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084B1 -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084B1
KR101983084B1 KR1020180140468A KR20180140468A KR101983084B1 KR 101983084 B1 KR101983084 B1 KR 101983084B1 KR 1020180140468 A KR1020180140468 A KR 1020180140468A KR 20180140468 A KR20180140468 A KR 20180140468A KR 101983084 B1 KR101983084 B1 KR 101983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air
air injection
pip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준
Original Assignee
(주)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엘에스
Priority to KR102018014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72Joining single elements to sheets, plates or other substantially flat surface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8Upholstery or cushions, e.g. vehicle upholstery or interior pad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공기주입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주입로와 각각 연통하는 다수개의 공기셀이 형성되는 완충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충포장재를 공급하는 공급롤부, 본체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가압하여 폐쇄하면서 이송하는 제1 이송롤러부, 본체부에서 제1 이송롤러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가압하여 폐쇄하면서 이송하는 제2 이송롤러부, 제2 이송롤러부의 후방에서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에 삽입되어 완충포장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의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 상에 공기주입노즐이 형성되는 가이드 파이프, 가이드 파이프의 절곡된 부분에 구비되어, 공기주입노즐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절개하는 커터부 및 본체부에서 가이드 파이프의 전방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Air injection apparatus for shock-absorbing packs}
본 발명은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완충포장재를 정렬하여 이송하면서 완충포장재 내의 공기셀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의 적재·운송 과정 등에서 적재된 다른 물품에 의한 하중이나 외부 충격 및 내부 진동 등에 의하여 제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제품과 포장상자 사이에 완충포장재를 삽입하여 제품을 보호하는데, 이러한 완충포장재는 대체로 제품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므로 가벼우면서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탄성과 강도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제품에 맞추어 가공하기에 용이하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제품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제품을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목적지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름에 공기가 주입된 공기셀 형태의 완충포장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셀 형태의 완충포장재는, 공기셀을 형성하는 외피들 사이에 내피로 형성된 구조물을 삽입함으로써 공기 주입시 공기셀에 공기주입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공기셀 외부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완충포장재를 충진하는 공정을 수행할 시에는 완충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주입로에 공기주입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완충포장재 내부 공기셀에 공기를 충진한다.
그러나, 완충포장재에 공기를 충진하는 공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완충포장재를 들고 공기주입로에 공기주입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였으며, 이로 따라 공기주입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에 공기를 충진하는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공기주입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 이러한 공기주입장치들은 완충포장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공기주입파이프 등을 통해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완충포장재 내부의 공기셀에 공기를 충진하고 있기는 하나, 완충포장재와 공기주입파이프 간의 간섭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공급되는 완충포장재가 비틀어져 이송되어 장치에 잼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구체적으로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효과적으로 정렬하여 공기 주입을 위한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이드 파이프와 완충포장재 간의 간섭이나, 완충포장재가 틀어져 공급되어 잼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완충포장재를 이송하는 중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공기 주입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공기주입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주입로와 각각 연통하는 다수개의 공기셀이 형성되는 완충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충포장재를 공급하는 공급롤부, 본체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가압하여 폐쇄하면서 이송하는 제1 이송롤러부, 본체부에서 제1 이송롤러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가압하여 폐쇄하면서 이송하는 제2 이송롤러부, 제2 이송롤러부의 후방에서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에 삽입되어 완충포장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의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 상에 공기주입노즐이 형성되는 가이드 파이프, 가이드 파이프의 절곡된 부분에 구비되어, 공기주입노즐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절개하는 커터부 및 본체부에서 가이드 파이프의 전방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정렬 가이드부는 가이드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바 및 가이드바의 상부에 구비되며, 가이드바에 지지되어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눌러주며 정렬하는 정렬바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정렬바는 가이드바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에서 정렬 가이드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공급롤부로부터 정렬 가이드부로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포장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포장재 지지부는 공급롤부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바, 제1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며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 및 제2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며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바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에서 가이드 파이프의 후방에 구비되어, 가이드 파이프의 공기주입노즐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를 상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보조 이송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공급롤부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에는 일정 간격마다 완충포장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절단선이 형성되며, 본체부에서 보조 이송롤러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공기가 충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를 