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705B1 -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3705B1 KR101983705B1 KR1020180094274A KR20180094274A KR101983705B1 KR 101983705 B1 KR101983705 B1 KR 101983705B1 KR 1020180094274 A KR1020180094274 A KR 1020180094274A KR 20180094274 A KR20180094274 A KR 20180094274A KR 101983705 B1 KR101983705 B1 KR 1019837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ration
- washer
- bracket
- bent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246 galvan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04B1/40—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강도와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되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브래킷과 와셔로 구성되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가 절곡 형성된 구조를 가지면서 제2평면부에는 제1세레이션이 형성된 슬롯홀을 구비하는 브래킷을 포함함과 아울러, 제2평면부에 밀착되는 판상부가 구비되면서 볼트가 체결되기 위해 슬롯홀과 연통하도록 판상부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슬롯홀로 삽입되면서 제1세레이션과 맞물리는 제2세레이션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과 상기 제2세레이션이 한번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동시 형성된 다음에 돌출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는 판상부의 일부로부터 절곡된 구조를 갖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물에 사용되거나 내진설계시 사용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강도와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되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브래킷과 와셔로 구성되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 구조물이나 토목 구조물 등에서는 구조체의 구성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외장재를 설치하는 데에 다양한 종류의 부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지진 발생시 구조체의 구성 요소들이나 외장재 등이 진동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 등의 악영향을 받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성능을 부여하는 데에도 필요한 부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부재로서는 브래킷과 와셔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들 수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그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ㄱ'자형으로 절곡된 구조의 브래킷(1)과 이 브래킷(1)에 볼트로 결합되는 한 쌍의 와셔(2)가 나타나 있다. 즉, 브래킷(1)은 제1평면부(1a)와 제2평면부(1b)가 서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와셔(2)가 결합될 제2평면부(1b)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슬롯홀(1ba)이 필요한 개수만큼 천공되어 있고, 제2평면부(1b)의 표면에는 일정한 피치로 제1세레이션(1b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셔(2)는 슬롯홀(1ba)의 수효와 동일하게 구비되는데, 도 1에서 하나는 제2평면부(1b) 상에 놓인 상태로 보여지고 있고 나머지 하나는 제2평면부(1b) 밖에 뒤집어진 상태로 보여지고 있다.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와셔(2) 역시 슬롯홀(1ba)에 대응하여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2a)을 가짐과 아울러 제2평면부(1b)와 맞닿는 면에는 제1세레이션(1bb)과 동일한 피치로 제2세레이션(2b)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브래킷(1) 및 와셔(2)의 구조에 상응하는 선행기술문헌이 하기 특허문헌 1에도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브래킷을 제조하기 위한 작업공정에서는 먼저 자재를 절단한 후, 제1세레이션(1bb)을 형성하기 위한 밀링가공을 하고, 이어서 슬롯홀(1ba)을 가공한 다음, 절곡작업을 수행한 데 이어서 전기아연도금이나 용융아연도금과 같은 표면마감처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와셔를 제조할 때도 위와 대동소이하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도 1 및 특허문헌 1의 브래킷과 와셔는 제조시 작업공정과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표면마감처리시 불리한 문제가 있다. 즉, 브래킷과 와셔에 세레이션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밀링작업을 하게 되는데, 밀링 커터의 날이 쉽게 마모됨에 따라 밀링 커터의 잦은 교체로 인한 비용 부담이 크고, 세레이션의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도 지나치게 많이 소요된다는 점이 그 첫 번째와 두 번째 문제점이다. 세 번째로는 브래킷과 와셔를 도금으로 표면처리할 때 도금액이 세레이션의 골 부분에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브래킷과 와셔를 볼트로 결합하였을 때 결속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용융아연도금시 두드러지기 때문에, 용융아연도금 대신에 전기아연도금이나 다크로도금(dacromet)을 해야 하는데, 전기아연도금을 할 경우에는 내식성이 약화되고, 다크로도금시에는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따른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도 1이나 특허문헌 1의 브래킷/와셔와는 다른 구조의 브래킷과 와셔가 공개되어 있다. 