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350B1 -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 Google Patents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0350B1 KR101980350B1 KR1020170100961A KR20170100961A KR101980350B1 KR 101980350 B1 KR101980350 B1 KR 101980350B1 KR 1020170100961 A KR1020170100961 A KR 1020170100961A KR 20170100961 A KR20170100961 A KR 20170100961A KR 101980350 B1 KR101980350 B1 KR 101980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rting
- unit
- slope
- grains
- sort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6—Siev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관한 발명으로, 콤바인의 내부에는, 제2탈곡통(120)의 배출 측에 선단을 위치하고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탈곡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1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1선별부(130); 제1선별부(130)의 후단에 선단을 결합하여 '>'형태로 구비하고 제1선별부(130)의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되, 후단 저부에는 경사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형태로 구비하는 배출슬로프(141)를 형성하여 1차 선별분을 이송하는 이송슬로프(140); 이송슬로프(140)의 후단 배출슬로프(141) 측에 선단을 위치하고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1차 선별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2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2선별부(150);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제2선별부(150)의 하측에서 알곡배출오거(16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2차 선별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3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3선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다중 선별부에 의해 3단계에 걸친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곡물 선별 효율을 현저히 향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작지를 주행하면서 각종 곡물을 수확과 동시에 탈곡 및 선별하는 장치인 콤바인에 있어서, 곡물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중 선별부를 내장하여 3단계에 걸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양질의 알곡을 수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농작업에 사용되는 콤바인은 논밭 위를 주행하면서 벼나 보리와 같은 작물을 수확하고 탈곡 및 선별하여 알곡과 짚 및 검불을 분리 배출하는데 사용하는 농기계이다.
콤바인의 구조는 크게 주행부, 예취부, 반송부, 탈곡부, 선별부, 곡물처리부, 배출부 등으로 이루어지며 공지된 기술들을 통해 통상적인 콤바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1 - 0109855 호에는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의 후방에 설치된 운전부와, 상기 운전부의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병설된 탈곡 장치 및 곡립을 회수하는 회수부와, 상기 운전부의 하방에 설치된 엔진과,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에 설치된 배출 볏짚 처리부와,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콤바인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1985 - 0000184 호에는 기체에 대하여 옆방향의 축선둘레에 회전하는 탈곡동체를 갖춘 탈곡실과, 상기 탈곡실과 평행하게 그 앞쪽에 배치된 예취부와, 상기 탈곡실의 뒤쪽에 배치되어서 이것과 접속되어 있는 선별부와, 상기 예취부와 탈곡실과의 사이에 배치된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콤바인을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공지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618088 호에는, 차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노지에 기립된 벼를 절단하는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벼를 이송하는 이송 체인부와, 상기 이송 체인부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벼를 고속 회전하는 탈곡로더가 타설하여 검불과 알곡을 짚에서 분리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에 의해 짚에서 분리된 검불과 알곡을 선별 배출하여 알곡은 포집하고 검불은 배출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를 통한 선별과정에 알곡이 혼입된 검불을 회수하여, 탈곡부로 재진입시켜 선별부를 통한 선별과정을 재수행하도록 하는 반송부를 포함하는 콤바인을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콤바인에는 탈곡부를 거친 탈곡분으로부터 곡물과 검불을 선별 분리하기 위해 선별부를 내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종래 기술의 콤바인에 구비하는 선별부는 탈곡부의 하측에 장착되어 탈곡부에서 낙하하는 탈곡분을 입도에 따라 스크리닝하여 곡물은 곡물처리부로 이송하고 검불을 배출부로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탈곡부를 