여 통기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기홈(21)은, 흡수체(13)의 단부까지 설치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기홈 비형성영역(N2)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기저귀의 넓적다리 부분의 V-V선 단면도이고, 비스듬한 격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통기홈(21)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기홈(21)은, 톱시트(14)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피부 맞닿음면)으로부터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함께 압축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시트(14)의 흡수체(13)와 접하는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톱시트(14)와 흡수체(13)가 함께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압축된다. 이에 따라, 통기홈(21)의 바닥면(바닥부)(21c)으로부터 벽면(측벽)(21d)에 걸치는 홈 전체에 있어서, 톱시트(14)와 흡수체(13)가 맞물려, 일체적으로 접합된다. 또한, 통기홈(21)의 바닥부분에 있어서의 톱시트(14)와 흡수체(13)로 이루어지는 두께(h)는, 압축하지 않은 경우의 두께(H)의 1/6이다. 따라서, 깊이는,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적층한 원래의 두께의 약 8할에 상당하며, 톱시트(14)에만 요철을 준 경우에 비하여, 깊은 것이 된다. 압축에 의한 흡수체의 압축율은 약 4배~7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통기홈(21)을 깊게, 또한 측벽(21d)이 톱시트(14)와 흡수체(13)가 일체적으로 접합된 것으로 함으로써, 톱시트만의 요철에 비하여 깊고, 또한 강고한 것이 된다. 따라서, 착석의 하중에 있어서도 간단히 통기홈(21)의 측벽(21d) 부분이 찌그러져 통기홈(21)이 막히는 일이 없다.
또한, 통기홈(21)을 형성함으로써, 기저귀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에 있어서, 흡수체(13)에 걸치는 공극이 간헐적으로 형성되게 되므로, 이러한 공극에 의한 충분한 통기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통기홈(21)에 있어서의 측벽(21d)은, 도 5와 같이, 바닥부(21c)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것이어도 좋고,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것이어도 좋다. 즉, 통기홈(21)은 바닥을 향하여 좁아지는 단면이 V자 형상인 것 등이어도 좋다.
여기에서, 통기홈(21)은 일정 압력으로 계속 압축한 연속되는 홈구조여도 좋고, 복수의 도트 등의 엠보싱 패턴을 나열하여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통기홈 형성영역(N1)과 통기홈 비형성영역(N2)에 걸치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범위(Q)에 있어서, 통기홈(21)을 복수의 도트 형상의 엠보싱 패턴에 의하여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트 형상의 엠보싱 패턴에 의하여, 톱시트(14) 표면으로부터 흡수체(13)를 향하여 간헐적으로 압축한 오목부(22)를 배열한다. 이러한 오목부(22)를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오목부(22) 근방의 흡수체는 눌려져, 엠보싱 패턴이 없는 부분(이하, '주흡수 영역'이라고도 함)(24)보다 움푹 패인 패임 부분(23)이 된다. 따라서, 오목부(22)를 연속하여 형성함으로써, 오목부(22)와 패임 부분(23)에 의한 통기홈(21)이 형성되게 된다.
통기홈(21)의 폭(L1)은, 약 6mm, 또한 인접하는 오목부의 중심간 거리(L2)는 약 6mm이다. 1mm≤L1≤8mm, 1mm≤L2≤8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주흡수 영역(24) 중앙의 압축되지 않은 흡수체(13)의 두께가 3~3.6mm, 밀도는 0.16g/cm3일 때, 오목부(22)의 흡수체(13)의 두께는 0.5~0.6mm이고, 밀도는 0.96g/cm3이다. 패임 부분(23)의 흡수체(13)의 두께는 1~1.2mm이고, 밀도 0.48g/cm3이다. 이와 같이, 오목부(22)와 주흡수 영역(24) 중앙의 흡수체의 밀도차가 6배 정도일 때, 오목부(22)와 패임 부분(23)의 밀도차가 2~3배 정도가 되도록, 오목부의 배치간격(L2)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간헐적인 엠보싱 가공에 의한 통기홈(21)의 경우에도, 압축율은, 오목부(22)의 부분에서 약 4~7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오목부(22) 사이의 간격(23) 부분에 대하여도 흡수체(13)가 충분히 압축되는 압축율로, 오목부(22)는 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압축율은, 이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흡수체(13)의 재질이나 흡수하는 액체에 따라서, 다른 범위도 포함하는 것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VII-V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싱 가공은, 톱시트(14)와 흡수체(13)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키고, 톱시트(14) 표면으로부터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함께 압축하는 것이며, 톱시트(14)와 흡수체(13)가 오목부(22)에 있어서,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에 의하여, 톱시트(14)의 일부의 섬유가 흡수체(13)의 표면 섬유와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에 의하여 연속된 통기홈(21)을 형성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오목부(22) 및 패임 부분(23)의 깊이는 충분히 깊어, 착석의 하중에 있어서도 간단히 찌그러져 막히는 일이 없게 된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VIII-VI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임 부분(23)은, 오목부(22)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지만, 통기홈(2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곳보다는 낮은 위치가 된다. 따라서, 오목부(22)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연속된 엠보싱 가공과 마찬가지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로 되돌아가, 본 실시형태의 통기홈(21)은, 흡수체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한쪽(도면 중, 마주보고 오른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 통기홈(21a)과, 다른쪽(도면 중, 마주보고 왼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통기홈(21b)에 의하여 구성된다. 가상선(P)의 흡수체(13) 상에서의 위치는, 신체 앞쪽 부분(M1) 상단에서 신체 뒤쪽 부분(M3)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13)가 세로로 긴 형상인 경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통기홈(21)은, 이 가상선(P)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된다. 즉, 가상선(P)을 축으로 하여 측변을 따른 방향, 예를 들어 길이방향에 대하여, 제1 통기홈(21a)은, 한쪽에 각도(α)로 경사지고, 제2 통기홈(21b)은, 다른쪽으로 각도(β)로 경사진다. 각도(α)와 각도(β)는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도 4에서는, 복수의 제1 통기홈(21a)은 각각 같은 각도로 경사지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제1 통기홈(21a)이 평행하고 또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홈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것이나, 각 홈의 경사각도가 다른 것도 포함한다. 제2 통기홈(21b)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흡수체(13)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정사각형 등 가로세로 길이가 같은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측변을 따른 방향에 대하여, 제1 통기홈(21a), 제2 통기홈(21b)은 경사져 연장되는 것이다.
