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761Y1 -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761Y1
KR0134761Y1 KR2019960005237U KR19960005237U KR0134761Y1 KR 0134761 Y1 KR0134761 Y1 KR 0134761Y1 KR 2019960005237 U KR2019960005237 U KR 2019960005237U KR 19960005237 U KR19960005237 U KR 19960005237U KR 0134761 Y1 KR0134761 Y1 KR 0134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long hole
stone
fitting portion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915U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2019960005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761Y1/ko
Publication of KR970054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9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리석, 화강석 또는 인조석 등과 같이 비교적 자체중량이 무거운 내ㆍ외장용 석재를 기존의 건축구조체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 시키는데 사용되는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그 수직벽부(110) 및 수평연장부(120)에 각가 수직장공(111) 및 수평장공(121)이 뚫려지는 지지고정판(100)과, 상기 수직장공(111)에 그 끼움부(220)가 끼워지되 상하이동이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고정와셔(200)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장공(111) 내면과 상기 끼움부(220) 외변에 끼움부(220)가 끼워지는 전후방향으로 상호 맞물려지는 요철(A)들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고정판(100)이 앵카볼트(300)에 고정되는 고정와셔(200)로부터 미끄러져 내림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고정와셔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제4도는 종래의 것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요철 100 : 지지고정판
110 : 수직벽부 111 : 수직장공
120 : 수평연장부 121 : 수평장공
200 : 고정와셔 210 : 볼트공
220 : 끼움부 230 : 밀착편
300 : 앵카볼트 310 : 너트
400 : 연결철물 500 : 석재
600 : 건축구조체
본 고안은 대리석, 화강석 또는 인조석 등과 같이 비교적 자체중량이 무거운 내ㆍ외장용 석재를 기존의 건축구조체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 시키는데 사용되는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석재부착 고정용 브라켓은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그 수직벽부(11) 및 수평연장부(12)에 각기 수직장공(11a) 및 수평장공(12a)이 뚫려지는 지지고정판(10)과, 상기 지지고정판의 외부에 덧대어져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그 수직벽부(21) 및 수평연장부(22)가 형성되며 그 수직벽부(21)에는 경사구명(21a)이 뚫려지는 부강판(20)으로 구성되어, 건축구조체에 견고히 고정되는 앵카볼트(30)와 그 앵카볼트의 돌출부에 체결되는 너트(31)의 마찰력으로 확보되는 지지력으로 석재의 하중을 지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수직벽부(11)에 뚫려지는 수직장공(11a)과 보강판(20)에 뚫려지는 경사구멍(21a)은 앵카볼트(30)의 매설위치 및 줄눈의 편차를 융통성 있게 대처하기 위해서 각기 상하 및 대각선으로 길게 뚫려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것은 수직장공(11a)에 관통되는 앵카볼트(30)가 너트(31)와의 마찰력으로 확보되는 지지력만으로 무거운 석재의 하중이 걸려지는 지지고정판(10)과 보강판(20)을 지탱하여 주는 것이다. 수직장공(11a)의 내면과 경사구멍(21a)의 내면들이 별도의 고정구조부가 없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충격이나 진동으로 지지고정판(10)과 보강판(20)이 쉽게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석재의 하중이 전달되는 지지고정판의 미끄러져 내림을 방지하여 시공시에 설치한 위치에 항시 고정되도록 하여 주는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여 주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 수직벽부(110) 및 수평연장부(120)에 각기 수직장공(111) 및 수평장공(121)이 뚫려지는 지지고정판(100)과, 상기 수직장공(111)에 그 끼움부(220)가 끼워지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고정와셔(220)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장공(111)내면과 상기 끼움부(220) 외면에 각기 끼움부(220)가 끼워지는 전후방향으로 상호 맞물려지는 요철(A)들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고정판(100)이 앵카볼트(300)에 고정되는 고정와셔(200)로부터 미끄러져 내림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고정판의 수직장공(111) 내면과 끼움부(220) 외면에 각기 끼움부(220)가 끼워지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맞물려지게 요철(A)이 형성되는 이유는 지지고정판(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장공(111) 내면 양측과 끼움부(220) 외면 양측에 각기 요철(A)이 형성되어서 지지고정판(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토록 예시해 보여주고 있으나, 상기 수직장공(111) 내면 일측과 끼움부(220) 외면 일측에만 각기 요철(A)이 형성되어서 지지고정판(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하여 주는 것으로서 건축구조체(600)에 앵카볼트(300)의 일측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지지고정판(100)의 수직장공(111)을 통하여 앵카볼트(300)의 타측에 끼워서 적절한 높이를 조절한 후, 고정와셔(200)의 볼트공(210)을 통하여 앵카볼트(300)에 끼우되 고정와셔(200)의 끼움부(220) 외면과 수직장공(111) 내면에 각기 형성된 요철이 상호 맞물리도록 끼우고, 마지막으로 너트(310)를 앵카볼트(300)에 체결함으로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연장부(120)에 형성된 수평장공(121)을 통하여 연결철물(400)을 체결하여 그 외측에 얹혀지는 석재(500)를 지지하여 주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고정와셔(200)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장공(111)에 끼워지며 그 외면에 요철(A)이 형성되는 끼움부(220)와, 그 끼움부(220)의 외측에 너트(310)의 조립으로 지지고정판(100)을 밀착시켜 주는 밀착편(2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와셔(200)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장공에 끼워지는 끼움부(220)가 수직장공(111)의 수직길이보다 짧게 만들어져서 이동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적절한 높이에서 고정와셔(200)가 수직장공(111)에 끼워져서 상호 요철(A)이 맞물려짐으로써, 지지고정판(100)의 하중을 