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705A -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705A
KR20160058705A KR1020150160128A KR20150160128A KR20160058705A KR 20160058705 A KR20160058705 A KR 20160058705A KR 1020150160128 A KR1020150160128 A KR 1020150160128A KR 20150160128 A KR20150160128 A KR 20150160128A KR 20160058705 A KR20160058705 A KR 20160058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lid
depth direction
stand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144B1 (ko
Inventor
마사카즈 오카
Original Assignee
텐마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마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텐마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58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수납 케이스(1)는 서로 간격을 두고 기립 형성된 한 쌍의 측판부(3)와, 측판부(3)끼리를 접속하는 바닥판부(4) 및 배판부(5)를 갖는 박스 본체부(2)와, 한 쌍의 측판부(3)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하는 단면(3a)과, 적어도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에서 간극을 둔 상태로, 상방으로부터 한 쌍의 측판부(3)를 덮어, 박스 본체부(2)와 함께 전면 개구부(OP)를 형성하는 천정판부(6)와, 측판부(3)의 단면(3a)에 각각 형성된 레일부(10)와, 레일부(10) 위에 재치된 상태로 레일부(10)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측판부(3)의 단면(3a)과 천정판부(6) 사이에 천정판부(6)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 위치(P2)와, 전면 개구부(OP)를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으로부터 덮는 폐색 위치(P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개폐 덮개부(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수납 케이스{STORAGE CASE}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11월 1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232650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의류나 소품 등의 물품을 수납 가능한 공간이 구획 형성된 수납 케이스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납 케이스의 일례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9476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상자형 케이스체 및 상자형 케이스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로 구성된 수납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 수납 케이스는 덮개체에 있어서의 앞덮개부가 상자형 케이스체의 개구부를 개방했을 때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덮개체에 있어서의 위덮개부에 의해 앞덮개부가 걸리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덮개체의 걸림 구조를 사용하면, 덮개체가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동안, 물품을 넣고 뺄 때 덮개체가 방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단순히 덮개체가 걸림 구조에 의해 개방 상태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물품을 넣고 빼는 도중에 걸림이 해제되어 덮개체가 자동적으로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동작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걸림 구조가 열화된 경우에는,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성을 향상하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는 서로 간격을 두고 기립 형성된 한 쌍의 측판부와, 당해 측판부끼리를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에서 접속하는 바닥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를, 상기 기립 형성 방향에 교차하는 안쪽깊이 방향의 안측으로부터 접속하는 배판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의 단면과, 적어도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에서 간극을 둔 상태로, 당해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측판부를 덮어, 상기 본체부와 함께 전면 개구부를 형성하는 천정판부와, 상기 단면에 각각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 위에 재치된 상태로 당해 레일부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단면과 상기 천정판부 사이에 상기 천정판부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전면 개구부를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덮는 폐색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개폐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수납 케이스에 의하면, 측판부에 형성된 레일부 위를 개폐 덮개부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전면 개구부의 개폐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천정판부나 본체부에 개폐 덮개부를 지지하는 개폐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반복적인 개폐 동작이 행해져도 구성 부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덮개부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개폐 덮개부가 천정판부와 측판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천정판부와 측판부의 간극에 수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전면 개구부로부터 본체부의 내부에 액세스할 때, 개폐 덮개부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개폐 덮개부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로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을 향해, 즉, 측판부를 향해 천정판부에 가압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개폐 덮개부가 천정판부에 직접 장착되어 지지를 받지 않기 때문에, 천정판부의 휨 변형에 수반하여 개폐 덮개부가 변형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전면 개구부가 멋대로 개구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개폐 덮개부를 설치할 때는 천정판부를 본체부에 장착하기 전에, 한 쌍의 측판부의 단면 위에 기립 형성 방향으로부터 개폐 덮개부를 단순히 재치하는 것만으로 된다. 