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999B1 -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999B1
KR102544999B1 KR1020210063113A KR20210063113A KR102544999B1 KR 102544999 B1 KR102544999 B1 KR 102544999B1 KR 1020210063113 A KR1020210063113 A KR 1020210063113A KR 20210063113 A KR20210063113 A KR 20210063113A KR 102544999 B1 KR102544999 B1 KR 10254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rapping paper
sealing
packag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636A (ko
Inventor
강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그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그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그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10063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9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호퍼본체와 수직낙하관체를 갖는 부품수집호퍼(10); 상기 수직낙하관체와 연통된 경사안내관체(20); 상기 경사안내관체와 연통되고 공급되는 포장지원단이 외측으로 감싸여져 두겹이 되도록 보조하는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 상기 두겹으로 겹쳐진 포장지원단의 측단부 외측면을 밀착 가압 밀봉시켜 부분밀봉포장지를 형성시키는 동시에 맞닿은 상태로 축 회전되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부분밀봉포장지를 진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측단밀봉롤러(40); 및 상기 이송되어 온 부분밀봉포장지의 내부로 부품을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진행방향을 따라 각각 개방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양단부를 순차적으로 밀봉 및 커팅시켜 부품 포장을 완성시키는 한 쌍의 양단밀봉롤러(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품수집호퍼를 통해 수집된 부품은 수직낙하관체 및 경사안내관체를 통해 곧바로 부품 포장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함은 물론 이와 동시에 포장지도 포장지원단이 투입되면서 단계적으로 측단 밀봉, 부품투입, 상하 양단밀봉 및 커터에 의한 절단작업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부품 포장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부품 포장과 동시에 포장지 밀봉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COMPONENTS FOR COMPONENTS PACKING SYSTEM}
본 발명은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집호퍼에서 수집된 부품들이 안내관체를 따라 이송된 후 포장지 밀봉과 동시에 부품포장이 완성되도록 하는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 제조회사에서는 다수의 볼트를 포장하여 볼트 판매회사나 유통 회사에 납품하여 볼트를 판매하게 된다. 특히, 볼트의 경우에는 수나사가 각설된 몸통의 직경 크기 및 볼트 헤드의 직경이 각 제조기계 별로 다른 규격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필히 동일 규격의 볼트를 단일의 포장지 내에 구분하여 포장하고 납품해야만 한다.
따라서, 볼트 포장의 경우에는 별도의 공간에서 다수의 인력이 기제조된 볼트를 다수의 박스에 각각 적재한 상태에서 한 박스씩 볼트 규격을 체크하는 공정 및, 볼트의 개수를 계수하는 공정, 포장지를 준비하는 공정, 포장지에 정량의 볼트를 인입하는 공정, 포장지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공정 등으로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당 전공정을 진행하여야만 볼트의 포장이 마무리되게 되었다.
각 공정간의 연계성을 이루기 위한 동작들이 너무 복잡하고, 공정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종래의 볼트 포장공정을 자동화 장치의 개발로 해결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였던 바, 박스 단위의 볼트를 이송시키는 정도만 컨베이어를 통해 자동으로 이송시키고 있고, 나머지 전공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었다.