절단선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리하는 분리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분리롤러부는 본체부에서 보조 이송롤러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하 배치되며, 보조 이송롤러부와 동일한 속도로 회동하며 완충포장재를 이송하는 제1 및 제2 분리롤러와, 제1 및 제2 분리롤러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하 배치되며, 제1 및 제2 분리롤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동하며 제1 및 제2 분리롤러를 통과한 완충포장재를 절단선을 따라 분리하는 제3 및 제4 분리롤러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및 제2 분리롤러 중 적어도 하나와, 제3 및 제4 분리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부에서 소정 간격 승강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가이드 파이프는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파이프 및 제1 파이프로부터 절곡되어 제2 이송롤러부 및 제1 이송롤러부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1 이송롤러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커터부는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커터날과, 커터날을 가이드 파이프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를 포함하며, 제1 파이프의 상면에는 커터날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안착홈 내에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제1 파이프와 인접한 제2 파이프의 측면에는 커터날의 타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커터날의 일측이 제1 파이프의 안착홈에 안착되고, 커터날의 타측이 상기 제2 파이프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안착된 커터날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체결홈에 체결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커터날의 일측 및 타측이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에 고정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커터부는 커터날에 중첩되어 체결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이송롤러부는 완충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가압하며 이송하는 상하 배치된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제2 이송롤러부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가압하며 이송하는 상하 배치된 제3 롤러 및 제4 롤러를 포함하며, 제1 롤러, 제2 롤러, 제3 롤러 및 제4 롤러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가이드 파이프가 통과하는 반원형의 요홈이 형성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에서 가이드 파이프의 후방에 구비되어, 커터부에 의해 공기주입로가 절개된 채로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본체부에서 가열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가열부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완충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압하여 완충포장재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셀의 입구쪽을 밀폐하도록 융착하는 융착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는, 공급롤부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를 이송하는 중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공기 주입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공기가 주입된 채로 연속 이송되는 완충포장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선을 따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파이프를 통해 완충포장재를 포장재 이송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가이드 파이프와 인접한 전방에,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가 틀어지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충포장재가 가이드 파이프 쪽으로 공급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가이드 파이프와 완충포장재 간의 간섭이나, 완충포장재가 틀어져 공급되어 롤러 잼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는 완충포장재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통해 완충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렬 가이드부를 통해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정렬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롤러부의 구조 및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를 통해 완충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는 완충포장재(1)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는 완충포장재(1)는, 한 쌍의 외피(11,12) 사이에 한 쌍의 내피(21,22)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공기주입로(13)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주입로(13)와 다수개의 공기유입로(23)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공기셀(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완충포장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로(13)에 공기를 유입시키면, 유입된 공기가 공기주입로(13)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공기유입로(23)를 통해 각각 대응되는 공기셀(14) 내부로 주입되어 공기셀(14)이 팽창되는 구조이며, 공기셀(14)에 공기 충진이 완료되면, 공기셀(14) 내부의 압력에 의해 공기유입로(23)를 형성하는 한 쌍의 내피(21,22)가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공기유입로(23)가 차단됨으로써, 공기셀(14)에 충진된 공기가 공기유입로(23)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완충포장재(1)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마다 공기셀(14)과 공기셀(14) 사이의 융착부에 절단선(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단선(15)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완충포장재(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셀(14)과 공기셀(14) 사이의 융착부에 절단선(15)이 형성됨으로써, 절단선(15)을 따라 완충포장재(1)를 일정 길이로 절단할 수 있어, 절단 과정에서 공기셀(14)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를 통해 완충포장재(1)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에 있어서, 정렬 가이드부(170) 쪽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편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는, 본체부(110), 공급롤부(120), 제1 이송롤러부(130), 제2 이송롤러부(140), 가이드 파이프(150), 커터부(160) 및 정렬 가이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공기주입장치(100)를 구성하는 제1 이송롤러부(130), 제2 이송롤러부(140), 가이드 파이프(150) 및 정렬 가이드부(17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의 전면에는 일측으로부터 정렬 가이드부(170), 제1 이송롤러부(130), 제2 이송롤러부(140), 가이드 파이프(150)가 장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가이드 파이프(150)에 형성된 공기주입노즐(153)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발생부(미도시)와,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130,14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급롤부(120)는 본체부(110)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완충포장재(1)를 본체부(110)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급롤부(120)는 롤 형태로 감긴 완충포장재(1)가 장착되는 공급롤러(121)와, 본체부(110)에 연결되어 공급롤러(121)를 지지하는 지지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충포장재(1)가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130,140)에 의해 물려 이송될 시 연속적으로 완충포장재(1)를 권출하며 공급할 수 있다.