앵카볼트(300)로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하여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수직장공(111)의 내면과 앵카볼트(300) 외면이 매끄러여서 석재의 하중으로 인하여 지지고정판(100)이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렸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상기 지지고정판의 수직장공(111) 내면과 고정와셔(200) 외면에 각기 고정와셔(200)가 끼워지는 전후방향으로 요철(A)이 형성되어 상호 맞물려져서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고정판(100)이 미끄러져 내림을 방지하여 시공시에 설치한 위치에 항시 고정되어 있도록 하여 주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고안은 지지고정판(100)의 외부에 덧대어지는 보강판이 배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보강판은 직각 또는 예각지게 절곡되어서 이루어지는 수직 벽부 및 수평연장부로 형성되며 그 수직벽부에는 경사구멍이 뚫려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짐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고정판의 수직장공 내면과 고정와셔의 끼움부 외면에 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되며, 적절한 높이에서 상호 맞물리게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삭재의 하중이 전달되는 지지고정판의 미끄러져 내림을 방지하여 시공시에 설치한 위치에 항시 고정되도록 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그 수직벽부(110) 및 수평연장부(120)에 각기 수직장공(111) 및 수평장공(121)이 뚫려지는 지지고정판(100)과, 상기 수직장공(111)에 그 끼움부(220)가 끼워지되 상하이동이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고정와셔(200)로 구성하되, 상기 수직장공(111) 내면과 상기 끼움부(220) 외면에 끼움부(220)가 끼워지는 전후방향으로 상호 맞물려지는 요펄(A)들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고정판(100)이 앵카볼트(300)에 고정되는 고정와셔(200)로부터 미끄러져 내림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부착 고정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장공(111) 내면과 끼움부(220) 외면에 각기 일측에만 요철(A)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부착 고정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장공(111) 내면과 끼움부(220) 외면에 각기 양측 모두 요철(A)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부착 고정용 브라켓.
KR2019960005237U 1996-03-19 1996-03-19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KR0134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237U KR0134761Y1 (ko) 1996-03-19 1996-03-19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237U KR0134761Y1 (ko) 1996-03-19 1996-03-19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915U KR970054915U (ko) 1997-10-13
KR0134761Y1 true KR0134761Y1 (ko) 1999-02-18

Family

ID=1945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237U KR0134761Y1 (ko) 1996-03-19 1996-03-19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76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158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현대표지 방풍 및 소음 감소 구조체
KR101975010B1 (ko) 2018-11-07 2019-05-03 최돈우 브라켓 고정용 와셔
KR101983705B1 (ko) 2018-08-13 2019-05-29 최돈우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KR102096775B1 (ko) 2019-09-02 2020-04-03 이창석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KR102240528B1 (ko) 2020-06-03 2021-04-15 김경수 건축자재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850B1 (ko) * 2015-05-18 2016-07-06 최연수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2247869B1 (ko) * 2018-11-15 2021-05-04 (주)양수금속 구조물의 이탈 및 전도방지용 내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158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현대표지 방풍 및 소음 감소 구조체
KR101983705B1 (ko) 2018-08-13 2019-05-29 최돈우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KR101975010B1 (ko) 2018-11-07 2019-05-03 최돈우 브라켓 고정용 와셔
WO2020096206A1 (ko) * 2018-11-07 2020-05-14 최돈우 브라켓 고정용 와셔
KR102096775B1 (ko) 2019-09-02 2020-04-03 이창석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KR102240528B1 (ko) 2020-06-03 2021-04-15 김경수 건축자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915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761Y1 (ko) 석재 부착 고정용 브라켓
KR101137960B1 (ko) 트러스 조립체
EP0275879A3 (en) Holding and supporting anchor to be fastened with mortar in a bore hole in a mounting base
JP2572123Y2 (ja) 床板支持装置
JP4986039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KR200273593Y1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3718556B2 (ja) 立上りalc壁コーナー部の取付構造
GB2374614A (en) Wall cladding fitting
KR102327981B1 (ko) 건축물 외장재용 부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H022805Y2 (ko)
KR101336668B1 (ko) 트러스 조립체
JPH0449311Y2 (ko)
KR0137406Y1 (ko) 배선덕트 지지용 브래킷
RU21058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KR100695815B1 (ko) 사각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3146292B2 (ja) カーテンウオールの支持装置
JP3607811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支持金具
KR930002861Y1 (ko) 석재 부착 고정구
KR20060059620A (ko) 경사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JP2710650B2 (ja) 壁パネル取付構造
JP3050747B2 (ja) 床の支持構造
JP3607810B2 (ja) 外壁パネル下端の支持装置
KR930001194Y1 (ko) 건축물의 수직대리석 지지구 고정관
JP4721209B2 (ja) 鋼製天井における断熱材スト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