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264A - 두발용 빗가위 - Google Patents
두발용 빗가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08264A KR20040008264A KR1020030038069A KR20030038069A KR20040008264A KR 20040008264 A KR20040008264 A KR 20040008264A KR 1020030038069 A KR1020030038069 A KR 1020030038069A KR 20030038069 A KR20030038069 A KR 20030038069A KR 20040008264 A KR20040008264 A KR 200400082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
- blade
- hair
- interval
- blad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발용 빗가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가위는, 빗날(2)과 평날(1)을 구비하고, 선부(先部)의 빗날(8)의 날간 간격과 후부(後部)의 빗날(9)의 날간 간격을 다르게, 특히 선부의 빗날(8)의 날간 간격을 후부의 빗날(9)의 날간 간격보다 좁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발의 밑, 중간 및 끝을 정리할 수 있고 두발의 모량과 모류를 정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빗가위, 구체적으로 두발의 밑, 중간 및 끝을 정리할 수 있고 두발의 모량과 모류를 정리할 수 있는 두발용 빗가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두발용 빗가위는 빗날과 평날로 이루어지고, 빗날의 날간 간격은 모두 동일하다. 이 빗가위는 두피에 대하여 평행하게 하여 빗날과 평날을 개폐함으로써 머리카락을 빗음과 동시에 머리카락의 끝 부분을 처리하는 데에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빗가위로는 두발 표면상의 끝마무리, 즉 겉모양을 중시하는 머리커트를하게 된다.
이러한 두발용 빗가위로는, 빗날의 날간 간격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되어 있고 두피에 대하여 평행하게 하여 머리카락을 빗기 때문에, 머리카락 다발의 머리카락 끝 부분 처리밖에 할 수 없고, 머리카락의 길이를 바꿀 수 없으며, 다른 스타일을 만들거나 모발의 성격을 바꾸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사용방법이 틀리면 머리카락 다발의 머리카락 끝쪽이 성기게 되어 질감이 불균형하게 되거나, 많은 머리숱을 근본적으로 적게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빗가위로는, 두발 표면을 의식할 뿐인 헤어스타일밖에 만들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두발의 밑, 중간 및 끝을 정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두발의 모량과 모류를 정리할 수 있는 두발용 빗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빗가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빗가위를 벌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빗가위의 빗날 부분의 확대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빗가위의 빗날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의 설명>
1:평날 2:빗날
8:선부(先部)의 빗날 9:후부(後部)의 빗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가위는, 선부(先部)의 빗날의 날간 간격과 후부(後部)의 빗날의 날간 간격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부의 날간 간격은, 선부의 빗날의 날간 간격을 후부의 빗날의 날간 간격보다 좁게, 후부의 빗날의 날간 간격을 선부의 빗날의 날간 간격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빗가위는, 선부의 빗날의 날간 간격과 후부의 빗날의날간 간격을 다르게, 특히 선부의 빗날의 날간 간격을 후부의 빗날의 날간 간격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두피에 대하여 날끝을 직접 붙여 수직, 사선 방향으로 삽입하면서 선부의 빗날에 의해 두발의 밑, 중간 및 끝을 정리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빗가위는 평날(1)과 빗날(2)로 이루어진다. 평날(1)과 빗날(2)의 중앙부에는 축공(3)을 뚫고, 이 축공(3)에 나사(4)를 삽입하여 평날(1)과 빗날(2)을 개폐가능하도록 고정한다.
이 평날(1)과 빗날(2)의 하부(도 1 및 2의 오른쪽)에는 각각 손가락을 삽입하는 손가락 삽입환(5)을 마련하고, 빗날(2)의 손가락 삽입환(5)의 후부에는 손가락을 대는 부분(6)을 마련하며, 빗날(2)의 손가락 삽입환(5)의 평날(1) 쪽에는 손가락 삽입환(5)의 접촉을 완화시키는 돌기(7)를 마련한다.
빗날의 손가락 삽입환(5)의 내측에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완충부재 (10)를 붙여, 빗날(2)을 개폐할 때에 손가락을 보호한다.
