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574B1 -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 Google Patents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574B1
KR101981574B1 KR1020170177865A KR20170177865A KR101981574B1 KR 101981574 B1 KR101981574 B1 KR 101981574B1 KR 1020170177865 A KR1020170177865 A KR 1020170177865A KR 20170177865 A KR20170177865 A KR 20170177865A KR 101981574 B1 KR101981574 B1 KR 10198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ide plate
box
plate
co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7017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6Containers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stacking the containers at different levels, i.e. without nesting of th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의 상부를 가리는 제1위치와,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서 연장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서 단부까지 연장된 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측판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측판의 이격거리보다 넓고, 상기 구성에 의해 커버를 연 상태에서 상하로 적재시 상자들의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Box with no interference between covers during nesting}
본 발명은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버를 연 상태에서 적재가 가능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버가 설치된 상자는 바닥판과 사방의 측판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상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자와 관련하여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1991-000676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상자는 커버를 연 상태나 닫은 상태에서 여러 개의 상자를 쌓아서 보관하기도 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상자는 커버가 평평한 판 형상이기 때문에, 커버를 연 상태에서 상자를 상하로 여러 개 적재시키면 상부 상자의 커버 중 하측 부분이 하부 상자의 커버 중 상측 부분에 얹혀지고, 이로 인해 얹혀진 커버가 연직(점선 B)으로 위치되지 않고 측판으로부터 벌어져 상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상자의 부피가 증가되므로 운송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상자는 커버를 연 상태에서 다른 상자의 상부에 적재시킬 때 적재시키려는 상자의 커버가 하부 상자의 커버에 걸려 적재가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1991-000676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로 적재시 상자들의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적재시킨 상자들의 부피를 감소시켜 효율적으로 운송시킬 수 있는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의 상부를 가리는 제1위치와,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서 연장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서 단부까지 연장된 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측판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측판의 이격거리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커버의 일면과 상기 측판 중 상기 제2커버와 마주보는 외면의 이격거리는 최소한 상기 제1커버의 타면과 상기 측판 중 상기 제1커버와 마주보는 외면의 이격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커버가 하측에 적재된 다른 상자의 상기 제1커버에 얹히지 않아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의 상부를 가리는 제1위치와,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서 연장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서 단부까지 연장된 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커버의 타면은 연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의 상부를 가리는 제1위치와,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서 연장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서 단부까지 연장된 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하로 적재된 상자들은 상기 제2커버의 타면들이 가상의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상의 일직선은 연직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는 상기 측판 중 좌측판에 설치되는 좌측커버와, 상기 측판 중 우측판에 설치되는 우측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상자는 좌우가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자는 여러 개의 상자들을 상하방향으로 적재 시 상자들의 커버간에 간섭이 없어 적재된 상자들의 부피가 종래보다 감소되므로 효율적으로 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상자의 커버를 연 상태에서 여러 개 적재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상자에 설치된 커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자의 커버를 연 상태에서 여러 개 적재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상자에 설치된 커버의 측면도 및 일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자의 커버가 제1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자의 커버가 제2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상자를 여러 개 적재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상자를 여러 개 적재한 상태의 사시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3에는 연직과 나란한 점선 B를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적재 시 커버(151,153)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100)는, 바닥판(102)과, 상기 바닥판(102)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판과, 상기 바닥판(102)과 상기 측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104)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51,153)를 포함한다.
측판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마주보는 측판들간에 거리가 증가된다.
본 실시 예의 상자(100)는 바닥판(102)의 사각형이며, 측판은 바닥판(102)의 네 개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총 네 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151,153)가 설치되는 측판을 좌측판(111),우측판(113)이라 하고, 나머지 측판을 전측판(115),후측판(117)이라고 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151,153)는 상기 공간(104)의 상부를 가리는 제1위치와,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된다. 제1위치는 커버(151,153)가 공간(104)의 상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말하고, 제2위치는 커버(151,153)가 공간(104)의 상부를 개방시킨 상태를 말한다. 도 5, 도 7은 커버(151,153)가 제1위치일 때를 기준으로 도시하였고, 도 3, 도 6, 도 8은 커버(151,153)가 제2위치일 때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커버(151,153)는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제1커버(160)와, 상기 제1커버(160)에서 연장된 굴곡부(155)와, 상기 굴곡부(155)에서 단부까지 연장된 2커버(151,153)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커버(151,153)가 제1위치일 때를 기준으로, 제1커버(160)는 제2커버(170)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커버(151,153)가 제2위치일 때를 기준으로, 제1커버(160)는 제2커버(170)보다 측판에 가깝게 위치된다.
