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16B1 -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 Google Patents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16B1
KR101978416B1 KR1020190029020A KR20190029020A KR101978416B1 KR 101978416 B1 KR101978416 B1 KR 101978416B1 KR 1020190029020 A KR1020190029020 A KR 1020190029020A KR 20190029020 A KR20190029020 A KR 20190029020A KR 101978416 B1 KR101978416 B1 KR 10197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lade
cutting
panel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석
장미란
석옥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5811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784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모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모아이
Priority to KR102019002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 B26B21/56Razor-bl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6B21/565Bent razor blades; Razor blades with bent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2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unchangeable blades
    • B26B21/04Razors of the knif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81Shaving methods; Usage or wear indication; Testing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2007/007Processes of trimming or cutt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선후단 라인이 라운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으로 만곡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로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커팅하여 모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키고 자연스러운 머리결을 형성하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헤어커팅대상자의 모발 중 얇게 펼쳐진 모발 다발 일부가 헤어패널로 선정되는 헤어패널 선정단계; 검지와 중지 사이에 상기 헤어패널이 고정되어 설정크기의 장력으로 당겨지는 헤어패널 장력 부여단계; 헤어절단날의 하부를 이루는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선후단 라인이 라운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곡을 이루는 구조의 헤어커터가 상기 헤어패널과 두피 사이 내측영역에 삽입된 다음, 설정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헤어커터 헤어패널 내측 배치단계; 및 상기 헤어커터가 상기 중지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되는 이너컷을 실시하는 이너컷 실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Inner cut method using a hair cutter with curved blade}
본 발명은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선후단 라인이 라운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으로 만곡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로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커팅하여 모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키고 자연스러운 머리결을 형성하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샤기컷(Shaggy cut)은 미국의 헤어 디자이너인 폴 맥그리거(Paul McGreger)에 의하여 창안된 커트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섀기커트(Shaggy cut)로 표기하지만 섀기커트(shag cut)로 불리기도 한다. 섀그(shag)는 거친 털 또는 보풀이 있는 직물을 의미하며, 섀기(Shaggy)는 머리털 등이 텁수룩하다는 뜻이다. 이러한 샤기컷은 얼굴이 넓고 골격이 강하며 머리카락이 굵은 동양인에게 어울리는 스타일로 손질이 쉽고 느낌이 가볍고 경쾌한 것이 장점이다. 특히, 샤기컷 커팅시 두발을 손상시키지 않으려면 손목을 이용하여 가위를 적절히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샤기컷을 하는 기술을 스트로크 커트라고 한다.
샤기컷의 종류에는 층을 많이 내어 가벼운 느낌을 내는 레이어드 컷, 머리카락을 미끄러지듯이 자르는 슬라이드 컷, 머리 위쪽과 뒤쪽은 길게 남기고 옆은 짧게 치는 울프컷 등이 있다.
샤기컷을 하는 이유는 머리결에 층을 내어 볼륨감을 주기 위한 것으로, 이때 사용하는 기구가 Hair Razor Blade이다. 기존 헤어커터인 Hair Razor Blade는 일자형으로서 머리결을 커팅할 때 머리결의 외부면에서 커팅을 하게 된다. 이러한 Hair Razor Blade를 Styling Blade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때, Hair Razor Blade로 Shaggy Cut을 하는 방법은 지금까지는 머리결을 외부면에서 커팅하는 방식으로 커팅시에는 일반적인 가위나 기타 다른 기구로 커팅을 하는 것보다는 볼륨감이 살아나지만 쉽게 볼륨감이 사라지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머리를 감거나 시간이 어느정도 지나면 볼륨감이 거의 없어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매일 헤어 드라이를 해야하는 시간 투자가 필요하거나 펌(Perm)등의 시술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 헤어컷은 외부 머리결을 커팅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고 머리가 자라면서 지저분하게 보이게 되며, 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머리가 정돈된 느낌이 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기존 헤어컷 방식은 외부에서 층이 나기 때문에 머리가 자라면서 지저분해 보여 이너컷보다 커트를 자주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 헤어커터를 이용하여 머리결의 내부면을 커팅하게 되면 40-50% 정도만 커팅하게 되어 볼륨감을 많이 살리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569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선후단 라인이 라운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으로 만곡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로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커팅하여 모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키고 자연스러운 머리결을 형성하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힘조절과 