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933A -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 Google Patents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933A
KR20190031933A KR1020170120218A KR20170120218A KR20190031933A KR 20190031933 A KR20190031933 A KR 20190031933A KR 1020170120218 A KR1020170120218 A KR 1020170120218A KR 20170120218 A KR20170120218 A KR 20170120218A KR 20190031933 A KR20190031933 A KR 20190031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clinching
piercing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175B1 (ko
Inventor
정윤성
박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12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1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Abstract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는 원통형상으로 홀의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 상에 모재에 파고들어 체결되는 복수의 인터락 홈이 형성되고, 선단은 일정 경사면에 의해 상기 모재를 피어싱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클린칭 접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SELF PIERCING CLINCHING NET}
본 발명은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가압력으로 모재를 피어싱함과 동시에 클린칭 접합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에 적용되는 철제 부품을 대량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복수의 패널을 접합하는 공정이 적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용접접합, 리벳팅(riveting), 볼팅(bolting) 및 클린칭 너트에 의한 접합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상기 클린칭 너트를 이용한 접합 방법은 모재(패널)에 드릴로 구멍을 뚫어 홀을 형성하고, 다이에 안착된 클린칭 너트 위에 모재의 홀을 올려놓은 다음 프레스로 압입하여 체결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압입은 클린칭 너트에 비해 경도가 낮은 금속재인 모재가 찌그러지는 반전력을 활용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클린칭 너트를 이용한 접합 방식의 경우, 대상 패널에 구멍을 뚫는 드릴링 공정이 추가되어 체결 작업에 많은 공수와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클린칭 너트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어싱 너트가 개발되었다.
예컨대, 도 1은 종래의 피어싱 너트의 구성과 그 체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피어싱 너트(1)는 모재의 접합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상부 다이(미도시)와 하부다이의 가압을 통해 피어싱과 동시에 리벳홈(2)으로 모재를 밀어 넣어 접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피어싱 너트(1)는 중앙에 나사탭(3)과 일면에 모재의 일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피어싱 날(4)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피어싱 너트(1)는 박판에 적용 가능하지만, 2.0mm 두께 이상의 고강도 압출 또는 다이캐스팅 제품에는 접합 강도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접합방식이어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차체에 적용되는 폐단면 모재에 파이프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알루미늄 압출 제품이나 롤포밍 폐단면 모재의 경우 직선제로 성형을 한 후(S1), 모재에 홀(H) 가공을 하고(S2), 가공된 홀(H)에 파이프 너트(5)를 체결하여(S3), 체결부위에 용접(W)하는 과정(S4)을 수행하였다.
이처럼 차체나 범퍼에 적용되는 제품의 경우 강성을 위해 2.0mm 두께 이상의 고강도 제품을 사용하게 되므로 피어싱 너트(1)의 사용이 제한된다. 즉, 파이프 너트를 삽입하기 위한 홀 가공 공정과, 홀 가공 후에도 파이프 너트와 모재를 접합하기 위해 용접공정이 필요하여 체결 작업에 많은 공수와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박판 이외에 2.0mm 두께 이상의 시제품에도 우수한 접합 강도로 체결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피어싱 너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재의 피어싱과 접합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접합강도와 회전토크에 대한 강도를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롱 파이프 형태의 몸체 상하부에 모재의 피어싱과 접합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롤포밍 공정과정에서 모재에 간단히 체결될 수 있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는 원통형상으로 홀의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 상에 모재에 파고들어 체결되는 복수의 인터락 홈이 형성되고, 선단은 일정 경사면에 의해 상기 모재를 피어싱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클린칭 접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터락 홈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직경이 선단 측으로 작아지는 외주면 상의 둘레에, 상기 모재와의 사이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터락 홈은 상기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언더컷 홈과, 상기 제1 언터컷 홈에 이웃하여 상기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 언더컷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날부의 직경이 상기 몸체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클린칭 접합부를 제외한 내주면 상에 나사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클린칭 접합부의 경계부 둘레를 따라 상기 모재와의 체결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모재와의 체결방향을 향하여 뾰족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클린칭 접합부의 경계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는 원통형상으로 홀의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외주면 상에 모재에 파고들어 체결되는 복수의 인터락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 선단은 일정 경사면에 의해 상기 모재를 피어싱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클린칭 접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터락 홈은 상기 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직경이 선단 측으로 작아지는 각 외주면 상의 둘레에, 상기 모재와의 사이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터락 홈은 상기 각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언더컷 홈과, 상기 제1 언터컷 홈에 이웃하여 상기 각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 언더컷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 블레이드는 각 날부의 직경이 상기 몸체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 클린칭 접합부를 제외한 내주면 상에 나사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 클린칭 접합부의 경계부 둘레를 따라 상기 모재와의 체결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모재와의 체결방향을 향하여 삼각의 단면 형태로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외주면 중앙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가압 툴이 지지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레이드와 클린칭 접합부 형성되어 모재의 피어싱과 동시에 이중으로 인터락 되어 모재와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전방지 스토퍼에 의해 모재에 고정되어 접합 후 회전토크에 의한 회전을 방지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롱 파이프 형태의 몸체 상하부에 블레이드, 이중 클린칭 인터락 구조의 클린칭 접합부 및 회전방지 스토퍼를 각각 구성하여 롤포밍 공정과정에서 모재에 간단히 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어싱 너트의 구성과 그 체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체에 적용되는 폐단면 모재에 파이프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가 모재에 결합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가 폐단면 모재에 결합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롤포밍 공정을 통해 폐단면 모재에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가 모재에 결합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일단에 클린칭 접합부(120) 및 회전방지 스토퍼(130)가 일체로 구성된다.