제1커버(160)의 단면과 제2커버(170)는 단면은 항상 일정하다.
상자(100)의 커버(151,153)가 제1위치일 때 상부에 다른 상자(100)를 적재시키면 상부 상자(100b)는 제1커버(160)에 얹히되 제2커버(170)와는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커버(170)의 두께는 제1커버(16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도 좋다. 이로 인해 제2커버(170)는 두께가 두꺼울 필요가 없어 재료비가 감소된다.
이러한 제1커버(160)와 제2커버(170)를 연결하는 굴곡부(155)의 두께는 제2커버(170) 측으로 갈수록 얇아진다.
본 발명의 상자(100)는 커버(151,153)가 제2위치일 때, 제2커버(170)와 측판의 이격거리는 제1커버(160)와 측판의 이격거리보다 넓다. 보다 자세하게, 제2커버(170)의 일면과 측판 중 제2커버(170)와 마주보는 외면의 이격거리는 최소한 제1커버(160)의 타면과 측판 중 제1커버(160)와 마주보는 외면의 이격거리와 같다. 보다 자세하게 상하로 적재된 상자(100a,100b,100c)들은 제2커버(170)의 타면들이 가상의 일직선(A) 상에 위치된다. 이때 가상의 일직선(A)은 연직과 나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상자(100)는 여러 개가 상하로 적재되면 각 상자(100a,100b,100c)들의 제2커버(170)의 타면은 연직으로 위치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상자(100)는 제2커버(170)가 하측에 적재된 다른 상자(100)의 제1커버(160)에 얹히지 않아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상자들(100)을 상하방향으로 적재 시 상자들(100a,100b,100c)의 커버(151,153)간에 간섭이 없어 적재된 상자들(100a,100b,100c)의 부피가 종래보다 감소되므로 효율적으로 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자(100)는 제2커버(170)의 타면 및 제1커버(160)의 일면이 연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접촉되므로 커버(151,153)간에 간섭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제1커버(160)의 타면이나 제2커버(170)의 일면까지 연직으로 위치될 필요는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커버(151,153)는 상기 측판 중 좌측판(111)에 설치되는 좌측커버(151)와, 상기 측판 중 우측판(113)에 설치되는 우측커버(153)를 포함하되, 상기 상자(100)는 좌우가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하로 적재된 상자(100a,100b,100c)끼리 좌우 균형이 맞아 흔들림이 없고, 각 상자(100)의 좌측과 우측이 상부에 있는 상자(100)의 좌측커버(151)와 우측커버(153)에 각각 지지되므로 상자(100)의 적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측판들의 모서리와 좌측판(111)의 중앙와 우측판(113)의 중앙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면에는 홈(123)이 생기고 외면에는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자(100)를 상하로 적재시킬 때 돌출부(121)가 하부 상자(100c)의 홈(123)에 삽입된다.
측판의 상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버(151,153)가 설치 또는 얹혀지는 지지부(130a,130b)가 형성된다. 지지부(130a,130b)는 측판의 둘레와 연결된다.
좌측판(111) 및 우측판(113)의 지지부(130a)에는 후술될 축대(131)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좌측판(111) 및 우측판(113)의 지지부(130a)에는 지지부(130a)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좌측판(111) 또는 우측판(113)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범퍼(127)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범퍼(127)는 상기 측판들의 모서리 외면의 돌출부(121)에 연결된다. 범퍼(127)는 좌측판(111) 또는 우측판(113) 당 2 개씩 형성된다. 커버(151,153)가 제2위치일 때 상자(100)가 상하로 적재되면 범퍼(127)는 하부 상자(100c)의 좌측판(111) 및 우측판(113)의 후술될 축대(131)의 상면에 접촉된다. 보다 자세하게 범퍼(127)는 후술될 축대(131) 중 하부 상자(100c)의 전측판(115)과 후측판(117)에 가장 근접한 축대(131)의 상면에 접촉된다.
전측판(115) 및 후측판(117)의 지지부(130b)에는 커버(151,153)의 전후측이 얹혀진다.