제1 이송롤러부(130)는 본체부(11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롤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1)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공기주입로(13)를 폐쇄하면서 이송할 수 있다.
즉, 제1 이송롤러부(130)는 공급롤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1)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동시에 가압하며 이송할 있도록, 상하 배치되는 제1 롤러(131) 및 제2 롤러(13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폐쇄하면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롤러부(140)는 본체부(110)에서 제1 이송롤러부(13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제1 이송롤러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가압하여 폐쇄하면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송롤러부(140) 역시, 제1 이송롤러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가압하며 이송할 있도록, 상하 배치되는 제3 롤러(141) 및 제4 롤러(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이송롤러부(130) 및 제2 이송롤러부(140)를 통해 완충포장재(1)를 이송하는 과정에서는, 제1 이송롤러부(130)가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폐쇄하며 이송하고, 그 후방에서 제2 이송롤러부(140)가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폐쇄하며 이송함으로써, 제1 이송롤러부(130)와 제2 이송롤러부(140) 사이에서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가 밀폐될 수 있다.
가이드 파이프(150)는 본체부(110)의 전면에서 돌출 구비되어, 공급롤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1)를 포장재 이송방향으로 가이드하고, 더불어 완충포장재(1)에 공기를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파이프(150)는, 제2 이송롤러부(140)의 후방에서 본체부(1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되고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포장재 이송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파이프(150)는 본체부(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파이프(151)와, 제1 파이프(151)로부터 절곡되어 제2 이송롤러부(140) 및 제1 이송롤러부(130)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1 이송롤러부(130)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파이프(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파이프(152)는 각각 상하 배치된 제2 이송롤러부(140)의 제3 및 제4 롤러(141,142)와, 제1 이송롤러부(130)의 제1 및 제2 롤러(131,132) 사이를 차례로 통과하여 배치되며, 이때 각각의 롤러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반원형의 요홈(h)이 형성되어 있어, 포장재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된 제2 파이프(152)가 제1 및 제2 롤러(131,132)와 제3 및 제4 롤러(141,142)에 형성된 요홈(h)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롤러부(130)와 제2 이송롤러부(1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파이프(152) 상에는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주입노즐(1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이드 파이프(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롤부(120)로부터 완충포장재(1)가 공급 이송되는 상태에서, 제1 이송롤러부(13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2 파이프(152)가, 공급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에 삽입되어 완충포장재(1)를 포장재 이송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2 파이프(152)에 의해 가이드되는 완충포장재(1)는 제1 이송롤러부(130) 및 제2 이송롤러부(140)에 의해 포장재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며, 또한 제2 파이프(152)에 형성된 공기주입노즐(153)을 통해 제1 이송롤러부(130)와 제2 이송롤러부(140) 사이에서 밀폐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이프(152)는 끝단이 라운드지게 마감되어 있어, 완충포장재(1)의 이송 과정에서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가 제2 파이프(152) 끝단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터부(160)는 가이드 파이프(150)의 절곡된 부분에 구비되어, 가이드 파이프(150)의 공기주입노즐(153)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어 제1 이송롤러부(130) 및 제2 이송롤러부(140)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절개할 수 있다.
즉, 커터부(160)는 제1 파이프(151)와 제2 파이프(152)가 연결되는 절곡 부분에 구비되어, 공기주입이 완료된 후, 공기주입로(13)에 제2 파이프(152)가 수용된 채로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제1 파이프(151) 앞에서 절개함으로써, 완충포장재(1)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2 파이프(152)를 본체부(110)에 연결하는 제1 파이프(151)에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가 걸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커터부(160)는 커터날(161)의 양측부가 각각 제1 파이프(151) 및 제2 파이프(152)에 공고히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장기간 사용에도 커터날(161)이 부러지거나 고정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16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터부(160)는 일측에 볼트 체결을 위한 관통공(162)이 형성된 커터날(161)과, 관통공(162)을 통해 커터날(161)을 가이드 파이프(15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1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파이프(150)의 제1 파이프(151)는 사각 형태의 파이프로서, 상면에 커터날(161)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홈(154)이 형성되고, 안착홈(154) 내에는 체결볼트(163)가 체결되는 체결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154)은 안착되는 커터날(161)이 제2 파이프(152)를 향할 수 있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이프(151)와 인접한 제2 파이프(152)의 측면에는 커터날(161)의 타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5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가이드 파이프(150)에 커터부(16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는, 제1 파이프(151)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54)에 커터날(161)의 일측을 안착시키는 동시에, 커터날(161)의 타측을 제2 파이프(152)의 결합홈(156)에 삽입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안착홈(154)에 안착된 커터날(161)의 관통공(162)을 관통하여 체결홈(155)에 체결볼트(163)를 체결함으로써, 커터날(161)을 제1 및 제2 파이프(151,152)에 공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파이프(151,152)에 고정된 커터날(161)은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커터날(161)의 날 부분이 완충포장재(1)가 이송되어 오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제1 파이프(151) 쪽으로 이송되어 오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다.