그러나, 볼트 포장의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진행하기에는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여러 곳에 손이 가기 때문에 일의 효율이 매우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인건비 상승에 따라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며, 작업자 특히 숙련공의 단기 부재상황 발생시 납기 일정을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에 초기 주문을 접수받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수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권취롤에 감긴 포장지 필름을 인출하여 일정길이마다 커팅하고 다시 그 하단을 실링함으로써 단위 포장지를 일일이 마련해야 하므로, 포장지 필름을 1개의 포장지 단위별로 일일이 그 길이를 측정해서 커팅하는 것도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커팅이 완료되면 다시 그 하단을 실링하여 1단위 포장지를 제조하여야 하고, 포장할 볼트를 투입한 이후 다시 상단을 실링하여 포장지를 밀폐시켜야 하므로 그 공정이 너무 많고 복잡하여 시간 소모량도 많을뿐더러, 작업자도 각 공정별로 배치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일례로, 하부 포장지 실링로드가 포장지 필름의 소정부를 절단하고 실링함으로써 1단위의 포장지를 구성하게 되면, 제어부는 출입실린더를 구동시켜 포장볼트 배출부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포장지가 상부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량 감지부에 구성된 배출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정량 감지부에 수용된 볼트를 낙하 가이드통을 통해 1차 실링된 포장지로 투입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켜 상부 포장지 실링로드를 통해 볼트가 투입된 포장지의 상단을 실링 처리하고, 그러면, 볼트 포장이 완료되고, 볼트 포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켜 포장지의 상단을 파지하는 파지력을 제거시킴으로써 포장이 완료된 볼트가 상기 상부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어부가 배출실린더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배출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상승되어 상기 상부받침판에 안착된 포장볼트를 배출판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부품포장장치는 포장지를 실링하는 과정과 부품을 포장지에 투입하는 과정 및 최종적으로 포장지를 포장하고 배출시키는 과정이 단계별로 소정의 인터벌을 갖고 진행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여러 단계에 소요되는 해당 장비들이 많이 필요하게 되면서 비용발생이 문제점을 갖게 됨은 물론 부품포장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7289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집호퍼를 통해 수집된 부품은 수직낙하관체 및 경사안내관체를 통해 곧바로 부품 포장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함은 물론 이와 동시에 포장지도 포장지원단이 투입되면서 단계적으로 측단 밀봉, 부품투입, 상하 양단밀봉 및 커터에 의한 절단작업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는, 낙하되는 부품이 수집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고 바닥면을 갖는 호퍼본체와, 상기 호퍼본체의 바닥면과 연통되어 하향 직립되는 수직낙하관체를 갖는 부품수집호퍼; 상기 수직낙하관체의 하단부와 일단부가 연통되고 타단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안내관체; 상기 경사안내관체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안내받은 부품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동시에 소정 방향에서 공급되는 포장지원단이 외측으로 감싸여져 두겹이 되도록 보조하는 포장지밀봉보조관체; 상기 두겹으로 겹쳐진 포장지원단의 측단부 외측면을 밀착 가압 밀봉시켜 부분밀봉포장지를 형성시키는 동시에 맞닿은 상태로 축 회전되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부분밀봉포장지를 진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측단밀봉롤러; 및 상기 이송되어 온 부분밀봉포장지의 내부로 부품을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진행방향을 따라 각각 개방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양단부를 순차적으로 밀봉 및 커팅시켜 부품 포장을 완성시키는 한 쌍의 양단밀봉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의 일측에 평판 형상인 상기 포장지원단의 중앙부를 밀어 폭 방향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며 접히도록 초기 포장 형상을 유도하는 포장지접힘유도체가 더 마련되되, 상기 포장지접힘유도체는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의 상단부에 배치되되 공급되는 상기 포장지원단의 상측은 폭 방향 양단부가 넓게 펴져 팽팽하게 라운드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 방향 양단부가 좁혀지면서 상기 측단밀봉롤러로 반듯하게 펴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상광하협 원추 구조로 되며, 상기 양단밀봉롤러는,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맞물리는 방향으로 축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본체가 마련되되, 상기 각각의 롤러본체는, 서로 맞물려 축 회전되는 동안, 원호 방향의 전방 일측에 이송되어 온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개방된 일단부를 밀착 가압하여 열융착 밀봉시키는 제1밀봉부; 상기 제1밀봉부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된 상태의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내부로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를 통해 상기 부품이 투입되고 나면 상기 롤러본체가 축 회전되면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를 일정거리 진행시킨 후 다시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타단부를 밀착 가압하여 열융착 밀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밀봉부의 원호방향 후방으로 소정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제2밀봉부; 및 상기 제1, 2밀봉부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밀봉부에 의한 밀봉에 이어 곧바로 밀봉된 타단부의 인접부위를 절단시켜 부품 포장이 완성된 완성포장지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본체는 외주면을 감싸 상기 낙하되는 부품에 의해 상기 롤러본체와 상기 부품 서로 