이 때문에, 수납 케이스의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서는,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레일부는 상기 개폐 덮개부가 슬라이딩하고,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상기 단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안쪽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기립 형성 방향 및 상기 안쪽깊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의 치수가 상기 단면보다 작은 돌출판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개폐 덮개부가 슬라이딩하는 돌출판부가 레일부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 덮개부가 개방 위치와 폐색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개폐 덮개부와 레일부에서의 슬라이딩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순조로운 개폐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서는,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안측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패임과 함께, 상기 돌출판부를 상기 안쪽깊이 방향 및 상기 기립 형성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는 오목 형상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오목 형상부에 의해 레일부에 있어서의 돌출판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개폐 덮개부가 개방 위치와 폐색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개폐 덮개부의 폭 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순조로운 개폐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레일부는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의 단부에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앞측 돌출부를 갖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안측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앞측 돌출부에 접촉하여 걸리는 걸림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레일부에 앞측 돌출부가 형성되고, 개폐 덮개부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 덮개부를 폐색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개폐 덮개부의 본체부로부터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서는, 상기 제4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레일부는 상기 앞측 돌출부보다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안측에서, 상기 단면으로부터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연장되며, 또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접촉하여 걸리는 단차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레일부로서 걸림부가 걸리는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 덮개부를 개방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5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천정판부는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의 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덮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의 면에는, 상기 일방측을 향해 패임과 함께, 상기 개폐 덮개부를 수용 가능한 패임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송시나 판매시에 천정판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천정판부를 복수 겹쳐 쌓아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천정판부가 지지부에 의해 개폐 덮개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들 천정판부 및 개폐 덮개부를 복수 겹쳐 쌓았을 경우에도, 천정판부로부터 개폐 덮개부가 돌출되는 부분을 패임부 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천정판부 및 천정판부에 지지된 개폐 덮개부를 복수 겹쳐 쌓은 경우와, 천정판부만을 복수 겹쳐 쌓은 경우를 동일한 적층 높이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른 수납 케이스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6 중 어느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해 경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유지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측판부의 앞측을 향하는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기립 형성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수납 케이스를 재치했을 때, 폐색 위치에서는 중력에 의해 개폐 덮개부가 경사면에 강하게 눌려 유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폐 덮개부와 측판부 사이에 자동적으로 간극이 벌어지며 개폐 덮개부가 전면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경우가 없어져,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에 의하면, 본체부의 레일부에 재치되어 슬라이딩하는 개폐 덮개부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키면서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로서, 천정판부 및 개폐 덮개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천정판부 및 개폐 덮개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에 있어서의 개폐 덮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에 있어서의 개폐 덮개부를 나타내는 이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를 나타내며, 개폐 덮개부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를 나타내며, 개폐 덮개부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에 있어서의 천정판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에 있어서의 천정판부를 나타내는 이면으로부터 본 평면도로서, 도 6a의 B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에 있어서의 천정판부에 개폐 덮개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들을 적층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에 있어서의 개폐 덮개부의 개폐 동작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개폐 덮개부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에 있어서의 개폐 덮개부의 개폐 동작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개폐 덮개부가 개방 위치에서 폐색 위치를 향하는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에 있어서의 개폐 덮개부의 개폐 동작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개폐 덮개부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박스(1)(수납 케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 박스(1)는 내부에 물품 등을 수용하는 공간(S)이 구획 형성된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박스 본체부(2)와, 박스 본체부(2)에 장착된 천정판부(6) 및 개폐 덮개부(7)와, 박스 본체부(2)에 형성되어 개폐 덮개부(7)를 지지 가능한 레일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박스 본체부(2)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한 쌍의 측판부(3)와, 이들 측판부(3)와 일체로 형성된 바닥판부(4) 및 배판부(5)를 갖고 있다. 또한, 박스 본체부(2)는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후술하는 천정판부(6)와 함께 공간(S)에 액세스 가능한 전면 개구부(OP)를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측판부(3)는 간격을 두고 서로의 표면이 대향하도록 하여 기립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측판부(3)가 기립 형성되는 기립 형성 방향은 플랩 박스(1)가 사용될 때의 상하 방향(D1)을 따른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하, 한 쌍의 측판부(3)가 배열된 방향, 즉 상하 방향(D1)에 직교되는 방향을 폭 방향(D3)으로 하고, 플랩 박스(1)가 사용되는 상태, 즉 기립 형성 방향이 상하 방향(D1)에 일치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하 방향(D1) 및 폭 방향(D3)에 직교되는 방향이 되는 박스 본체부(2)의 공간(S)에 액세스하는 방향을 안쪽깊이 방향(D2)으로 한다.