통기홈(21)을 가상선(P)에 대하여 경사시켜 설치함으로써, 신체의 다양한 움직임에 의하여도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기저귀에는 다양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데, 그 중에서도 보행이나 아기가 기어다니는 것 등의 다리의 전후 운동에 의한 인장력의 영향은 크다. 다리를 좌우 번갈아 앞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넓적다리 부분은 비스듬하게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흡수체가 비스듬하게 비틀려 변형되기 쉽다. 특히, 기저귀는 소변을 흡수해 부풀면, 보다 피부에 달라붙어 습해지기 쉬워진다. 더욱이, 다리의 전후 운동에 의하여, 비틀려 가랑이의 중앙부분으로 치우쳐 버리면, 가랑이 부분의 통기성이 저하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는,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함께 압축한 통기홈(21)을 비스듬하게 연장함으로써, 다리의 전후방향의 움직임에 의하여도 흡수체(13)의 변형을 억제한다. 더욱이, 소변을 포함하여 흡수체(13)가 팽창하였더라도, 비스듬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통기홈에 의하여, 항상 피부와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어, 통기가 확보된다. 그리고, 통기홈(21)으로 둘러싸인 주흡수영역(24)이 팽창하므로, 흡수체(13)가 소변을 포함하여 팽창하였더라도, 비스듬한 바양으로 주흡수영역(24)의 구획이 늘어선 상태로 팽창한다. 다리의 움직임에 의하여 기저귀가 비스듬하게 당겨져도, 통기홈(21)에 의하여 주흡수영역(24)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피부에 간격을 주어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항상 비스듬한 방향으로 통기로가 확보되게 된다. 따라서, 항상 가랑이 부분의 통기성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기홈이 가상선(P)을 따른 방향뿐이라고 하면, 통기홈에 둘러싸인 부분은 줄무늬 형상이 된다. 줄무늬 형상의 부분 내부의 흡수체는, 다리의 전후 운동에 의한 비스듬한 방향의 힘에 의하여 끊기거나, 비틀리거나 한다. 그렇게 되면, 소변을 흡수하여도, 흡수체의 끊긴 부분에서 소변이 막혀, 크게 부풀어, 피부에 달라붙게 된다. 따라서, 통기홈이 있더라도 크게 팽창된 흡수체가 차폐되어, 가랑이 전체로의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비스듬한 방향의 홈에 비하여 통기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비스듬한 방향의 통기홈(21)은, 다리의 전후 운동에 의하여도 통기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흡수체(13)의 비틀림이나 끊김을 방지하여, 가랑이 부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한편, 통기홈(21)은, 기저귀의 단부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좋다.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1)
도 9는, 도 6과 같은 범위(Q)의 통기홈(21)의 일부를 확대하고, 2단계의 깊이로 구성되는 오목부(22)의 엠보싱 패턴에 의하여 통기홈(21)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통기홈(2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있어서의 통기홈(21)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2)는, 통기홈(21)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1 오목부(221)와, 통기홈(21)의 연장방향의 중앙에서 제1 오목부(221)보다 더욱 깊게 패인 제2 오목부(2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변형예 1에 있어서, 제2 오목부의 평면 형상은, 복수의 통기홈(21)으로 형성된 격자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서 타원형(제2 오목부(222))이고, 그 격자 형상의 교점부분에서 원형(제2 오목부(223))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오목부(22)는, 가장 깊은 지점에 제2 오목부(222)가 위치하고, 제2 오목부(222)의 바닥부에서 약간 올라온 위치에 제1 오목부(221)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변형예 1의 오목부(22)는, 흡수체(13)를 톱시트(14) 표면으로부터 백시트(12) 방향으로 깊게 압축되어, 2단계의 깊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2단계의 깊이로 구성되는 오목부(22)의 엠보싱 가공은, 우선 엠보싱 롤을 얕게 눌러 제1 오목부(221)가 형성되고, 엠보싱 롤로부터의 열이 전달되어 톱시트(14)가 늘려진 후에, 제2 오목부(2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톱시트(14) 및 흡수체(13)의 부드러움을 유지하면서, 제2 오목부(222)에서 접착력이 높아지므로, 톱시트(14)가 흡수체(13)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2 오목부(222)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22) 전체를 깊게 누르지 않아도 확실하게 명확한 엠보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2 내지 4)
통기홈(21)은, 비스듬한 격자 형상뿐만 아니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벌집 형상이어도 좋다(변형예 2). 이 경우에도, 간헐적이기는 하지만, 비스듬한 통기홈(21)이 형성되므로, 다리의 전후운동에 의한 흡수체(13)의 비틀림을 억제하여, 소변을 포함하여 팽창한 경우에도 다리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고,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뇨위치(25)에는, 피부촉감을 우선하여, 통기홈(12)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변형예 3). 통기성은, 배뇨위치에 통기홈(21)이 설치된 것(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것)에 비하면 뒤떨어지지만, 배뇨위치의 전후에 통기홈(21)이 있으므로, 완전히 통기홈(21)이 없는 것에 비하여, 배뇨 후의 통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한 통기홈(21)은, 한 방향만이어도 좋다(변형예 4). 주흡수영역(24)은 비스듬한 줄무늬 형상이 되므로, 주흡수영역(24)의 형상 유지력은, 도 4의 비스듬한 격자 형상에 비하면 뒤떨어진다. 하지만, 통기홈(21)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홈(21)이 가상선(P)을 따른 것에 비하여, 흡수체(13)가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고, 또한 비틀림이나 끊김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오목부(22)는, 원형의 도트뿐만 아니라, 반원형, 사변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흡수체(13)의 위에 직접, 톱시트(14)를 배치한 것뿐만 아니라, 흡수체(13)를 친수성 시트에 의하여 감싼 후, 톱시트(14)를 배치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톱시트(14)와 친수성 시트의 사이, 또는 친수성 시트와 흡수체(13)의 사이에, 액확산성을 향상시키는 액확산 시트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시트에 의하여, 체액은 보다 확산되기 쉬워진다. 또한, 친수성 시트는, 흡수체(13)를 감싸도록 설치되어도 좋고, 단순히 흡수체(13)의 단부를 감싸지 않고, 표면, 뒷면에 겹쳐 배치된 것이어도 좋다.