간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롤러본체가 축 회전됨에 따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를 하방으로 당겨 진행시키기 위한 쿠션체가 더 마련되되, 상기 쿠션체는 상기 롤러본체 외주면 중 상기 제1, 2밀봉부 및 커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전체를 감싸되 상기 제1, 2밀봉부 및 커터의 돌출길이와 같은 두께를 갖는 구조로 되며, 상기 쿠션체는 상기 부분밀봉포장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부분밀봉포장지 내부로 상기 부품이 투입 및 포장 진행되는 것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부 절취되어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하는 간섭방지홈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집호퍼는 일측에 상기 부품이 상기 경사안내관체로 넘겨지는 시간을 소정의 설정값에 맞게 단속하기 위한 안내단속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집호퍼는 상기 수직낙하관체의 일측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절취된 틈새가 마련되고, 상기 안내단속부는 상기 틈새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직낙하관체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통공을 갖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출몰되는 출몰로드를 갖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관체는 일측에 내부로 연통된 노즐삽입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경사안내관체의 외측 인접부에 상기 노즐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이송되는 부품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이송에어노즐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단밀봉롤러의 인접 상방에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를 통해 접혀지는 상기 포장지원단의 측단부 외측면을 밀착 가압하여 상기 측단밀봉롤러에 의해 밀봉되기 전에 미리 포장지원단의 측단부가 밀접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압착가이드롤러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단밀봉롤러의 하방 일측에는 절단 후 낙하되는 완성포장지를 측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푸쉬에어노즐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측단밀봉롤러에 의해 측단부가 밀봉된 부분밀봉포장지의 측방향 양측을 벌려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사이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포장지벌림지지핀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는, 부품수집호퍼를 통해 수집된 부품은 수직낙하관체 및 경사안내관체를 통해 곧바로 부품 포장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함은 물론 이와 동시에 포장지도 포장지원단이 투입되면서 단계적으로 측단 밀봉, 부품투입, 상하 양단밀봉 및 커터에 의한 절단작업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부품 포장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부품 포장과 동시에 포장지 밀봉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의 안내단속부의 작동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서 포장지 측단이 밀봉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요부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에서 부품이 포장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요부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는, 부품수집호퍼(10)와, 경사안내관체(20)와,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와, 측단밀봉롤러(40)와, 양단밀봉롤러(50)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수집호퍼(10)는 낙하되는 부품(3)이 수집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고 바닥면을 갖는 상광하협 원추 구조의 호퍼본체(11)와, 상기 호퍼본체(11)의 바닥면과 연통되어 하향 직립되는 수직낙하관체(12)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수집호퍼(10)는 일측에 상기 부품(3)이 상기 경사안내관체(20)로 넘겨지는 시간을 소정의 설정값에 맞게 단속하기 위한 안내단속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수집호퍼(10)는 상기 수직낙하관체(12)의 일측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절취된 틈새(12a)가 마련되고, 상기 안내단속부(15)는 상기 틈새(12a)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직낙하관체(12)의 상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유로와 직경이 동일한 원형 통공(15a1)을 갖는 사각 판재 형상의 개폐판(15a) 및 상기 개폐판(15a)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출몰되는 출몰로드(15b1)를 갖는 실린더(15b)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사안내관체(20)는 상기 수직낙하관체(12)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연통되고 하측이 하향 경사지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길다란 관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안내관체(20)는 일측에 내부로 연통된 노즐삽입공(21)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경사안내관체(20)의 외측 인접부에는 상기 노즐삽입공(21)으로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안내관체(20)의 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부품(3)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이송에어노즐(2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는 상기 경사안내관체(20)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안내받은 부품(3)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동시에 소정 방향에서 공급되는 포장지원단(5)이 외측으로 감싸여져 두겹이 되도록 보조하기 위한 상하 직립 원관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의 일측에는 평판 형상인 상기 포장지원단(5)의 중앙부를 밀어 폭 방향 양단부가 상기 측단밀봉롤러(40)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접히도록 하여 