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821B1 -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821B1
KR101986821B1 KR1020170183381A KR20170183381A KR101986821B1 KR 101986821 B1 KR101986821 B1 KR 101986821B1 KR 1020170183381 A KR1020170183381 A KR 1020170183381A KR 20170183381 A KR20170183381 A KR 20170183381A KR 101986821 B1 KR101986821 B1 KR 101986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jumper
front plate
strap
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연
Original Assignee
김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연 filed Critical 김승연
Priority to KR102017018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제1,2삽입공을 각각 형성하고, 조절끈의 양끝단을 제1,2삽입공을 통해 각각 인출한 후, 한 쌍의 고리부에 각각 봉재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밑단의 폭 조절시 전방에서 보여지는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 폭은 변화화지 않는 상태에서 뒷판의 밑단 폭만 줄어들게 되므로, 매력적인 실루엣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끈 조절 구조를 통해 조절끈의 소요량이 감소되어 원가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작업공정 단축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A control device of jumper tail e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제1,2삽입공을 각각 형성하고, 조절끈의 양끝단을 제1,2삽입공을 통해 각각 인출한 후, 한 쌍의 고리부에 각각 봉재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밑단의 폭 조절시 전방에서 보여지는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 폭은 변화화지 않는 상태에서 뒷판의 밑단 폭만 줄어들게 되므로, 매력적인 실루엣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끈 조절 구조를 통해 조절끈의 소요량이 감소되어 원가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작업공정 단축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에는 밑단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데, 종래의 의류의 끈 조절 구조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20)의 밑단(21)에 삽입된 조절끈(10)의 선단을 고정부재(11)를 매개로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여 의류(20)의 밑단(21) 폭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1)는 유동되지 않도록 의류(20)의 내면 밑단(21)에 부착된 상태로 조절끈(10)에 결합되어 조절끈(10)에 의해 의류(20)의 밑단 폭이 조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를 위하여, 조절끈(10)의 관통을 위한 관통홈(13a)이 형성되는 고정부(13)와, 관통홈(13a)을 관통하는 조절끈(10)의 고정 및 이동을 제어하는 누름버튼(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1)는 누름버튼(15)의 작동에 의해 조절끈(10)의 조임길이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3)에는 탄성부재(미도시)와 누름버튼(15)이 내부에 배치되고 누름버튼(15)에는 조절끈(10)이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홈(13a)과 대응되는 삽입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절끈(10)은 누름버튼(15)의 삽입홈(15a) 및 고정부(13)의 관통홈(13a)을 통과하여 조립되고,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13)의 관통홈(13a) 일측과 누름버튼(15)의 삽입홈(15a) 일측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고정부재(11)를 의류(20)의 밑단(21)에 부착한 구성은 고정부재(11)의 유동을 발생시키지는 않으나 당겨진 조절끈(1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처져 내려오게 되므로 밑단(21) 폭을 조절한 상태의 전체적인 의류(20)의 외형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의류의 끈 조절 구조체가 등록실용신안 제20-045267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의류의 밑단에 형성되는 통로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인출가능하게 일부가 상기 통로 밖으로 노출되는 조절끈과; 상기 통로 밖으로 노출된 조절끈에 결합되게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끈이 인출되는 상기 의류의 내면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관통한 조절끈의 접어진 단부가 관통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걸어지는 조절끈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끈고정부에는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은 상기 조절끈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끈고정부에 세로방향으로 박음질되는 재봉선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의류의 내면에 부착된 조절끈고정부에 조절끈의 단부가 걸어져 조절끈의 단부를 당기면 조절끈의 단부가 의류의 내면으로 상승하면서 밑단 폭이 조절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조절끈을 조이더라도 늘어나는 조절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의류의 외형이 미려해지고, 활동시 걸림현상이 방지되어 착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삽입공을 통해 조절끈을 밑단 통로에 삽입하고, 조절끈이 의류의 밑단 통로를 관통하여 위치되면 조절끈의 단부를 묶은 상태에서 인전합 한 쌍의 삽입공을 통해 밖으로 노출된 조절끈의 일부분을 접어 길이조절부재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조절끈의 