또한, 커터날(161)의 양측부가 제1 파이프(151) 및 제2 파이프(152)에 공고히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절개 과정에서 커터날(161)이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커터날(161)의 상면에는 커터날(161)과 동일한 관통공(165)을 갖는 보강판(164)을 구비하여, 커터날(161)과 보강판(164)을 함께 제1 파이프(151)의 안착홈(154)에 안착시킨 후, 체결볼트(163)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커터날(161)의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도 있다.
한편, 정렬 가이드부(170)는 본체부(110)에서 가이드 파이프(150)의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가이드 파이프(150)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 가이드부(170)는 가이드 파이프(150)의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가이드 파이프(150)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1)의 하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바(171)와, 가이드바(171)의 상부에 구비되며, 가이드바(171)에 지지되어 가이드 파이프(150)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눌러주며 정렬하는 정렬바(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렬바(172)는 가이드바(171)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눌러주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본체부(110)에서 정렬 가이드부(170)의 전방에는 공급롤부(120)로부터 정렬 가이드부(170) 쪽으로 공급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에 일정한 장력을 부가하는 포장재 지지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재 지지부(180)는, 공급롤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1)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바(181)와, 제1 지지바(181)에 의해 지지되며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182) 및 제2 지지바(182)에 의해 지지되며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바(1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렬 가이드부(170)를 통해 가이드 파이프(150)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정렬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급롤부(120)로부터 공급되어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130,140)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는 포장재 지지부(180)의 제1 내지 제3 지지바(181,182,183)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장력이 부여될 수 있고, 이어서 제1 내지 제3 지지바(181,182,183)를 통과하여 가이드 파이프(150) 쪽으로 이송되면서, 정렬 가이드부(170)의 가이드바(171)와 정렬바(172)에 의해 완충포장재(1) 일측 가장자리부의 공기주입로(13)가 가이드 파이프(150)의 끝단 쪽으로 정렬되어 가이드 파이프(150)로 진입될 수 있다.
이때, 포장재 지지부(180)의 제1 내지 제3 지지바(181,182,183)는 완충포장재(1)의 상면 및 하면을 교대로 지지하여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공급롤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1)가 아래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완충포장재(1)가 포장재 이송방향에서 틀어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렬 가이드부(170)의 가이드바(171)는 제1 내지 제3 지지바(181,182,183)를 통과하는 완충포장재(1)의 하면을 지지하고, 정렬바(172)는 가이드바(171)의 상부에서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눌러주어, 가이드 파이프(150) 직전에서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가이드 파이프(150) 끝단 쪽으로 정렬함으로써, 완충포장재(1)의 이송과정에서 공기주입로(13)가 틀어지거나 요동하지 않고 가이드 파이프(150)에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는, 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파이프(150)가 제2 이송롤러부(140,도3 참조) 및 제1 이송롤러부(130)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1 이송롤러부(13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가이드 파이프(150)의 돌출된 끝단과 인접하여 앞쪽에 정렬 가이드부(170)가 배치되어 있어, 정렬 가이드부(170)에 의해 정렬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가 가이드 파이프(150)를 수용하면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는, 본체부(110)에서 가이드 파이프(150)의 후방에 배치되어, 가이드 파이프(150)의 공기주입노즐(153)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를 본체부(110)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보조 이송롤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이송롤러부(190) 역시 본체부(110) 내에 구비되는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상술한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130,140)와 동일한 속도로 회동될 수 있으며, 완충포장재(1)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가압하며 이송할 있도록, 상하 배치되는 제1 보조롤러(191) 및 제2 보조롤러(1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는, 본체부(110)에서 보조 이송롤러부(190)의 후방에 배치되어, 공기가 충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를 절단선(15)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분리하는 분리롤러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에 적용되는 완충포장재(1)는 일정 간격마다 공기셀(14)과 공기셀(14) 사이의 융착부에 절단선(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단선(15)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완충포장재(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롤러부(210)의 구조 및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이송롤러부(190)의 후방에 분리롤러부(210)를 구비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분리롤러부(210)는, 본체부(110)에서 보조 이송롤러부(19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하 배치되는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와,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하 배치되는 제3 및 제4 분리롤러(213,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는 보조 이송롤러부(190)의 제1 및 제2 보조롤러(191, 192)와 동일한 속도로 회동하며, 제3 및 제4 분리롤러(213,214)는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4 