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545A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545A
KR20190050545A KR1020170146061A KR20170146061A KR20190050545A KR 20190050545 A KR20190050545 A KR 20190050545A KR 1020170146061 A KR1020170146061 A KR 1020170146061A KR 20170146061 A KR20170146061 A KR 20170146061A KR 20190050545 A KR20190050545 A KR 2019005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le
rim
connecting plat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423B1 (ko
Inventor
임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Priority to KR102017014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4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판을 프레싱하여 중앙에 통공과 테두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원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원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원판 테두리부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볼트결합공을 천공하여 파일마감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원판 중 선택된 다른 하나의 원판 테두리부의 외측을 프레싱하여 절곡부와 걸림턱을 구비하는 연결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파일마감판의 테두리부 내측 가장자리 상단에 연결판의 테두리부의 하단을 밀착하고 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연결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할 때 결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파일마감판과 연결판을 분리 제작함에 있어 프레싱공법에 의해 제작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파일마감판과 연결판을 분리시켜 제작하고 이를 용접함으로써 비교적 얇은 철판을 사용해서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작가능하게 됨으로써 원가부담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ng plate for a concrete pil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할 때 결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결합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최선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파일은 연약지반의 강화나 건물과 같은 건축물의 지지를 위해 지반에 타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제작을 위해서는 마감판과 마감판 사이에 다수개의 강선을 걸고 상기 마감판을 견인장치와 볼트로 체결한 다음 상기 견인장치로 마감판을 잡아 당겨 팽팽하게 긴장시킨 다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회전 후 양생시킴으로써 원통 형상의 콘크리트파일을 얻게 된다.
상기한 콘크리트파일은 다져야할 지반이 깊은 경우는 하나의 콘크리트파일의 길이만으로는 곤란하므로 콘크리트파일을 파일 걸쇠를 이용해 서로 연결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콘크리트파일은 각각의 플레이트를 맞대고 용접하는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숙련자를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본 출원자는 도 1 내지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를 등록특허 제10-1543388호로 선출원한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1110)의 상부연결플레이트(1111) 하단에 상기 상부연결플레이트의 직경보다 작은 걸림턱(1112)를 형성하고, 하부 콘크리트 파일(1120)의 하부연결플레이트(1121) 상단에는 상기 하부연결플레이트(1121)의 직경보다 작은 걸림턱(1122)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콘크리트 파일(1110)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1120) 각각의 걸림턱 외측에는 돌출부(1112a,1122a)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1112a,1122a)는 한쌍의 반원형 파일연결구(130)와 상기 파일연결구(13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114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한쌍의 반원형 파일연결구(130)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1112a,1122a)가 삽입되는 상부 돌기(131)와 하부 돌기(1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어서 연결플레이트의 일측에 파일연결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철판을 선반과 같은 절삭장치를 이용하여야만 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철판 두께에 따라 많은 가격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에 비추어볼 때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또 별도의 절삭은 매우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제작단가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 등록특허 제10-1543388호
2. 국내 특허출원 제10-2009-0102364호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원가가 낮은 얇은 철판를 사용하여 볼트결합공이 천공된 오목홈이 형성된 파일마감판을 프레싱 가공하고, 상기 파일마감판 상부에 결합되고 절곡부와 걸림턱을 구비하는 연결판 역시 프레싱방법에 의해 제작하여 이들을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작함으로써 가공비용과 가공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본 발명 콘크리트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철판을 프레싱하여 중앙에 통공과 테두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원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원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원판 테두리부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볼트결합공을 천공하여 파일마감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원판 중 선택된 다른 하나의 원판 테두리부의 외측을 프레싱하여 절곡부와 걸림턱을 구비하는 연결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파일마감판의 테두리부 내측 가장자리 상단에 연결판의 테두리부의 하단을 밀착하고 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판을 얻는 단계에 있어서 볼트가 너트부에 나사결합될 때 볼트가 연결판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판의 걸림턱 가장자리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볼트체결 간섭방지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할 때 결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파일마감판과 연결판을 분리 제작함에 있어 프레싱공법에 의해 제작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마감판과 연결판을 