별도의 기술 필요없이 초보자도 쉽게 사용이 가능한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로 이너컷 커팅시 두발 형태를 파악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원하는 형태의 컷트를 할 수 있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section을 나눌 필요없이 커팅을 할 수 있으며, 볼륨감과 질감을 살려 장기간 볼륨감을 유지할 수 있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도와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자재로 커팅할 수 있으며, 앞머리와 같은 짧은머리도 적용 가능한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헤어커팅대상자의 모발 중 얇게 펼쳐진 모발 다발 일부가 헤어패널로 선정되는 헤어패널 선정단계; 검지와 중지 사이에 상기 헤어패널이 고정되어 설정크기의 장력으로 당겨지는 헤어패널 장력 부여단계; 헤어절단날의 하부를 이루는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선후단 라인이 라운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곡을 이루는 구조의 헤어커터가 상기 헤어패널과 두피 사이 내측영역에 삽입된 다음, 설정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헤어커터 헤어패널 내측 배치단계; 및 상기 헤어커터가 상기 중지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되는 이너컷을 실시하는 이너컷 실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어패널 선정단계는, 상기 모발의 섹션분리 없이 상기 헤어패널이 선정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컷 실시단계는, 상기 모발의 섹션분리 없이 상기 모발이 머리에서 하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 하방향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하는 일반 커팅모드와, 상기 모발을 머리 위 반대편으로 넘겨 상기 모발의 외부면에서 내부면 하방향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하는 특수 커팅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너컷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어커터 헤어패널 내측 배치단계는, 상기 헤어절단날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고, 돌출편과 요홈이 교번되게 배치되어 물결형상을 이루고 있는 커팅 가이드면이 하부를 이루되, 길이방향 선단 라인과 후단 라인의 법선이 상기 커팅 가이드면 하측에서 길이방향 중단 라인의 법선과 교차하는 형상구조로 상기 커팅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커버를 가지는 헤어커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헤어절단날의 일측면을 감싸고, 상기 돌출편과 요홈이 교번되게 배치되어 물결형상을 이루고 있는 커팅 가이드면이 하부를 이루는 커팅가이드용 커버면; 상기 헤어절단날의 타측면을 감싸는 고정용 커버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팅가이드용 커버면의 커팅 가이드면은 상기 헤어절단날의 블레이드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접촉 지지하게 되는 커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선후단 라인이 라운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으로 만곡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로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커팅하여 모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키고 자연스러운 모발을 형성한다.
또한,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하여 머리결의 내부면 커팅시 100% 커팅되는 효과를 낼 수 있어 완벽한 볼륨컷이 가능하다.
또한, 이너컷시 외부 머리결이 잘려지지 않으므로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표현이 가능하며, 시간이 지나 머리가 자라더라도 지저분해 보이지 않는다.
또한, 이너컷만으로도 볼륨감과 질감을 살려 장기간 볼륨감을유지할 수 있으며, 샴푸 등을 하여도 80~100%의 볼륨감이 나타나 헤어드라이 또는 펌 시술이 추가적으로 필요로하지 않게 되어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며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이너컷 커팅시 섹션분리할 필요없이 커팅을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두상 모양과 형태를 고려하지 않고 머리형태에 맞도록 자연스럽게 컷트가 가능하여 작업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각도와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자재로 커팅할 수 있으며, 앞머리와 같은 짧은머리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서 이너컷 실시단계의 커팅모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의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서 일반 커팅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서 특수 커팅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종래 헤어 커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루는 헤어절단날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서 헤어커터 커버의 요홈의 형성구조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서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의 조립 구성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에서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 커터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헤어커터, 헤어절단날, 블레이드, 헤어절단날 커버, 법선, 접선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선후단 라인이 라운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으로 만곡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로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커팅하여 모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키고 자연스러운 머리결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3-(a)는 이너컷을 시술하기 위해 모발 다발 일부가 얇게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3-(b)는 이너컷을 시술하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너컷(10)은 모발의 내부면(21)에서 모발의 외부면(22) 하방향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하는 것으로, 모발의 내부면(21)을 컷팅하는 방식을 이너컷(10)이라고 명칭한다.
이러한 이너컷(10)은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1)를 이용해야만 이너컷(10)이 가능하다.