양단부를 묶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밑단 폭이 조절되는 구조이므로, 점퍼의 경우, 신체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부를 이루는 뒷판과, 좌측앞판, 우측앞판의 밑단이 전체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구조로 인하여, 조절끈을 줄인 상태에서 배가 나와 보이는 등 매력적인 실루엣 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인접한 한 쌍의 삽입공을 각각 형성하여 조절끈을 인출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4개의 삽입공을 형성함에 있어서, 작업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67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제1,2삽입공을 각각 형성하고, 조절끈의 양끝단을 제1,2삽입공을 통해 각각 인출한 후, 한 쌍의 고리부에 각각 봉재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밑단의 폭 조절시 전방에서 보여지는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 폭은 변화화지 않는 상태에서 뒷판의 밑단 폭만 줄어들게 되므로, 매력적인 실루엣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끈 조절 구조를 통해 조절끈의 소요량이 감소되어 원가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작업공정 단축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는, 점퍼의 밑단에 삽입되되, 그 양끝단이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조절끈;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조절끈의 양끝단이 각각 관통되며, 착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따라 조절끈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스토퍼; 및 상기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각각 봉제되며, 상기 조절끈이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가로재봉선에 의해 상부고리부와 하부고리부로 분리된 고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조절끈의 양끝단이 상기 하부고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를 통과한 후, 상기 상부고리부에 삽입되어 상부고리부 내측에서 세로재봉선에 의해 재봉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끈을 당겨 점퍼 밑단의 폭을 줄이는 경우, 전방에서 보여지는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 폭은 변화화지 않는 상태에서 뒷판의 밑단 폭만 줄어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제조방법은, 고리부 원단을 재단한 후, 상기 고리부 원단을 반접어서 그 상부를 재봉하고, 재봉 방향을 따라 다시 반을 접은 상태에서 그 중앙부를 재봉하여 가로재봉선에 의해 상부고리부와 하부고리부를 형성하는 고리부를 제작하는 고리부 제작단계;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각각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형성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상기 고리부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고리부를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 상부에 각각 시침질하여 고정시키는 고리부 재봉단계;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에 조절끈을 삽입하는 조절끈 삽입단계; 및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조절끈의 양끝단을 상기 하부고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를 통과시킨 후, 상기 상부고리부에 삽입하여 상부고리부 내측에 재봉하여 고정시키는 조절끈 재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제1,2삽입공을 각각 형성하고, 조절끈의 양끝단을 제1,2삽입공을 통해 각각 인출한 후, 한 쌍의 고리부에 각각 봉재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밑단의 폭 조절시 전방에서 보여지는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 폭은 변화화지 않는 상태에서 뒷판의 밑단 폭만 줄어들게 되므로, 매력적인 실루엣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끈 조절 구조를 통해 조절끈의 소요량이 감소되어 원가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작업공정 단축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종래기술의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제조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제조과정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는, 고리부(50), 스토퍼(60), 조절끈(70)을 포함한다.
상기 고리부(50)는 점퍼의 좌측앞판(20) 및 우측앞판(30)의 밑단(40)에 각각 봉제되며, 조절끈(70)이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리부(50)는 가로재봉선(53)에 의해 상부고리부(52)와 하부고리부(51)로 분리 형성되어 조절끈(70)이 하부고리부(51)를 관통하여 상부고리부(52)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50)는 하부고리부(51)를 관통한 조절끈(70)의 끝단이 상부고리부(5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조절끈(70)의 끝단을 상기 상부고리부(52)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조절끈(70)의 끝단을 상부고리부(5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부고리부(52)의 외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재봉함으로써, 세로재봉선(54)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토퍼(60)는 하부고리부(51)와 나란히 위치하여 점퍼의 좌측앞판(20) 및 우측앞판(30)의 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공(41) 및 제2삽입공(41')을 통해 인출되는 조절끈(70)을 