즉, 도 2의 발췌도면을 참조하면, 지지고정판(브래킷: 100)은 수직벽부(110)의 표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벽부(110)의 수직장공(슬롯홀: 111) 내면에 요철(세레이션: A)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와셔(200)는 지지고정판(100)과 밀착되는 밀착편(230)의 중앙에 수직장공(111)으로 꼭맞게 끼워지는 끼움부(220)가 구비되면서, 볼트공(210)이 밀착편(230)과 끼움부(220)를 한번에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끼움부(220)의 외면에는 수직장공(111)의 요철(A)과 대응하는 요철(세레이션: A)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지지고정판(브래킷: 100)이 와셔(200)로부터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요철(A)의 맞물림에 의해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특허문헌 2의 구성은, 와셔(200)에 구비되는 끼움부(220)가 밀착편(230)의 한쪽 면에 하나의 덩어리 형태로 형성이 되면서, 끼움부(220)의 양측면에 요철(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 때문에 와셔(20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끼움부(220)를 밀착편(230)과 일체로 주조하거나 단조한 뒤, 끼움부(220)에 요철(A)을 밀링작업 등으로 기계가공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와셔(200)에서도 앞서 설명한 도 1이나 특허문헌 1에 공지된 와셔의 제조방법에서와 동일하게 제조시 작업공정과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표면마감처리시 불리한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연결부재(브래킷 및 와셔)는 세레이션을 형성하는 데에 작업공수와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금에 의한 표면처리시 도금액이 세레이션의 골 부분에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브래킷과 와셔를 볼트로 결합하였을 때 결속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융아연도금 대신에 전기아연도금을 할 경우에는 내식성이 약화되고, 다크로도금시에는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따른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제조시 작업공수와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도금 후에 세레이션의 결속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금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도금처리를 할 수 있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가 절곡 형성된 구조를 가지면서 제2평면부에는 제1세레이션이 형성된 슬롯홀을 구비하는 브래킷을 포함함과 아울러, 제2평면부에 밀착되는 판상부가 구비되면서 볼트가 체결되기 위해 슬롯홀과 연통하도록 판상부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슬롯홀로 삽입되면서 제1세레이션과 맞물리는 제2세레이션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과 상기 제2세레이션이 한번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동시 형성된 다음에 돌출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는 판상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절곡된 구조를 갖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체결공의 둘레 일측을 개방시키면서 판상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절곡되는 좌우 대칭의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판상부의 전단부에서 절곡되는 좌우 대칭의 한 쌍과, 판상부의 후단부에서 절곡되는 좌우 대칭의 다른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의 내주면에는 볼트와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판상부에서 볼트에 구비된 볼트머리와 접촉하는 면에는 볼트의 체결 후 풀림을 방지하도록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브래킷용 자재를 원하는 치수로 절단하여 제1중간재를 형성하는 공정(S1-1)과, 세레이션이 형성된 제1펀치로 제1중간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1중간재에 제1세레이션을 가진 슬롯홀을 형성하는 공정(S1-2)과, 제1중간재를 절곡하여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를 형성하는 공정(S1-3)과, 제1중간재를 표면처리하여 브래킷을 완성하는 공정(S1-4); 그리고 와셔용 자재를 원하는 치수로 절단하여 판상부를 가진 제2중간재를 형성하는 공정(S2-1)과, 세레이션과 원주(圓柱)를 가진 제2펀치로 제2중간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2중간재의 판상부에 체결공과 제2세레이션을 형성하는 공정(S2-2)과, 제2중간재의 제2세레이션 부분을 판상부로부터 절곡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공정(S2-3)과, 제2중간재를 표면처리하여 와셔를 완성하는 공정(S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브래킷과 와셔가 볼트로 체결될 때, 와셔가 브래킷으로부터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세레이션이 브래킷의 슬롯홀 내주면과 슬롯홀에 삽입되는 와셔의 돌출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브래킷의 제2평면부 및 이에 맞닿은 와셔의 대응면에 형성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견고한 결속력을 발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브래킷과 와셔에 대한 표면처리(도금)시 도금액이 세레이션의 골 부분에 맺히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어, 브래킷과 와셔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금방법(특히 용융아연도금을 포함)에 구애받지 않고 도금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브래킷의 슬롯홀과 그 내주면의 제1세레이션이 프레스 작업에 의해 단번에 형성이 되고, 와셔의 체결공과 제2세레이션 역시 프레스 작업에 의해 단번에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공수와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경우, 실시예(체결공의 내주면에는 볼트와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거나, 와셔의 판상부에서 볼트에 구비된 볼트머리와 접촉하는 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포함)에 따라 볼트의 체결 후 풀림을 방지하면서 보다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구조적 강도와 내진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결부재를 예시한 그림이다.