특히, 기존 헤어커터는 모발의 내부면을 커팅하게 되면 40 내지 50% 정도만 커팅하게 되어 볼륨감을 많이 살리지 못하지만,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1)는 모발의 내부면을 커팅하게 되면 모발이 빠지는 부분 없이 100% 완벽한 볼륨컷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1)를 사용하면 힘조절과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초보자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너컷(10)을 하게 되면 모발의 외부면(22)이 잘려지지 않기 때문에 외부 머리결은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표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1차 시술인 이너컷(10)만으로도 볼륨감과 질감을 살릴 수 있으며, 샴푸 등을 하여도 90 내지 100%의 볼륨감이 나타난다. 게다가 펌(Perm)과 같은 2차 시술이 필요하지 않아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이너컷(10)은 앞머리와 같이 짧은 머리에도 시술이 가능하고, 반대방향으로도 커팅을 할 수 있으며, 각도와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자재로 커팅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4-(a)는 헤어커팅대상자의 이너컷(10) 시술 전을 나타내며, 도 4-(b)는 이너컷(10) 시술 후를 나타내며, 도 4-(c)는 이너컷(10) 시술 후 드라이를 한 상태을 모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은 헤어패널 선정단계(300S), 헤어패널 장력 부여단계(400S), 헤어패널 내측 배치단계(500S), 이너컷 실시단계(600S)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헤어패널 선정단계(300S)는 헤어커팅대상자의 모발(2) 중 얇게 펼쳐진 모발 다발 일부가 헤어패널(2a)로 선정되는 단계이다. 이때, 헤어패널(2a)은 만곡형상 브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1a)를 이용하여 커팅된다. 또한, 모발(2)의 섹션분리 없이 헤어패널(2a)이 선정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헤어패널 장력 부여단계(400S)는 검지(3b)와 중지(3c) 사이에 헤어패널(2a)이 고정되어 설정크기의 장력에 의해 헤어커터 사용자의 방향으로 당겨지는 단계이다. 그리고 헤어커터 사용자의 손등면(3a)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중지(3c)가 검지(3b)보다 두피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어패널 내측 배치단계(500S)는 헤어절단날(100) 하부 길이방향 선후단 라인이 라운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곡을 이루는 구조의 헤어커터(1a)가 헤어패널(2a)과 두피 사이 내측영역(2b)에 삽입된 다음, 설정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단계이다.
이너컷 실시단계(600S)는 헤어커터(1a)가 중지(3c)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모발의 내부면(21)에서 모발의 외부면(22)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되는 이너컷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컷 실시단계(600S)는 일반 커팅모드(600a)와 특수 커팅모드(60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너컷(1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일반 커팅모드(600a)는 모발(2)의 섹션분리 없이 모발(2)이 머리에서 하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모발의 내부면(21)에서 모발의 외부면(22) 하방향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하는 것이다. 특히, 기존 헤어커터는 섹션을 나누어 커팅을 해야하나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1)는 섹션분리 없이 이너컷(10)을 하게되면 개개인의 두발 형태에 따라 완벽한 커트가 수행된다.
도 6을 참고하면, 특수 커팅모드(600b)는 모발(2)을 머리 위 반대편으로 넘겨 모발의 외부면(22)에서 모발의 내부면(21) 하방향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하는 것이다. 특히, 헤어컷팅대상자의 귀 주변 모발(2) 커팅시 일반 커팅모드(600a)로 귀 주변을 커팅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특수 커팅모드(600b)를 적용하여 쉽게 커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수 커팅모드(600b)로 이너컷(10)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두상 형태에 따라 커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1)를 이용하여 이너컷(10) 시술시 두발 형태를 파악하지 않아도 되며, 두발 형태에 따라 자연스럽게 원하는 형태로 커트모양이 나오게 된다.
이너컷(10) 시술시 사용하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1)는 도 7 내지 10을 참고하면, 헤어절단날(100)과 커버(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헤어절단날(100)은 블레이드(120)가 하부를 이루고, 몸체단(110)이 상부를 이루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절단날(100)은 도 8에서와 같이 길이방향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의 법선이 블레이드(120) 하측에서 길이방향 중단 라인(130b)의 법선과 교차하는 형상구조로 블레이드(12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헤어절단날(100)은 라운드형 블레이드(120a), 복합형상 블레이드(120b), 경사라인형 블레이드(120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120)를 가질 수 있다.