거친 탈곡분에는 마른 풀, 짚 부스러기 등을 다량 포함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단일 선별부에 의한 선별과정만으로는 높은 선별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결국,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콤바인에서 최종 선별된 곡물에는 일부 검불이 제대로 선별되지 못한 상태로 곡물처리부로 이송되어 탱크에 저장되는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은 검불이 곡물에 혼입된 상태로 저장될 경우 수확량과 품질, 함수율 등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고 심각할 경우 정선 작업을 추가 실시해야 하는 폐해를 야기하므로 선별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콤바인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예취한 작물을 컨베이어로 공급받아 탈곡하는 제1,2탈곡통(110,120)과, 곡물과 검불을 분리하는 선별부와, 곡물을 저장 및 배출하는 곡물처리부(170)와, 검불을 배출하는 검불처리부(180)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콤바인의 내부에는,
제2탈곡통(120)의 배출 측에 선단을 위치하고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탈곡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1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1선별부(130);
상기 제1선별부(130)의 후단에 선단을 결합하여 '>'형태로 구비하고 제1선별부(130)의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되, 후단 저부에는 경사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형태로 구비하는 배출슬로프(141)를 형성하여 1차 선별분을 이송하는 이송슬로프(140);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후단 배출슬로프(141) 측에 선단을 위치하고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1차 선별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2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2선별부(150);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상기 콤바인의 내부에는,
제2탈곡통(120)의 배출 측에 선단을 위치하고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탈곡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1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1선별부(130);
상기 제1선별부(130)의 후단에 선단을 결합하여 '>'형태로 구비하고 제1선별부(130)의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되, 후단 저부에는 경사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형태로 구비하는 배출슬로프(141)를 형성하여 1차 선별분을 이송하는 이송슬로프(140);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후단 배출슬로프(141) 측에 선단을 위치하고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1차 선별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2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2선별부(150);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상기 제2선별부(150)의 하측에서 알곡배출오거(16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2차 선별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3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3선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선별부(130)는 복수의 종편(131)과 횡편(132)을 일정 간격 교차하여 형성하되, 상기 횡편(132)은 상면이 제1선별부(130)의 선단에 대향하는 일정 각도에서 구비되고,
상기 제2선별부(150)에는 1차 선별분 곡립이 통과하는 입도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3선별부(160)에는 2차 선별분 곡립이 미통과하는 입도의 통공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후단에는 진동발생수단(190)을 구비하여 이송슬로프(140) 및 제1선별부(130)에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이송슬로프(140)와 제2선별부(150)의 사이에는 진동전달수단(191)을 장착하여 제2선별부(150)에 진동을 전달하고,
상기 제1,2선별부(130,150)의 선단에는,
콤바인 차체에 결합하는 피동링크(133,154)와, 제1,2선별부(130,150)의 선단에 결합하는 구동링크(134,155)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중 선별부에 의해 3단계에 걸친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곡물 선별 효율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콤바인의 내부에 곡물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중 선별부를 내장하여 3단계에 걸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양질의 알곡을 수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콤바인에서 선별부를 제외한 예취부, 곡물처리부, 검불처리부 등의 구성을 변화하지 않으면서 3단계에 걸친 선별 과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다중 구조의 선별부, 및 진동발생수단과 진동전달수단을 콤바인의 내부 적재적소에 효과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복잡성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콤바인에 