초기 포장 형상을 유도하는 포장지접힘유도체(35)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포장지접힘유도체(35)는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의 상단부에 배치되되 공급되는 상기 포장지원단(5)의 상측은 폭 방향 양단부가 넓게 펴져 팽팽하게 라운드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 방향 양단부가 좁혀지면서 상기 측단밀봉롤러(40)를 향해 반듯하게 펴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상광하협 원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접힘유도체(35)의 내측에는 상기 경사안내관체(20)를 타고 내려온 부품(3)들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깔때기(3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는 하단부 일측에 상기 측단밀봉롤러(40)에 의해 측단부가 밀봉된 부분밀봉포장지(7)의 측방향 양측을 벌려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의 사이에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절곡 와이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포장지벌림지지핀(3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측단밀봉롤러(40)는 상기 두겹으로 겹쳐진 포장지원단(5)의 측단부 외측면을 밀착 가압 밀봉시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를 형성시키는 동시에 맞닿은 상태로 축 회전되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를 진행 방향으로 하향 이송시키는 한 쌍의 원판형 롤러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측단밀봉롤러(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밀착 겹쳐진 포장지원단(5)의 측단부를 열융착하여 밀봉되도록 하기 위한 열선(4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단밀봉롤러(40)의 인접 상방에는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를 통해 접혀지는 상기 포장지원단(5)의 측단부 외측면을 밀착 가압하여 상기 측단밀봉롤러(40)에 의해 밀봉되기 전에 미리 포장지원단(5)의 측단부가 밀접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상기 측단밀봉롤러(40)와 동일 구조를 갖는 압착가이드롤러(4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는, 외주면에 열선 대신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하방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마찰고무 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양단밀봉롤러(50)는 상기 이송되어 온 부분밀봉포장지(7)의 내부로 부품(3)을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진행방향을 따라 각각 개방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의 양단부를 순차적으로 밀봉 및 커팅시켜 부품 포장을 완성시키는 한 쌍의 원기둥 롤러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양단밀봉롤러(50)는,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맞물리는 방향으로 축 회전되는 한 쌍의 원기둥 형상의 롤러본체(51)가 마련되되, 상기 각각의 롤러본체(51)는, 일측에 이송되어 온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의 개방된 하단부를 밀착 가압하여 열융착 밀봉시키는 열선 구조의 제1밀봉부(52)와, 상기 제1밀봉부(52)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된 상태의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의 내부로 상기 포장지융착보조관체(30)를 통해 상기 부품(3)이 투입되고 나면 상기 롤러본체(51)가 축 회전되면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를 일정거리 하향 진행시킨 후 다시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의 상단부를 밀착 가압하여 열융착 밀봉시키는 열선 구조의 제2밀봉부(53) 및 상기 제2밀봉부(53)에 의한 밀봉과 동시에 밀봉된 타단부의 인접부위를 절단시켜 부품 포장이 완성된 완성포장지(9)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커터(54)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본체(51)는 외주면을 감싸 상기 낙하되는 부품(3)에 의해 상기 롤러본체(51)와 상기 부품(3) 서로 간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롤러본체(51)가 축 회전됨에 따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를 하방으로 당겨 진행시키기 위한 쿠션체(5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체(55)는 상기 롤러본체(51) 외주면 중 상기 제1, 2밀봉부(52,53) 및 커터(5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전체를 감싸되 상기 제1, 2밀봉부(52,53) 및 커터(54)의 돌출길이와 같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이들 사이에서 물려 진행되는 부분밀봉포장지(7)의 안내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체(55)는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 내부로 상기 부품(3)이 투입 및 포장 진행되는 것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부 절취되어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하는 간섭방지홈부(55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단밀봉롤러(50)의 하방 일측에는 절단 후 낙하되는 완성포장지(9)를 측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푸쉬에어노즐(6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품수집호퍼(10)로 수집된 부품들은 하단의 수직낙하관체(12)와 경사안내관체(20)를 거쳐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까지 안내되어 부분밀봉포장지(7)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수직낙하관체(12)에서는 부분밀봉포장지(7)로 투입되는 부품(3)이 간헐적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례로 부품이 대기상태로 있을 경우에는 실린더(15b)가 정지되고 개폐판(15a)은 수직낙하관체(12)의 중공을 차폐시킨 상태로 있다가, 부품(3) 공급시에 상기 실린더(15b)가 작동하여 출몰로드(15b1)를 전방으로 진행시키게 되면 개폐판(15a)의 통공(15a1)과 수직낙하관체(12)의 중공이 서로 일치되면서 부품(3)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낙하된 부품(3)은 하방의 경사안내관체(20)를 타고 미끄러져 깔때기(36)를 거친 후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로 전달된다.