한편, 도 2에 있어서의 기저귀를 착용한 하반신 모습은, 서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은 서서 보행하는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자면서 몸을 뒤척거리는 것이나 아기가 기어다니는 것 등의 다리의 전후운동 전반에 대하여,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통기성의 평가)
통기홈(21)을 구비하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통기성에 대하여, 홈을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기저귀와 비교하였다.
(평가방법)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기(100)는, 원통(101)과, 바닥판(102)과, 17ml의 물이 주입된 물풍선(103)과, 지지부(105)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원통(101)은, 내경(d1)이 26mm, 외경(d2)이 30mm, 높이 700mm로, 바닥판(102)에 수직으로 기립하는 것이고 투명한 통이다. 바닥판(102)은, 원통(101)과의 접합부분은, 원통(101)의 내경을 따라서 같은 직경(d1)으로 개구(104)를 가지고 있다. 바닥판(102)은, 100mm 사방이다. 원통(101)은, 4개의 지지부(105)에 의하여 바닥판(102)에 대하여 기립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측정시는, 1개당 190g의 4개의 추(106)로 바닥판(102)을 위에서 누른다.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1) 원통(101)의 내측을 식용유로 충분히 적신다.
(2) 다음으로, 측정기(100)를, 바닥판(102)을 바닥으로 하고, 색상이나 화판 등의 판 상에 재치한다. 이러한 재치 상태에서, 원통(101)의 상단(측정시에 있어서의 연직방향 상에 위치하는 단)으로부터, 물풍선(103)을 원통(101) 내에 투입한다. 이때, 원통(101)의 상단으로부터 250mm의 위치에 있는 측정개시지점(Q1)으로부터, 상단에서 550mm의 위치에 있는 측정종료지점(Q2)까지를, 물풍선(103)이 이동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한다(공백상태에서의 측정). 측정은, 측정개시지점(Q1), 측정종료지점(Q2) 각각에 설치한 광학센서가 물풍선(103)을 감지함으로써 작동, 정지하는 타이머 등으로 행한다. 혹은, 눈으로 보아 스톱워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행한다.
(3) 다음으로, 측정대상의 기저귀(10) 상에 측정기(100)를 놓는다. 그리고, 측정판(102) 상에 추(106)를 균등하게 놓아 고정한다. 추는 착용시에 있어서의 하중을 상정하고, 기저귀의 톱시트측으로부터 추에 의하여 하중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흡수체가 높이방향에 있어서 다소 찌그러지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4) 17ml의 물이 주입된 물풍선(103)을 식용유에 담그고, 2초간 기름을 뺀 후, 원통(101)의 상단으로부터, 물풍선(103)을 투입한다. 그리고, 공백상태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측성개시지점(Q1)으로부터, 측정종료지점(Q2)까지를, 물풍선(103)이 이동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한다.
(5) (4)에 의한 측정값으로부터 (2)의 공백상태에서의 측정값을 뺀 값을, 측정대상의 기저귀(10)의 통기도로 한다.
물풍선(103)이 투입된 원통(101) 내의 공기는, 하단의 개구(104)로부터 바닥판(102)의 아래를 통과하여, 외부로 흐르게 되는데, 기저귀 상에 재치한 경우, 기저귀가 공기의 흐름의 저항이 되어, 공백상태보다 원통(101) 내의 공기의 흐름이 정체된다. 또한, 기저귀의 통기성이 나쁠수록, 원통(101) 내의 공기가 저항이 되어, 물풍선(103)의 낙하에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물풍선(103)의 낙하에 필요한 시간이 짧을수록, 통기성이 좋은 기저귀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방법에 의하여, 통기성에 대하여, 종래의 통기홈이 없는 기저귀와, 도 4에 나타내는 비스듬한 격자의 통기홈이 흡수체(1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기저귀(10)를 비교하였다.
표 1은 각 기저귀를 배쪽, 가랑이, 등쪽에 걸친 각 영역, 즉 도 4에 있어서의 신체 앞쪽 부분(M1), 가랑이 부분(M2), 신체 뒤쪽 부분(M3)의 각 영역에 있어서의 중앙에, 측정기(100)를 설치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수치는 초이다.
신체앞쪽부분(배쪽) 가랑이부분 신체뒤쪽부분(등쪽)
실시형태 1
(비스듬한 격자 형상의 통기홈 있음)
0.6 0.7 0.6
비교예(통기홈 없음) 5.0 5.6 5.6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홈을 가지는 실시형태 1의 기저귀는, 신체 앞쪽 부분, 가랑이 부분, 신체 뒤쪽 부분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종래의 통기홈이 없는 기저귀보다 통기도가 향상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저귀에, 톱시트와 흡수체를 함께 압축한 통기홈을 설치함으로써, 기저귀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통기성이 향상되고, 배뇨 후의 기저귀 내의 습함이나 발진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4개의 추에 따른 하중에 의하여도, 통기홈은 찌그러지지 않고 통기로를 확보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통기홈은, 착용자의 착석 시의 하중에 의하여도 주저앉는 일이 없다.