라운드형 블레이드(120a)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블레이드(120)가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선단 라인(130a), 중단 라인(130b), 후단 라인(130c)이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 구간이 라운드 영역(R)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선단 라인(130a), 중단 라인(130b), 후단 라인(130c)이 전체적으로 설정크기의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곡률의 크기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라운드형 블레이드(120a)는 중단 라인(130b)이 종래 헤어 커터의 헤어절단날 높이(H)로 형성되도록 하고,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은 추가된 높이(h)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된 높이(h)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의 추가된 높이(h)가 서로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
복합형상 블레이드(120b)는 도 8의 (b)에서와 같이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중단 라인(130b)이 수평한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은 라운드 영역(R)을 이루게 되고,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중단 라인(130b)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은 직선 영역(S)을 이루게 된다. 라운드 영역(R)과 직선 영역(S)의 길이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은 설정크기의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곡률의 크기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합형상 블레이드(120b)는 중단 라인(130b)이 종래 헤어 커터의 헤어절단날 높이(H)로 형성되도록 하고,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은 추가된 높이(h)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된 높이(h)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의 추가된 높이(h)가 서로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라인형 블레이드(120c)는 도 8의 (c)에서와 같이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이 설정각도의 경사라인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중단 라인(130b)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은 경사 영역(C)을 이루게 되고,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중단 라인(130b)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은 직선 영역(S)을 이루게 된다. 경사 영역(C)과 직선 영역(S)의 길이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20)의 길이방향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은 설정크기의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경사각도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라인형 블레이드(120c)는 중단 라인(130b)이 종래 헤어 커터의 헤어절단날 높이(H)로 형성되도록 하고,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은 추가된 높이(h)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된 높이(h)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선단 라인(130a)과 후단 라인(130c)의 추가된 높이(h)가 서로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의 (d)에서와 같이 경사라인형 블레이드(120c) 상측의 몸체단(110)의 길이방향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가 각각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경사진 경사 돌출편(1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경사라인형 블레이드(120c) 상측의 몸체단(110)의 길이방향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가 각각 전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버(200)는 헤어절단날(100)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헤어절단날(100)의 일측면을 감싸는 커팅가이드용 커버면(210)과 헤어절단날(100)의 타측면을 감싸는 고정용 커버면(220)으로 이루어지는데, 커팅가이드용 커버면(210)은 돌출편(2111)과 요홈(2112)이 교번되게 배치되어 물결형상을 이루고 있는 커팅 가이드면(211)이 하부를 이루어 헤어 커터 사용시 자상(刺傷)이 방지되고, 머리결에 따라 커팅이 달라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요홈은 10~18개 정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편(2111)과 요홈(2112)의 크기(폭, 높이)나, 돌출편(2111)과 요홈(2112)의 둘레 라인의 곡률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고정용 커버면(220)은 커팅가이드용 커버면(210)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헤어절단날(100)의 블레이드(120) 전체가 보이도록 한다. 고정용 커버면(220)은 커팅가이드용 커버면(210)과 달리 물결형상의 커팅 가이드면을 갖지 않는 단순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용 커버면(220)은 헤어절단날(100)의 하부 블레이드(120) 형상, 즉 라운드형 블레이드(120a), 복합형상 블레이드(120b), 경사라인형 블레이드(120c)에 대응하는 하단 라인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순한 수평 라인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는 길이방향 선단 라인(230a)과 후단 라인(230c)의 법선이 커팅 가이드면(211) 하측에서 길이방향 중단 라인(230b)의 법선과 교차하는 형상구조로 커팅 가이드면(211)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는 도 9의 (a)에서와 같이 커팅 가이드면(211)의 요홈(2112)을 둘러싸는 곡선라인(2112a) 중앙부위의 법선이 길이방향 선단 라인(230a), 중단 라인(230b), 후단 라인(230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법선을 이루도록 요홈(21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의 (b)에서와 같이 커팅 가이드면(211)의 요홈(2112)을 둘러싸는 곡선라인(2112a) 중앙부위의 법선이 서로 평행한 수직선을 이루도록 요홈(211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절단날(100)과 커버(200)는 도 10에서와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 커터(1)는 도 11에서와 같이 커버(200)를 이루는 커팅가이드용 커버면(210)의 커팅 가이드면(211)이 헤어절단날(100)의 블레이드(120)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120)를 접촉 지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 커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