분리롤러(211,212,213,214)는, 완충포장재(1)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의 롤러로 형성되어, 보조 이송롤러부(19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상하면을 지지하면서 롤러 간의 속도차를 통해, 포장재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절단선(15)을 따라 완충포장재(1)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와 제3 및 제4 분리롤러(213,214) 간의 이격된 간격은 완충포장재(1)에 복수로 형성된 절단선(15) 간의 간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에서 제1 내지 제4 분리롤러(211,212,213,214)는 각각 소정 간격 승강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분리롤러(211,212,213,214)에 구비된 축은 각각 지지스프링(211,212,213,214)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력을 받으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완충포장재(1)가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와 제3 및 제4 분리롤러(213,214)를 차례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완충포장재(1)의 공기셀(14)이 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 중 하나의 롤러와, 제3 및 제4 분리롤러(213,214) 중 하나의 롤러만 승강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보조 이송롤러부(190)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가 분리롤러부(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가 완충포장재(1)를 이송하는 동시에, 그 후방에 배치된 제3 및 제4 분리롤러(213,214)가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하여 제1 및 제2 분리롤러(211,212)를 통과한 완충포장재(1)를 차례로 절단선(15)을 따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에는 보조 이송롤러부(19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를 분리롤러부(210)로 진입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하부에는 분리롤러부(210)에 의해 일정 길이로 분리되는 완충포장재(1)를 수거하는 수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에는 공기주입과정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작부(220)를 통해 장치의 전원 온/오프, 운전, 정지, 공기주입 압력 조절 및 완충포장재(1)의 이송속도 조절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완충포장재(1)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공급롤부(120)로부터 완충포장재(1)를 권출하여 포장재 지지부(180)와 정렬 가이드부(170)를 차례로 통과시킨 다음, 완충포장재(1)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된 공기주입로(13)에 가이드 파이프(150)의 제2 파이프(152)를 삽입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130,140)에 물리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세팅한다.
다음,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130,140)가 회동하여 완충포장재(1)가 공기주입로(13)에 가이드 파이프(150)의 제2 파이프(152)를 수용한 채로 이송됨으로써, 완충포장재(1)가 제2 파이프(152)를 따라 포장재 이송방향으로 가이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공급롤부(120)로부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130,140)로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는 포장재 지지부(180)의 제1 내지 제3 지지바(181,182,183)에 의해 포장재 상면 및 하면이 지지되어 장력이 부여됨으로써, 완충포장재(1)가 포장재 이송방향에서 틀어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가이드 파이프(150)의 제2 파이프(152)가 제1 이송롤러부(13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파이프(152)의 돌출된 끝단과 인접하여 앞쪽에 정렬 가이드부(170)가 배치되어 있어, 포장재 지지부(18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가 정렬 가이드부(170)에 의해 눌려지면서 제2 파이프(152) 끝단 쪽으로 정렬됨으로써, 공기주입로(13)가 틀어지거나 요동하지 않고 제2 파이프(152)에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130,140)를 통한 완충포장재(1)의 이송 과정에서는, 각각 상하로 배치된 제1 이송롤러부(130)의 제1 및 제2 롤러(131,132)와 제2 이송롤러부(140)의 제3 및 제4 롤러(141,142)가 제2 파이프(152)의 공기주입노즐(153)을 사이에 두고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밀폐하는 동시에, 제2 파이프(152)의 공기주입노즐(153)에서 밀폐된 공기주입로(13)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공기주입로(13)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다수개의 공기유입로(23)로 유입되어 공기셀(14)에 충진될 수 있으며, 이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130,140)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는 공기주입로(13)에 제2 파이프(152)가 수용된 채로 제2 파이프(152)를 따라 가이드 이송됨으로써, 이송 과정에서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가 제2 파이프(152)에서 본체부(110) 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 파이프(151)에 걸리지 않고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제1 파이프(151)와 제2 파이프(152) 사이에 구비된 커터부(160)를 통해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절개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후단에 분리롤러부(210)가 구비되는 경우,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가 분리롤러부(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포장재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절단선(15)을 따라 분리되면서 본체부(110) 하부에 구비된 수거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를 통해 완충포장재(1)에 공기를 주입하며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장치(100)에 비해 가열부(230) 및 융착롤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230)는 본체부(110)에서 가이드 파이프(150)의 후방에 배치되어, 커터부(160)에 의해 공기주입로(13)가 절개된 채로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가열부(230)는 포장재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동시에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융착롤러부(240)는 본체부(110)에서 가열부(230)의 후방에 배치되어, 가열부(2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완충포장재(1)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압하여 융착할 수 있는데, 완충포장재(1)에서 다수의 공기셀(14)의 입구쪽 즉, 공기주입로(13)와 다수의 공기셀(14)을 