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649B1 - 고리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고리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649B1
KR101319649B1 KR1020130069602A KR20130069602A KR101319649B1 KR 101319649 B1 KR101319649 B1 KR 101319649B1 KR 1020130069602 A KR1020130069602 A KR 1020130069602A KR 20130069602 A KR20130069602 A KR 20130069602A KR 101319649 B1 KR101319649 B1 KR 10131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button
attached
string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종
Original Assignee
재재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재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재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2Setting hooks or ey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01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은 곡면을 갖는 복수의 홈에 각각 스트링을 끼워 넣은 후 스트링의 양단이 부착되도록 접착띠를 부착하고 접착띠에 부착된 스트링을 상기 복수의 홈에서 분리하여 복수의 스트링이 부착된 접착띠를 의복의 단부에 부착한 후 접착띠와 의복의 단부를 함께 재봉하여 고리를 부착한다.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은 의복의 단과 박음틀의 단을 중첩시켜 함께 1차 재봉 및 박음틀을 뒤집은 후 의복의 단과 함께 2차 재봉을 한 후 박음틀을 제거하고 이중 재봉 처리된 의복의 단에 고리 단추를 부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은 의복에 고리 및 고리 단추를 깔끔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초보자의 경우에도 정확한 재봉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리 부착 방법 {Method for fixing buttonhook}
본 발명은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곡면을 갖는 복수의 홈에 각각 스트링을 끼워 넣은 후 스트링의 양단이 부착되도록 접착띠를 부착하고, 접착띠에 부착된 스트링을 복수의 홈에서 분리하여 의복의 단부에 부착하고 접착띠와 의복의 단부를 함께 재봉함으로써 의복에 고리를 부착하고, 의복의 단과 박음틀의 단을 중첩시켜 함께 1차 재봉을 하고 박음틀을 뒤집어 의복의 단과 함께 2차 재봉을 한 후 박음틀을 제거하여 이중 재봉 처리된 의복의 단에 고리 단추를 부착하는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라우스나 스커트 등의 의복을 여미는 도구는 의복의 디자인에 따라 단추, 지퍼 등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단추는 의복의 여밈 도구 중 가장 많이 쓰이는데, 단추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장식 효과가 있다. 단추는 일반적으로 옷의 한쪽 단에는 단추를 달고 다른 한쪽에는 단추 구멍을 형성하여 양쪽 단을 여미는 형태이다. 하지만, 디자인에 따라 단추 구멍을 내지 않고 의복의 한쪽단에 고리를 형성하여 단추를 여미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의복의 겉에서 고리가 보이지 않고 단추만 드러남으로써 깔끔하고 단아한 느낌을 준다. 이 때문에 고리로 여미는 단추는 블라우스나 스커트 등 우아한 분위기의 여성복에서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단추 고리가 구비된 의복으로서, 등록특허 제10-0425576호에는 고무스트링을 이용하여 밸트 상부에 단추걸이가 형성되어 있는 허리 밸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추걸이는 연속적으로 이어진 고무끈을 소정의 간격으로 바느질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단추걸이 하나하나를 위치를 잡아 바느질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바느질의 능숙도에 따라 단추걸이가 형성되는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의복에 단추 고리를 정해진 간격으로 부착하면서도 복수의 단추 고리를 하나하나 재봉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재봉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단추 고리가 걸어질 단추가 형성되는 의복의 단에 있어서도 간단하게 단추단을 형성할 수 있어 단추 및 단추 고리에 의해 여며지는 의복을 보다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0425576호 (등록일: 2004.03.22)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링을 이용한 복수개의 단추 고리를 의복에 간단한 방법으로 부착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추가 부착되는 의복의 단추단을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는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은 곡면을 갖는 복수의 홈에 각각 스트링을 끼워 넣는 단계, 스트링의 양단이 부착되도록 접착띠를 부착하는 단계, 접착띠에 부착된 채로 스트링을 복수의 홈에서 분리하는 단계, 복수의 스트링이 부착된 접착띠를 의복의 단부에 부착하는 단계, 복수의 스트링이 부착된 접착띠와 의복의 단부를 함께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에서 접착띠는 물에 용해되는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은 복수의 스트링이 부착된 접착띠를 의복의 단부에 부착하는 단계에서 접착띠를 의복의 겉면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은 의복의 단과 박음틀의 단을 중첩시켜 함께 1차 재봉하는 단계, 박음틀을 뒤집은 후 상기 의복의 단과 함께 2차 재봉을 하는 단계, 박음틀을 제거하는 단계, 이중 재봉 처리된 의복의 단에 고리 단추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 단추단 재봉 방법에서 박음틀은 위사가 분리 가능한 심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은 1차 재봉 단계에서 의복의 단의 겉면에 박음틀을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은 접착띠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리를 의복에 정확한 위치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은 의복의 단추단을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단이 접히는 폭이 좁은 경우라도 초보자도 쉽게 재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2(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에서 곡면을 갖는 복수의 홈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에 의해 의복에 고리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에서 원단과 박음틀을 이용하여 재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추단 처리 방법에 의해 처리된 단추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a) 내지 도2(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에서 곡면을 갖는 복수의 홈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에 의해 의복에 고리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에 따라 의복에 고리를 부착하기 위해서 우선 곡면을 갖는 복수의 홈(110)에 각각 스트링(200)을 끼워 넣는다(S1100).