한편,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기저귀(10)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팬츠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된 흡수성 물품의 구성을 포함하는 기저귀이기만 한다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주지의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나, 소변 누출 패드 등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영유아용 기저귀로 한정되지 않으며, 성인용 기저귀, 소변 누출 패드 등 각종 흡수성 물품에 적용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흡수체 부분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하여,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실시형태 2의 기저귀(10)의 평면도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의 XVII-XVII선 파단단면도를 도 17에 나타내고, 도 1 및 도 16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한 분할 상태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0)는, 착용자의 피부측에서 보아, 바깥쪽에서 순서대로 커버시트(11)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12)와, 친수성의 얇은 시트인 코어랩(티슈)(15)으로 감싼 흡수체(13)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액투과성의 톱시트(14)를 순서대로 겹쳐 접합한 것이다. 한편, 백시트(12), 코어랩(15)으로 감싼 흡수체(13) 및 톱시트(14)로, 속옷 등에 설치하여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커버시트(11)는, 양호한 촉감을 얻기 위하여 얇은 부직포로 형성되며, 백시트(12)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커버시트(11)의 폭방향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의 중앙에는, 각각 도 1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가 되는 반원호 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절결부(11K)가 형성되어 있다. 백시트(12)는, 그 길이방향이 가상선(P)과 대략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서, 그 폭방향의 중앙 또는 그 부근을 가상선(P)이 통과하는 위치가 되도록 커버시트(11) 상에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가늘고 긴 형상이며,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단부끼리가 풀로 접합된 친수성의 얇은 시트인 코어랩(15)(티슈)으로 감싸져 있다. 코어랩(15)으로 감싼 흡수체(13)는, 백시트(12)와 톱시트(14)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톱시트(14)는, 코어랩(15)으로 감싼 흡수체(13)를 통하여 백시트(12)에 접합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랩(15)으로 감싼 흡수체(13)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체는, 코어랩으로 감싸여 있지 않아도 좋다.
커버시트(11)의 한쌍의 절결부(11K)에 인접한 위치 및 커버시트(1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다리 둘레 개더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실(16)과 웨이스트 둘레 개더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실(17)이 각각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톱시트(14)의 폭방향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입체개더를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시트(18)가 구비되어 있다. 한쌍의 사이드시트(18)는, 외측단 가장자리부가 커버시트(11)의 한쌍의 절결부(11K)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착용시에 흡수체(1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기립하여, 착용자가 배설한 소변의 가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사이드시트(18)의 각각에는, 그 내측단 가장자리부를 흡수체(13)측으로 접어 파지시키는 형태로 입체개더 신축재로서의 탄성실(19)이 신장 상태로 배치되며, 탄성실(19)이 수축하였을 때, 착용자의 피부 맞닿음 방향을 향하여 상승한다. 입체개더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수성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개더 신축재롤 사이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이드시트(18)는 탄성실(19)의 신축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내측단 가장자리부가 상승한 입체개더가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0)는, 흡수체(13)가 가상선(P)을 따라서 길어지는 것이며, 그 길이방향은 가상선(P)에 평행하다. 그리고, 가상선(P)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으로 한다. 한편, 기저귀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비율은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서 이 비율은 적절히 변경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 부분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9는, 흡수체(13) 및 톱시트(14)가 위치하는 부분을, 톱시트(14)측에서 본 부분상면도이다.
톱시트(14)의 아래에 위치하는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주로 펄프와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이하 'SAP'라고 함)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흡수체(13)는, 기저귀(10)의 신체 앞쪽, 가랑이, 신체 뒤쪽에 걸치도록,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신체 앞쪽 부분(M1), 가랑이 부분(M2), 신체 뒤쪽 부분(M3)으로 셋으로 구분되어 있다. 가랑이 부분(M2)에는, 양다리의 넓적다리 부분을 둘러싸는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0L)에 맞추어, 원호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절결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절결부(13a)는, 흡수체(13)의 크기에 따라서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절결부(13a)가 설치되어 있고, 중앙부의 폭이 전후단에 비하여 좁은 모래시계인데, 본 발명의 흡수체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신체 앞쪽 부분(M1)에서 신체 뒤쪽 부분(M3)을 전후(상하)방향으로 하고,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면, 예를 들어 전후(상하)단의 모서리가 되어 떨어져 있는 것, 전후(상하)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것, 원형의 것, 전후(상하) 좌우의 길이가 동일한 정도의 직사각형의 것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흡수체(13)의 중앙영역이란, 예를 들어 배뇨 등의 액체와 최초로 접촉하는 영역 및 그 부근의 영역을 말한다. 한편, 흡수체(13)의 중앙영역은,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의 체격이나 성별 등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톱시트(14)로부터 흡수체(13)를 향하여 형성되는 엠보싱 가공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저귀(10)는, 톱시트(14)의 표면으로부터 흡수체(13)를 향하여 규칙적인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축을 실시한 압축열 형성영역(엠보싱 패턴 형성영역)(N1)을 가진다. 압축열 형성영역(N1)에는, 압축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열 형성영역(N1)의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는, 그 오목부(22)의 나열에 의하여 원시적으로 흡수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패턴(제3 패턴)이 되는 복수의 압축열(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열 형성영역(N1)의 가랑이 부분(M2)에는, 그 오목부(22)의 나열에 의하여 원시적으로 비스듬한 격자 형상의 패턴(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되는 복수의 압축열(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축열(24)은 복수의 오목부(22)가 일정 간격을 두고 늘어서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열(24)은,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 형성된 제1 압축열(24a)(제3 패턴)과, 가랑이 부분(M2)에 형성된 제2 압축열(24b)(제1 패턴) 및 제3 압축열(24c)(제2 패턴)로 나뉜다.