착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따라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하부고리부(51)를 통과한 조절끈(70)의 끝단이 관통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토퍼(60)의 상세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끈(70)은 점퍼의 밑단(40)에 삽입되어 밑단(40)의 폭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밑단(40)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끈(70)은 그 양끝단이 점퍼의 좌측앞판(20) 및 우측앞판(30)의 밑단(40)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공(41) 및 제2삽입공(41')을 통해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제1삽입공(41) 및 제2삽입공(41')을 통해 인출되는 조절끈(70)의 양끝단이 상기 하부고리부(51)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60)를 통과한 후, 상기 상부고리부(52)에 삽입되어 상부고리부(52) 내측에서 세로재봉선(54)에 의해 재봉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는데, 이로 인하여, 밑단(40) 전체에 조절끈(70)이 삽입되지 않음에 따라 조절끈(70)의 소요량이 감소되어 원가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끈(70)을 당겨 점퍼 밑단(40)의 폭을 줄이는 경우, 전방에서 보여지는 점퍼의 좌측앞판(20) 및 우측앞판(30)의 밑단 폭은 변화화지 않는 상태에서 뒷판(10)의 밑단(40) 폭만 줄어들게 되므로, 매력적인 실루엣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절끈(70)은 그 양끝단이 점퍼의 좌측앞판(20) 및 우측앞판(30)의 밑단(40)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공(41) 및 제2삽입공(41')을 통해 인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조절끈(70)이 인출되는 삽입공을 좌측앞판(20) 및 우측앞판(30)의 밑단(40)에 각각 1개씩 2개만 형성하게 되므로, 작업공정 단축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고리부(50)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고리부(50) 원단을 길게 재단한 후, 그 상부와 하부에 재봉을 위한 시접부(55)를 형성하고, 상,하부 시접부(55)를 재봉하게 되는데, 이때, 시접부(55)를 재봉하는 과정에서 재봉도구인 랍바를 이용하여 고리부(50) 원단을 반접어서 맞닿는 상,하부 시접부(55)를 재봉한다.
다음으로, 적당한 길이로 고리부(50) 원단을 컷팅한 후, 재봉 방향을 따라 고리부(50) 원단을 다시 반을 접은 상태에서 그 중앙부를 재봉하게 되는데, 이때 재봉시에는 바텍기계를 이용하여 이음선 없이 한번에 재봉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리부(50)의 원단의 중앙부를 재봉하게 되면, 가로재봉선(53)이 형성되며, 가로재봉선(53)에 의해 상부고리부(52)와 하부고리부(5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리부(50)의 하부에는 점퍼의 밑단(40) 상부에 시침질을 통해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시접부(5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퍼의 밑단(40)에 제1삽입공(41)을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고리부(50)를 점퍼의 밑단(40) 상부에 각각 시침질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점퍼의 밑단(40) 상부에는 점퍼의 뒷판(10), 좌측앞판(20), 우측앞판(30)과 재봉을 위한 시접부(4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공(41) 및 제2삽입공(41')에 조절끈(70)을 삽입한 후, 상기 제1삽입공(41) 및 제2삽입공(41')을 통해 인출되는 조절끈(70)의 양끝단을 상기 하부고리부(51)를 관통하여 스토퍼(60)를 통과시킨 후, 상기 상부고리부(52)에 삽입하여 상부고리부(52) 내측에 재봉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앞판(20) 및 우측앞판(30)의 밑단(40)에 제1,2삽입공(41,41')을 각각 형성하고, 조절끈(70)의 양끝단을 제1,2삽입공(41,41')을 통해 각각 인출한 후, 한 쌍의 고리부(50)에 각각 봉재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조절끈(70)을 통해 점퍼 밑단(40)의 폭 조절시 전방에서 보여지는 점퍼의 좌측앞판(20) 및 우측앞판(30)의 밑단(40) 폭은 변화화지 않는 상태에서 뒷판(10)의 밑단(40) 폭만 줄어들게 되므로, 매력적인 실루엣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끈 조절 구조를 통해 조절끈의 소요량이 감소되어 원가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작업공정 단축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뒷판 20: 좌측앞판
30: 우측앞판 40: 밑단
41,41': 제1,2삽입공 42: 시접부
50: 고리부 51: 하부고리부
52: 상부고리부 53: 가로재봉선
54: 세로재봉선 55,56: 시접부
60: 스토퍼 70: 조절끈

Claims (3)

  1. 점퍼의 밑단에 삽입되되, 그 양끝단이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조절끈;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조절끈의 양끝단이 각각 관통되며, 착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따라 조절끈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스토퍼; 및
    상기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각각 봉제되며, 상기 조절끈이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가로재봉선에 의해 상부고리부와 하부고리부로 분리된 고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조절끈의 양끝단이 상기 하부고리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를 통과한 후, 상기 상부고리부에 삽입되어 상부고리부 내측에서 세로재봉선에 의해 재봉되어 고정되며,
    상기 조절끈을 당겨 점퍼 밑단의 폭을 줄이는 경우, 전방에서 보여지는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 폭은 변화화지 않는 상태에서 뒷판의 밑단 폭만 줄어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밑단 조절장치.
