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917A - 헤어 커터용 머리빗 - Google Patents

헤어 커터용 머리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917A
KR20230172917A KR1020220073669A KR20220073669A KR20230172917A KR 20230172917 A KR20230172917 A KR 20230172917A KR 1020220073669 A KR1020220073669 A KR 1020220073669A KR 20220073669 A KR20220073669 A KR 20220073669A KR 20230172917 A KR20230172917 A KR 20230172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b
edge
comb teeth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102022007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917A/ko
Publication of KR2023017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36Combs, stencils, or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hair trimming devices

Landscapes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빗의 빗살 구조를 개량하여 컷팅이 용이하고 동시에 전동헤어커터기의 수명을 연장시킨 헤어 커터용 머리빗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의 일측으로 빗살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빗살은 다면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한쪽 모서리는 직각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모서리들은 곡면으로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 커터용 머리빗{HAIR COMB FOR HAIR CUTTER}
본 발명은 헤어 커터용 머리빗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빗의 빗살 구조를 개량하여 컷팅이 용이하고 동시에 전동헤어커터기의 수명을 연장시킨 헤어 커터용 머리빗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빗(10)은 도 1의 (a)에서와 같이 프레임부(11) 내측으로 다수개의 빗살(1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전동헤어커터기(20)를 이용하여 헤어 커팅하는 경우, 통상 머리빗(10)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머리카락(30)이 커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의 (b) 측면 구성도와 같다.
즉 머리카락(30)은 빗살(12) 사이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전동헤어커터기(20)의 칼날(21)이 일정한 각도로 상기 빗살(12) 상부로 지나가면서 머리카락(30)을 커팅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전동헤어커터기(20)의 장기간 사용으로 칼날(21)이 마모되면 커팅이 잘 되지 않는다.
이는 당연한 현상이지만, 상기 머리빗(10)의 빗살(12) 구조에도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상기 빗살(12)은 그 단면 형태가 대부분 원형 또는 타원형태로 도 1의 (b)에서와 같이 전동헤어커터기(20)의 칼날(21)이 머리카락(30)의 일측에서 밀고 들어올 때 상기 빗살(12)의 곡면 구조에 의해 상기 머리카락(30)이 수직으로 버티지 못하고 쉽게 쓰러지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칼날(21)과 머리카락(30)이 접촉될 때 각도가 변경되면서 커팅능력이 저하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칼날(21)이 새것일 때에는 커팅이 잘되지만 상기 칼날(21) 무뎌진 경우에는 커팅이 잘 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커팅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고가의 전동헤어커터기(20) 칼날(21)을 교체해야 하는 비용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49564 (등록일자 2001년 09월 26일)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9394 (등록일자 2008년 04월 01일)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8-0003413 (공개일자 2018년 12월 07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빗의 빗살 구조를 개량하여 컷팅이 용이하고 동시에 전동헤어커터기의 수명을 연장시킨 헤어 커터용 머리빗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의 일측으로 빗살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빗살은 다면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한쪽 모서리는 직각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모서리들은 곡면으로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빗살은 서로 인접하는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을 가지는 4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와, 상기 제3면과 제4면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와, 상기 제4면과 제1면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는 모두 곡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빗살은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 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본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빗살의 선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을 가지는 4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와, 상기 제3면과 제4면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와, 상기 제4면과 제1면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는 모두 곡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빗살은 서로 인접하는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을 가지는 4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와, 이에 대각으로 대칭되는 제3면과 제4면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와, 상기 제4면과 제1면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는 곡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빗살의 선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을 가지는 4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와, 이에 대각으로 대칭되는 제3면과 제4면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와, 상기 제4면과 제1면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는 곡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머리빗의 빗살 구조를 개량하여 컷팅이 용이하고 동시에 전동헤어커터기의 수명을 연장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의 (a)(b)은 일반적인 헤어 커터용 머리빗과 전동헤어커터기의 구성도 및 헤어 커팅 시의 빗살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터용 머리빗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터용 머리빗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부분 확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터용 머리빗의 측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빗살의 측면 및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터용 머리빗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살의 단면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터용 머리빗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터용 머리빗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부분 확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커터용 머리빗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헤어 커터용 머리빗(100)은,