몸체(110)는 원통형상으로 홀(111)의 내주면에 일정 깊이의 나사탭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탭이 형성된 홀(111)은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가 모재에 접합된 상태에서 타 부재와 볼팅으로 체결될 수 있다.
클린칭 접합부(120)는 몸체(110)의 일단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모재에 파고들어 체결되는 복수의 인터락 홈이 형성되고, 선단은 일정 경사면에 의해 상기 모재를 피어싱하는 블레이드(1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인터락 홈은 몸체(110)의 일단부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언더컷 홈(121) 및 상기 제1 언터컷 홈(121)에 이웃하여 상기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 언더컷 홈(122)으로 이루어진다.
클린칭 접합부(120)는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모재가 제1 언더컷 홈(121)과 제2 언더컷 홈(122)에 압입되어 언더컷을 형성하면서 이중으로 인터락된다.
블레이드(123)는 클린칭 접합부(120)의 하단부에 원형의 날(Cutter)로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모재를 피어싱하여 모재홀(H)을 형성한다.
이때, 블레이드(123) 날부의 직경은 상기 나사탭이 형성된 홀(111)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린칭 접합부(120)는 외부의 가압력으로 블레이드(123)에 의해 형성된 모재홀(H)에 삽입되면, 상기 가압력으로 제1 언더컷 홈(121)과 제2 언터컷 홈(122)에 모재홀(H)의 내주면이 압입되는 이중 클린칭 인터락에 의한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린칭 접합부(120)의 높이는 모재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사용되는 모재의 두께에 맞게 규격화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몸체(110)는 클린칭 접합부(120)를 제외한 홀(111)의 내주면 상에만 나사탭이 형성된다. 즉, 상기 클린칭 접합부(120)가 형성된 홀(111)의 내주면에는 나사탭이 생략되어 블레이드(123)의 피어싱을 용이하게 하고 절삭된 모재 조각에 의해 나사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강도 압출 또는 다이캐스팅으로 2.0mm 두께 이상의 다양한 두께로 제작된 모재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회전방지 스토퍼(130)는 몸체(110)의 일단부에서 모재를 향해 돌출되며, 클린칭 접합부(120)가 시작되는 몸체(11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방지 스토퍼(130)는 역삼각형 단면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회전방지 스토퍼(130)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의 접합 시 상기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모재홀(H)을 중심으로 하는 모재의 상면에 삽입되어 접합 후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가 외부의 회전토크(예; 볼팅 결합 등)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예컨대, 회전방지 스토퍼(130)는 도 3에 도시된 것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4개가 배열될 수 있으나 그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 늘리거나 줄여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는 상부 다이(D1)와 하부 다이(D2)의 가압력으로 블레이드(123)를 통해 모재를 피어싱 함과 동시에 클린칭 접합부(120)에 의해 이중으로 인터락되어 모재와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다이(D1)와 하부 다이(D2)는 C형 타입의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어느 하나는 유압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프레스로써 동작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의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는 몸체(110)의 일단에 클린칭 접합부(120) 및 스토퍼(130)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제1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린칭 접합부(120) 및 스토퍼(130)가 몸체(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른 실시 예를 아래의 도면 6 내지 도 8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가 폐단면 모재에 결합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의 구성과 유사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하였으며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는 몸체(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형성된 클린칭 접합부(120)와 스토퍼(130)가 일체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원통형상으로 홀의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외주면 상에 모재에 파고들어 체결되는 복수의 인터락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 선단은 일정 경사면에 의해 상기 모재를 피어싱하는 블레이드(123)가 형성된 클린칭 접합부(120) 및 각 클린칭 접합부의 경계부 둘레를 따라 상기 모재와의 체결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130)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110)는 롱 파이프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몸체(110) 중앙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가압 툴(D1)의 압력이 전달되는 지지단(140)이 형성될 수 있다.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는 양측 끝단에 블레이드(123)가 형성된 특성상 프레스를 통해 상면을 가압하면 자칫 블레이드(123)이 날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압 툴(D1)의 하면 중앙에 내측으로 원통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홈에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의 몸체(110)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단(140)을 통해 접합(체결)을 위한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러한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는 상하부에 형성된 이중 클린칭 접합 구조를 통해 도 8과 같이 각각 모재를 피어싱함과 동시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롤포밍 공정을 통해 폐단면 모재에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롤포밍 장비(미도시)에 알루미늄 모재를 투입하여 폐단면 제품을 제작하는 공정 중에 롱 파이프 구조의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를 체결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평면의 알루미늄 소재의 모재를 롤포밍 공정에 투입한다(S11).