각각의 측판부(3)는 상하 방향(D1)의 중도 위치보다 상측에,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3c)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3c)에 있어서의 안쪽깊이 방향(D2) 앞측을 향하는 면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해 경사되는 경사면(3d)이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판부(3)에 있어서의 경사면(3d)에는 폭 방향(D3)의 외측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앞측으로 돌출되고, 경사면(3d)을 따라 연장되는 얇은 판 형상의 전면 테두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측판부(3)에 있어서의 전면 테두리부(31)는 각각의 측판부(3)의 경사면(3d)의 하단부에서 굴곡하여, 폭 방향(D3)의 내측을 향해 서로 근접함과 함께, 이들 전면 테두리부(31)끼리가 접속되지 않는 위치까지 추가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판부(3)에는 상방을 향하는 단면(3a)의 폭 방향(D3)의 외측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면(3a)을 따라 연장되는 상면 테두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 테두리부(32)는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에서 전면 테두리부(31)에 접속되어 전면 테두리부(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판부(3)의 폭 방향(D3)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는 그 안쪽깊이 방향(D2)의 대략 중앙의 위치에, 하단에서 상하의 중도 위치까지 확장되도록 패이는 오목부(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판부(4)는 한 쌍의 측판부(3)를 하방에서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판부(5)는 한 쌍의 측판부(3)를 안쪽깊이 방향(D2)의 안측에서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배판부(5)에는 측판부(3)와 동일하게, 안쪽깊이 방향(D2)의 안측을 향하는 면에 폭 방향(D3)의 대략 중앙의 위치로서, 하단에서 상하의 중도 위치까지 확장되도록 패이는 오목부(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판부(5)에는 상방을 향하는 단면(5a)에 있어서의 안측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면(5a)을 따라 연장되는 상면 테두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 테두리부(33)는 폭 방향(D3)의 양단에서 측판부(3)에 있어서의 상면 테두리부(32)에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박스 본체부(2)에서는 한 쌍의 측판부(3), 바닥판부(4) 및 배판부(5)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물품 등을 수용하는 공간(S)이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부(3)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서로 폭 방향(D3)으로 이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로 인해 박스 본체부(2)에 형성된 공간(S)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넓어지는 형상이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부(10)는 각각의 측판부(3)의 단면(3a)에 형성된 판 형상을 이루는 돌출판부(11)와, 단면(3a)에 있어서의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의 단부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앞측 돌출부(12)와, 앞측 돌출부(12) 및 돌출판부(11)보다 안측으로서, 안쪽깊이 방향(D2)의 중도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단차면(13) 및 제2 단차면(14)을 갖고 있다.
돌출판부(11)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판 형상을 이루고, 측판부(3)와 일체로 각각의 측판부(3)의 단면(3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단면(3a)에 있어서의 앞측의 단부로부터 안쪽깊이 방향(D2)의 중도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이 돌출판부(11)의 폭 방향(D3)의 치수는 단면(3a)보다 작게 되어 있다.
앞측 돌출부(12)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판 형상을 이루고, 측판부(3)와 일체로, 단면(3a)에 있어서의 앞측의 단 가장자리에서 경사면(3d)에 접속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표면이 폭 방향(D3)을 향하고 있다. 또한, 이 앞측 돌출부(12)의 상단부는 돌출판부(11)의 상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단차면(13)은 돌출판부(11)의 안측에서 측판부(3)의 단면(3a)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표면이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을 향하는 면이다. 그리고, 이 제1 단차면(13)에 의해, 안쪽깊이 방향(D2)의 중도 위치에서 측판부(3)의 단면(3a)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차면(14)은 제1 단차면(13)보다 더욱 안측에서 측판부(3)의 단면(3a)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표면이 앞측을 향하는 면이다. 그리고, 이 제2 단차면(14)에 의해, 안쪽깊이 방향(D2)의 중도 위치에서 측판부(3)의 단면(3a)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차면(13) 및 제2 단차면(14)에 의해, 측판부(3)의 단면(3a)에는 2개의 단차가 형성되어, 안측을 향함에 따라 단면(3a)의 상하 방향(D1)의 높이 위치가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돌출판부(11), 앞측 돌출부(12), 제1 단차면(13) 및 제2 단차면(14)은 적어도 일방의 측판부(3)의 단면(3a)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부(7)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면 개구부(OP)를 개폐 가능한 본체판부(21)와, 본체판부(21)에 있어서의 측판부(3)측을 향하는 이면(21a)에 형성된 걸림부(22) 및 오목 형상부(23)를 갖고 있다.