제1 압축열(24a)은, 흡수체(13)의 중앙영역을 사이에 끼우는 양단영역이 대향하는 방향인, 도 19 중의 가상선(P)과 평행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제1 압축열(24a)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한편, 제2 압축열(24b)은, 가상선(P)에 대하여, 제2 방향인 도 19 중의 오른쪽 방향으로 경사각도(α1)로 경사진다. 또한, 제3 압축열(24c)은, 가상선(P)에 대하여, 제3 방향인 도 19 중의 왼쪽 방향으로 경사각도(β1)로 경사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압축열(24b)과 제3 압축열(24c)이 이루는 각(α1+β1)은 직각이 되는 90°이고, 경사각도(α1)와 경사각도(β1)는 동일한 각도인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오목부(22)는, 톱시트(14)의 표면으로부터 코어랩, 흡수체(13)를 함께 압축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랑이 부분(M2)의 압축열(24)을 비스듬한 격자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다리의 전후 움직임에 의하여, 흡수체(13)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압축열(24b)과 제3 압축열(24c)을 설치함으로써, 다리의 전후 운동에 의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흡수체(13)는 각 압축열(24)을 따라서 변형되므로, 흡수체(13)가 비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부분(M2)의 압축열(24)에 의하여, 흡수체(13)의 강성이 증가하고, 다리의 움직임에 따른 비스듬한 방향의 인장력에 대하여, 흡수체(13)가 끊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의 압축열(24)을 직선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기저귀(10) 착용자의 등쪽 또는 배쪽에 위치하는 웨이스트 부분에서 내부의 공기(습기)를 밖으로 빼내기 쉽고, 또한 외기를 취입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기저귀(1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이동을 쉽게 하여, 기저귀(10)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축열(24)을 직선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흡수체(13)가 기저귀(10)의 웨이스트 부분의 형태에 추종하는 것으로부터, 착용자의 피트(fit)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은, 도 19의 흡수체(13)의 XXI-XX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부(22)는, 톱시트(14)와 흡수체(13)의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키고, 톱시트(14)와 흡수체(13)가 함께 압축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톱시트(14)의 표면에서 톱시트(14)와 흡수체(13)를 압축함으로써, 착석 등의 착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상태에 있어서도, 오목부(22)느 그 형상을 유지하고, 압축열(24)이 주저앉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는, 이 압축열(24)을 이용하여, 체액을 확산하고, 또한 통기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축열(24)(엠보싱 패턴)은, 흡수체(13)의 폭방향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흡수체(13)는 압축열 형성영역(엠보싱 패턴 형성영역)(N1)의 양측에, 압축열 비형성영역(엠보싱 패턴 비형성영역)(N2)이 위치하는 것이다. 이것은, 압축열(24)을 통하여, 체액이 다리 둘레 개구부(10L)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흡수체(13)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도 압축열(24a)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압축열(24a)을 통하여, 배쪽이나 등쪽 등의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10W)로부터 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압축열(24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압축열(24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제3 압축열(24c)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 배치된 제1 압축열(24a)(제3 패턴)의 중앙영역(가랑이 부분(M2))측 단부는, 제2 압축열(24b)(제1 패턴) 또는 제3 압축열(24c)(제2 패턴)과 연통되어 있다. 하지만, 인접하는 압축열 사이의 간격은 균등하지 않으며, 가랑이 부분(M2)의 제2 압축열(24b) 사이의 간격(S2)은,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 있어서의 간격(S1)에 비하여, 2배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압축열(24c)에 대하여도, 가랑이 부분(M2)의 간격(S3)은,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 있어서의 간격(S1)의 2배로 되어 있다. 단, 간격(S1)과 간격(S2) 및 간격(S3)과의 비율의 관계는,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부(22)와 이것이 연속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축열(24)에 있어서는, 바닥면에서는 액체를 빨아들이지 않아, 대부분의 액체는 열 내를 흘러가, 일부가 오목부(22)의 측벽 등으로부터 흡수되게 된다. 한편, 압축열(24)로 둘러싸인 주흡수영역(25)은, 흡수체(13)가 압축되어 있지 않으므로, 액체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나는 엠보싱 패턴에 관한 각 부위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톱시트(14)와 흡수체(13)에 있어서의 주흡수영역(25) 등의 비압축부분의 두께(L4)는 약 4mm이다. 두께(4L)는 2mm~6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목부(22)의 가장 깊은 부분의 깊이(L5)는 약 3mm이다. 깊이(L5)는 1mm~5mm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축열(24)을 형성하는 오목부(22)의 인접하는 오목부(22) 사이의 간격(L1)은 약 2mm이다. 간격(L1)은 1mm~5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목부(22) 하나의 길이(L2)는 약 2.4mm이다. 길이(L2)는 1mm~50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의 폭(L3)은 약 2mm이다. 폭(L3)은 1mm~5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도 19, 도 20에 있어서, 오목부(22)는 평행사변형으로 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 있어서의 제1 압축열(24a)의 배치간격(S1)은 10mm이다. 배치간격(S1)은 5mm~25mm가 바람직하다.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제2 압축열(24b)의 배치간격(S2) 및 제3 압축열(24c)의 배치간격(S3)은 40mm이다. 배치간격(S2) 및 배치간격(S3)은 30mm~50mm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치간격(S2) 및 배치간격(S3)은 동일하게 하였지만, 다른 값이어도 좋다.