비해 선별 효율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우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제1선별부(130)와 이송슬로프(140)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제2,3선별부(150,160)와 진동전달수단(191)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콤바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우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제1선별부(130)와 이송슬로프(140)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제2,3선별부(150,160)와 진동전달수단(191)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콤바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우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제1선별부(130)와 이송슬로프(140)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제2,3선별부(150,160)와 진동전달수단(191)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콤바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은 곡물을 수확과 동시에 탈곡 및 선별하는 장치인 콤바인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비해 곡물 선별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다중 구조의 선별부를 내장하여 3단계에 걸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양질의 알곡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은, 예취한 작물을 컨베이어로 공급받아 탈곡하는 제1,2탈곡통(110,120)과, 곡물과 검불을 분리하는 선별부(130,150,160)와, 곡물을 저장 및 배출하는 곡물처리부(170)와, 검불을 배출하는 검불처리부(180)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내부에 제1 내지 제3선별부(130,150,160)를 탑재하도록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전방 예취부를 통해 수확한 작물을 공급부의 컨베이어를 통해 내부로 이송하고 복동식으로 이루어진 제1탈곡통 및 제2탈곡통에 의해 2차에 걸친 탈곡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1,2탈곡통(110,1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작물을 탈곡한다. 종래의 콤바인의 경우 탈곡통의 하측에 탈곡망을 구비하는 저항판을 구비하고 그 하측에 선별부를 구비하여 탈곡통에서 저항판의 탈곡망을 통과해 낙하하는 탈곡분을 선별부에서 선별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2탈곡통(110,120)의 하측에 저항판을 구비하되 별도의 탈곡망을 구비하지 않고 제2탈곡통의 배출 측에 위치하는 제1선별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제2탈곡통의 배출 측 상부에는 소정의 임펠러를 장착하여 제2탈곡통과 저항판 사이에서 토출되는 탈곡분이 제1선별부(130)의 상측으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선별부(130)는 제2탈곡통(120)의 배출 측에 선단을 위치하여 탈곡분을 공급받고,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곡물과 검불을 1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선별부(130)는 복수의 종편(131)과 횡편(132)을 일정 간격 교차하여 형성한다. 상기 횡편(132)은 상면이 제1선별부(130)의 선단에 대향하는 일정 각도에서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탈곡통에서 토출되는 탈곡분에 포함된 곡립은 횡편(132)의 상면에 투하되면서 공극을 통과해 하측 이송슬로프(140)로 공급되며, 탈곡분에 포함된 검불은 공극을 통과하지 못한 채 상기 임펠러에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종편(131) 및 횡편(132)을 타고 검불처리부(180)로 배출된다.
상기 이송슬로프(140)는 상기 제1선별부(130)의 후단에 선단을 결합하고, 제1선별부(130)의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1차 선별분을 이송한다.
즉, 상기 제1선별부(130)와 이송슬로프(140)는 소정의 각도에서 '>'자 형태로 배치함에 따라 콤바인 내부의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슬로프(140)는 제1선별부(130)를 통과해 낙하하는 1차 선별분을 제2선별부(150)로 공급한다. 특히, 이송슬로프(140)의 후단, 즉 하측 단에는 진동발생수단(190)을 구비함으로써 1차 선별분이 보다 원활하게 하향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바,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이송슬로프(140)에 후단 저부에는 이송슬로프(140)의 경사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배출슬로프(141)를 형성한다. 즉, 이송슬로프(140)와 배출슬로프(141)는 소정의 각도에서 '<'자 형태로 배치하여 제2선별부(150)의 선단으로 1차 선별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선별부(150)는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후단 배출슬로프(141) 측에 선단을 위치하여 1차 선별분을 공급받고, 상기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곡물과 검불을 2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선별부(150)에는 1차 선별분 곡립이 통과하는 입도의 통공(151)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선별부(130)에서 미선별된 검불은 경사면을 따라 검불처리부(180)로 배출하고 상기 통공(151)을 통과한 2차 선별분은 제3선별부(160)로 공급한다.