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홈(110)은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홈(110)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판상(10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홈(110)은 고리가 부착되는 간격 및 고리의 개수에 따라 달리 형성되며, 길이 방향이 의복의 단부의 길이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는 복수의 홈(110)이 형성된 판상의 도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소정 두께의 판상(100)에 반타원 기둥(120)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반타원 기둥(120)의 곡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반타원형의 기둥(120)은 부착되는 고리의 간격이나 개수에 따라 판상(100)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부착되는 고리의 개수나 간격에 따라 복수의 홈(110)의 배열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직육면체상에 형성된 타원형의 기둥(120)이 판상 도구(100)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의복의 디자인에 따라 간격이나 개수를 조절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홈(110)이 형성되는 반타원형의 기둥(120) 또는 판상의 도구(10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타원형 기둥(120)에 형성된 복수의 홈(110)에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스트링(200)이 끼워진다(도 2(b)). 복수의 홈(110)의 폭은 스트링(200)이 용이하게 끼워지고 홈(1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스트링(200)의 굵기보다 약간 더 굵게 형성된다. 홈(110)의 폭이 너무 큰 경우 스트링(200)이 홈(110)을 이탈할 수도 있으므로, 홈(110)의 폭은 스트링(200)의 굵기보다 지나치게 크면 좋지 않다. 스트링(200)은 탄성이 없는 끈 형태일 수도 있고, 고무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트링(200)은 틀에 형성된 홈(110)의 둘레보다 길어야 한다.
다음으로, 스트링(200)의 양단이 부착되도록 접착띠(300)를 부착한다(S1200). 스트링(200)은 반타원 기둥(120)에 형성된 홈(110)의 둘레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200)을 복수의 홈(110)에 끼우면 스트링(200)의 단부가 홈(110)의 바깥으로 나오게 된다. 홈(110)의 바깥으로 나온 스트링(200)의 양 단부가 접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접착띠(300)를 부착한다. 접착띠(300)는 판상의 도구(100)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띠(300)에 부착된 스트링(200)을 상기 복수의 홈(110)에서 분리한다(S1300). 접착띠(300)에 복수의 스트링(200)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접착한 후에 접착띠(300)를 판상의 도구(100)로부터 분리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접착띠(300)에는 스트링(200)이 고리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스트링(200)이 부착된 접착띠(300)를 의복의 단부에 부착한다(S1400). 단추 고리를 부착할 의복의 단부에 접착띠(300)를 부착한다. 이 때 접착띠(300)는 의복(400)의 겉면(F)에 부착되도록 한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200)의 단부가 의복(400)의 단과 일치하도록 부착한다. 스트링(200)의 양 단부는 의복의 단부를 향하도록 한다.
복수의 스트링(200)이 부착된 접착띠(300)와 의복(400)의 단부를 함께 재봉한다(S1500).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띠(300)에 의해 스트링(200)이 부착된 의복(400)의 단부를 스트링(200)의 단부와 같이 재봉하여 복수의 스트링(200)을 의복(400)의 단부에 부착할 수 있다. 의복(400)의 단부에 스트링(200)을 부착 한 후, 단부의 시접이 안으로 들어가도록 단부를 접은 후 직선 재봉 또는 감침질 등으로 마감 처리를 한다(도 2g). 감침질이나 공그르기를 이용하는 경우 겉으로 바느질 선이 드러나지 않아 보다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띠(300)를 의복(400)의 단부에 부착한 후 바로 재봉을 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띠(300)를 의복(400)의 단부에 부착한 후 시접이 원단의 안쪽을 향하도록 접은 후 재봉을 하여 바로 마감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접착띠(300)는 스트링(200)을 의복에 부착한 후 제거한다(S1600).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착띠(300)가 물에 용해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의복(400)을 완성한 후 세탁에 의해 접착띠(300)가 쉽게 용해되므로, 접착띠(300)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에 따라 고리를 부착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400)의 단부에 고리(200)가 간편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에서 원단과 박음틀을 이용하여 재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추단 처리 방법에 의해 처리된 단추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추단 처리 방법에 의해 단추단을 처리하기 위해서, 의복(400)의 단과 박음틀(500)의 단을 중첩시켜 함께 1차 재봉한다(S2100). 박음틀(500)은 의복의 단을 용이하게 처리하기 위한 보조 도구로서 심지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는 두께가 굵은 경사와 위사를 큰 간격으로 엮은 후 풀을 먹여 빳빳한 상태로 만든 것으로, 심지 상을 재봉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위사의 방향을 따라 재봉하면 되므로 초보자라 하여도 박음질 모양이 비뚤어지지 않고 직선상으로 용이하게 재봉될 수 있다. 박음틀(500)은 의복(400)의 겉면에서 박음틀(500)의 단부와 의복(400)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박음틀(500) 상을 재봉한다(도 6a).