엠보싱 패턴의 형태는, 도 19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과, 가랑이 부분(M2)에서 압축열(24)의 배치 관계가 만족된다면, 압축열(24)의 경사가 다른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서는, 제1 압축열(24a)을 흡수체(13)의 길이방향으로 배열시키고, 가랑이 부분(M2)에서는, 비스듬한 격자 형상으로 제2 압축열(24b) 및 제3 압축열(24c)을 배열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가랑이 부분(M2)에서는, 흡수체(13)의 형붕괴를 방지하여 착용감을 높이는 동시에,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과, 가랑이 부분(M2)에서, 압축열(24)의 경사각도를 변화시키고 있으므로, 다양한 비틀림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의 압축열(24)을 직선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기저귀(10) 착용자의 등쪽 또는 배쪽에 위치하는 웨이스트 부분에서 내부의 공기(습기)를 밖으로 빼내기 쉽고, 또한 외기를 취입하기 쉬워지므로, 기저귀(1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이동을 쉽게 하여, 기저귀(10)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흡수체(13)의 톱시트(14)측의 면을 위로 한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의 형상이 실시형태 2의 흡수체(13)의 형상과 상이한 첫번째 점은, 실시형태 2의 제1 압축열(24a)의 간격(S1)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 압축열(24a)의 간격(A)이 넓다는 점이다. 또한, 상이한 두번째 점은, 실시형태 2의 제2 압축열(24b)의 간격(S2) 및 제3 압축열(24c)의 간격(S3)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2 압축열(24b1) 및 제3 압축열(24c1)의 간격(B)이 좁다는 점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제2 압축열(24b1) 및 제3 압축열(24c1)의 가상선(P)에 대한 경사각도(α1 및 β1)는, 실시형태 2의 경사각도(α1 및 β2)와 동일하지만, 다른 값이어도 좋다. 또한,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제2 압축열(24b1) 및 제3 압축열(24c1)로 둘러싸인 흡수영역(비압축영역)(25a)의 면적은, 실시형태 2의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흡수영역(비압축영역)(25)의 면적보다 좁은데, 넓어도 좋으며, 동일한 크기의 면적이어도 좋다.
더욱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 있어서의 제1 압축열(24a1)의 배치간격(A)은 40mm이다. 배치간격(A)은 5mm~50mm가 바람직하다.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제2 압축열(24b1) 및 제3 압축열(24c1)의 배치간격(B)은 25mm이다. 배치간격(B)은 10mm~40mm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압축열(24b1) 및 제3 압축열(24c1)의 배치간격은 동일하게 하였지만, 다른 값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제2 압축열(24b1) 및 제3 압축열(24c1)이 격자 형상을 형성하고,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의 제1 압축열(24a1)이 직선 형상을 형성하고 있으면, 실시형태 2의 흡수체(13)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상기 구성에 의하여 주변부에 압축열(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다리 둘레 개구부(10L) 및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10W)로부터 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흡수체(13)의 톱시트(14)측의 면을 위로 한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의 형상이 실시형태 2 및 3의 흡수체(13)의 형상과 상이한 점은, 제1 압축열(24a)이 가상선(P)에 대하여 경사각도(α2 및 β2)로 경사져, 흡수체(13)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제1 압축열(24a2)의 간격(C)이 넓어지고 있는 점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제2 압축열(24b2) 및 제3 압축열(24c2)의 간격(B)은,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2의 제2 압축열(24b)의 간격(S2) 및 제3 압축열(24c)의 간격(S3)에 비하여 좁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제2 압축열(24b2) 및 제3 압축열(24c2)의 가상선(P)에 대한 경사각도(α1 및 β1)는, 실시형태 2 및 3의 경사각도(α1 및 β2)와 동일하지만, 다른 값이어도 좋다. 또한,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압축열(24b2) 및 압축열(22c2)로 둘러싸이는 흡수영역(비압축영역)(25b)의 면적은, 실시형태 3의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흡수영역(비압축영역)(25a)의 면적과 동일하지만, 다른 크기여도 좋다. 더욱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압축열(24a2)의 가상선(P)에 대한 경사각도(α2 및 β2)는 8°이다. 경사각도(α2 및 β2)는 2°~15°가 바람직하다.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 있어서의 제1 압축열(24a2)의 가랑이 부분(M2) 부근의 배치간격(C1)은 17mm이고, 흡수체(13)의 길이방향 양단부 부근의 배치간격(C2)은 28mm이다. 배치간격(C)(C1 및 C2)은, 10mm~40mm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치간격(C1)이 배치간격(C2)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데, 같은 간격 또는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제2 압축열(24b2) 및 제3 압축열(24c2)의 배치간격(B)은,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25mm이다. 배치간격(B)은, 10mm~40mm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각도(α2 및 β2)는 같은 값으로 하였지만, 다른 값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압축열(24b2) 및 제3 압축열(24c2)의 배치간격(B)은 같은 값으로 하였지만, 다른 값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제2 압축열(24b2) 및 제3 압축열(24c2)이 격자 형상을 형성하고,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의 제1 압축열(24a2)이 직선 형상을 형성하고 있으면, 실시형태 2의 흡수체(13)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실시형태 2 및 3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상기 구성에 의하여 주변부에 압축열(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다리 둘레 개구부(10L) 및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10W)로부터 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흡수체(13)의 톱시트(14)측의 면을 위로 한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의 형상이 실시형태 2 내지 3의 흡수체(13)의 형상과 상이한 첫번째 점은, 제1 압축열(24a3)이 가상선(P)에 대하여 경사각도(α3 및 β3)로 경사져, 흡수체(13)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제1 압축열(24a3)의 간격(D)이 넓어져 있다는 점이다. 