연통하는 다수의 공기유입로(23)의 입구쪽을 밀폐하도록 융착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완충포장재(1)는 공기셀(14)에 한번 공기가 주입되면 밸브 역할을 하는 내피에 의해 공기유입로(23)가 차단되어, 공기셀(14)로부터 역으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혹시 모를 공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포장재(1)의 공기유입로(23,도1 참조)의 입구쪽에 융착부(16)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유입로(23,도1 참조)의 입구쪽에 융착부(16)가 형성된 완충포장재(1)의 경우, 장기간 사용시에도 공기셀(14)의 건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100,100')는, 공급롤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1)를 이송하는 중에 연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공기 주입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공기가 주입된 채로 연속 이송되는 완충포장재(1)를 일정 길이로 절단선(15)을 따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파이프(150)를 통해 완충포장재(1)를 포장재 이송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가이드 파이프(150)와 인접한 전방에, 가이드 파이프(150)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부(170)를 구비하여, 가이드 파이프(150)로 진입되는 완충포장재(1)의 공기주입로(13)가 틀어지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완충포장재(1)가 가이드 파이프(150) 쪽으로 공급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가이드 파이프(150)와 완충포장재(1) 간의 간섭이나, 완충포장재(1)가 틀어져 공급되어 롤러 잼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완충포장재 100,100' : 공기주입장치
110 : 본체부 120 : 공급롤부
130 : 제1 이송롤러부 140 : 제2 이송롤러부
150 : 가이드 파이프 160 : 커터부
170 : 정렬 가이드부 180 : 포장재 지지부
190 : 보조 이송롤러부 210 : 분리롤러부
220 : 조작부 230 : 가열부
240 : 융착롤러부

Claims (14)

  1. 서로 겹쳐진 복수의 필름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일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공기주입로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주입로와 각각 연통하는 다수개의 공기셀이 형성되는 완충포장재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충포장재를 공급하는 공급롤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가압하여 폐쇄하면서 이송하는 제1 이송롤러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제1 이송롤러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가압하여 폐쇄하면서 이송하는 제2 이송롤러부;
    상기 제2 이송롤러부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에 삽입되어 상기 완충포장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의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 상에 공기주입노즐이 형성되는 가이드 파이프;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절곡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노즐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어 이송되는 상기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절개하는 커터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전방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상기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상기 완충포장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로 진입되는 상기 완충포장재의 공기주입로를 눌러주며 정렬하는 정렬바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정렬 가이드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롤부로부터 상기 정렬 가이드부로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포장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지지부는,
    상기 공급롤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완충포장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바;
    상기 제1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며 이송되는 상기 완충포장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 및
    상기 제2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며 이송되는 상기 완충포장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바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공기주입노즐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를 상기 본체부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보조 이송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부로부터 공급되는 완충포장재에는 일정 간격마다 상기 완충포장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절단선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보조 이송롤러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가 충진되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를 상기 절단선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리하는 분리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러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보조 이송롤러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하 배치되며, 상기 보조 이송롤러부와 동일한 속도로 회동하며 상기 완충포장재를 이송하는 제1 및 제2 분리롤러; 및
    상기 제1 및 제2 분리롤러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하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분리롤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분리롤러를 통과한 상기 완충포장재를 절단선을 따라 분리하는 제3 및 제4 분리롤러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롤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 및 제4 분리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본체부에서 소정 간격 승강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이송롤러부 및 상기 제1 이송롤러부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 이송롤러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커터날과, 상기 커터날을 가이드 파이프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이프의 상면에는 상기 커터날의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 