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793B1 -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793B1
KR101983793B1 KR1020170133094A KR20170133094A KR101983793B1 KR 101983793 B1 KR101983793 B1 KR 101983793B1 KR 1020170133094 A KR1020170133094 A KR 1020170133094A KR 20170133094 A KR20170133094 A KR 20170133094A KR 101983793 B1 KR101983793 B1 KR 101983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bolt
under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634A (ko
Inventor
진종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특장
Priority to KR102017013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7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의 섀시프레임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부의 상부 한쪽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상부에 끼워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하부 다른 한쪽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구멍을 갖는 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양쪽에 비틀림 강성 및 강도와 상기 수평부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브래킷, 차량의 섀시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한쪽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된 제2브래킷,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멍을 일치시켜 집어넣고 너트로 죄어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을 결합하는 볼트, 상기 제1브래킷의 제1관통구멍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상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는 제1부싱, 상기 제2브래킷의 제2관통구멍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하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는 제2부싱 및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와 상기 제1부싱 사이에 끼워져 스프링 작용으로 상기 너트의 이완 및 풀림을 방지하고, 외력을 흡수 및 완화하여 상기 볼트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접시스프링 와셔를 포함하는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CLAMPING APPARATUS FOR FIXING OF CARGO BOX IN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섀시프레임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아울러 그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뒤틀림 등의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화물차의 적재함은 눈이나 비로부터 화물을 보호할 수 없고, 화물이 운반 중 쏠림현상 등에 의해 도로로 쉽게 쏟아질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각종 화물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탑재 및 적재할 수 있는 이른바 탑차, 윙바디 또는 밴형 화물자동차(vantype truck) 등과 같은 각종 화물 특장차가 물류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화물 특장차는 대개 완성차 업체에서 출고한 상용화물차의 차대(섀시프레임) 위에 주로 상부가 막히고 적어도 한쪽 면에 도어가 달린 박스형이나 컨테이너형 적재함을 얹혀서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개조하고 있으며, 이때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은 클램핑 장치로 고정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고정용 클램핑 장치를 예시한 것으로, 이는 화물차의 섀시프레임(100) 바깥쪽 측면에 하부브래킷(600)을 볼팅(bolting)하여 고정하고, 적재함의 언더프레임(200) 바깥쪽 측면에 상부브래킷(400)을 용접하여 고정하고, 그 상부브래킷(400)과 하부브래킷(600) 각각에 부싱(500)을 삽입하고 볼트(700) 및 너트로 체결하며, 상부브래킷(400)과 부싱 사이에 접시스프링 와셔(300)를 개재함으로써 화물차의 제동 시 등 적재함의 하중이동이나 차체의 뒤틀림으로 인해 볼트(700) 부분에 응력이 집중될 경우 이를 탄성력에 의해 일부 흡수 및 완화하여 볼트와 너트의 풀림 및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고정용 클램핑 장치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200) 바깥쪽 측면에 상부브래킷(400)을 일일이 용접해야만 하는 조립 작업의 수고로움과 번거로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상부브래킷(400)의 자유단부에 변형(굽힘), 인장, 압축, 비틀림 등의 하중(외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응력이 생기면서 강도 저하나 파손으로 이어지며, 그로 인하여 화물차의 섀시프레임(100)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200)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지 못하고 틀어지거나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적재함이 한쪽으로 쉽게 기울어져서 차량의 주행 중 자칫 전복사고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브래킷(400)(600)의 볼트 구멍 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화물차의 섀시프레임(100)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200)에 상부 및 하부브래킷(400)(600)을 각기 볼팅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고정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불편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완성차 업체에서 출고한 상용화물차를 이용하여 탑차 또는 윙바디 등과 같은 특수차량으로 개조하거나 구조를 변경할 때에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200)과 상부브래킷(400) 간의 용접 부분을 산소절단기 등으로 일일이 절단하여 최초 출고 시 상용화물차의 차대(섀시프레임) 위에 설치된 적재함을 떼어낸 후, 상부브래킷(400)을 화물차의 섀시프레임(100)과 대응되도록 위치를 맞춰가면서 별도의 박스형이나 컨테이너형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재차 용접하여 고정해야만 하므로 개조 작업을 위한 과정이 여간 번거롭고 까다로운 데다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20-0156543 Y1(1999.06.15) KR 20-1998-034597 U(1998.09.15) KR 10-2014-0013636 A(2014.02.05) KR 10-2011-0062092 A(2011.06.10) KR 10-0383991 B1(2003.05.0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고정용 클램핑 장치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화물차량의 섀시프레임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하고, 아울러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클램핑 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화물차의 섀시프레임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 그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부의 상단부 한쪽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상부에 끼워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 다른 한쪽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구멍을 갖는 수평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양쪽에 비틀림 강성 및 강도와 상기 수평부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브래킷, 차량의 섀시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한쪽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된 제2브래킷,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멍을 일치시켜 집어넣고 너트로 죄어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을 결합하는 볼트, 상기 제1브래킷의 제1관통구멍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상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는 제1부싱, 상기 제2브래킷의 