또한, 상이한 두번째 점은, 제2 압축열(24b3) 및 제3 압축열(24c3)이 가상선(P)에 대하여, 경사각도(α1 및 β1)보다 작은 경사각도(α4 및 β4)로 경사져, 대략 마름모꼴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압축열(24a3)의 가상선(P)에 대한 경사각도(α3 및 β3)는, 제2 압축열(24b3) 및 제3 압축열(24c3)의 가상선(P)에 대한 경사각도(α4 및 β4)보다 작은 값인데, 큰 값 또는 같은 값이어도 좋다. 또한,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압축열(24b3) 및 압축열(22c3)로 둘러싸이는 흡수영역(비압축영역)(25c)의 형상은, 실시형태 2 내지 4의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흡수영역(비압축영역)(25, 25a 및 25b)의 형상과 비교하여, 흡수체(13)의 길이방향으로 세로로 길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압축열(24a3)의 가상선(P)에 대한 경사각도(α3 및 β2)는 6°이다. 경사각도(α3 및 β3)는 2°~10°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압축열(24b3) 및 제3 압축열(24c3)의 가상선(P)에 대한 경사각도(α4 및 β4)는 12°이다. 경사각도(α4 및 β4)는 2°~20°가 바람직하다.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에 있어서의 제1 압축열(24a3)의 가랑이 부분(M2) 부근의 배치간격(D1)은 18mm이고, 흡수체(13)의 길이방향 양단부 부근의 배치간격(D2)은 27mm이다. 배치간격(D)(D1 및 D2)은 10mm~30mm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치간격(D1)이 배치간격(D2)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데, 같은 간격 또는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가랑이 부분(M2)에 있어서의 제2 압축열(24b3) 및 제3 압축열(24c3)의 배치간격(E)은 22mm이다. 배치간격(E)은 15mm~30mm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각도(α3 및 β3)는 같은 값으로 하였지만, 다른 값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경사각도(α4 및 β4)는 같은 값으로 하였지만, 다른 값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압축열(24b3) 및 제3 압축열(24c3)의 배치간격(E)은 같은 값으로 하였는데, 다른 값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제2 압축열(24b3) 및 제3 압축열(24c3)이 격자 형상을 형성하고, 신체 앞쪽 부분(M1) 및 신체 뒤쪽 부분(M3)의 제1 압축열(24a3)이 직선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면, 실시형태 2의 흡수체(13)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실시형태 2 내지 4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13)는, 상기 구성에 의하여 주변부에 압축열(24)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다리 둘레 개구부(10L) 및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10W)로부터 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는, 성인용, 아이용 어디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팬츠형 기저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개형 기저귀(이른바, 테이프형 기저귀)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기저귀만으로 특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수 패드 등, 기타 일반적인 흡수성 물품 전반에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 표면시트와, 액불투과성 이면시트와,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이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시트측에, 통기홈 형성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홈 형성영역은, 측벽과 바닥벽을 가지는 통기홈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홈은,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 형성영역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표면시트가 상기 흡수체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은, 상기 통기홈 형성영역을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횡단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은, 상기 흡수성 물품에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배쪽에서 가랑이를 통과하여 등쪽에 이르는 가상선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은,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한쪽으로 경사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통기홈과, 다른쪽으로 경사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통기홈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홈 및 상기 제2 통기홈은,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10도 이상 80도 미만의 범위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인접하는 상기 제1 통기홈 혹은 상기 제2 통기홈은, 10mm 이상 100mm 미만의 간격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 형성영역은, 상기 가상선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흡수성 물품 양단에, 도달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기홈 형성영역의 길이의 비율은, 30% 이상 80% 이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 형성영역 상에 재치되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내경 26mm의 시린지(syringe) 내의 윗점에서 아랫점까지의 물풍선의 통과시간을 평면통기도로 하면, 그 평면통기도가 3초 이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신체 앞쪽, 가랑이, 신체 뒤쪽에 걸쳐 연장되는 크기의 일회용 기저귀여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 형성영역은, 상기 신체 앞쪽의 측단 및 상기 신체 뒷족의 측단에 도달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투과성의 표면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와,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이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에는, 상기 표면시트측 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수체의 중앙영역을 사이에 끼우는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양단영역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흡수체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양단영역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패턴을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각각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제3 패턴과 연통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어도 좋다.