도 2는 특허문헌 2의 발췌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브래킷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으로서, 그림(A)는 평면도이고 그림(B)는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와셔가 도 3의 브래킷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으로서, 그림(A)는 평면도이고 그림(B)는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와셔가 도 3의 브래킷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조방법에서 브래킷에 대한 공정만을 따로 예시한 그림이다.
도 12는 도 10의 제조방법에서 제1실시예의 와셔에 대한 공정만을 따로 예시한 그림이다.
도 13은 도 10의 제조방법에서 제2실시예의 와셔에 대한 공정만을 따로 예시한 그림이다.
도 2는 특허문헌 2의 발췌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브래킷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으로서, 그림(A)는 평면도이고 그림(B)는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와셔가 도 3의 브래킷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으로서, 그림(A)는 평면도이고 그림(B)는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와셔가 도 3의 브래킷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조방법에서 브래킷에 대한 공정만을 따로 예시한 그림이다.
도 12는 도 10의 제조방법에서 제1실시예의 와셔에 대한 공정만을 따로 예시한 그림이다.
도 13은 도 10의 제조방법에서 제2실시예의 와셔에 대한 공정만을 따로 예시한 그림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브래킷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으로서 도 4a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저면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와셔가 도 3의 브래킷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는 브래킷과 와셔를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먼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10)은 'ㄱ'자형으로 절곡됨으로써 제1평면부(11)와 제2평면부(12)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게 된다. 이들 제1평면부(11)와 제2평면부(12)는 건축 구조물이나 토목 구조물 등에서 구조체의 구성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제2평면부(12)에는 구성 요소들간의 연결 또는 외장재 설치시 볼트로 고정되기 위한 장공 형태의 슬롯홀(12a)이 구비되는데, 슬롯홀(12a)은 필요에 따라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의 체결시 제2평면부(12)에는 보다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와셔(20)가 개재된다. 전술한 도 1의 연결부재에서는 브래킷과 와셔간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평면부 표면에 일정한 피치로 제1세레이션이 형성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의 브래킷(10)에서는 슬롯홀(12a)의 내주면에 제1세레이션(12aa)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브래킷(10)의 제1세레이션(12aa,12aa')은 슬롯홀(12a)의 내주면 중에서 긴 직선 구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와셔(20)는 브래킷(10)의 슬롯홀(12a)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브래킷(10)의 제2평면부(12)에 밀착되도록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진 판상부(21)를 갖는다. 판상부(21)에는 브래킷(10)의 제2평면부(12)에 볼트(30)로 체결되기 위하여 슬롯홀(12a)과 연통하는 체결공(22)이 판상부(21)를 관통하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상부(21)의 저면측으로는 브래킷(10)의 슬롯홀(12a)로 삽입이 되는 돌출부(23,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23,23')에는 슬롯홀(12a)의 제1세레이션(12aa,12aa')와 맞물리는 제2세레이션(23a,23'a)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실시예의 와셔(20)에서 돌출부(23,23')는 체결공(22)의 둘레 일측을 개방시키면서 판상부(21)의 일부로부터 절곡되는 좌우 대칭의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일측의 돌출부(23)에 구비된 제2세레이션(23a)은 하나의 슬롯홀(12a)의 제1세레이션(12aa,12aa') 중 한쪽 내주면에 형성된 제1세레이션(12aa)와 맞물리게 되고, 다른 일측의 돌출부(23')에 구비된 제2세레이션(23'a)은 슬롯홀(12a)의 제1세레이션(12aa,12aa') 