다음, 롤포밍 장비를 통한 제1 롤포밍 공정(RF#1) 및 제2 롤포밍 공정(RF#2)으로 모재를 절곡하고, 모재의 상면에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를 위치시킨 후 가압 툴(D1)을 통해 압력을 가하여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이중 클린칭 접합 구조가 모재와 제1 접합된다(S12). 이때 가압 툴(D1)의 가압력이 몸체(110)의 중앙에 형성된 지지단(140)으로 전달된다.
다음, 롤포밍 장비를 통한 제1 롤포밍 공정(RF#3)으로 모재를 절곡하여 사각의 폐단면을 형성한다(S13). 이때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100')의 상면에 접하는 모재에 압력을 가하여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이중 클린칭 접합 구조가 모재와 제2 접합된다(S1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레이드와 클린칭 접합부 형성되어 모재의 피어싱과 동시에 이중으로 인터락 되어 모재와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전방지 스토퍼에 의해 모재에 고정되어 접합 후 회전토크에 의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롱 파이프 형태의 몸체 상하부에 블레이드, 이중 클린칭 인터락 구조의 클린칭 접합부 및 회전방지 스토퍼를 각각 구성하여 롤포밍 공정과정에서 모재에 간단히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110: 몸체
111: 볼트홀
120: 클린칭 접합부
121: 제1 언더컷 홈
122: 제2 언더컷 홈
123: 블레이드
130: 스토퍼
140: 지지단

Claims (16)

  1. 원통형상으로 홀의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 상에 모재에 파고들어 체결되는 복수의 인터락 홈이 형성되고, 선단은 일정 경사면에 의해 상기 모재를 피어싱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클린칭 접합부;
    를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터락 홈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직경이 선단 측으로 작아지는 외주면 상의 둘레에, 상기 모재와의 사이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터락 홈은
    상기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언더컷 홈과, 상기 제1 언터컷 홈에 이웃하여 상기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 언더컷 홈으로 이루어지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날부의 직경이 상기 몸체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클린칭 접합부를 제외한 내주면 상에 나사탭이 형성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클린칭 접합부의 경계부 둘레를 따라 상기 모재와의 체결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모재와의 체결방향을 향하여 뾰족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클린칭 접합부의 경계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9. 원통형상으로 홀의 내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외주면 상에 모재에 파고들어 체결되는 복수의 인터락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 선단은 일정 경사면에 의해 상기 모재를 피어싱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클린칭 접합부;
    를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터락 홈은
    상기 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직경이 선단 측으로 작아지는 각 외주면 상의 둘레에, 상기 모재와의 사이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터락 홈은
    상기 각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언더컷 홈과, 상기 제1 언터컷 홈에 이웃하여 상기 각 외주면 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 언더컷 홈으로 이루어지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 블레이드는
    각 날부의 직경이 상기 몸체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 클린칭 접합부를 제외한 내주면 상에 나사탭이 형성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의 각 클린칭 접합부의 경계부 둘레를 따라 상기 모재와의 체결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모재와의 체결방향을 향하여 삼각의 단면 형태로 뾰족하게 형성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주면 중앙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가압 툴이 지지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KR1020170120218A 2017-09-19 2017-09-19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KR102094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18A KR102094175B1 (ko) 2017-09-19 2017-09-19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18A KR102094175B1 (ko) 2017-09-19 2017-09-19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933A true KR20190031933A (ko) 2019-03-27
KR102094175B1 KR102094175B1 (ko) 2020-03-27

Family

ID=6590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218A KR102094175B1 (ko) 2017-09-19 2017-09-19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260B1 (ko) 2022-04-14 2022-07-20 (주) 한영하이테크 클린칭 너트 자동 공급장치