10: 일회용 기저귀
10F: 신체 앞쪽 영역
10R: 신체 뒤쪽 영역
10C: 가랑이 영역
10W: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
10L: 다리 둘레 개구부
10J: 폐합부
10T: 폐기 테이프
11: 커버시트
11A: 패드 커버시트
11B: 이너 커버시트
11C: 아우터 커버시트
11K, 13A: 절결부
12: 백시트(이면시트)
13: 흡수체
14: 톱시트(표면시트)
15: 코어랩
16: 탄성실(다리 둘레 탄성실)
17: 탄성실(웨이스트 둘레 탄성실)
18: 사이드시트
19: 탄성실(입체개더 신축재)
21: 통기홈
21a: 제1 홈
21b: 제2 홈
21c: 바닥부
21d: 측벽
22: 오목부
23: 패임 부분
24: 압축열
24a: 제1 압축열
24b: 제2 압축열
24c: 제3 압축열
25: 주흡수영역(비압착영역)
27: 배뇨위치
100: 측정기
101: 원통
102: 바닥판
103: 물풍선
L1: 압축열에 있어서의 인접 오목부간의 전후간격
L2: 압축열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길이
L3: 압축열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폭
S1, A, C1, C2, D1, D2: 복수의 제1 압축열의 형성간격
S2, S3, B, E: 복수의 제2 압축열 또는 제3 압축열의 형성간격

Claims (7)

  1. 액투과성의 표면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시트와,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이면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시트측에는,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복수 배치된 홈이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는, 측벽과 바닥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 내에 있어서 더욱 움푹 패인 제2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제2 오목부의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이면시트 사이의 전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흡수체의 중앙영역을 사이에 끼우는 양단영역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의 중앙영역을 사이에 끼우는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양단영역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각각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제3 패턴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오목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삭제
  7. 삭제
KR1020177015541A 2014-12-10 2015-12-09 흡수성 물품 KR101988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9965 2014-12-10
JP2014249965A JP6531378B2 (ja) 2014-12-10 2014-12-10 吸収性物品
JPJP-P-2015-207417 2015-10-21
JP2015207417A JP6439651B2 (ja) 2015-10-21 2015-10-21 吸収性物品
PCT/JP2015/006135 WO2016092842A1 (ja) 2014-12-10 2015-12-0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173A KR20170084173A (ko) 2017-07-19
KR101988420B1 true KR101988420B1 (ko) 2019-06-12

Family

ID=5610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541A KR101988420B1 (ko) 2014-12-10 2015-12-0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70333263A1 (ko)
KR (1) KR101988420B1 (ko)
CN (1) CN106999308B (ko)
AU (1) AU2015358715B2 (ko)
BR (1) BR112017012359A2 (ko)
EA (1) EA201791263A1 (ko)
MY (1) MY181557A (ko)
NZ (1) NZ732544A (ko)
TW (1) TWI660719B (ko)
WO (1) WO2016092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0381A (zh) * 2017-06-14 2020-02-07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体复合体
JP6726135B2 (ja) * 2017-06-15 2020-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WO2019090292A1 (en) 2017-11-06 2019-05-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onforming features
CN109893345B (zh) * 2017-12-11 2022-04-12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RU2771305C2 (ru) * 2017-12-27 2022-04-29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WO2019230982A1 (ja) * 2018-05-31 2019-12-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856110A1 (en) * 2018-09-27 2021-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arment-like absorbent articles
EP3968924A1 (en) * 2019-05-15 2022-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N110464544A (zh) * 2019-07-02 2019-11-19 福清市益兴堂卫生制品有限公司 一种双层舒适型纸尿裤及其加工方法
EP3928754A1 (en) * 2020-06-24 2021-12-29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LLC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ed absorbent cor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0474A1 (en) 2009-04-29 2010-11-04 Fernanda Bruzadi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channels
JP2011200337A (ja) * 2010-03-24 2011-10-13 Unicharm Corp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法
JP2012143535A (ja) 2010-12-24 2012-08-02 Kao Corp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JP2012213488A (ja) * 2011-03-31 2012-11-08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4097132A (ja) 2012-11-13 2014-05-29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4097241A (ja) 2012-11-15 2014-05-29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190B2 (ja) * 1994-09-01 2001-0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衛生用品の吸収体
JP3254154B2 (ja) * 1996-12-26 2002-02-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H10234775A (ja) * 1997-02-28 1998-09-08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US6127595A (en) * 1998-04-22 2000-10-0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over sheet lamination for absorbent article and low temperature lamination process
US6563013B1 (en) * 1998-11-30 2003-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nnel
CN2433962Y (zh) * 2000-07-06 2001-06-13 广东海灵保健制品有限公司 一次性导向型体液吸收垫
BR0105724B1 (pt) * 2001-11-26 2010-11-30 absorvente higiênico.
JP4004317B2 (ja) 2002-03-22 2007-11-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40267220A1 (en) * 2003-06-30 2004-12-30 Hull Raymond J. Embossed absorbent article
US7145054B2 (en) * 2004-02-18 2006-12-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mbossed absorbent article
US20080281287A1 (en) * 2007-05-08 2008-11-13 Marcelo Ana Maria Elena R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fac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side leakage and obliqu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JP2011255116A (ja) * 2010-06-11 2011-12-22 Kao Corp 吸収性物品
JP6087233B2 (ja) 2013-07-12 2017-03-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0474A1 (en) 2009-04-29 2010-11-04 Fernanda Bruzadi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channels
JP2011200337A (ja) * 2010-03-24 2011-10-13 Unicharm Corp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法
JP2012143535A (ja) 2010-12-24 2012-08-02 Kao Corp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JP2012213488A (ja) * 2011-03-31 2012-11-08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4097132A (ja) 2012-11-13 2014-05-29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4097241A (ja) 2012-11-15 2014-05-29 Kao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0719B (zh) 2019-06-01
CN106999308A (zh) 2017-08-01
KR20170084173A (ko) 2017-07-19
US20170333263A1 (en) 2017-11-23
AU2015358715A1 (en) 2017-06-29
EA201791263A1 (ru) 2017-10-31
WO2016092842A1 (ja) 2016-06-16
NZ732544A (en) 2018-05-25
TW201632160A (zh) 2016-09-16
AU2015358715B2 (en) 2018-02-22
MY181557A (en) 2020-12-29
BR112017012359A2 (pt) 2018-05-15
CN106999308B (zh)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420B1 (ko) 흡수성 물품
KR101971107B1 (ko) 흡수성 물품
JP6195303B2 (ja) 吸収性物品
JP6531378B2 (ja) 吸収性物品
KR101595408B1 (ko) 흡수성 물품
KR101988421B1 (ko) 흡수성 물품
JP6785231B2 (ja) 吸収性物品
KR101997682B1 (ko) 흡수성 물품
JP2013111419A (ja) 吸収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着用物品
JP2019069379A (ja) 吸収性物品
TWI654970B (zh) Absorbent article
JP2016214406A (ja) 吸収性物品
JP6557004B2 (ja) 吸収性物品
CN109069326B (zh) 吸收性物品
JP2016214407A (ja) 吸収性物品
JP6939864B2 (ja) 吸収性物品
US20220031530A1 (en) Absorbent article
JP6265104B2 (ja) 吸収性物品
JP2022114300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