내에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와 인접한 상기 제2 파이프의 측면에는 상기 커터날의 타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터날의 일측이 상기 제1 파이프의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커터날의 타측이 상기 제2 파이프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된 커터날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커터날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에 고정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상기 커터날에 중첩되어 체결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롤러부는 상기 완충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가압하며 이송하는 상하 배치된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롤러부는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 상하면을 가압하며 이송하는 상하 배치된 제3 롤러 및 제4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 제2 롤러, 제3 롤러 및 제4 롤러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 파이프가 통과하는 반원형의 요홈이 형성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커터부에 의해 공기주입로가 절개된 채로 이송되는 상기 완충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가열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상기 완충포장재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가압하여 완충포장재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셀의 입구쪽을 밀폐하도록 융착하는 융착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20180140468A 2018-11-15 2018-11-15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1983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468A KR101983084B1 (ko) 2018-11-15 2018-11-15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468A KR101983084B1 (ko) 2018-11-15 2018-11-15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084B1 true KR101983084B1 (ko) 2019-05-30

Family

ID=6667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468A KR101983084B1 (ko) 2018-11-15 2018-11-15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28B1 (ko) 2020-03-12 2021-07-20 오병돈 공기주입형 완충재용 공기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방법
KR102462561B1 (ko) * 2021-06-07 2022-11-03 한미화 에어쿠션 필름 제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5862A (ja) * 2000-08-14 2004-02-26 フリー フロー パッケイ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梱包用クッションを膨張させて密封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416118B1 (ko) * 2013-10-14 2014-07-09 주식회사 레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1576122B1 (ko) * 2015-04-28 2015-12-09 주식회사 레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20180007399A (ko) * 2016-07-13 2018-01-23 김대곤 손가락보호를 위한 주방용 칼날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5862A (ja) * 2000-08-14 2004-02-26 フリー フロー パッケイ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梱包用クッションを膨張させて密封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416118B1 (ko) * 2013-10-14 2014-07-09 주식회사 레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1576122B1 (ko) * 2015-04-28 2015-12-09 주식회사 레코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20180007399A (ko) * 2016-07-13 2018-01-23 김대곤 손가락보호를 위한 주방용 칼날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28B1 (ko) 2020-03-12 2021-07-20 오병돈 공기주입형 완충재용 공기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방법
KR102462561B1 (ko) * 2021-06-07 2022-11-03 한미화 에어쿠션 필름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084B1 (ko) 완충포장재 공기주입장치
US6708465B1 (en) Device and method for wrapping soft elements
US20160288937A1 (en) Tubular-bag machine having a gas-adjusting device, and gas-adjusting device for such a tubular-bag machine
EP2723557A1 (en) Device for producing a shock-absorbing inflatable package and method for filling it
KR1018997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20150130218A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WO2010109727A1 (ja) 緩衝材製造装置、多重被加工シート材及び多重被加工シート材製造装置
KR101063819B1 (ko) 포대 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대 밀봉방법
US20120283083A1 (en) Cutting station with complete cutting tool
US6571535B2 (en) Container forming device
KR101416118B1 (ko)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1576122B1 (ko)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US6481561B2 (en) Container feeder
US9688431B2 (en) Longitudinal sealing device
WO20031039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inflated materials
KR102206578B1 (ko) 접이식 플렉시블 패키지 밀봉 방법
KR101798834B1 (ko) 파이프 포장 장치
US20160318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ilm
US20200148401A1 (en) Strapping machine for strapping an article with a weldable plastic strap
JP2007508206A (ja) プラスチック材料のフィルムで商品を包装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およびこのように得られた包装
KR102279628B1 (ko) 공기주입형 완충재용 공기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주입방법
JP2001206306A (ja) 横型ピロー包装方法および横型ピロー包装装置
JP2022006597A (ja) 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2544999B1 (ko)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JPS621208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