프레임부(110)의 일측으로 빗살(1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빗살(120)은 다면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한쪽 모서리는 직각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모서리들은 곡면으로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일자 형태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으로는 별도의 손잡이부가 더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빗살(120)은 도 6의 (a) 및 (b)에서와 같이 4개의 면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면은 제1면(121), 제2면(122), 제3면(123) 및 제4면(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면(121)과 이에 인접하는 제2면(122)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125)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122)과 이에 인접하는 제3면(123)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126)와, 상기 제3면(123)과 이에 인접하는 제4면(124)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127)와, 상기 제4면(124)과 이에 인접하는 제1면(121)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128)는 모두 곡면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빗살(120)은 4면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구성되되, 일측 모서리인 제1모서리부(125)만 직각 형태로 구성하고, 나머지 제2모서리부(126), 제3모서리부(127) 및 제4모서리부(128)는 모두 곡면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직각 형태의 제1모서리부(125)는 머리카락 컷팅이 용이하도록 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곡면 형태의 제2모서리부(126), 제3모서리부(127) 및 제4모서리부(128)는 빗질을 할 때, 빗살(120)과 빗살(120) 사이에서 머리카락이 빗살(120)의 구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 봉형상의 빗살(120)은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단부(S1)와, 상기 선단부(S1)의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S1) 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본체부(S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본체부(S1)를 형성하는 제1모서리부(125)만 직각 형태로 구성하고, 나머지 제2모서리부(126), 제3모서리부(127) 및 제4모서리부(128)는 모두 곡면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선단부(S1)는 빗질을 할 때 머리카락이 빗살(120) 사이에 용이하게 들어갈 있도록 한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머리빗(100)의 동작 및 작용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머리빗(100)을 이용하여 커팅 대상 머리카락(30)이 빗살(120)의 사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주되, 머리카락(30)이 커팅될 부위 측으로 빗살부(120)의 제1모서리부(125)가 위치하도록 하여준다.
이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왼손으로는 머리빗(100)을 파지하되 빗살(120)의 제1모서리부(125) 부위를 상부로 위치하도록 빗질과 커팅 준비를 하면 되며, 오른손으로는 전동헤어커터기를 동작시키면 된다.
따라서 커팅 준비가 완료되면, 전동헤어커터기의 칼날(21)을 빗살(120) 상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준다.
이때 머리카락(30)이 상기 칼날(21)에 의해 커팅되어 지는데, 특히 빗살(120)의 제1모서리부(120)의 직각 구조로 상기 머리카락(3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칼날(21)에 의해 용이하게 커팅된다.
이는 상기 전동헤어커터기의 칼날(21)이 어느 정도 마모되었더라도 상기 빗살(120)의 제1모서리부(125)의 구조에 의해 종래와 같이 잘 휘어지지 않게 되어 커팅효과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빗살(120)의 제2모서리부(126), 제3모서리부(127) 및 제4모서리부(128)는 곡면 형태로 구성되어 빗질을 할 때, 빗살(120)과 빗살(120) 사이에서 머리카락(30)이 빗살(120)의 구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이 또한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만약 예를 들어 빗살(120)의 4모서리를 모두 직각으로 구성한다면, 머리카락(30)에 큰 손상을 주게 된다.
참고적으로 머리카락(30)을 각진 빗살 부분으로 빗으면 머리카락의 표피가 마모되어 마치 대나무 죽순 표피처럼 떨어져 나간다.
이는 머리카락 건강을 헤치는 빗살형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빗살(120) 제1모서리부(125)는 커팅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최선이 선택 구조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살의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빗살(120)은 4개의 면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면은 제1면(121), 제2면(122), 제3면(123) 및 제4면(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면(121)과 이에 인접하는 제2면(122)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125)와, 이에 대각으로 대칭되는 제3면(123)과 이에 인접하는 제4면(124)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125a)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122)과 이에 인접하는 제3면(123)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126)와, 상기 제4면(124)과 이에 인접하는 제1면(121)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128)는 곡면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빗살(120)은 4면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구성되되, 제1모서리부(125)와 이에 대각으로 대칭되는 제3모서리부(125a)는 직각 형태로 구성하고, 나머지 제2모서리부(126) 및 제4모서리부(128)는 곡면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직각 형태의 제1모서리부(125) 및 제3모서리부(125a)는 머리카락 컷팅이 용이하도록 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곡면 형태의 제2모서리부(126) 및 제4모서리부(128)는 빗질을 할 때, 빗살(120)과 빗살(120) 사이에서 머리카락이 빗살(120)의 구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살(120)은, 2개의 직각형태 모서리부를 대칭으로 형성하여, 머리빗(100)의 장기간 사용 시 일측 모서리부가 마모되면 다른 쪽 모서리부를 이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머리빗(100)의 수명을 연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머리빗(100)의 장기간 사용으로 빗살(120)의 제1모서리부(125)가 마모되어 직선형태의 구조가 곡선 형태로 변하면, 머리빗(100)의 방향을 바꾸어 빗살(120)의 제3모서리부(125a)를 사용함으로써 수명을 2배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머리빗의 빗살 구조를 개량하여 컷팅이 용이하고 동시에 전동헤어커터기의 수명을 연장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예상됨을 당업자는 주의해야 한다.
100: 머리빗 110: 프레임부
120: 빗살 121~124: 제1면 내지 제4면
125: 제1모서리부 126: 제2모서리부
127,125a: 제3모서리부 128: 제4모서리부