KR102515992B1 (ko) * 2022-10-24 2023-03-30 (주)한영하이테크 클린칭 너트 압입 제품 생산을 위한 클린칭 장치를 포함한 프로그레시브 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939A1 (en) * 2022-08-26 2024-02-29 Rb&W Manufacturing Llc Self-clinching fasten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6852U (ko) * 1974-01-09 1975-08-13
JPS57172917U (ko) * 1981-04-27 1982-10-30
JP2001330018A (ja) * 2000-05-19 2001-11-30 Aoyama Seisakusho Co Ltd ピアスナット
JP2002089529A (ja) * 2000-09-13 2002-03-27 Honda Motor Co Ltd ピアスナット及び2枚重ねワークに対するピアスナットの結合方法
JP2004530852A (ja) * 2001-06-26 2004-10-07 レック エンジニアリング 自己穿孔ブラインドリベットナット
US20080199274A1 (en) * 2003-11-17 2008-08-21 Jiri Babej Functional Element, Assembling Component Consisting Of The Functional Element Combined With a Metal Sheet, Method for Producing The Assembly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unctional Element
JP3157701U (ja) * 2009-12-14 2010-02-25 ボーセイキャプティブ株式会社 かしめナット
KR20140126412A (ko) * 2012-03-30 2014-10-30 알까뗄 루슨트 툴스탑을 구비하는 편평형 스탠드오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701B2 (ja) * 1995-07-26 2001-04-16 川崎製鉄株式会社 磁気特性に優れた方向性けい素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6852U (ko) * 1974-01-09 1975-08-13
JPS57172917U (ko) * 1981-04-27 1982-10-30
JP2001330018A (ja) * 2000-05-19 2001-11-30 Aoyama Seisakusho Co Ltd ピアスナット
JP2002089529A (ja) * 2000-09-13 2002-03-27 Honda Motor Co Ltd ピアスナット及び2枚重ねワークに対するピアスナットの結合方法
JP2004530852A (ja) * 2001-06-26 2004-10-07 レック エンジニアリング 自己穿孔ブラインドリベットナット
US20080199274A1 (en) * 2003-11-17 2008-08-21 Jiri Babej Functional Element, Assembling Component Consisting Of The Functional Element Combined With a Metal Sheet, Method for Producing The Assembly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unctional Element
JP3157701U (ja) * 2009-12-14 2010-02-25 ボーセイキャプティブ株式会社 かしめナット
KR20140126412A (ko) * 2012-03-30 2014-10-30 알까뗄 루슨트 툴스탑을 구비하는 편평형 스탠드오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260B1 (ko) 2022-04-14 2022-07-20 (주) 한영하이테크 클린칭 너트 자동 공급장치
KR102515992B1 (ko) * 2022-10-24 2023-03-30 (주)한영하이테크 클린칭 너트 압입 제품 생산을 위한 클린칭 장치를 포함한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2554541B1 (ko) * 2022-10-24 2023-07-12 (주)한영하이테크 클린칭 너트 압입 제품 생산을 위한 클린칭 장치를 포함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한 클린칭 너트 압입 제품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175B1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307B2 (en) Assembly joined by a flow drill screw
JP2971120B2 (ja) リベッティングファスナ
US7594788B2 (en) Clinch/broach connector
JP3927952B2 (ja) セルフピアシング部品、取付方法及びダイ部材
US5439266A (en) Riveted plate trailer construction
US20210348643A1 (en) One-piece self-locking nut
US9222502B2 (en) Self-piercing nut element and component assembly comprising the nut element and a sheet metal part
KR20190031933A (ko)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US9581186B2 (en) Rivet stud bolt and panel joint structure of the same
KR101983705B1 (ko) 구조용 및 내진설계용 연결부재
US20160040708A1 (en) One-piece self-locking nut
JP5259575B2 (ja) ピアスナットおよびその使用
KR20120084689A (ko) 압입 요소 형태의 기능 요소
US20160333921A1 (en) One-piece self-locking nut
US7425111B2 (en) Torque resistant fastening element
JP2007530893A (ja) 自己装着ファスナとその取り付け方法
JP4805189B2 (ja) 薄板材の高力ボルト接合構造
JPH09189318A (ja) ファスナー、ファスナーの製造法、ファスナー・取付部材アセンブリー、ファスナーの取付部材への取付法及びファスナーの取付部材への取付用ダイボタン
KR101570433B1 (ko) 리벳 스터드 볼트 및 그의 패널 접합체
US8230574B2 (en) Method for inserting connecting elements in metal sheets and connection between a metal sheet and a connecting element
KR102528398B1 (ko) 연질 소재 접합 구조체
GB2298156A (en) Fastener for securing panels
TW201722576A (zh) 薄片鉚接緊固件
KR101594945B1 (ko)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
KR20150094146A (ko) 리벳 스터드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