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477U -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 - Google Patents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477U
KR20100004477U KR2020100003070U KR20100003070U KR20100004477U KR 20100004477 U KR20100004477 U KR 20100004477U KR 2020100003070 U KR2020100003070 U KR 2020100003070U KR 20100003070 U KR20100003070 U KR 20100003070U KR 20100004477 U KR20100004477 U KR 201000044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iles
concrete pile
shaped joint
join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3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477U/ko
Publication of KR20100004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4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HC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파일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PHC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이다.
상, 하부 파일(10)(20)의 조인트 캡((11)(21)에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를 서로 마주보게 용접하는 한편, 서로 합치된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의 둘레에 부합되는 파지홈(31)이 내면에 형성되고 그 양단에 볼트공(33)을 가진 체결부(32)가 외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홀더(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체결부(32)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공(33)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때 볼트의 진행방향이 수평이 되며, 이러한 이유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공간에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또한 서롤 합치된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가 반원형의 홀더 내측의 파지홈(31)에 긴밀히 끼워지고 단지 두 개의 볼트와 너트로 홀더를 고정하면 상, 하부 파일이 견고히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PHC Concrete Pile}
본 고안은 PHC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파일을 길이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PHC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이다.
PHC 콘크리트 파일은 연약지반에 건축물이나 시설을 건설할 때 지반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거기에 파일을 박아 지반을 견고히 조성하는데 사용된다. 파일은 형틀의 상,하에 조인트갭을 설치하고 상,하 조인트갭 사이에 수 개의 강선을 인장시키고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면서 형틀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하여 원통형의 파일을 성형한다.
파일은 제조공정상 그리고 운반의 편리상 길이의 제한을 받는다. 그래서 연약지반이 깊을 경우에는 단위 길이의 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연결은 상,하 조인트캡을 맞대어 접합부위의 둘레를 용접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파일 연결방법이다. 공사현장에서 파일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용접기술자가 참여해야 하므로 공사원가가 상승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공개특허 2009-49250호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이다. 이것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하 조인트 켑을 볼트로 결합하는 방식으로서 용접공정이 생략되므로 누구나 현장에서 작업할 수 있고 작업시간도 어느 정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볼트의 진행방향이 파일의 길이방향이므로 볼트를 조이는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12개의 볼트를 조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적지 않게 소요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파일연결구조가 가지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볼트체결식이나 볼트의 조임 방향을 작업하기에 순조롭게 하고 최소한의 볼트만으로 손쉽게 파일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 조인트캡에 연결구조가 부가된 콘크리트 파일을 제조하고 현장에서 누구나 손쉽게 두 개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두 개의 파일이 단일체와 같이 견고하게 연결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는 도1의 단면도에서 연결구조가 부가된 상,하 조인트캡 그리고 도2에 도시된 한 쌍의 홀더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두 가지 핵심적 구성요소가 도3에서와 같이 결합되어 파일을 연결시킨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 하부 파일(10)(20)의 조인트 캡((11)(21)에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를 서로 마주보게 용접하는 한편, 서로 합치된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의 둘레에 부합되는 파지홈(31)이 내면에 형성되고 그 양단에 볼트공(33)을 가진 체결부(32)가 외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홀더(30)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부(32)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공(33)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때 볼트의 진행방향이 수평이 되며, 이러한 이유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공간에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또한 서롤 합치된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가 반원형의 홀더 내측의 파지홈(31)에 긴밀히 끼워지고 단지 두 개의 볼트와 너트로 홀더를 고정하면 상, 하부 파일이 견고히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있어서, 상, 하부 파일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있어서, 한 쌍의 홀더가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있어서, 상, 하부 파일이 결합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와 한 쌍의 홀더(30)라는 두 가지 핵심적 요소로 구성된다.
상, 하부 파일(10)(20)의 조인트 캡((11)(21)에 각각 용접된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는 파일을 연결할 때 서로 마주보게 합치한다. 서로 합치된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의 둘레에는 한 쌍의 반원형 홀더(30)가 결합되는데 한 쌍의 반원형 홀더(30) 내측에는 파지홈(31)이 형성되어 있어 합치된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가 끼워진다. 그러면 남은 과제는 반원형 홀더(30)이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만이 남는다.
반원형 홀더(30)의 양단에는 외향으로 체결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부(32)에는 볼트공(33)이 천공되어 있다. 서로 합치된 체결부(32)의 볼트공(33)에 볼트(34)와 너트(35)을 끼워 조이면 한 쌍의 반원형 홀더(30)는 원형으로 고정된다. 홀더(30)는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를 치밀하게 파지하고 있으므로 상, 하부 파일(10)(20)은 전혀 유동됨이 없이 연결된다.
조인트캡((11)(21)에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를 용접하는 것은 파일을 성형하기 전에 시행되며 따라서 공장에 상근하는 용접공이 작업하게 되므로 현장에서 다시 용접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경제성은 비할 바가 아니다. 또한 ㄱ자형 조인트부재 (12)(22)는 원통형이므로 홀더(30)가 조여지더라도 원형을 유지할 만큼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10: 상부 파일 11: 상부파일 조인트캡 12: ㄱ자형 조인트부재
20: 하부 파일 21: 하부파일 조인트캡 22: ㄱ자형 조인트부재
30: 홀더 31: 파지홈 32: 체결부
33:볼트공 40: 마감테 41: 강선

Claims (1)

  1. 상, 하부 파일의 조인트 캡에 ㄱ자형 조인트부재 를 서로 마주보게 용접하는 한편, 서로 합치된 ㄱ자형 조인트부재의 둘레에 부합되는 파지홈이 내면에 형성되고 그 양단에 볼트공을 가진 체결부가 외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반원형 홀더(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콘크리트 파일.
KR2020100003070U 2010-03-25 2010-03-25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 KR201000044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70U KR20100004477U (ko) 2010-03-25 2010-03-25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70U KR20100004477U (ko) 2010-03-25 2010-03-25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477U true KR20100004477U (ko) 2010-04-30

Family

ID=4419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070U KR20100004477U (ko) 2010-03-25 2010-03-25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4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545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545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결합플레이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58B1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KR100835778B1 (ko)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가능 이음장치
KR101174273B1 (ko) 콘크리트 말뚝의 이음장치
CN102383423A (zh) 预制桩接桩结构
KR101451164B1 (ko) 콘크리트 말뚝 연장 체결장치
JP2006037619A (ja) 筒体の連結装置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KR20100004477U (ko) 피에이치시 콘크리트 파일
KR101309100B1 (ko) 세그먼트용 체결장치
JP4179619B2 (ja) 地下埋設管の更生管及び更生方法
KR101726278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결합구조
KR101577727B1 (ko) 피에이치씨 파일 이음 장치 및 그 이음 방법
KR101018006B1 (ko) 파일 연결방법
KR101496413B1 (ko) 강관 연결 구조체
KR101207194B1 (ko)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장치
JP4448816B2 (ja) コンクリート製管体および推進工法
KR101252027B1 (ko) 말뚝 이음 장치
KR101192633B1 (ko) 말뚝 이음 장치
JP5165622B2 (ja) 鋼管ソイルセメント複合杭
JP4584498B2 (ja) 補強リング及び継手板の取付け構造
KR101048639B1 (ko) 티 볼트를 이용한 링 세그멘트 연결방식의 지중 수직구 구조물 설치방법
KR100929763B1 (ko) 결속력이 강화된 옹벽 고정용 앙카볼트
JP4461153B2 (ja) 杭の継ぎ手構造
KR101376497B1 (ko)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의 이음장치
KR20120010430A (ko) 엇이음 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트러스 조인트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교의 가조립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