아울러, 상기 제2선별부(150)에는 양측에 소정의 차단벽(152)을 경사지게 구비하여 검불이 콤바인 내부 구조의 모서리 등에 끼임으로 인한 제반 문제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선별부(150)의 양측 상면에는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경사면을 상향 돌출하는 복수의 가이드편(153)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송슬로프(140)에서 공급되는 1차 선별분을 상면 중심부로 안내하면서 상면을 타고 미끄러지는 속도를 감속하여 상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선별부(150)의 하측에는 소정의 호퍼를 장착하는바, 후술하게 진동발생수단(190) 및 진동전달수단(191)에 의해 제2선별부(150)가 요동 작동 시 상기 호퍼는 2차 선별분의 밀도를 분산하고 공급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3선별부(160)는 상기 제2선별부(150)의 하측에서 2차 선별분을 공급받고, 알곡배출오거(16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곡물과 검불을 3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선별부(160)에는 2차 선별분 곡립이 미통과하는 입도의 통공(162)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2선별부(150)에서 미선별된 미세 검불은 통공(162)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통공(162)을 미통과한 3차 선별분, 즉 최종 알곡은 하단에 구비된 알곡배출오거(161)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알곡은 알곡배출오거(161)에 내장된 스크류를 따라 콤바인의 일측에 마련된 곡물처리부(170)로 이송되어 콤바인 내부의 저장탱크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후단에는 진동발생수단(190)을 구비하여 이송슬로프(140) 및 제1선별부(130)에 진동을 발생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190)은 콤바인 자체 동력을 이용해 이송슬로프(140)의 후단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이송슬로프(140)에 공급된 1차 선별분이 경사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선단은 제1선별부(130)의 후단과 결합하므로, 진동발생수단(190)에 의한 진동이 이송슬로프(140)를 통해 제1선별부(130)로 자연스럽게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선별부(130)의 선단에는 콤바인 차체에 결합하는 피동링크(133)와, 제1선별부(130)의 선단에 결합하는 구동링크(134)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송슬로프(140) 및 제1선별부(130)에 가해지는 진동이 피동링크(133) 및 구동링크(134)의 작동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슬로프(140)와 제2선별부(150)의 사이에는 진동전달수단(191)을 장착하여 상기 진동발생수단(19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제2선별부(150)에도 전달한다.
상기 진동전달수단(191)은 각 단을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일측 및 제2선별부(150)의 후단에 힌지 결합하는 바(bar)의 형태로 구비한다. 진동전달수단(191)의 중심부에는 조절핀(192)을 결합하고 차체에 고정된 조절편(193)에 소정의 유격을 두고 조절핀(192)을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진동전달수단(191)에 전달되는 진동값을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선별부(150)의 선단에는 콤바인 차체에 결합하는 피동링크(154)와, 제2선별부(150)의 선단에 결합하는 구동링크(155)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전달수단(191)을 통해 제2선별부(150)에 가해지는 진동이 피동링크(154) 및 구동링크(155)의 작동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사용상태를 개략적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의 전방에 구비되는 예취부를 통해 수확한 작물은 공급부의 컨베이어를 거쳐 내부로 이송되고 제1탈곡통 및 제2탈곡통에 공급된다.
상기 제1탈곡통과 제2탈곡통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측에 구비되는 저항판과 연동하여 2차에 걸쳐 작물을 탈곡한다.
상기 제1,2탈곡통(110,120)은 평균 420 ~ 520rpm의 속도로 회전하므로 탈곡분은 원심력에 의해 제2탈곡통의 배출 측 상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제2탈곡통의 배출 측 상부에 장착되는 임펠러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에 의해 제2탈곡통과 저항판 사이에서 토출되는 탈곡분은 제1선별부(130)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탈곡분에 포함된 검불에는 비교적 크기가 큰 건초나 짚 부스러기들을 다량 함유하는바, 상기 제1선별부(130)에 형성되는 종편(131)과 횡편(132)에 의해 검불을 선별하여 검불처리부(180)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제1선별부(130)의 하단은 진동발생수단(190)에 의해 요동하는 이송슬로프(140)의 상단과 결합되므로 제1선별부(130)에 진동이 전달되어 요동에 의해 효과적인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선별부(130)의 선단에는 구동링크 및 피동링크(133,134)가 구비되므로 제1선별부(130)의 요동이 구동링크(133) 및 피동링크(134)의 작동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별부(130)의 종편(131)과 횡편(132) 사이의 공극을 통과한 1차 선별분은 하측의 이송슬로프(140)로 투하된다. 이송슬로프(1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진동발생수단(190)에 의해 요동하므로 1차 선별분이 효과적으로 하향 이송되며,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저부에 구비된 배출슬로프(141)를 통해 제2선별부(150)의 선단으로 1차 선별분을 공급한다.
상기 제2선별부(150)에 형성되는 통공(151)은 1차 선별분에 포함된 곡립이 통과하는 입도로 형성되므로 미통과분으로써 검불을 선별하여 검불처리부(180)로 배출한다.