전측판(115) 및 후측판(117)의 지지부(130b)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133)들과, 리브(133)의 일부분이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 적재편(135)을 더 포함한다. 커버(151,153)가 제2위치일 때 상자(100)가 상하로 적재되면 적재편(135)은 하부 상자(100c)의 전측판(115) 및 후측판(117)의 상단에 얹혀진다. 적재편(135)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전측판(115)의 하측에는 네임텍을 넣는 홈인 수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의 전방에는 투명재질의 가림판이 설치된다.
전측판(115) 및 후측판(117)에는 축대(131)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전측판(115) 및 후측판(117)의 상단은 좌측판(111) 및 우측판(113)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적재편(135)의 하단은 범퍼(127)의 하단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51,153)의 일면에는 스토퍼(16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63)는 제1커버(160) 중 전측 단부와 후술될 홈(141a) 사이 및 제1커버(160) 중 후측 단부와 후술될 홈(141a) 사이에 1 개씩 형성되어 제1커버(160) 당 2 개가 형성된다.
스토퍼(163)는 상부에 적재될 상자(100b)의 측판과 마주보는 지지편(165)과, 지지편(165)의 양단에서 전측 또는 후측으로 연장된 양측의 보강편(167)을 포함한다. 지지편(165)과 보강편(167)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전측판(115)에 가깝게 형성된 스토퍼(163)를 기준으로, 보강편(167)은 지지편(165)보다 전측판(115)에 가깝도록 위치된다. 상자(100)를 전측 또는 후측에서 똑바로 볼 때 지지편(165)의 단면은 좌우폭이 상하높이보다 큰 직사각형이고, 상자(100)를 좌측 또는 우측에서 똑바로 볼 때 보강편(167)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보강편(167)은 제1커버(160)와 연결된 하면부터 상면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감소된다. 따라서 상자(100)를 전측 또는 후측에서 똑바로 볼 때에도 보강편(167)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전측판(115)에 가깝게 형성된 스토퍼(163)를 기준으로, 보강편(167)의 전면은 전측판(115)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스토퍼(163)의 내부에는 지지편(165)과 보강편(167)에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커버(151,153)가 제1위치일 때 상자(100)의 상부에 다른 상자(100)를 적재시키면, 상부 상자(100b)는 스토퍼(163)에 걸려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전측판(115) 또는 후측판(117)에서 범퍼(127)까지의 거리는 전측판(115) 또는 후측판(117)에서 스토퍼(163)까지의 거리보다 멀다. 따라서 커버(151,153)가 제2위치일 때 범퍼(127)와 스토퍼(163)가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한편, 커버(151,153)가 제1위치일 때, 제2커버(170)의 단부측 모서리 부근과, 좌측커버(151) 및 우측커버(153)의 단부측 모서리 부근에는 개방방지부(149)가 동시에 설치된다.
제2커버(170)의 단부측 모서리에는 개방방지부(149)가 삽입되는 삽입공(179)이 형성되고, 전측판(115) 및 후측판(117)의 지지부(130b) 상면에는 개방방지부(149)의 단부가 삽입되는 또 다른 삽입공(129)이 형성된다.
개방방지부(149)는 제2커버(170) 상에 접촉되는 고정편과, 고정편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커버(170)의 삽입공(179)과 전측판(115) 및 후측판(117)의 삽입공(129)에 삽입되는 돌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은 좌측커버(151)의 제2커버(170)와 우측커버(153)의 제2커버(170)에 동시에 접촉된다.
개방방지부(149)는 제2커버(170)의 홈들(141b)보다 전측 및 후측에 설치되어 양측의 스토퍼(163) 사이에 위치된다.
제1커버(160) 및 제2커버(17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홈(141a,141b)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커버(160)의 홈(141a)의 크기가 제2커버(170)의 홈(141b)의 크기보다 작다.
홈(141a,141b)은 커버(151,153)가 제1위치일 때 상자(100)의 제1커버(151)에 상부 상자(100b)의 바닥판(102)의 일부만 접촉되므로 상부에 있는 상자(100)가 하부에 있는 상자(100)에 들러 붙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커버(151,153)의 중앙, 제2커버(170)의 중앙 단부에는 직사각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이루는 바닥면에는 돔 형상의 돌기가 복수 개 형성된다. 커버(151,153)가 제1위치일 때 좌우커버(151,153)의 홈들이 서로 연결되어 대략 정사각형의 홈이 된다.