여기서, 경사안내관체(20)를 타고 진행되는 부품(3)들은 별도의 이송에어노즐(25)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신속하게 안내된다.
그런 다음, 포장지접힘유도체(35)를 거쳐 접혀지면서 포장지밀봉보조관체(30)의 외주면에서 측단부가 겹쳐지게 되는 포장지원단(5)은 압착가이드롤러(45)에 의해 일단 측단부가 밀접하게 겹쳐진 상태에서 그 하방의 측단밀봉롤러(40)를 거치면서 측단부가 일차적으로 열융착 밀봉된다.
그러고 나서, 하방의 양단밀봉롤러(50)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측단부만 밀봉된 부분밀봉포장지(7)는 포장지벌림지지핀(37)에 의해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양단밀봉롤러(50)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이송되어 온 부분밀봉포장지(7)의 내부로 부품(3)을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진행방향을 따라 각각 개방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의 양단부를 순차적으로 밀봉 및 커팅시켜 부품 포장을 완성시키는 된다.
즉, 상기 양단밀봉롤러(50)는,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맞물리는 방향으로 축 회전되는 한 쌍의 원기둥 형상의 롤러본체(51)에 의해, 이송되어 온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의 개방된 하단부를 밀착 가압하여 열융착 밀봉시키는 열선 구조의 제1밀봉부(52)에 의해 일단부가 먼저 밀봉된 후, 하방으로 진행되는 동시에 상기 제1밀봉부(52)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된 상태의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의 내부로 상기 포장지융착보조관체(30)를 통해 상기 부품(3)이 투입되고 나면 상기 롤러본체(51)가 축 회전되면서 밀봉부(52,53)와 커너(54)가 없는 나머지 롤러본체(51)의 부분을 통해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를 일정거리 하향 진행시킨 후 다시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7)의 상단부를 밀착 가압하여 열융착 밀봉시키는 열선 구조의 제2밀봉부(53)에 의해 타단부도 밀봉이 완성되고 나면, 상기 제2밀봉부(53)에 의한 밀봉과 동시에 밀봉된 타단부의 인접부위를 커터(54)로 절단시켜 부품 포장이 완성된 완성포장지(9)를 하방으로 낙하시켜 밀봉작업을 완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는, 부품수집호퍼를 통해 수집된 부품은 수직낙하관체 및 경사안내관체를 통해 곧바로 부품 포장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함은 물론 이와 동시에 포장지도 포장지원단이 투입되면서 단계적으로 측단 밀봉, 부품투입, 상하 양단밀봉 및 커터에 의한 절단작업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부품 포장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부품 포장과 동시에 포장지 밀봉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른 제품 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3 : 부품 5 : 포장지원단
7 : 부분밀봉포장지 9 : 완성포장지
10 : 부품수집호퍼 11 : 호퍼본체
12 : 수직낙하관체 12a : 틈새
15 : 안내단속부 15a : 개폐판
15a1 : 통공 15b : 실린더
15b1 : 출몰로드 20 : 경사안내관체
21 : 노즐삽입공 25 : 에어노즐
30 : 포장지밀봉보조관체 35 : 포장지접힘유도체
36 : 깔때기 37 : 포장지벌림지지핀
40 : 측단밀봉롤러 41 : 열선
45 : 압착가이드롤러 50 : 양단밀봉롤러
51 : 롤러본체 52 : 제1밀봉부
53 : 제2밀봉부 54 : 커터
55 : 쿠션체 55a : 간섭방지홈부
60 : 푸쉬에어노즐

Claims (7)

  1. 낙하되는 부품이 수집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고 바닥면을 갖는 호퍼본체와, 상기 호퍼본체의 바닥면과 연통되어 하향 직립되는 수직낙하관체를 갖는 부품수집호퍼;
    상기 수직낙하관체의 하단부와 일단부가 연통되고 타단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안내관체;
    상기 경사안내관체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안내받은 부품을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동시에 소정 방향에서 공급되는 포장지원단이 외측으로 감싸여져 두겹이 되도록 보조하는 포장지밀봉보조관체;
    상기 두겹으로 겹쳐진 포장지원단의 측단부 외측면을 밀착 가압 밀봉시켜 부분밀봉포장지를 형성시키는 동시에 맞닿은 상태로 축 회전되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부분밀봉포장지를 진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측단밀봉롤러; 및
    상기 이송되어 온 부분밀봉포장지의 내부로 부품을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진행방향을 따라 각각 개방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양단부를 순차적으로 밀봉 및 커팅시켜 부품 포장을 완성시키는 한 쌍의 양단밀봉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의 일측에 평판 형상인 상기 포장지원단의 중앙부를 밀어 폭 방향 양단부가 서로 마주보며 접히도록 초기 포장 형상을 유도하는 포장지접힘유도체가 더 마련되되,