  2. 삭제
  3. 고리부 원단을 재단한 후, 상기 고리부 원단을 반접어서 그 상부를 재봉하고, 재봉 방향을 따라 다시 반을 접은 상태에서 그 중앙부를 재봉하여 가로재봉선에 의해 상부고리부와 하부고리부를 형성하는 고리부를 제작하는 고리부 제작단계;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에 각각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형성하는 삽입공 형성단계;
    상기 고리부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고리부를 점퍼의 좌측앞판 및 우측앞판의 밑단 상부에 각각 시침질하여 고정시키는 고리부 재봉단계;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에 조절끈을 삽입하는 조절끈 삽입단계; 및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조절끈의 양끝단을 상기 하부고리부를 관통하여 스토퍼를 통과시킨 후, 상기 상부고리부에 삽입하여 상부고리부 내측에 재봉하여 고정시키는 조절끈 재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밑단 조절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70183381A 2017-12-29 2017-12-29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6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81A KR101986821B1 (ko) 2017-12-29 2017-12-29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81A KR101986821B1 (ko) 2017-12-29 2017-12-29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821B1 true KR101986821B1 (ko) 2019-09-30

Family

ID=6809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381A KR101986821B1 (ko) 2017-12-29 2017-12-29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8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368U (ja) * 2001-03-16 2001-09-21 美津濃株式会社 裾絞り機構付き上衣
KR100798633B1 (ko) * 2004-12-10 2008-01-30 서정훈 바짓단 조절링이 부착된 군복바지
JP4330194B2 (ja) * 1999-01-28 2009-09-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衣服
KR200452674Y1 (ko) 2008-07-21 2011-03-1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의류의 끈 조절 구조체
KR101042665B1 (ko) * 2010-12-31 2011-06-21 대한민국 전투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0194B2 (ja) * 1999-01-28 2009-09-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衣服
JP3080368U (ja) * 2001-03-16 2001-09-21 美津濃株式会社 裾絞り機構付き上衣
KR100798633B1 (ko) * 2004-12-10 2008-01-30 서정훈 바짓단 조절링이 부착된 군복바지
KR200452674Y1 (ko) 2008-07-21 2011-03-1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의류의 끈 조절 구조체
KR101042665B1 (ko) * 2010-12-31 2011-06-21 대한민국 전투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100334A4 (en) Kimono
US6499201B2 (en) Garment fastener especially for swimwear and lingerie
KR101986821B1 (ko)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34619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의복
KR200452674Y1 (ko) 의류의 끈 조절 구조체
KR102097259B1 (ko) 의복용 허리둘레 조절장치
JP7032041B2 (ja) 和服および和服の製造方法
JP3156899U (ja) ネクタイ
JP5031456B2 (ja) 簡易着付用帯体
US9914635B2 (en) Mannequin upholstery shaping device
KR101319649B1 (ko) 고리 부착 방법
JP2018131725A (ja) 上衣の身八つ口の下方において前身頃と後身頃とが離れた二部式着物及び着付け方法
JP3168790U (ja) 着物風エプロン
JP3220380U (ja) 作り帯
JP3142610U (ja) エプロン
JP2019023362A (ja) 着物及び着物の着付け方法
JP3077949U (ja) 連続する太鼓部と胴部とを簡易縫合してなる太鼓型作り帯
CN206380803U (zh) 一拉到位无档差系紧编织腰带筘头
JP2006249592A (ja) 着物及び着物の改造方法
JP4726739B2 (ja) 重ね着用巻きスカート
JPS635482B2 (ko)
JP2008280629A (ja) 簡易着付用帯体
JP3120682U (ja)
JP3131976U (ja) 着用が簡単で、着用者の身体に優しく、元の帯に復元できるため装飾的な結び目の形状を変更できる、やさしいつくり帯
JP4029297B2 (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