커버(151,153)가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제1커버(160)의 단부에는 축대(161)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좌측판(111) 및 우측판(113)의 지지부(130a)에는 커버(151,153)의 축대(161)가 사이에 위치되도록 또 다른 축대(131)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커버(151,153)의 축대(161)와 측판의 축대(131)에는 중심축이 일정한 설치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홀에 축봉(미도시)이 설치된다.
축대(161)는 제1커버(160)의 좌측 단부 부근 또는 우측 단부 부근에 연결된 채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51,153)는 제1위치일 때를 기준으로 축대(161)가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축대(161)의 하측에 제1커버(160)가 위치되며, 제1커버(160)의 하측에는 굴곡부(155)가 위치되고 가장 하측에 제2커버가 위치된다.
커버(151,153)가 제1위치일 때, 제1커버(160)의 축대(161)는 좌우측판(111,113)의 축대(131)보다 제2커버(17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자(100)의 상부에 적재된 상부 상자(100b)는 제1커버(160)의 축대(161)에 걸려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한편 스토퍼(163)도 제1커버(16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하나 스토퍼(163)의 상단은 축대(161)의 상단보다는 낮다.
한편, 바닥판(102)의 일부는 격자무늬(미도시)로 형성되어 격자 사이마다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은 상자(100)의 내부 공간(104)을 외부 공간(104)과 연통시킨다. 따라서 상부 상자(100b)의 내부 공간(104)은 바닥판(102)의 관통공(미도시)과 하부 상자(100c)의 홈(141a,141b)에 의해 외부 공간(104)과 공기가 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상자(100)의 사용 예를 설명하되, 도 8과 같이 커버(151,153)가 제2위치인 상태의 상자(100)들이 상하로 적재되며 그 중 상부와 하부에 상자(100b,100c)가 적재된 가운데 상자(100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좌측판(111) 및 우측판(113)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므로, 좌측판(111) 또는 우측판(113)의 외면에서 제2커버(170)의 일면까지의 수평 이격거리는 좌측판(111) 또는 우측판(113)의 내면부터 제1커버(160)의 일면까지의 수평 이격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좌측판(111) 또는 우측판(113)과 제2커버(170)의 일면의 이격거리는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좌측판(111) 및 우측판(113)과 제2커버(170)의 일면 사이의 이격거리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하부 상자(100c)의 상측 일부, 보다 자세하게 하부 상자(100c)의 제1커버(160), 좌측판(111) 또는 우측판(113), 좌측판(111) 또는 우측판(113)의 지지부(130a), 범퍼(127)가 위치된다. 이로 인해 각 상자(100)들의 제1커버(160)의 일,타면과 제2커버(170)의 일,타면은 연직으로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제1커버(160)의 일면은 좌측판(111) 또는 우측판(113)의 지지부(130a)와 면 접촉될 수 있고, 제1커버(160)의 타면은 상부 상자(100b)의 제2커버(170)의 일면과 면 접촉될 수 있으며, 제2커버(170)의 일면은 하부 상자(100c)의 제1커버(160)의 타면과 면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커버(160)의 타면과 상부 상자(100b)의 제2커버(170)의 일면의 접촉면은 연직으로 위치되고, 제2커버(170)의 일면과 하부 상자(100c)의 제1커버(160)의 타면의 접촉면 또한 연직으로 위치된다. 즉 본 발명의 상자(100)가 상하로 여러 개 적재되더라도 상자(100)의 커버(151,153)는 상부 상자(100b)의 커버(151,153)를 외측으로 밀어내거나 하부 상자(100c)의 커버(151,153)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는다.
한편, 굴곡부(155)에는 아무것도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부(155)가 임의의 구성과 접촉되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커버(151,153) 전체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위치일 때의 커버(151,153)의 일면은 커버(151,153)의 상면을 말하고, 제2위치일 때의 커버(151,153)의 타면은 커버(151,153)의 하면을 말한다.