중 다른 한쪽 내주면에 형성된 제1세레이션(12aa')과 맞물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20)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돌출부(23,23')가 판상부(21)의 일부분으로부터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 즉, 돌출부(23,23')가 용접에 의해 판상부(21)에 부착이 되거나 판상부(21)와 일체로 주조 또는 단조되는 것이 아니라, 체결공(22)과 제2세레이션(23a,23'a)이 한번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 다음에 돌출부(23,23')가 판상부(21)의 일부분으로부터 절곡에 의해 형성이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와셔(20)의 제조를 위한 작업 공정과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7은 도 6의 와셔가 도 3의 브래킷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로 제시된 와셔(40)는 편평한 판상부(41)의 중앙에 체결공(42)이 형성되고, 체결공(42)의 외측으로는 브래킷(10)의 제2평면부(12)에 구비된 슬롯홈(12a)에 삽입되는 돌출부(43,43',44,44')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43,43',44,44')는, 판상부(41)의 전단부에서 절곡되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돌출부(43,43')와, 판상부(41)의 후단부에서 절곡되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다른 한 쌍의 돌출부(44,4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각의 돌출부(43,43',44,44')에는 브래킷(10)의 슬롯홈(12a)에 형성되어 있는 제1세레이션(12aa,12aa')과 맞물리는 제2세레이션(43a,43'a,44a.4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보이는 것처럼, 판상부(41)의 전단부측에 위치한 일측의 돌출부(43)에 구비된 제2세레이션(43a)은 하나의 슬롯홀(12a)의 제1세레이션(12aa,12aa') 중 한쪽 내주면에 형성된 제1세레이션(12aa)의 앞쪽에 맞물리게 되고, 다른 일측의 돌출부(43')에 구비된 제2세레이션(43'a)은 슬롯홀(12a)의 제1세레이션(12aa,12aa') 중 다른 한쪽 내주면에 형성된 제1세레이션(12aa')의 앞쪽에 맞물리게 된다. 또, 판상부(41)의 후단부측에 위치한 일측의 돌출부(44)에 구비된 제2세레이션(44a)은 하나의 슬롯홀(12a)의 제1세레이션(12aa,12aa') 중 한쪽 내주면에 형성된 제1세레이션(12aa)의 뒤쪽에 맞물리게 되고, 다른 일측의 돌출부(43')에 구비된 제2세레이션(43'a)은 슬롯홀(12a)의 제1세레이션(12aa,12aa') 중 다른 한쪽 내주면에 형성된 제1세레이션(12aa')의 뒤쪽에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와셔(40)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42)의 전단측과 후단측에서 돌출부(43,43',44,44')의 제2세레이션(43a,43'a,44a.44'a)들이 브래킷(10)의 제1세레이션(12aa,12aa')과 각각 맞물리기 때문에, 브래킷(10)에 볼트로 체결된 와셔(40)가 슬롯홀(1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밀리지 않고 보다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제시된 와셔(50)는 판상부(51)와 체결공(52) 및 제2세레이션을 가진 돌출부(53,53'54,54') 등의 구성들은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와셔(20,40)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체결공(52)의 내주면에 나선(52a)이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3에 예시된 브래킷(10)을 상대로 와셔(50)가 도 5의 모습과 같이 볼트(30)로 체결이 될 때, 볼트(30)가 체결공(5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52a)과도 맞물리게 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와셔(50)는 돌출부(53,53'54,54')의 구성이 제2실시예의 와셔(40)와 동일하게 그려져 있으나, 제1실시예의 와셔(20)에 구비된 돌출부(23,23')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와셔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제시된 와셔(60) 역시 판상부(61)와 체결공(62) 및 제2세레이션을 가진 돌출부(63,63'64,64') 등의 구성들은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와셔(20,40)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도 3에 예시된 브래킷(10)을 상대로 와셔(60)가 도 5의 모습과 같이 볼트(30)로 체결이 될 때, 와셔(60)의 판상부(61)에서 볼트(30)에 구비된 볼트머리와 접촉하는 면에는 톱니(62a)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볼트(30)의 체결 후, 볼트머리가 톱니(62)의 요철에 의해 볼트(30)의 