또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부(7)는 전면 개구부(OP)를 앞측으로부터 덮는 폐색 위치(P1)와,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부(3)와 천정판부(6) 사이의 간극에 천정판부(6)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 위치(P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판부(21)는 폐색 위치(P1)에서 박스 본체부(2)와 천정판부(6)에 의해 형성된 전면 개구부(OP)를,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으로부터 정확히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개폐 덮개부(7)의 설명에서는 개폐 덮개부(7)가 폐색 위치(P1)에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각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판부(21)에는 폭 방향(D3)의 중앙 위치에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24)를 파지함으로써, 개폐 덮개부(7)의 개폐 동작, 즉 폐색 위치(P1)와 개방 위치(P2) 사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판부(21)에는 폭 방향(D3)의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판 형상을 이루는 가장자리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2)는 본체판부(21)의 이면(21a)(하방을 향하는 면)에 있어서의 안측, 또한 폭 방향(D3)의 외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측판부(3)를 향해 돌출되는 블록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다.
오목 형상부(2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부(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즉, 걸림부(22)가 오목 형상부(23)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 오목 형상부(23)에는 측판부(3)로부터 본체판부(21)의 이면(21a)을 향해 상방으로 패임과 함께, 오목 형상부(23)를 안쪽깊이 방향(D2)으로 관통하는 홈(2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일부(10)에 개폐 덮개부(7)가 재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오목 형상부(23)의 홈(23a)에 돌출판부(11)가 비집고 들어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 형상부(23)는 일방(도 4b의 지면을 향해 우측)의 걸림부(22)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양쪽 모두의 걸림부(22)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판부(6)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배판부(5)에 있어서의 상면 테두리부(33)와, 측판부(3)에 있어서의 상면 테두리부(32)에 삽입되도록 하여 박스 본체부(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 인해, 천정판부(6)는 측판부(3)의 상방을 향하는 단면(3a)과의 사이에 간극을 둔 상태로 측판부(3)를 덮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단차면(14)보다 안측의 단면(3a)이 천정판부(6)의 이면(6a)에 접촉함과 함께, 제2 단차면(14)보다 앞측의 단면(3a)은 이면(6a)과 이간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박스 본체부(2)와 천정판부(6)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상술한 전면 개구부(OP)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판부(6)는 이면(6a)에 형성되어 개폐 덮개부(7)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40)를 갖고 있다.
지지부(40)로는, 이면(6a)에 있어서의 안측의 단부 및 폭 방향(D3) 외측의 단부에, 폭 방향(D3)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1 지지부(41)와, 제1 지지부(41)보다 앞측에, 제1 지지부(41)에 정렬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2 지지부(42)와, 앞측의 단부에서 서로 폭 방향(D3)으로 이간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3 지지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41)와 제2 지지부(42)는 대략 동일 형상을 이루며, 이면(6a)을 따라, 이 이면(6a)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연장되어 있다. 이 간극에 개폐 덮개부(7)가 삽입되고, 이면(6a)과의 사이에 개폐 덮개부(7)를 협지함으로써 개폐 덮개부(7)를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7 참조).