제2관통구멍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하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는 제2부싱 및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와 상기 제1부싱 사이에 끼워져 스프링 작용으로 상기 너트의 이완 및 풀림을 방지하고, 외력을 흡수 및 완화하여 상기 볼트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접시스프링 와셔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화물차의 섀시프레임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뒤틀림 등의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걸고리부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상부 리브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끝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끝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상부 리브 하면과 접촉 간섭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화물차의 섀시프레임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을 더욱 신속하고 수월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보강부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웨브 바깥쪽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부의 하측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내구력과 지지력을 보강하여 화물차의 섀시프레임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이 고정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제1브래킷이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에 끼워 걸어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와 달리 볼팅 조립이나 용접 등 별도의 고정 작업 없이 화물차의 섀시프레임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볼트 체결을 위해 제1브래킷의 제1관통구멍과 제2브래킷의 제2관통구멍 간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를 유지한 채로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에 각기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작업의 단순화 및 신속화로 원가절감은 물론이고 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그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구조적인 견고성과 체결성을 극대화하여 불량률을 낮추면서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더구나 제1브래킷이 보강부에 의해 비틀림 강성 및 강도와 함께 내구력 및 지지력이 한층 더 강화됨으로써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제1브래킷의 자유단부에 변형(굽힘), 압축, 인장, 비틀림 등의 하중(외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더라도 이를 넉넉히 견디어 내어 안정적으로 지탱하므로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지 못하고 틀어지거나 벌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의 섀시프레임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이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 또는 제동 시에 하중이동이나 차체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볼트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고정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고정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고정용 클램핑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고정용 클램핑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고정용 클램핑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구분 및 구별하기 위해 지칭하는 것일 뿐 특정한 순서 등에 구애받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의 섀시프레임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고정용 클램핑 장치는, 크게 제1브래킷(10), 제2브래킷(20), 볼트(30), 제1부싱(40), 제2부싱(50) 및 접시스프링 와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화물차의 섀시프레임(C)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은 횡 방향의 단면 형상이 'ㄷ'자 모양으로 되어 있는 홈 형강(channel)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및 제2브래킷(10)(20)은 차량용 고강도, 고장력 강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브래킷(10)은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을 이루는 웨브(W)의 바깥쪽 면에 밀착되도록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마치 사각 금속판재 형상의 수직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직부(11)의 상단부 한쪽에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을 이루는 상하부 리브(R) 중 상부 리브(R)에 끼워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부(12)가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또 수직부(11)의 하단부 다른 한쪽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구멍(14)을 갖는 수평부(13)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부(11)와 수평부(13)의 양쪽에는 비틀림 강성 및 강도와 수평부(13)의 내구력 및 지지력을 강화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강부(15)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웨브(W) 바깥쪽 면에 밀착되도록 수평부(13)의 하측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브래킷(10)의 수직부(11)와 걸고리부(12) 및 수평부(13)는 마치 Z자 형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걸고리부(12)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 상부 리브(R) 상면에 밀착되도록 밀착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밀착부(12a)의 끝 부분에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 상부 리브(R)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후크부(12b)가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후크부(12b)의 끝 부분에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상부 리브(R) 하면과 접촉 간섭을 일으켜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2c)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제2브래킷(20)은 차량의 섀시프레임(C)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부(21)의 한쪽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23)을 갖는 지지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21)의 하부 양쪽에는 차량의 섀시프레임(C)에 별도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3관통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부(21)는 횡 방향의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되어 있는 홈 형강(channel)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부가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 고정 위치를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해 차량의 섀시프레임(C)의 상면보다 약간 상측으로 돌출된 채로 차량의 섀시프레임(C)에 볼팅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부(22)는 볼트(30)의 체결 및 지지를 위해 고정부(21)의 앞쪽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30)는 제1 및 제2관통구멍(14)(23)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켜 집어넣고 너트(31)로 죄어 제1 및 제2브래킷(10)(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1부싱(40)은 볼트(30)의 상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도록 제1브래킷의 제1관통구멍(14)에 삽입 장착되어 있다.