특히, 상기 제2선별부(150)와 이송슬로프(140) 간에는 진동전달수단(191)이 구비되는바, 진동발생수단(19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제2선별부(150)에도 전달되므로 효과적인 선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선별부(150)의 선단에는 구동링크(154) 및 피동링크(155)가 구비되므로 제2선별부(150)의 요동이 구동링크(154) 및 피동링크(155)의 작동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별부(150)의 통공(151)을 통과하는 2차 선별분은 하측에 장착된 호퍼 내에서 진동에 의해 공급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제3선별부(160)로 공급된다.
상기 제3선별부(160)에 형성되는 통공(162)은 2차 선별분에 포함된 곡립이 미통과하는 입도로 형성되므로 통과분으로써 3차 선별분은 최종 알곡을 선별하여 알곡배출오거(161)로 공급한다.
상기 알곡배출오거(161)는 내장된 스크류를 회전하여 콤바인의 일측에 마련된 곡물처리부(170)로 최종 알곡을 이송함으로써 콤바인 내부의 저장탱크에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은 제1 내지 제3선별부(130,150,160)로 이루어진 다중 선별부를 내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곡물 선별 효율을 향상하여 알곡을 수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다중 구조의 제1 내지 제3선별부(130,150,160), 및 이송슬로프(140), 진동발생수단(190)과 진동전달수단(191)을 포함한 일련의 선별 구성을 콤바인의 내부 적재적소에 최적의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복잡성을 최소화하면서 공정 진행을 효율화하도록 하는 등의 이점이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10,120: 제1,2탈곡통 130: 제1선별부
131: 종편 132: 횡편
133,154: 피동링크 134,155: 구동링크
140: 이송슬로프 141: 배출슬로프
150: 제2선별부 151: 통공
152: 차단벽 153: 가이드편
160: 제3선별부 161: 알곡배출오거
162: 통공 170: 곡물처리부
180: 검불처리부 190: 진동발생수단
191: 진동전달수단 192: 조절핀
193: 조절편
131: 종편 132: 횡편
133,154: 피동링크 134,155: 구동링크
140: 이송슬로프 141: 배출슬로프
150: 제2선별부 151: 통공
152: 차단벽 153: 가이드편
160: 제3선별부 161: 알곡배출오거
162: 통공 170: 곡물처리부
180: 검불처리부 190: 진동발생수단
191: 진동전달수단 192: 조절핀
193: 조절편
Claims (3)
- 예취한 작물을 컨베이어로 공급받아 탈곡하는 제1,2탈곡통(110,120)과, 곡물과 검불을 분리하는 선별부와, 곡물을 저장 및 배출하는 곡물처리부(170)와, 검불을 배출하는 검불처리부(180)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콤바인의 내부에는,
제2탈곡통(120)의 배출 측에 선단을 위치하고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탈곡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1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1선별부(130);
상기 제1선별부(130)의 후단에 선단을 결합하여 '>'형태로 구비하고 제1선별부(130)의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되, 후단 저부에는 경사 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형태로 구비하는 배출슬로프(141)를 형성하여 1차 선별분을 이송하는 이송슬로프(140);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후단 배출슬로프(141) 측에 선단을 위치하고 검불처리부(18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1차 선별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2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2선별부(150);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상기 제2선별부(150)의 하측에서 알곡배출오거(16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장착하여 2차 선별분에서 곡물과 검불을 3차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제3선별부(16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별부(130)는 복수의 종편(131)과 횡편(132)을 일정 간격 교차하여 형성하되, 상기 횡편(132)은 상면이 제1선별부(130)의 선단에 대향하는 일정 각도에서 구비되고,
상기 제2선별부(150)에는 1차 선별분 곡립이 통과하는 입도의 통공(151)을 형성하고, 상기 제3선별부(160)에는 2차 선별분 곡립이 미통과하는 입도의 통공(162)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슬로프(140)의 후단에는 진동발생수단(190)을 구비하여 이송슬로프(140) 및 제1선별부(130)에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이송슬로프(140)와 제2선별부(150)의 사이에는 진동전달수단(191)을 장착하여 제2선별부(150)에 진동을 전달하고,
상기 제1,2선별부(130,150)의 선단에는,
콤바인 차체에 결합하는 피동링크(133,154)와, 제1,2선별부(130,150)의 선단에 결합하는 구동링크(134,155)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0961A KR101980350B1 (ko) | 2017-08-09 | 2017-08-09 |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0961A KR101980350B1 (ko) | 2017-08-09 | 2017-08-09 |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6701A KR20190016701A (ko) | 2019-02-19 |