풀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다음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조방법에서 브래킷에 대한 공정만을 따로 예시한 그림이며, 도 12는 도 10의 제조방법에서 제1실시예의 와셔에 대한 공정만을 따로 예시한 그림이고, 도 13은 도 10의 제조방법에서 제2실시예의 와셔에 대한 공정만을 따로 예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전술한 브래킷(10)과 와셔(20,40,50,60)를 제조하는 공정은 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조를 수행한 다음에 나머지 하나에 대한 제조를 수행할 수도 있고, 서로 병렬적으로 동시에 수행을 할 수도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브래킷(10)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브래킷용 자재(예를 들면, 강철판재)를 준비하여 이를 원하는 치수(가로×세로×두께)가 되도록 절단함으로써 도 11의 (A)그림에 보이는 것과 같은 제1중간재(10')를 형성한다(S1-1). 이어서, 도 11의 (A)그림에 보이는 바와 같이 양면에 세레이션(P1,P2)이 형성되어 있는 제1펀치(P)가 구비된 펀칭기 또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제1중간재(10')의 정해진 위치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도 11의 (B)그림과 같이 제1중간재(10')에는 제1세레이션(12aa,12aa')을 가진 슬롯홀(12a)이 형성된다(S1-2). 이어서, 제1중간재(10')를 절곡기를 이용하여 도 11의 (C)그림과 같이 절곡함으로써, 제1평면부(11)와 제2평면부(12)를 가진 제1중간재(10')로 형성한다(S1-3). 그리고, 이 제1중간재(10')에 전기아연도금이나 용융아연도금과 같은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본 발명의 브래킷(10)을 완성한다(S1-4).
다음으로, 도 10과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와셔(20)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강철판재와 같은 와셔용 자재를 준비하여 이를 원하는 치수(가로×세로×두께)가 되도록 절단함으로써 도 12의 (A)그림과 같이 판상부(21)를 가진 제2중간재(20')를 형성한다(S2-1). 이어서, 세레이션과 원주(圓柱)를 가진 제2펀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펀칭기 또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제2중간재(20')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도 12의 (B)그림과 같이 제2중간재(20')의 판상부(21)에 체결공(22)과 제2세레이션(23a,23'a)을 형성한다(S2-2). 이어서, 도 12의 (C)그림 및 (D)그림과 같이 제2중간재(20')의 제2세레이션(23a,23'a) 부분을 하나씩 판상부(21)로부터 절곡하여 돌출부(23,23')를 형성한다(S2-3). 그리고, 이 제2중간재(20')에 전기아연도금이나 용융아연도금과 같은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본 발명의 와셔(20)를 완성한다(S2-4).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시된 와셔(40)에 대한 제조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공정에 따르는데, 이 공정 역시 제1실시예의 와셔(20)와 동일한 범위의 공정에 포함된다. 즉, 강철판재와 같은 와셔용 자재를 준비하여 이를 원하는 치수(가로×세로×두께)가 되도록 절단함으로써 도 13의 (A)그림과 같이 판상부(41)를 가진 제2중간재(40')를 형성하고, 이어서 원주 및 그 양측으로 세레이션이 각각 형성된 제2펀치가 구비된 펀칭기 또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제2중간재(40')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도 13의 (B)그림과 같이 제2중간재(40')의 판상부(41)에 체결공(42)과 제2세레이션(43a,43'a,44a,44'a)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3의 (C)그림 및 (D)그림과 같이 제2중간재(40')의 제2세레이션(43a,43'a,44a,44'a) 부분을 하나씩 판상부(41)로부터 절곡하여 돌출부(43,43',44,44')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제2중간재(40')에 전기아연도금이나 용융아연도금과 같은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셔(40)를 완성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브래킷
10' : 제1중간재
11 : 제1평면부
12 : 제2평면부
12a : 슬롯홀
12aa,12aa' : 제1세레이션
20,40,50,60 : 와셔
20',40' : 제2중간재
21,41,51,61 : 판상부
22,42,52,62 : 체결공
23,23',43,43',44,44',53,53',54,54',63,63',64,64' : 돌출부
23a,23'a,43a,43'a,44a,44'a : 제2세레이션
52a : 나선
62a : 톱니
10' : 제1중간재
11 : 제1평면부
12 : 제2평면부
12a : 슬롯홀
12aa,12aa' : 제1세레이션
20,40,50,60 : 와셔
20',40' : 제2중간재
21,41,51,61 : 판상부
22,42,52,62 : 체결공