손가락을 대는 부분(6)은 빗날(2)의 개폐조작이 쉽게 되도록 말단이 부푼 원기둥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빗날(2)은 선부의 날간 간격(X)을 후부의 날간 간격(Y)보다 좁게 형성한다.
즉, 선부 빗날(8)의 날간 간격(X)은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되어 있고, 후부 빗날(9)의 날간 간격(Y)도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되어있지만, 선부 빗날(8)의 날간간격(X)과 후부 빗날(9)의 날간 간격(Y)이 서로 다르고, 선부 빗날(8)의 날간 간격(X)을 좁게 그리고 후부 빗날(9)의 날간 간격(Y)을 넓게 형성하고 있다.
빗날(2)에 있어서, 선부 빗날(8)과 후부 빗날(9)은 8 내지 10cm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 내지 10cm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은 표준적인 머리카락 길이에 맞추기 위함과 사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부 빗날(8)과 후부 빗날(9)의 비율을 1 대 2의 비율로 형성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부 빗날(8)과 후부 빗날(9)의 비율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선부 빗날(8)과 후부 빗날(9)의 날 끝에는 홈(11)이 형성되어 있는데, 대략 머리카락 한 올이 들어갈 정도로 그 폭과 깊이를 0.1mm 이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빗가위로는 두피에 날 끝을 직접 대고 두피에 대하여 종방향, 사선 방향으로 삽입하여 두발의 밑, 중간, 끝 부분을 선부의 빗날(8)과 후부의 빗날(9)로 빗는다.
선부의 빗날(8)에 있어서의 날간 간격을 좁게, 후부의 빗날(9)에 있어서의 날간 간격을 넓게 형성하고, 더욱이 날 끝의 홈을 0.1mm 이상 형성하고 있으므로, 머리카락을 몇 가닥의 다발로 묶고 밑에서부터 바로 위로 들어 올렸을 때, 머리카락 자체의 무게, 모질, 밀도를 고려하면서 조작함으로써 붓 모양을 만들어 입체적인 커트를 할 수 있다.
종래의 빗가위에서는 빗날의 날간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머리카락이 한꺼번에 잘려져 버리고, 따라서 위에서 눌렀을 때 뿌리 부분에 그루터기 모양으로 돌기가 생겨 부자연스런 느낌을 주고, 또한 개폐횟수에 따라서는 구멍이 뚫리는 등, 헤어스타일을 만드는 데에 지장이 있었다.
그래서, 본 빗가위의 날 끝의 홈을 0.1mm 이상의 절단면으로 하여 사람이 지니는 머리카락 끝, 즉 신생 머리카락 모양을 인공적으로 만들고, 겹쳐져 엉켜 생긴 헤어스타일의 부풀림을 억제하거나, 눌려버린 머리카락을 부풀리는 등, 자연스런 형태로 만들어 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지금까지의 헤어스타일은 표면상의 겉모양으로 커트했기 때문에, 부자연스런 부분에 대해서는 빗가위를 사용하여 표면상으로 보이는 부분을 커트하여 깎아 들어가는 표면상의 정리일 뿐, 머리카락 길이가 변하거나 추구하는 질감이 나오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빗가위는 선부의 빗날(8)의 날간 간격(X)을 좁게 하고 후부의 빗날(9)의 날간 간격(Y)을 넓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모류가 강한 부분, 모량이 많은 부분을 밑에서부터 정리함으로써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쪽에서부터의 붓 모양 커트를 의도한 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선부 빗날(8)의 날간 간격(X)을 좁게, 후부 빗날(9)의 날간 간격(Y)을 넓게 형성하는, 2종류의 간격으로 형성하였지만, 3종류나 4종류의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빗날의 날간 간격을 선부에서부터, 좁은 부분(12), 넓은 부분(13), 좁은 부분(14)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부의 빗날의 날간 간격과 후부의 빗날의 날간 간격을 다르게 하고, 특히 선부 빗날의 날간 간격을 후부 빗날의 날간 간격보다 좁게, 후부 빗날의 날간 간격을 선부 빗날의 날간 간격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두피에 대하여 날 끝을 직접 대고, 종방향, 사선방향으로 삽입하면서, 선부 빗날과 후부 빗날에 의해 모발의 밑, 중간, 끝 부분을 정리할 수가 있고, 두발의 모량, 모류를 정리할 수 있다.