1a : 헤어커터
2 : 모발
21 : 모발의 내부면
22 : 모발의 외부면
2a : 헤어패널
2b : 내측영역
3 : 손
3a : 손등면
3b : 검지
3c : 중지
10 : 이너컷
100 : 헤어절단날
110 : 몸체단
120 : 블레이드
120a : 라운드형 블레이드
120b : 복합형상 블레이드
120c : 경사라인형 블레이드
200 : 커버
210 : 커팅가이드용 커버면
211 : 커팅 가이드면
2111 : 돌출편
2112 : 요홈
2112a : 곡선라인
220 : 고정용 커버면
230a : 선단 라인
230b : 중단 라인
230c : 후단 라인
300S : 헤어패널 선정단계
400S : 헤어패널 장력 부여단계
500S : 헤어패널 내측 배치단계
600S : 이너컷 실시단계
600a : 일반 커팅모드
600b : 특수 커팅모드

Claims (5)

  1. 헤어커팅대상자의 모발 중 얇게 펼쳐진 모발 다발 일부가 헤어패널로 선정되는 헤어패널 선정단계;
    검지와 중지 사이에 상기 헤어패널이 고정되어 설정크기의 장력으로 당겨지는 헤어패널 장력 부여단계;
    헤어절단날의 하부를 이루는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선후단 라인이 라운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곡을 이루는 구조의 헤어커터가 상기 헤어패널과 두피 사이 내측영역에 삽입된 다음, 설정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헤어커터 헤어패널 내측 배치단계; 및
    상기 헤어커터가 상기 중지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되는 이너컷을 실시하는 이너컷 실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헤어패널 선정단계는,
    상기 모발의 섹션분리 없이 상기 헤어패널이 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컷 실시단계는,
    상기 모발이 머리에서 하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발의 내부면에서 외부면 하방향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하는 일반 커팅모드와,
    상기 모발을 머리 위 반대편으로 넘겨 상기 모발의 외부면에서 내부면 하방향으로 테이퍼링지게 커팅하는 특수 커팅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너컷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커터 헤어패널 내측 배치단계는,
    상기 헤어절단날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고, 돌출편과 요홈이 교번되게 배치되어 물결형상을 이루고 있는 커팅 가이드면이 하부를 이루되, 길이방향 선단 라인과 후단 라인의 법선이 상기 커팅 가이드면 하측에서 길이방향 중단 라인의 법선과 교차하는 형상구조로 상기 커팅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커버를 가지는 헤어커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헤어절단날의 일측면을 감싸고, 상기 돌출편과 요홈이 교번되게 배치되어 물결형상을 이루고 있는 커팅 가이드면이 하부를 이루는 커팅가이드용 커버면;
    상기 헤어절단날의 타측면을 감싸는 고정용 커버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팅가이드용 커버면의 커팅 가이드면은 상기 헤어절단날의 블레이드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접촉 지지하게 되는 커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KR1020190029020A 2019-03-14 2019-03-14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KR10197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020A KR101978416B1 (ko) 2019-03-14 2019-03-14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020A KR101978416B1 (ko) 2019-03-14 2019-03-14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416B1 true KR101978416B1 (ko) 2019-05-14

Family

ID=6658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020A KR101978416B1 (ko) 2019-03-14 2019-03-14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3175U (ko) * 1990-11-30 1992-07-20
KR200184868Y1 (ko) * 1999-12-15 2000-06-01 박동식 이미용 커터
JP2005160915A (ja) * 2003-12-05 2005-06-23 Sanpo Shoji Kk カミソリのための眉剃用カバー
KR101665694B1 (ko) 2009-05-21 2016-10-12 가부시키가이샤 닛쵸야마토 유니버셜 모발 테이퍼링 레이저 및 유니버셜 모발 테이퍼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3175U (ko) * 1990-11-30 1992-07-20
KR200184868Y1 (ko) * 1999-12-15 2000-06-01 박동식 이미용 커터
JP2005160915A (ja) * 2003-12-05 2005-06-23 Sanpo Shoji Kk カミソリのための眉剃用カバー
KR101665694B1 (ko) 2009-05-21 2016-10-12 가부시키가이샤 닛쵸야마토 유니버셜 모발 테이퍼링 레이저 및 유니버셜 모발 테이퍼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5018A (ko) 눈 화장용 도포구 및 눈 화장 용구
JP4038212B2 (ja) ヘアカット用補助具及びこれを用いたヘアカット方法並びにヘアスタイルのデータ化方法
EP2674059A1 (en) Haircut method
JPH1014655A (ja) ヘヤカット法
JP2003135869A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JP3581845B2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US2029792A (en) Hair cutting comb
KR101978416B1 (ko)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KR101978257B1 (ko)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 커터
US20050241661A1 (en) Hair comb
JP2001186919A (ja) 髪切断方法
JP2018033896A (ja) ヘアカット方法、及び、捻り付曲がり鋏
JP3217292U (ja) 捻り付曲がり鋏
JP3127186U (ja) 頭髪調整鋏
JP4596993B2 (ja) ヘアカット用カミソリ
US20200221848A1 (en) Comb with magnifying lens
JP2006191940A (ja) 梳鋏
KR20040008264A (ko) 두발용 빗가위
JP4169144B2 (ja)
JP3095199U (ja) 理美容鋏
JP2003153728A (ja) ヘアスタイルおよび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カーラー
KR102624916B1 (ko) 다기능 미용 가위
KR200391405Y1 (ko) 헤어커터용 덧빗
KR101970826B1 (ko) 이미용 듀얼커팅가위를 사용한 이미용방법
JP7161805B1 (ja) 散髪用補助具及びこれを用いた散髪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