제3 지지부(43)는 이면(6a)으로부터 돌출되어 폭 방향(D3)으로 연장되는 얇은 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개폐 덮개부(7)의 가장자리가 접촉하여 개폐 덮개부(7)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개폐 덮개부(7)는 제1 지지부(41)와 제3 지지부(43)에 의해 지지되나, 본 실시형태보다 안쪽깊이 방향(D2)의 치수가 작은 개폐 덮개부를 제2 지지부(42)와 제3 지지부(43)에 의해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천정판부(6)에는 안쪽깊이 방향(D2)의 양단 위치에서, 폭 방향(D3) 외측을 향하는 양 단면에 연속하도록 이들 단면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편(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44)은 각 단면에 있어서의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과 안측의 위치에서, 서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편(44)은 원호의 부분이 천정판부(6)의 이면(6a)으로부터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반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천정판부(6)에는 폭 방향(D3) 외측을 향하는 양 단면에 각각 상단에서 상하 방향(D1)의 중도 위치까지, 폭 방향(D3)으로 패이는 반원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5)는 각 단면에 있어서의 안쪽깊이 방향(D2)의 앞측과 안측의 위치에서 서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오목부(45)는 폭 방향(D3)에서 봤을 때 하방으로 볼록해지는 반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천정판부(6)를 겹친 상태로 각 돌출편(44)이 대응하는 오목부(45)에 감합됨으로써, 복수의 천정판부(6)끼리가 고정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판부(6)에는 상방을 향하는 표면에 하방을 향해 패이는 패임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패임부(6b)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부(7)가 천정판부(6)의 지지부(4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복수의 천정판부(6)가 상하로 적층되었을 때, 개폐 덮개부(7)가 천정판부(6)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하측에 인접하는 천정판부(6)에 수용 가능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개폐 덮개부(7)를 천정판부(6)에 의해 지지한 상태로 이들을 복수 겹쳐 쌓았을 경우와, 천정판부(6)만을 복수 겹쳐 쌓았을 경우는 동일한 적층 높이가 된다.
또한, 천정판부(6)의 표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D3)의 양단부에서 안쪽깊이 방향(D2)의 안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하방을 향해 패임과 함께, 패임부(6b)에 개구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6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여, 개폐 덮개부(7)의 동작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부(7)는 개방 위치(P2)에 있는 상태로 걸림부(22)에 있어서의 안측의 단부가 제1 단차면(13)에 접촉함으로써, 개폐 덮개부(7)의 제1 단차면(13)보다 안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개폐 덮개부(7)에 있어서의 본체판부(21)는 천정판부(6)보다 앞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 천정판부(6)의 면을 따라 배치되며, 하방으로부터 돌출판부(11) 및 앞측 돌출부(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개폐 덮개부(7)의 파지부(24)를 파지하여 앞측으로 꺼냄으로써, 레일부(10)의 돌출판부(11)에 대해 개폐 덮개부(7)의 오목 형상부(23)가 슬라이딩함과 함께, 레일부(10)의 앞측 돌출부(12)에 대해 개폐 덮개부(7)의 본체판부(21)가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개폐 덮개부(7)의 본체판부(21)의 앞측 부분이 천정판부(6)로부터 돌출되어, 중간 위치(P3)에 있는 상태가 된다.
개폐 덮개부(7)를 더욱 꺼내면,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22)의 앞측의 단부가 레일부(10)의 앞측 돌출부(12)에 접촉하여 걸림과 함께, 이 걸림부(22)를 중심으로 하여 폭 방향(D3)으로 연장되는 가상 축선 회전으로 개폐 덮개부(7)가 박스 본체부(2)에 대해 회동하고, 전면 개구부(OP)를 앞측으로부터 덮음으로써 폐색 위치(P1)에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폐색 위치(P1)에서는 측판부(3)의 경사면(3d)에 개폐 덮개부(7)의 본체판부(21)가 접촉하여 전면 개구부(OP)를 밀폐하게 되어 있다. 