KR101980350B1 true KR101980350B1 (ko) | 2019-05-20 |
Family
ID=6552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0961A KR101980350B1 (ko) | 2017-08-09 | 2017-08-09 |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035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6820B1 (ko) * | 2022-07-21 | 2022-12-13 |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 곡물 석발기의 구동장치 |
KR102706730B1 (ko) * | 2023-12-20 | 2024-09-20 | 오페주식회사 | 콩 콤바인의 탈곡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31023B (zh) * | 2020-07-17 | 2022-04-19 | 安徽省阜阳市海泉粮油工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水稻脱粒及秸秆粉碎机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3777Y1 (ko) * | 2004-07-20 | 2004-10-11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투입식 콤바인 |
JP2009055798A (ja) | 2007-08-30 | 2009-03-19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96051U (ja) | 1983-06-15 | 1984-12-26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KR950000982Y1 (ko) * | 1992-04-24 | 1995-02-18 | 이규환 | 콤바인의 자동 선별 제어장치 |
KR101848915B1 (ko) | 2010-03-31 | 2018-04-13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KR101817662B1 (ko) * | 2015-07-29 | 2018-01-12 | 이동철 | 콩 수확장치 |
KR101618088B1 (ko) | 2015-11-04 | 2016-05-04 | 김세경 | 개량된 선별 배출구조를 갖는 콤바인 |
KR20170054832A (ko) | 2015-11-10 | 2017-05-18 | 오페주식회사 | 콤바인 탈곡선별부의 탈곡드럼 회전속도 조절장치 |
-
2017
- 2017-08-09 KR KR1020170100961A patent/KR1019803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3777Y1 (ko) * | 2004-07-20 | 2004-10-11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투입식 콤바인 |
JP2009055798A (ja) | 2007-08-30 | 2009-03-19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6820B1 (ko) * | 2022-07-21 | 2022-12-13 |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 곡물 석발기의 구동장치 |
KR102706730B1 (ko) * | 2023-12-20 | 2024-09-20 | 오페주식회사 | 콩 콤바인의 탈곡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6701A (ko) | 2019-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254731A1 (en) | Clean grain and tailings convey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combine | |
US11259466B2 (en) | Agricultural elevator supplied by multiple cross augers | |
KR101980350B1 (ko) | 다중 선별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 |
JP6472357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8237134A (ja) | 脱穀装置 | |
JP6667230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6014708A (ja) | 全稈投入型脱穀機 | |
JP2015097540A (ja) |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構造 | |
JP4590612B2 (ja) |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 |
JP2008048696A (ja) | 脱穀装置 | |
JP2007104956A (ja) | 脱穀装置 | |
JPH11332369A (ja) | コンバインの二番物処理構成 | |
JP2023060664A (ja) | 収穫機 | |
JP5204012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4290208A (ja) | コンバイン | |
JP2010246411A (ja) | コンバイン | |
JP4958296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1103833A (ja) | 汎用コンバインの還元処理構造 | |
JPH1175510A (ja) | コンバインの揺動本体 | |
JP2006254849A (ja) | コンバイン | |
JP2008271788A (ja) | コンバイン | |
JP2006288235A (ja) | 軸流型脱穀装置 | |
JPH1175522A (ja) | コンバインの揺動選別装置 | |
JP2009072079A (ja) | コンバイン | |
JP2013094075A (ja) | 脱穀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