분리시켜 제작하고 이를 용접함으로써 비교적 얇은 철판을 사용해서 파일 연결플레이트를 제작가능하게 됨으로써 원가부담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2은 종래의 콘크리트 결합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콘크리트 결합플레이트의 제조단계를 각 공정별로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도 3의 공정에 의해 완성된 본 발명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콘크리트 결합플레이트를 활용하여 콘크리트파일을 연결한 상태의 참고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콘크리트 결합플레이트를 콘크리트 파일에 볼트로 체결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로써, 볼트가 연결판에 형성된 볼트체결 간섭방지홈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쉽게 결합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콘크리트 결합플레이트의 제조단계를 각 공정별로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공정에 의해 완성된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콘크리트 결합플레이트를 활용하여 콘크리트파일을 연결한 상태의 참고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콘크리트 결합플레이트를 콘크리트 파일에 볼트로 체결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로써, 볼트가 연결판에 형성된 볼트체결 간섭방지홈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쉽게 결합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철판을 프레싱하여 중앙에 통공(111)과 테두리부(112)가 형성된 한 쌍의 원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원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원판 테두리부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볼트결합공(114)을 천공하여 파일마감판(110)을 얻는 단계와, 상기 원판 중 선택된 다른 하나의 원판 테두리부의 외측을 프레싱하여 절곡부(123)와 걸림턱(124)을 구비하는 연결판(120)을 얻는 단계와, 상기 파일마감판(110)의 테두리부(112) 내측 가장자리 상단에 연결판(120)의 테두리부(122)의 하단을 밀착하고 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판(120)을 얻는 단계에 있어서 볼트(C)가 너트부(D)에 나사결합될 때 볼트(C)가 연결판(120)의 걸림턱(124)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판(120)의 걸림턱(124) 가장자리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볼트체결 간섭방지홈(125)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연결플레이트(100)와 파일연결구(F)를 이용해 두개의 콘크리트 파일(B)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연결플레이트(100)를 각각 콘크리트 파일(B)의 일단에 맞대고 볼트(C)에 의해 콘크리트 파일(B)에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콘크리트 파일(B)의 일단에는 볼트(C)의 결합을 위한 너트부(D)가 미리 매립되어 설치된 상태이다.
이처럼 파일마감판(110)은 콘크리트 파일(B)의 단부를 커버한 상태가 되고 콘크리트 파일(B)의 일단에는 연결판(120)의 절곡부(123)과 걸림턱(124)만 돌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걸림턱(124)에는 파일연결구(F)가 씌워져 결합되어지는데, 상기 파일연결구(F)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오목홈(미도시)이 형성된 반원형의 걸쇠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파일연결구(F)가 오목홈에 걸림턱(124)을 걸게 되면 상기 연결플레이트(100)는 일종의 잠금상태가 되어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파일(B)은 파일연결구(F)에 의해 하나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여러개의 콘크리트 파일(B)을 파일연결구(F)와 연결플레이트(100)로 계속 이어가게 되면 짧은 콘크리트 파일들을 길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파일(B)에 결합하기 위한 파일마감판(110)은 중앙에 통공(111)이 천공된 테두리부(112)로 구성되는데, 상기 테두리부(112)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볼트결합공(114)이 천공되어 볼트(C)가 관통되도록 한다.
이때 볼트결합공(114)의 외측으로는 오목홈(113)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오목홈(113)으로 부터 볼트의 머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 연결판(120)은 역시 중앙에 통공(121)을 구비하는 테두리부(122)로 구성되는데, 상기 테두리부(122)에는 테두리부(122)의 외측 가장자리로 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절곡부(123)와 또 상기 절곡부(123) 상단으로 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걸림턱(1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판(120)의 테두리부(122)는 파일마감판(110)의 테두리부(112)에 용접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고, 절곡부(123)는 걸림턱(124)을 파일마감판(110)의 상단으로 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즉 상기 걸림턱(124)은 위에서도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파일연결구(F)의 오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상기 파일연결구(F)의 오목홈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걸림턱(124)이 파일마감판(110)의 상단으로 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트(C)가 너트부(D)에 나사결합될 때 연결판(120)의 걸림턱(124)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판(120)의 걸림턱(123)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볼트체결 간섭방지홈(125)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기 절개부(125)는 볼트(C)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파일마감판(110)의 볼트결합공(114) 직상부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파일마감판(110)과 연결판(120)을 분리하여 프레싱가공하는 이유는 하나의 철판만으로는 어떤 가공방법을 구사한다 하더라도 프레싱장치에 의해서는 파일마감판(110)과 상기 파일마감판 상부에 형성된 연결판(120)의 걸림턱(124)과 같은 구조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종래에는 두꺼운 철판을 기계가공에 의해 절삭하여 제작하였는바, 이는 두꺼운 철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원가비중이 높아지고, 또 이들을 선반가공하여야 하므로 가공비의 상승으로 인해 결국 고가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반면 본 발명은 저렴한 가격의 얇은 철판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선반가공이 아닌 정밀하지는 않지만 빠르고 가공이 용이한 프레싱장치에 의해 가공하는 것이어서 원가 및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110: 파일마감판 111: 통공
112: 테두리부 113: 오목홈
114: 볼트결합공
120: 연결판 121: 통공
122: 테두리부 123: 절곡부
124: 걸림턱 125: 볼트체결 간섭방지홈
A: 용접부 B: 콘크리트 파일
C: 볼트 D: 너트부
E: 강선 F: 파일연결구