또한, 폐색 위치(P1)에서는 개폐 덮개부(7)가 측판부(3)에 형성된 전면 테두리부(31)에 감합됨과 함께, 파지부(24)가 각각의 측판부(3)의 전면 테두리부(31)끼리의 사이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이상 설명한 플랩 박스(1)에 의하면, 측판부(3)에 형성된 레일부(10) 위에 재치된 개폐 덮개부(7)가 레일부(10)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전면 개구부(OP)의 개폐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개폐 덮개부(7)를 천정판부(6)나 박스 본체부(2)에서 지지하는 개폐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반복적인 개폐 동작이 행해져도 구성 부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덮개부(7)가 개방 위치(P2)에 있는 상태에서는 개폐 덮개부(7)가 천정판부(6)와 측판부(3)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이들의 간극에 수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전면 개구부(OP)로부터 공간(S) 내에 액세스할 때, 개폐 덮개부(7)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는 개폐 덮개부(7)가 천정판부(6)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개폐 덮개부(7)가 폐색 위치(P1)에 있는 상태로 천정판부(6)의 하방을 향해, 즉 측판부(3)를 향해 가압력이 작용한 경우여도, 천정판부(6)의 휨 변형에 수반하여 개폐 덮개부(7)가 변형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전면 개구부(OP)가 멋대로 개구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개폐 덮개부(7)를 설치할 때는 천정판부(6)를 박스 본체부(2)에 장착하기 전에, 한 쌍의 측판부(3)에 상방으로부터 개폐 덮개부(7)를 단순히 재치하는 것만으로 된다. 이 때문에, 플랩 박스(1)의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측판부(3)에는 폭 방향(D3)의 치수가 단면(3a)보다 작은 돌출판부(11)가 레일부(10)로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 덮개부(7)가 폐색 위치(P1)와 개방 위치(P2) 사이에서 이동할 때, 개폐 덮개부(7)의 슬라이딩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순조로운 개폐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폐 덮개부(7)에는 오목 형상부(23)가 형성되고, 홈(23a)에 레일부(10)의 돌출판부(11)를 끼워 넣음으로써, 개폐 덮개부(7)가 폐색 위치(P1)와 개방 위치(P2) 사이에서 이동할 때 개폐 덮개부(7)의 폭 방향(D3)으로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순조로운 개폐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레일부(10)에 앞측 돌출부(12)가 형성되고, 개폐 덮개부(7)에 걸림부(2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 덮개부(7)를 폐색 위치(P1)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개폐 덮개부(7)의 박스 본체부(2)로부터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앞측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돌출판부(11)와 함께 개폐 덮개부(7)의 이동시에 앞측 돌출부(12)에 의해 개폐 덮개부(7)를 지지하면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어, 순조롭고 안정적인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일부(10)로서 걸림부(22)가 걸리는 제1 단차면(13)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 덮개부(7)를 개방 위치(P2)에 확실히 유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수송시나 판매시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판부(6)가 박스 본체부(2)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천정판부(6)를 복수 겹쳐 쌓아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천정판부(6)가 지지부(40)에 의해 개폐 덮개부(7)를 지지한 상태로 이들 천정판부(6) 및 개폐 덮개부(7)를 복수 겹쳐 쌓았을 경우에도, 상측의 천정판부(6)로부터 개폐 덮개부(7)가 돌출되는 부분을 하측의 천정판부의 패임부(6b) 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천정판부(6) 및 천정판부(6)에 지지된 개폐 덮개부(7)를 복수 겹쳐 쌓은 경우와, 천정판부(6)만을 복수 겹쳐 쌓은 경우를 동일한 적층 높이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박스 본체부(2)의 공간(S)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시는 하지 않으나 박스 본체부(2)로부터 천정판부(6)를 분리하고 박스 본체부(2)만을 복수 상하로 적층하여 겹쳐 쌓았을 때, 하측의 박스 본체부(2)의 공간(S) 내에 상측의 박스 본체부(2)를 삽입할 수 있어, 적층 높이를 억제하여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측판부(3)의 앞측을 향하는 면이 경사면(3d)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플랩 박스(1)를 사용할 때, 폐색 위치(P1)에서는 중력에 의해 개폐 덮개부(7)를 경사면(3d)에 강하게 눌러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폐 덮개부(7)와 측판부(3) 사이에 자동적으로 간극이 벌어지며 개폐 덮개부(7)가 전면 개구부(OP)를 개방시키는 경우가 없어져,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기타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예를 들면, 플랩 박스(1)는 수지제가 아니어도 되고, 금속제, 목제 등이어도 된다. 그리고, 레일부(10)와 박스 본체부(2)의 재질이 상이해도 된다.