    상기 포장지접힘유도체는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의 상단부에 배치되되 공급되는 상기 포장지원단의 상측은 폭 방향 양단부가 넓게 펴져 팽팽하게 라운드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 방향 양단부가 좁혀지면서 상기 측단밀봉롤러로 반듯하게 펴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상광하협 원추 구조로 되며,
    상기 양단밀봉롤러는,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맞물리는 방향으로 축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본체가 마련되되,
    상기 각각의 롤러본체는,
    서로 맞물려 축 회전되는 동안, 원호 방향의 전방 일측에 이송되어 온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개방된 일단부를 밀착 가압하여 열융착 밀봉시키는 제1밀봉부;
    상기 제1밀봉부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된 상태의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내부로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를 통해 상기 부품이 투입되고 나면 상기 롤러본체가 축 회전되면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를 일정거리 진행시킨 후 다시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의 타단부를 밀착 가압하여 열융착 밀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밀봉부의 원호방향 후방으로 소정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제2밀봉부; 및
    상기 제1, 2밀봉부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밀봉부에 의한 밀봉에 이어 곧바로 밀봉된 타단부의 인접부위를 절단시켜 부품 포장이 완성된 완성포장지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커터;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본체는 외주면을 감싸 상기 낙하되는 부품에 의해 상기 롤러본체와 상기 부품 서로 간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롤러본체가 축 회전됨에 따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부분밀봉포장지를 하방으로 당겨 진행시키기 위한 쿠션체가 더 마련되되,
    상기 쿠션체는 상기 롤러본체 외주면 중 상기 제1, 2밀봉부 및 커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전체를 감싸되 상기 제1, 2밀봉부 및 커터의 돌출길이와 같은 두께를 갖는 구조로 되며,
    상기 쿠션체는 상기 부분밀봉포장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부분밀봉포장지 내부로 상기 부품이 투입 및 포장 진행되는 것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부 절취되어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하는 간섭방지홈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집호퍼는 일측에 상기 부품이 상기 경사안내관체로 넘겨지는 시간을 소정의 설정값에 맞게 단속하기 위한 안내단속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집호퍼는 상기 수직낙하관체의 일측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절취된 틈새가 마련되고,
    상기 안내단속부는 상기 틈새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직낙하관체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통공을 갖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출몰되는 출몰로드를 갖는 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관체는 일측에 내부로 연통된 노즐삽입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경사안내관체의 외측 인접부에 상기 노즐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이송되는 부품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이송에어노즐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밀봉롤러의 인접 상방에 상기 포장지밀봉보조관체를 통해 접혀지는 상기 포장지원단의 측단부 외측면을 밀착 가압하여 상기 측단밀봉롤러에 의해 밀봉되기 전에 미리 포장지원단의 측단부가 밀접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압착가이드롤러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밀봉롤러의 하방 일측에는 절단 후 낙하되는 완성포장지를 측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푸쉬에어노즐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KR1020210063113A 2021-05-17 2021-05-17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KR10254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13A KR102544999B1 (ko) 2021-05-17 2021-05-17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13A KR102544999B1 (ko) 2021-05-17 2021-05-17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636A KR20220155636A (ko) 2022-11-24