한편, 도 3, 도 7, 도 8의 상자(100a, 100b, 100c)들은 도 5, 도 6의 상자(100)와 동일한 상자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상자 100a : 상자(중앙)
100b : 상부상자 100c : 하부상자
111 : 좌측판 113 : 우측판
115 : 전측판 117 : 후측판
127 : 범퍼 129 : 관통공 (측판)
130a,130b : 둘레부 131 : 축대 (측판)
133 : 리브 135 : 적재편
141a,141b : 홈 149 : 개방방지부
151 : 좌측커버 153 : 우측커버
155 : 굴곡부 160 : 제1커버
161 : 축대 (커버) 163 : 스토퍼
165 : 지지편 167 : 보강편
170 : 제2커버 179 : 관통공 (커버)

Claims (7)

  1. 삭제
  2.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의 상부를 가리는 제1위치와,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서 연장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서 단부까지 연장된 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측판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측판의 이격거리보다 넓고,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커버의 일면과 상기 측판 중 상기 제2커버와 마주보는 외면의 이격거리는 최소한 상기 제1커버의 타면과 상기 측판 중 상기 제1커버와 마주보는 외면의 이격거리와 같은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2커버가 하측에 적재된 다른 상자의 상기 제1커버에 얹히지 않아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4.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의 상부를 가리는 제1위치와,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서 연장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서 단부까지 연장된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기 제제2커버의 타면은 연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5.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측판;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공간의 상부를 가리는 제1위치와, 상기 측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서 연장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서 단부까지 연장된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제2위치일 때, 상하로 적재된 상자들은 상기 제제2커버의 타면들이 가상의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일직선은 연직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측판 중 좌측판에 설치되는 좌측커버와, 상기 측판 중 우측판에 설치되는 우측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상자는 좌우가 대칭인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KR1020170177865A 2017-12-22 2017-12-22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KR10198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865A KR101981574B1 (ko) 2017-12-22 2017-12-22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865A KR101981574B1 (ko) 2017-12-22 2017-12-22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574B1 true KR101981574B1 (ko) 2019-08-30

Family

ID=6777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865A KR101981574B1 (ko) 2017-12-22 2017-12-22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254A (ko) 2022-07-04 2024-01-12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수납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763Y1 (ko) 1988-11-11 1991-09-09 원종욱 절첩식 운반 상자
JP2001122305A (ja) * 1999-10-21 2001-05-08 Asahi Kasei Puromakkusu Kk 嵌合容器
JP3275131B2 (ja) * 1996-11-11 2002-04-15 花王株式会社 合成樹脂製収納容器
JP3182866U (ja) * 2011-04-25 2013-04-18 ダニエル・グリーンバーグ 収容システムおよびこの収容システムに適用可能な密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763Y1 (ko) 1988-11-11 1991-09-09 원종욱 절첩식 운반 상자
JP3275131B2 (ja) * 1996-11-11 2002-04-15 花王株式会社 合成樹脂製収納容器
JP2001122305A (ja) * 1999-10-21 2001-05-08 Asahi Kasei Puromakkusu Kk 嵌合容器
JP3182866U (ja) * 2011-04-25 2013-04-18 ダニエル・グリーンバーグ 収容システムおよびこの収容システムに適用可能な密封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254A (ko) 2022-07-04 2024-01-12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수납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303B2 (en) Packaging box
KR101981574B1 (ko)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KR20160058705A (ko) 수납 케이스
JP6457848B2 (ja) 運搬用容器
JP6265662B2 (ja) 基板収納容器
JP7184324B2 (ja) 容器
JP4789184B2 (ja) Snコンテナー
JP4958229B2 (ja) コンテナー蓋
JP6289869B2 (ja) コンテナ
JP5406120B2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JP4793877B2 (ja) 蓋付きケース
JP7100342B2 (ja) 運搬用容器
JP7123382B2 (ja) 容器
JP4303561B2 (ja) ダネッジ段積みシステム及ダネッジ段積みシステム用カバー部材
KR101408669B1 (ko) 박판 수납용기
JP6057324B2 (ja) コンテナセット
JP7396583B2 (ja) コンテナ
JP7213519B2 (ja) コンテナ
JP7378726B2 (ja) 容器
JP4077944B2 (ja) 箱型容器
JP2017197212A (ja) 運搬用容器
JP2019199274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7134482B2 (ja) 折畳み容器
JP2022167357A (ja) 温水装置の包装構造
JP7334960B2 (ja) 嵩上部材及び嵩上部材付き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