즉, 제1부싱(40)은 베어링 및 스프링 작용으로 제1브래킷(10)과 볼트(30) 사이에서 윤활과 완충하는 역할을 하며, 볼트(30)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금속제, 세라믹 혹은 이중 합금제로 이루어져 있다.
제2부싱(50)은 볼트(30)의 하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도록 제2브래킷의 제2관통구멍(23)에 삽입 장착되어 있다.
즉, 제2부싱(50)은 베어링 및 스프링 작용으로 제2브래킷(20)과 볼트(30) 사이에서 윤활과 완충하는 역할을 하며, 볼트(30)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금속제, 세라믹 혹은 이중 합금제로 이루어져 있다.
접시스프링 와셔(60)는 스프링 작용으로 너트(31)의 이완 및 풀림을 방지하고, 외력을 흡수 및 완화하여 볼트(3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제1브래킷의 수평부(13)와 제1부싱(40) 사이에 여러 겹으로 끼워져 있다.
여기서 접시스프링 와셔(60)는 원하는 탄성계수를 얻을 수 있도록 수량 및 배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브래킷의 걸고리부(12)가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 상부 리브(R)에 끼워 걸어서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걸고리부(12)를 이루는 밀착부(12a)가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 상부 리브(R) 상면에 밀착되고, 보강부(15)가 비틀림 강성 및 강도를 한층 더 강화하면서 웨브(W)의 바깥쪽 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신차 제작 시 볼팅 조립이나 용접 등 별도의 고정 작업이 필요 없음은 물론이고, 개조 또는 수리 시 적재함의 분리해체를 위해 절단 등의 번거롭고 까다로운 작업 과정 없이 화물차의 섀시프레임(C)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을 작업자 혼자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작업 능률 및 작업의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제1브래킷(10)이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므로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에 대한 고정 위치를 훨씬 신속하고 수월하게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30)의 삽입 및 체결을 위해 제1브래킷의 제1관통구멍(14)과 제2브래킷의 제2관통구멍(23) 간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를 유지한 채로 화물차의 섀시프레임(C)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에 각기 고정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화물차의 섀시프레임(C)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제2브래킷(20)을 고정한 후, 이에 각기 대응되도록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 길이 방향을 따라 제1브래킷(10)의 위치를 쉽고 빠르게 변경 및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제1브래킷의 제1관통구멍(14)과 제2브래킷의 제2관통구멍(23) 간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여 작업 능률 및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브래킷의 수평부(13)가 보강부(1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가 됨으로써 볼트(30)와 너트(31)를 조이는 과정에서 수평부(13)의 자유단부에 변형, 압축, 인장, 비틀림 등의 하중(외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더라도 제1브래킷(10)에 응력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하여 화물차의 섀시프레임(C)과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지 못하고 틀어지거나 벌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화물차의 섀시프레임(C)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U)이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 또는 제동 시에 하중이동이나 차체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볼트(30)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브래킷 11: 수직부
12: 걸고리부 13: 수평부
14: 제1관통구멍 15: 보강부
20: 제2브래킷 21: 고정부
22: 지지부 23: 제2관통구멍
30: 볼트 31: 너트
40: 제1부싱 50: 제2부싱
60: 접시스프링 와셔 C: 섀시프레임
U: 언더프레임

Claims (3)

  1.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부의 상단부 한쪽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상부에 끼워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 다른 한쪽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구멍을 갖는 수평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양쪽에 비틀림 강성 및 강도와 상기 수평부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브래킷;
    차량의 섀시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한쪽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된 제2브래킷;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멍을 일치시켜 집어넣고 너트로 죄어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을 결합하는 볼트;
    상기 제1브래킷의 제1관통구멍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상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는 제1부싱;
    상기 제2브래킷의 제2관통구멍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하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는 제2부싱; 및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와 상기 제1부싱 사이에 끼워져 스프링 작용으로 상기 너트의 이완 및 풀림을 방지하고, 외력을 흡수 및 완화하여 상기 볼트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접시스프링 와셔;