박음틀(500)을 뒤집은 후 의복의 단과 함께 2차 재봉을 한다(S2200). 박음틀(500)이 의복(400)의 안감 방향을 향하도록 뒤집는다. 박음틀(500)은 의복(400)에 부착된 채로 360°회전을 하여 의복(400)의 단부가 두 번 접히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틀(500)을 뒤집은 후 의복(400)의 안쪽 방향에서 박음틀(500) 상의 소정 위치에 2차 재봉을 한다. 박음틀(500)을 360°회전시킴으로써 시접이 안으로 들어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2차 재봉을 함으로써 의복(400)의 단부가 깔끔하게 처리된다.
박음틀(500)을 제거한다(S2300).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재봉을 완료 한 후 박음틀(500)을 잡아 당겨 제거한다. 박음틀(500)은 위사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심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재봉된 상태에서 의복(400)의 단부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용이하게 제거된다. 일부 위사가 제거된 박음틀(500)은 다음 번 고리 단추단 처리에 다시 사용된다.
이중 재봉 처리된 의복의 단에 고리 단추를 부착한다(S2400). 깔끔하게 단부가 처리된 의복의 단에 고리 단추를 부착하여 의복(400)을 완성한다(도 6d).
원단과 박음틀(500)을 1차 및 2차 재봉하는 것에 대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틀(500)은 심지로 이루어져 있다. 심지는 두께가 두껍고 빳빳하기 때문에 심지 상을 재봉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심지의 길이 방향으로 위사를 따라 박음질하면 박음질이 비뚤어질 염려 없이 초보자라 하여도 쉽게 직선 재봉을 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틀(500)을 의복(400)의 겉면(F)의 단부와 일치시켜 심지 상에서 위사를 따라 직선 재봉한다. 의복(400)의 단부로부터 재봉을 하는 위치는 시접 처리를 할 간격에 따라 달라진다. 시접을 좁게 처리할 경우 의복의 단부에 가깝게 재봉을 하고, 시접을 넓게 처리할 경우 의복의 단부에서 먼 위치에 재봉을 한다.
박음틀(500)을 의복(400)의 안쪽으로 뒤집어서 단부를 가지런하게 정렬한다. 원단과 심지를 정렬한 후 원단의 안쪽에서 직선 재봉을 한다. 원단의 안쪽으로 접힌 시접의 겉면(F)에 재봉을 하여 시접 처리를 마무리한다(도 7의 (c)).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에 따라 의복(400)의 단부를 처리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400)의 단부를 좁은 폭으로 시접 처리할 경우에도 깔끔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실시예]
이상에서 설명한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단추 고리를 부착하기 위해서,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110)에 각각 스트링(200)을 끼워 넣는다. 복수의 홈(110)이 사각의 틀(100) 상에서 직육면체로 형성된 각각의 홈(110)이 배열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부착되는 고리의 개수나 간격에 따라 복수의 홈(110)을 배열한 후 스트링(200)이 끼워지도록 한다. 스트링(200)은 탄성이 없는 스트링(200)이나 고무끈으로 형성되며, 틀에 형성된 홈의 둘레보다 길다.
홈(110) 밖으로 나온 스트링(200)의 양 단부가 접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접착띠(300)를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띠(300)는 물에 용해 가능한 소재를 이용한 워셔블 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띠(300)에 부착된 스트링(200)을 복수의 홈(110)에서 분리한다. 분리된 접착띠(300)에는 고리가 형성된 스트링(200)이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스트링(200)이 부착된 접착띠(300)를 단추 고리를 부착할 의복(400)의 단부에 부착한다. 이 때 접착띠(300)는 의복(400)의 겉면(F)에 부착되도록 한다. 접착띠(300)를 부착한 후, 복수의 스트링(200)이 부착된 접착띠(300)와 의복(400)의 단부를 함께 재봉한다. 이 때, 시접이 의복(400)의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시접을 접은 후 재봉을 한다.
다음으로 고리를 걸 고리 단추단을 재봉한다. 의복(400)의 단과 박음틀(500)의 단을 중첩시켜 함께 1차 재봉한다. 박음틀(500)은 심지로 형성되며, 의복(400)의 겉면에서 박음틀(500)의 단부와 의복(400)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위치시킨다.