KR102544999B1 true KR102544999B1 (ko) 2023-06-20

Family

ID=8423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113A KR102544999B1 (ko) 2021-05-17 2021-05-17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9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409A (ja) * 2000-02-01 2001-08-07 Calbee Foods Co Ltd 棒状物の整列装置および方法
JP2003291920A (ja) * 2002-03-29 2003-10-15 Nitto Seiko Co Ltd 自動部品包装機における包装フィルム張力補正装置
JP2012236650A (ja) * 2011-04-28 2012-12-06 Sanko Kikai Kk ロールタイプ自動包装機におけるポケットシールロール機構
JP2014091567A (ja) * 2012-11-06 2014-05-19 Hirata Neji Kk ネジの袋詰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0464B2 (ja) * 1996-10-01 2004-09-29 日本精機株式会社 連続帯状包装袋の切断装置
KR100847289B1 (ko) 2008-02-12 2008-07-18 강현수 포장지 제조 및 실링 기능이 구비된 볼트 자동 포장장치
KR20100097080A (ko) * 2010-04-09 2010-09-02 노한래 자동포장기의 롤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409A (ja) * 2000-02-01 2001-08-07 Calbee Foods Co Ltd 棒状物の整列装置および方法
JP2003291920A (ja) * 2002-03-29 2003-10-15 Nitto Seiko Co Ltd 自動部品包装機における包装フィルム張力補正装置
JP2012236650A (ja) * 2011-04-28 2012-12-06 Sanko Kikai Kk ロールタイプ自動包装機におけるポケットシールロール機構
JP2014091567A (ja) * 2012-11-06 2014-05-19 Hirata Neji Kk ネジの袋詰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636A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RM990269A1 (it)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un film per confezioni e macchina perconfezionare diversi pacchetti in modo automatico.
CN107848641A (zh) 包装机
ITBO20090638A1 (it) Metodo e macchina per il confezionamento di capsule con prodotti da infusione
JP2010502521A (ja) 複数の充填済みバッグを一緒に包装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使用される装置および得られたスナック充填バッグの包装体
US11225342B2 (en) Packaging method and line for improved finished product
JPS5952092B2 (ja) 周囲にシ−トが被着されている一個物貨物特に袋物のパレツトのない積み重ねを作るための装置
CH674185A5 (ko)
US3557525A (en) Apparatus for making and filling bags
KR102544999B1 (ko) 부품포장시스템용 부품포장장치
JP5994644B2 (ja) 包装紙の接合装置および接合方法
EP1588950A1 (en) A method for forming a handle on film used to produce packs of rolls of products
US5865941A (en) Device for sealing plastics films
US11225343B2 (en) Packaging method and line for improved finished product
US4646507A (en) Machine for making packs for flowing material
KR100738120B1 (ko) 롤팩 제조장치
US3432988A (en) Apparatus for packing,preferably of round or flat laps or bales in plastic film packings
US20070079923A1 (en) Method for changing rolls of tubular film
US2419982A (e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ITUD980105A1 (it) Dispositivo per completare il confezionamento di involucri per pennelli
JP5033445B2 (ja) 縦型製袋充填包装機における充填筒構造
KR101015603B1 (ko) 원통형 물품의 자동 포장장치
KR101787490B1 (ko) 장류의 박스형 포장을 위한 비닐 자동 공급장치
EP0532785B1 (en) Film-wrapping and boxing machine particularly for spools of thread and the like
US3559369A (en) Machine for producing, filling, and closing packages
JPS63306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