    를 포함하며,
    상기 걸고리부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상부 리브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끝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끝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상부 리브 하면과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

  2. 삭제
  3.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부의 상단부 한쪽에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상부에 끼워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 다른 한쪽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구멍을 갖는 수평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양쪽에 비틀림 강성 및 강도와 상기 수평부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브래킷;
    차량의 섀시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한쪽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된 제2브래킷;
    상기 제1 및 제2관통구멍을 일치시켜 집어넣고 너트로 죄어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을 결합하는 볼트;
    상기 제1브래킷의 제1관통구멍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상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는 제1부싱;
    상기 제2브래킷의 제2관통구멍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볼트의 하부를 둘러싸서 섭동을 흡수 및 마모를 방지하는 제2부싱; 및
    상기 제1브래킷의 수평부와 상기 제1부싱 사이에 끼워져 스프링 작용으로 상기 너트의 이완 및 풀림을 방지하고, 외력을 흡수 및 완화하여 상기 볼트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접시스프링 와셔;
    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적재함의 언더프레임 웨브 바깥쪽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부의 하측으로 일부가 돌출 형성된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1020170133094A 2017-10-13 2017-10-13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101983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94A KR101983793B1 (ko) 2017-10-13 2017-10-13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94A KR101983793B1 (ko) 2017-10-13 2017-10-13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34A KR20190041634A (ko) 2019-04-23
KR101983793B1 true KR101983793B1 (ko) 2019-05-30

Family

ID=6628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94A KR101983793B1 (ko) 2017-10-13 2017-10-13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8607B (zh) * 2021-12-14 2023-05-05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597U (ko) 1996-12-11 1998-09-15 박병재 화물차용 적재함 고정구조
KR200156543Y1 (ko) 1996-12-21 1999-09-01 정몽규 대형트럭의 샤시프레임 체결구조
KR100383991B1 (ko) 2000-12-26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적재함과 체결되는 샤시프레임의 체결구조
KR20110062092A (ko) 2009-12-02 2011-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적재함 구조물 고정장치
KR101905911B1 (ko) 2012-07-26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적재함 마운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34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155B2 (en) Overmolded joint for beam assembly
US5337997A (en) Extruded aluminum spring hanger
KR101983793B1 (ko) 화물차의 적재함 고정용 클램핑 장치
US20180257709A1 (en) Frame-to-bed assembly
EP2421743B1 (en) A device for attaching a stay to a vehicle frame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device
US9707905B2 (en) Reinforcement for pickup truck floor pan
US11421748B2 (en) Coil spring support for vehicular suspension system
CN100591539C (zh) 重型汽车橡胶支座和板簧支架总成
CN212290036U (zh) 一种半挂车车架加强结构
JP2000318640A (ja) 車両におけるメインフレームとサブフレームとの締結装置
CN213323345U (zh) 一种偏置港口牵引汽车加强型焊接车架总成
US7401849B2 (en) Tower structure supporting bed on frame
KR100764485B1 (ko) 자동차용 서포트 빔
KR200492108Y1 (ko) 자동차 바디 완충장치
CN111746652A (zh) 一种半挂车车架加强结构
CN216301229U (zh) 一种无应力副车架
KR200156543Y1 (ko) 대형트럭의 샤시프레임 체결구조
CN216580296U (zh) 一种罐车的罐脚及其安装结构
CN107933232B (zh) 一种支架总成及汽车
US4363431A (en) Pickup truck spare tire rack
JP6615838B2 (ja) 荷役用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緩衝体構造
US4653796A (en) Spring mount for vehicle bodies
KR102167580B1 (ko) 차량용 화물 적재함
CN215851539U (zh) 一种货箱垫木装配结构
KR20100001153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