박음틀(500)이 의복(400)의 안감 방향을 향하도록 360°로 뒤집어 의복(400)의 단부가 두 번 접히도록 한다. 단부가 두 번 접히면 시접이 안감쪽으로 들어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시접이 안으로 들어간 상태로 의복(400)의 단과 함께 2차 재봉을 한다.
박음틀(500)을 잡아 당겨 의복(400)의 단부로부터 제거한다. 일부 위사가 제거된 박음틀(500)은 다음 번 고리 단추단 처리에 다시 사용된다.
이중 재봉 처리된 의복(400)의 단에 고리 단추를 부착한다. 이렇게 하여 고리 단추와 고리를 용이하게 의복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 부착 방법 및 고리 단추단 처리 방법은 초보자라 하여도 정확한 위치에 고리를 부착시키고 고리 단추단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판상 도구 110 : 홈
120 : 반타원형 기둥 200 : 스트링
300 : 접착띠 400 : 의복
500 : 박음틀 501 : 위사
502 : 경사 600 : 고리 단추

Claims (6)

  1. 곡면을 갖는 복수의 홈에 각각 스트링을 끼워 넣는 단계;
    상기 스트링의 양단이 부착되도록 접착띠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접착띠에 부착된 채로 스트링을 상기 복수의 홈에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스트링이 부착된 접착띠를 의복의 단부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트링이 부착된 접착띠와 상기 의복의 단부를 함께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부착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링이 부착된 접착띠를 의복의 단부에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착띠는 의복의 겉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부착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69602A 2013-06-18 2013-06-18 고리 부착 방법 KR10131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602A KR101319649B1 (ko) 2013-06-18 2013-06-18 고리 부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602A KR101319649B1 (ko) 2013-06-18 2013-06-18 고리 부착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361A Division KR20140146979A (ko) 2013-09-03 2013-09-03 끝단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649B1 true KR101319649B1 (ko) 2013-10-17

Family

ID=4963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602A KR101319649B1 (ko) 2013-06-18 2013-06-18 고리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126B1 (ko) 2019-07-08 2019-11-04 유한복 단추고리 연결부재와 그 단추고리 연결부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884B1 (ko) 1997-10-17 1999-12-15 염성환 의류 홑겹 박음질방법
KR100425576B1 (ko) 1998-07-01 2004-04-03 도요고무쇼쿠후 가부시키가이샤 허리밴드
KR100521356B1 (ko) 2005-07-08 2005-10-12 (주)주경 의류의 봉제 방법
KR200448100Y1 (ko) 2007-10-31 2010-03-15 최재철 세워 다는 단추 자동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884B1 (ko) 1997-10-17 1999-12-15 염성환 의류 홑겹 박음질방법
KR100425576B1 (ko) 1998-07-01 2004-04-03 도요고무쇼쿠후 가부시키가이샤 허리밴드
KR100521356B1 (ko) 2005-07-08 2005-10-12 (주)주경 의류의 봉제 방법
KR200448100Y1 (ko) 2007-10-31 2010-03-15 최재철 세워 다는 단추 자동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126B1 (ko) 2019-07-08 2019-11-04 유한복 단추고리 연결부재와 그 단추고리 연결부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0285B2 (en) Shirt collar locking system and apparatus
US2997718A (en) Detachable soft collar
JP2014043654A (ja) 着物
US2661472A (en) Garment construction
KR101319649B1 (ko) 고리 부착 방법
US2994091A (en) Method of installing drawstrings in garments
KR101511919B1 (ko)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CN212669992U (zh) 一种无缝圆弧拉链袋模板
JP6826271B2 (ja) 女性用衣服のベルト保持具及びそのベルト保持具の縫製方法
KR20140146979A (ko) 끝단 처리 방법
JP3201742U (ja) 襟飾りの装着手段
KR101993932B1 (ko) 양면 청바지 제조 방법
KR20010087241A (ko)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JP2008050701A (ja) 下衣
CN210783789U (zh) 一种学生用被子
CN112301569B (zh) 一种装拉链的袋口制作方法
KR20090004533U (ko) 바지위로 삐짐을 방지하는 구조의 셔츠
CN112315083B (zh) 一种领口装拉链的制作方法
KR101986821B1 (ko) 점퍼 밑단 조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0843B1 (ko) 퍼커링 방지형 슬라이드파스너 및 이를 이용한 의류의 봉제방법
JP3193353U (ja) 襟飾り
US2342569A (en) Method of making button and buttonhole strips for plackets
US3029442A (en) Shirt pockets
JP6340745B1 (ja) 洋服様着物セット
JP3191060U (ja) 襟飾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