Claims (6)

  1. 프레임부의 일측으로 빗살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빗살은 다면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한쪽 모서리는 직각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모서리들은 곡면으로 구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헤어 커터용 머리빗.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살은 서로 인접하는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을 가지는 4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와, 상기 제3면과 제4면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와, 상기 제4면과 제1면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는 모두 곡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헤어 커터용 머리빗.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살은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 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본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헤어 커터용 머리빗.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빗살의 선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을 가지는 4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와, 상기 제3면과 제4면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와, 상기 제4면과 제1면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는 모두 곡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헤어 커터용 머리빗.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살은 서로 인접하는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을 가지는 4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와, 이에 대각으로 대칭되는 제3면과 제4면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와, 상기 제4면과 제1면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는 곡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헤어 커터용 머리빗.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빗살의 선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을 가지는 4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이 이루는 제1모서리부와, 이에 대각으로 대칭되는 제3면과 제4면이 이루는 제3모서리부는 직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제2모서리부와, 상기 제4면과 제1면이 이루는 제4모서리부는 곡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헤어 커터용 머리빗.
KR1020220073669A 2022-06-16 2022-06-16 헤어 커터용 머리빗 KR20230172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669A KR20230172917A (ko) 2022-06-16 2022-06-16 헤어 커터용 머리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669A KR20230172917A (ko) 2022-06-16 2022-06-16 헤어 커터용 머리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917A true KR20230172917A (ko) 2023-12-26

Family

ID=8932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669A KR20230172917A (ko) 2022-06-16 2022-06-16 헤어 커터용 머리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91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564Y1 (ko) 1999-02-12 2001-11-16 전기종 헤어 커트용 머리빗
KR200439394Y1 (ko) 2007-04-09 2008-04-11 박홍배
KR20180003413U (ko) 2017-05-29 2018-12-07 황명수 다기능 미용 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564Y1 (ko) 1999-02-12 2001-11-16 전기종 헤어 커트용 머리빗
KR200439394Y1 (ko) 2007-04-09 2008-04-11 박홍배
KR20180003413U (ko) 2017-05-29 2018-12-07 황명수 다기능 미용 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5957B (zh) 宠物梳子的梳体及宠物梳子
US2126382A (en) Band saw
JP6848128B2 (ja) バリカンのための櫛
JP2020534978A (ja) 切断ユニット
CN208175739U (zh) 宠物梳子的梳体及宠物梳子
KR20230172917A (ko) 헤어 커터용 머리빗
GB2517938A (en) A shearing comb
DE59801714D1 (de) Band- oder gattermesser
US20110041347A1 (en) Pet hair trimming cutter
KR100667193B1 (ko) 레이저 커트 기능 이미용 숱가위
CN208100429U (zh) 一种理发器的定刀片
KR20040008264A (ko) 두발용 빗가위
CN212329782U (zh) 铣刀结构
CN209234632U (zh) 一种刀片梳
JPS6294189A (ja) ナイフ
CN210227232U (zh) 一种新型限位角度理发梳
CN210704930U (zh) 一种新型牙剪美发剪刀
AU778443B2 (en) Shearing comb
JPS5858115B2 (ja) ヘアカツタ−
AU2020220218A1 (en) Improvements in Shearing Combs
JP6026580B2 (ja) 梳き鋏
KR100684066B1 (ko) 노치 형성된 단일 에지 시닝 가위
RU2307023C1 (ru) Прореживающие ножницы с одним зазубренным лезвием
EP2606720A1 (en) Pet grooming tool
KR200250111Y1 (ko) 멀티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