또한, 레일부(10)로서 돌출판부(11), 앞측 돌출부(12), 제1 단차면(13) 및 제2 단차면(14)이 형성되지 않고, 단순히 측판부(3)의 단면(3a) 그 자체가 레일부(10)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개폐 덮개부(7)가 단면(3a) 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이동해도 된다. 또한, 돌출판부(11), 앞측 돌출부(12), 제1 단차면(13) 및 제2 단차면(14) 중 어느 것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개폐 덮개부(7)에는 오목 형상부(23) 및 걸림부(22)는 반드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앞측 돌출부(12) 및 걸림부(2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폐 덮개부(7)를 꺼냈을 때 박스 본체부(2)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앞측 돌출부(12) 및 걸림부(22)에 상당하는 스토퍼 등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측판부(3)는 반드시 경사면(3d)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또한, 천정판부(6)에는 반드시 패임부(6b)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박스 본체부(2)는 반드시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모서리가 없는 둥근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플랩 박스(1)가 복수 적층됨으로써, 복수단의 수납 케이스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랩 박스(1)에 한정하지 않고, 쓰레기통 등의 다른 수납 케이스에 상술한 개폐 덮개부(7) 등의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Claims (14)

  1. 서로 간격을 두고 기립 형성된 한 쌍의 측판부와, 당해 측판부끼리를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에서 접속하는 바닥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를, 상기 기립 형성 방향에 교차하는 안쪽깊이 방향의 안측으로부터 접속하는 배판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의 단면과, 적어도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에서 간극을 둔 상태로, 당해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측판부를 덮어, 상기 본체부와 함께 전면 개구부를 형성하는 천정판부와,
    상기 단면에 각각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 위에 재치된 상태로 당해 레일부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단면과 상기 천정판부 사이에 상기 천정판부의 면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전면 개구부를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덮는 폐색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개폐 덮개부를 구비하는 수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개폐 덮개부가 슬라이딩하고,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상기 단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안쪽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기립 형성 방향 및 상기 안쪽깊이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의 치수가 상기 단면보다 작은 돌출판부를 갖는 수납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안측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패임과 함께, 상기 돌출판부를 상기 안쪽깊이 방향 및 상기 기립 형성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는 오목 형상부를 갖는 수납 케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의 단부에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앞측 돌출부를 갖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안측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앞측 돌출부에 접촉하여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수납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앞측 돌출부보다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안측에서, 상기 단면으로부터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연장되며, 또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접촉하여 걸리는 단차면을 갖는 수납 케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부는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의 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덮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의 면에는, 상기 일방측을 향해 패임과 함께, 상기 개폐 덮개부를 수용 가능한 패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부는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의 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덮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의 면에는, 상기 일방측을 향해 패임과 함께, 상기 개폐 덮개부를 수용 가능한 패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부는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의 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덮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타방측의 면에는, 상기 일방측을 향해 패임과 함께, 상기 개폐 덮개부를 수용 가능한 패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 케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해 경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수납 케이스.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해 경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수납 케이스.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해 경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수납 케이스.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해 경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수납 케이스.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해 경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수납 케이스.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기립 형성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안쪽깊이 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해 경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수납 케이스.