Claims (4)
- 빗날과 평날을 구비하는 빗가위에 있어서,상기 빗날을 그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두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상기 적어도 두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의 날간 간격이 다른 영역의 날간 간격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가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날을, 빗날의 단부에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선부(先部)와 후부(後部)의 두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상기 선부에서의 날간 간격이 상기 후부에서의 날간 간격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가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날을, 빗날의 단부에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선부, 중앙부 및 후부의 세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상기 선부에서의 날간 간격이 상기 중앙부에서의 날간 간격보다 좁고, 상기 후부에서의 날간 간격이 상기 중앙부에서의 날간 간격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가위.
-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빗날의 날 끝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208041 | 2002-07-17 | ||
JP2002208041A JP2004049349A (ja) | 2002-07-17 | 2002-07-17 | 頭髪用梳き鋏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8264A true KR20040008264A (ko) | 2004-01-28 |
Family
ID=3193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8069A KR20040008264A (ko) | 2002-07-17 | 2003-06-12 | 두발용 빗가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4049349A (ko) |
KR (1) | KR2004000826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3386B1 (ko) * | 2008-08-08 | 2011-02-14 | 신화남 | 전개각 제어수단을 갖는 미용가위 |
KR101970826B1 (ko) * | 2018-10-17 | 2019-04-19 | 박경옥 | 이미용 듀얼커팅가위를 사용한 이미용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69067B2 (ja) * | 2005-07-20 | 2012-07-04 | 義之 山内 | 理髪用の梳き鋏 |
JP5095238B2 (ja) * | 2007-02-28 | 2012-12-12 |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 櫛付き鋏 |
JP5588199B2 (ja) * | 2010-03-04 | 2014-09-10 |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 鋏 |
CN111283748A (zh) * | 2020-02-26 | 2020-06-16 | 黑眼圈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新型剪刀 |
-
2002
- 2002-07-17 JP JP2002208041A patent/JP2004049349A/ja active Pending
-
2003
- 2003-06-12 KR KR1020030038069A patent/KR2004000826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3386B1 (ko) * | 2008-08-08 | 2011-02-14 | 신화남 | 전개각 제어수단을 갖는 미용가위 |
KR101970826B1 (ko) * | 2018-10-17 | 2019-04-19 | 박경옥 | 이미용 듀얼커팅가위를 사용한 이미용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4049349A (ja) | 2004-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8862B1 (ko) | 칫솔 | |
JP3581847B2 (ja) | 整髪用鋏組合せ構造 | |
JPH1014655A (ja) | ヘヤカット法 | |
KR20040008264A (ko) | 두발용 빗가위 | |
JP4231557B2 (ja) | 理髪の方法及び器具 | |
ATE265914T1 (de) | Haarschneideverfahren mit zwei händen | |
JP4596993B2 (ja) | ヘアカット用カミソリ | |
JPH01212588A (ja) | ヘアカッター | |
WO2019086892A1 (en) | Hair cutting comb | |
US20200205542A1 (en) | Method of dyeing hair (variants) | |
US20050223565A1 (en) | Jagged edged hairdressing scissors | |
KR200411647Y1 (ko) | 미용가위 | |
JPH08299623A (ja) | 調髪用梳鋏 | |
KR100330944B1 (ko) | 미용가위 | |
JP2000070561A (ja) | 理髪用梳き鋏 | |
JP3123764U (ja) | 毛流矯正用梳き鋏 | |
KR100861874B1 (ko) | 즐인(櫛刃)과 봉인(捧刃)의 구분이 없는 이,미용 틴닝가위 | |
KR200195179Y1 (ko) | 미용가위 | |
CN209234632U (zh) | 一种刀片梳 | |
KR200418639Y1 (ko) | 미용 가위 | |
JP2652361B2 (ja) | 梳 鋏 | |
KR20230172917A (ko) | 헤어 커터용 머리빗 | |
JP2022094032A (ja) | ウィッグのヘアカット方法 | |
JP5922213B1 (ja) | 梳き鋏 | |
KR200305233Y1 (ko) | 미용가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