Claims (2)

  1. 철판을 프레싱하여 중앙에 통공과 테두리부가 형성된 한 쌍의 원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원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원판 테두리부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볼트결합공을 천공하여 파일마감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원판 중 선택된 다른 하나의 원판 테두리부의 외측을 프레싱하여 절곡부와 걸림턱을 구비하는 연결판을 얻는 단계와,
    상기 파일마감판의 테두리부 내측 가장자리 상단에 연결판의 테두리부의 하단을 밀착하고 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연결플레이트 제조방법.
  2. 제 1항의 연결판을 얻는 단계에 있어서, 연결판의 걸림턱 가장자리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볼트체결 간섭방지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연결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0170146061A 2017-11-03 2017-11-03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255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61A KR102255423B1 (ko) 2017-11-03 2017-11-03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61A KR102255423B1 (ko) 2017-11-03 2017-11-03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45A true KR20190050545A (ko) 2019-05-13
KR102255423B1 KR102255423B1 (ko) 2021-05-24

Family

ID=6658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061A KR102255423B1 (ko) 2017-11-03 2017-11-03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457A (zh) * 2021-05-17 2021-10-01 衡阳公路桥梁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穿越泥浆地段的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931170A (zh) * 2021-09-30 2022-01-14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桩啮合式机械连接装置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20B1 (ko) * 2009-02-06 2010-02-26 박선영 피에이치씨 파일 용접용 조인트 캡
KR20100004477U (ko) * 2010-03-25 2010-04-30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
KR20150073546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KR101538001B1 (ko) * 2014-02-21 2015-07-23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파일
KR101668393B1 (ko) * 2015-12-31 2016-10-21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20170011387A (ko) * 2015-07-22 2017-02-02 고영식 피에이치씨 파일의 결합구조
KR101793693B1 (ko) * 2016-11-30 2017-11-03 (주)삼일이엔씨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용 선단슈 및 선단슈가 구비된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20B1 (ko) * 2009-02-06 2010-02-26 박선영 피에이치씨 파일 용접용 조인트 캡
KR20100004477U (ko) * 2010-03-25 2010-04-30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
KR20150073546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KR101538001B1 (ko) * 2014-02-21 2015-07-23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파일
KR20170011387A (ko) * 2015-07-22 2017-02-02 고영식 피에이치씨 파일의 결합구조
KR101668393B1 (ko) * 2015-12-31 2016-10-21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101793693B1 (ko) * 2016-11-30 2017-11-03 (주)삼일이엔씨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용 선단슈 및 선단슈가 구비된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457A (zh) * 2021-05-17 2021-10-01 衡阳公路桥梁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穿越泥浆地段的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931170A (zh) * 2021-09-30 2022-01-14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桩啮合式机械连接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423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705B1 (ko)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KR101543388B1 (ko)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KR20190050545A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KR20120105093A (ko)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20170021267A (ko) 파일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
US20170121972A1 (en) Panel fixing assembly
JP5234908B2 (ja) 床パネルの支持構造
KR101668393B1 (ko)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101825426B1 (ko)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플레이트
JP2017525878A (ja) 仮設道路の形成用支持ユニット
KR102110224B1 (ko)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연결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3103899U (ja) インサートカラー
GB2338770A (en) Connecting device for parallel posts
KR200445056Y1 (ko) 파이프 이격기능이 구비된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KR101668389B1 (ko)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KR101241405B1 (ko) 헤드 확장형 콘크리트 파일
KR100917967B1 (ko) 통공보강구를 구비하는 기초파일용 헤드캡
KR200463894Y1 (ko) 이동식 펜스용 파이프 결속 클램프
KR20180116723A (ko)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US4083161A (en) Anchor bolt assembly
US8763980B2 (en) Post bracket and post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the same
JP6857897B2 (ja) ねじ穴付き板材とその製造方法
JP2015088262A (ja) バッテリー端子
JP4559902B2 (ja) トラフ支持台
KR101642803B1 (ko) 파일캡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95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401

Effective date: 2021040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