KR1020150160128A 2014-11-17 2015-11-16 수납 케이스 KR101719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32650 2014-11-17
JP2014232650A JP5916833B1 (ja) 2014-11-17 2014-11-17 収納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705A true KR20160058705A (ko) 2016-05-25
KR101719144B1 KR101719144B1 (ko) 2017-03-23

Family

ID=5595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128A KR101719144B1 (ko) 2014-11-17 2015-11-16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16833B1 (ko)
KR (1) KR101719144B1 (ko)
CN (1) CN105600088B (ko)
HK (1) HK1223075A1 (ko)
TW (1) TWI560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9681A (zh) * 2015-08-19 2015-11-18 浙江龙士达家居用品有限公司 侧开式收纳箱及其箱体和箱盖
KR101923817B1 (ko) 2017-04-06 2018-11-29 이경표 담배 진열대
JP6789265B2 (ja) * 2018-04-16 2020-11-25 Jejアステージ株式会社 収納ケース
CN108814014A (zh) * 2018-08-21 2018-11-16 揭阳市京塑工贸有限公司 一种半自动翻盖收纳柜
CN109367970B (zh) * 2018-10-30 2020-11-10 出门问问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收纳装置
JP7325092B2 (ja) 2019-06-20 2023-08-1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収納ケース
TWI716024B (zh) * 2019-07-03 2021-01-11 聯府塑膠股份有限公司 收納盒之改良結構(二十七)
CN111099138A (zh) * 2019-12-30 2020-05-05 诚通物流包装有限公司 方便开启的电池防爆运输装置
CN214241842U (zh) * 2020-12-21 2021-09-21 台州市得意塑胶有限公司 一种盖板易收纳的储物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577A (en) * 1993-09-01 1995-06-20 Gembler; Jeffrey L. Storage file with auto-retracting door
US5520451A (en) * 1993-12-29 1996-05-28 Sugatsune Kogyo Co., Ltd. Guide device for flipper door in cabinet
JPH11131898A (ja) * 1997-10-30 1999-05-18 Takubo Kogyosho Kk キャビネットの回動扉
CN105266396A (zh) * 2015-11-18 2016-01-27 刘操 一种简易多功能壁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5907A (en) * 1965-02-09 1967-01-03 Interstate Fabrications Inc Food cabinet closure
JPS4733024Y1 (ko) * 1967-07-28 1972-10-04
JPS499602U (ko) * 1972-04-26 1974-01-26
JPS5735145U (ko) * 1980-08-09 1982-02-24
JPS5928059U (ja) * 1982-08-12 1984-02-21 キヨ−ラク株式会社 収納ケ−ス
JPH0719118Y2 (ja) * 1989-06-19 1995-05-01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用治具
US5249435A (en) * 1992-04-14 1993-10-05 Food Service Supplies, Inc. Refrigeration for food service
KR100271215B1 (ko) * 1992-04-24 2000-11-01 조세프시. 미텔, 주니어 폐쇄장치
JP3010491U (ja) * 1994-10-21 1995-05-02 昭南機工株式会社 収納庫
JP2003116759A (ja) * 2001-10-15 2003-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TWM278278U (en) * 2005-06-23 2005-10-21 Lo Mei Cosmetics Entpr Co Ltd Insertion type cosmetic box structure
US7584843B2 (en) * 2005-07-18 2009-09-08 Philip Morris Usa Inc. Pocket-size hand-held container for consumer items
JP5929137B2 (ja) * 2011-12-05 2016-06-01 凸版印刷株式会社 蓋とそれを用いた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CN203158441U (zh) * 2013-04-18 2013-08-28 广州市富泓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滑盖创可贴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577A (en) * 1993-09-01 1995-06-20 Gembler; Jeffrey L. Storage file with auto-retracting door
US5520451A (en) * 1993-12-29 1996-05-28 Sugatsune Kogyo Co., Ltd. Guide device for flipper door in cabinet
JPH11131898A (ja) * 1997-10-30 1999-05-18 Takubo Kogyosho Kk キャビネットの回動扉
CN105266396A (zh) * 2015-11-18 2016-01-27 刘操 一种简易多功能壁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144B1 (ko) 2017-03-23
JP2016094239A (ja) 2016-05-26
CN105600088A (zh) 2016-05-25
JP5916833B1 (ja) 2016-05-11
CN105600088B (zh) 2017-05-10
HK1223075A1 (zh) 2017-07-21
TW201628937A (zh) 2016-08-16
TWI560115B (en)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144B1 (ko) 수납 케이스
US20210139186A1 (en) Storage box
JP2015129433A (ja) ガイドレール部材及び該ガイドレール部材を有するローラーシャッター付きボックス
US9914568B2 (en) Two directional slide and lock package
RU2017146843A (ru) Емкость с улучше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закрытия
JP3198009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JP6444759B2 (ja) 箱体の扉
JP3200776U (ja) 食品包装用容器
JP2016169021A (ja) 運搬用容器
JP6870634B2 (ja) スライド蓋構造
WO2018220661A1 (ja) 梱包装置
JP5698970B2 (ja) 密閉型コンパクト容器
JP6788258B2 (ja) 運搬用容器
JP6311481B2 (ja) 炊飯器の梱包
JP2018193067A (ja) 包装箱
JP7236963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3170796U (ja) 包装用容器
US9808058B1 (en) Contact lens package case
KR20160004455U (ko) 수납함
JP3186745U (ja) プラスチック製のカバー
JP6656849B2 (ja) 蓋付き容器
JP3183110U (ja) 包装用容器
JP4162180B2 (ja) キャビネットの開口構造
JP4646648B2 (ja) 緩衝材
JP3178726U (ja) 蓋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