23,23',43,43',44,44',53,53',54,54',63,63',64,64' : 돌출부
23a,23'a,43a,43'a,44a,44'a : 제2세레이션
52a : 나선
62a : 톱니
Claims (6)
- 삭제
-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가 절곡 형성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제2평면부에는 제1세레이션이 형성된 슬롯홀을 구비하는 브래킷;
상기 제2평면부에 밀착되는 판상부와, 볼트가 체결되기 위해 상기 슬롯홀과 연통하도록 상기 판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슬롯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세레이션과 맞물리는 제2세레이션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공의 둘레 일측을 개방시키면서 상기 판상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절곡되는 좌우 대칭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과 상기 제2세레이션이 한번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동시 형성된 다음에 상기 돌출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판상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절곡된 구조를 갖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가 절곡 형성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제2평면부에는 제1세레이션이 형성된 슬롯홀을 구비하는 브래킷;
상기 제2평면부에 밀착되는 판상부와, 볼트가 체결되기 위해 상기 슬롯홀과 연통하도록 상기 판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슬롯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세레이션과 맞물리는 제2세레이션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판상부의 전단부에서 절곡되는 좌우 대칭의 한 쌍과 상기 판상부의 후단부에서 절곡되는 좌우 대칭의 다른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과 상기 제2세레이션이 한번의 프레스 작업에 의해 동시 형성된 다음에 상기 돌출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판상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절곡된 구조를 갖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판상부에서 상기 볼트에 구비된 볼트머리와 접촉하는 면에는 상기 볼트의 체결 후 풀림을 방지하도록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274A KR101983705B1 (ko) | 2018-08-13 | 2018-08-13 |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274A KR101983705B1 (ko) | 2018-08-13 | 2018-08-13 |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3705B1 true KR101983705B1 (ko) | 2019-05-29 |
Family
ID=6667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274A KR101983705B1 (ko) | 2018-08-13 | 2018-08-13 |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3705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6775B1 (ko) | 2019-09-02 | 2020-04-03 | 이창석 |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
KR102175172B1 (ko) | 2020-03-09 | 2020-11-06 | 김성호 |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KR102231305B1 (ko) * | 2020-04-29 | 2021-03-23 | (주)비피판넬 | 칸막이 벽체의 내진 브래킷 |
CN112647602A (zh) * | 2020-12-16 | 2021-04-13 | 清华大学 | 一种用于斜支撑的释放梁柱相对转动和弯曲变形的节点板 |
KR102240528B1 (ko) * | 2020-06-03 | 2021-04-15 | 김경수 | 건축자재 고정장치 |
KR20220003373A (ko) | 2020-07-01 | 2022-01-10 | 김성호 |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EP3981230A1 (en) * | 2020-10-07 | 2022-04-13 | Wox Agri Services Ltd | Tine washer |
KR102422804B1 (ko) * | 2022-02-17 | 2022-07-19 | 주식회사 티에스메탈 | 건축재 고정 브라켓 조립체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73Y1 (ko) * | 1993-01-19 | 1995-08-14 | 동양매직 주식회사 | 세탁기의 보푸라기 여과장치 |
KR960005780Y1 (ko) | 1993-08-06 | 1996-07-15 | 이재구 | 건축물외장 석재의 고정구 |
KR970054915U (ko) * | 1996-03-19 | 1997-10-13 | 김기영 |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
KR100554195B1 (ko) * | 2005-11-23 | 2006-02-24 | 김동현 |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체결구조 |
KR20080074642A (ko) * | 2007-02-09 | 2008-08-13 | 정혁모 | 콜레트 및 그 제조방법 |
KR20130053669A (ko) * | 2011-11-16 | 2013-05-24 | 박수경 | 밀림방지용 요철 표면을 갖춘 체결 브라켓의 제조방법 |
-
2018
- 2018-08-13 KR KR1020180094274A patent/KR1019837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73Y1 (ko) * | 1993-01-19 | 1995-08-14 | 동양매직 주식회사 | 세탁기의 보푸라기 여과장치 |
KR960005780Y1 (ko) | 1993-08-06 | 1996-07-15 | 이재구 | 건축물외장 석재의 고정구 |
KR970054915U (ko) * | 1996-03-19 | 1997-10-13 | 김기영 |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
KR0134761Y1 (ko) | 1996-03-19 | 1999-02-18 | 김기영 |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
KR100554195B1 (ko) * | 2005-11-23 | 2006-02-24 | 김동현 |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체결구조 |
KR20080074642A (ko) * | 2007-02-09 | 2008-08-13 | 정혁모 | 콜레트 및 그 제조방법 |
KR20130053669A (ko) * | 2011-11-16 | 2013-05-24 | 박수경 | 밀림방지용 요철 표면을 갖춘 체결 브라켓의 제조방법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6775B1 (ko) | 2019-09-02 | 2020-04-03 | 이창석 |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
KR102175172B1 (ko) | 2020-03-09 | 2020-11-06 | 김성호 |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KR102231305B1 (ko) * | 2020-04-29 | 2021-03-23 | (주)비피판넬 | 칸막이 벽체의 내진 브래킷 |
KR102240528B1 (ko) * | 2020-06-03 | 2021-04-15 | 김경수 | 건축자재 고정장치 |
KR20220003373A (ko) | 2020-07-01 | 2022-01-10 | 김성호 |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
EP3981230A1 (en) * | 2020-10-07 | 2022-04-13 | Wox Agri Services Ltd | Tine washer |
CN112647602A (zh) * | 2020-12-16 | 2021-04-13 | 清华大学 | 一种用于斜支撑的释放梁柱相对转动和弯曲变形的节点板 |
KR102422804B1 (ko) * | 2022-02-17 | 2022-07-19 | 주식회사 티에스메탈 | 건축재 고정 브라켓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3705B1 (ko) |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 |
JP4717055B2 (ja) | 座金 | |
KR200469835Y1 (ko) | 동바리 및 비계용 수평재 체결구 | |
JPH11210720A (ja) | 管体接続部材、管体骨組建造物の骨組工法 | |
KR20190031933A (ko) |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 |
KR100786326B1 (ko) |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보강용 연결바 조립구조 | |
JP7295385B2 (ja) | 接合構造 | |
JP6924491B2 (ja) | フェンス連結部材 | |
KR101214246B1 (ko) | 미끄럼방지 요철이 구비된 체결용 평판부재 | |
KR20190050545A (ko)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 |
KR20190082344A (ko) |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 |
JP3902637B2 (ja) | パイル締結構造と締結具 | |
JP7260108B2 (ja) | ボルト、ナット、座金、及びボルトナット締着構造 | |
AU2020451350A1 (en) | Joining hardware | |
KR102468921B1 (ko) | 생산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트러스용 연결 구조물 | |
JP6955380B2 (ja) | 組み付け金物 | |
JP3214818U (ja) | 木材接続金具 | |
JP2020063575A (ja) | 鋼製内外装下地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30053669A (ko) | 밀림방지용 요철 표면을 갖춘 체결 브라켓의 제조방법 | |
JP2747546B2 (ja) | 建築用鋼製下地材の固定金具 | |
JP5945340B1 (ja) | ラス型枠固定構造、及び、ラス型枠の固定方法 | |
CN213684852U (zh) | 管内通用接头 | |
CN210920351U (zh) | 管夹装置 | |
KR102312921B1 (ko) | 그레이팅용 새들 클립 | |
JP5776108B2 (ja) | 瓦棒葺屋根用取付金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