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179Y1 -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179Y1
KR200195179Y1 KR2020000001625U KR20000001625U KR200195179Y1 KR 200195179 Y1 KR200195179 Y1 KR 200195179Y1 KR 2020000001625 U KR2020000001625 U KR 2020000001625U KR 20000001625 U KR20000001625 U KR 20000001625U KR 200195179 Y1 KR200195179 Y1 KR 200195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mber
scissors
hair
lower blade
upp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선
Original Assignee
박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923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30944B1/ko
Application filed by 박노선 filed Critical 박노선
Priority to KR2020000001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26B13/24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to aid hair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가위를 이용하여 머리를 자르고 다듬을 수 있으며, 사용중에 절단된 머리가 하부날부재와 상부날부재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다용도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자를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부재(10)의 등부분(1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빗살홈(15)이 형성되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는 이 빗살홈(15)을 통해 하부날부재(20)의 날부분(23)이 일측으로 노출되어 이 빗살홈(15)을 통해 머리카락을 다듬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미용가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용가위{Beauty scissors}
본 고안은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가위를 이용하여 머리를 자르고 다듬을 수 있으며, 상부날부재와 하부날부재 사이에 잘려진 머리카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발소나 미장원에서 사용되는 미용가위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날부재(31)와 하부날부재(35) 사이에 위치된 머리카락을 자르는 커팅용 가위(30)와, 상부날부재(41)와 하부날부재(45) 사이에 위치된 머리카락 중 일부만을 잘라내는 셋팅용 가위(4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중 컷팅용 가위(30)는 대략적인 형태로 머리카락을 자르기 위해 사용되며, 셋팅용 가위(40)는 컷팅한 머리의 형태를 정밀하게 다듬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컷팅용 가위(30)와 셋팅용 가위(40)는 각기 별도로 제조되어야 하고, 각 소지자는 이를 각기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제조와 설비 투자가 각기 별도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미용사나 이발사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머리를 자를 때와 다듬을 때 각기 다른 가위로 교체해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컷팅작업과 다듬기작업을 교대로 번갈아가면서 하기 어려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가위(30,40)를 이용하다보면 절단된 머리카락이 수분에 의해 뭉쳐져 하부날부재(35)와 상부날부재(41) 사이에 끼이게 되므로, 사용 도중 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미용가위를 이용하여 머리를 자르고 다듬을 수 있도록 하며, 절단된 머리카락이 하부날부재와 상부날부재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미용가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컷팅용 미용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셋팅용 미용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를 이용하여 머리를 컷팅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를 이용하여 머리를 다듬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날부재 11 : 등부분
13 : 날부분 15 : 빗살홈
20 : 하부날부재 23 : 날부분
25 : 개방홈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자를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부재(10)의 등부분(1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빗살홈(15)이 형성되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는 이 빗살홈(15)을 통해 하부날부재(20)의 날부분(23)이 일측으로 노출되어 이 빗살홈(15)을 통해 머리카락을 다듬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로 이루어진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부재(10) 및 하부날부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폭으로 관통된 개방홈(25)이 형성되어 절단된 머리카락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 사이에 끼이지 않고 이 개방홈(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의 사시도로서, 상기 미용가위는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자를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의 컷팅용 가위와 동일하며, 상기 상부날부재(10)의 등부분(1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빗살홈(15)이 형성되어 이 빗살홈(15)을 통해 하부날부재(20)의 날부분(23)이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이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다듬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는 통상 그 날부분(13,23)이 면도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예리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날부재(20)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폭의 개방홈(25)이 형성되어 절단된 머리카락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 사이에 끼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방홈(25)은 빗살홈(15)이 형성되지 않은 통상의 미용가위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미용가위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를 벌리고 오무리는 동작에 의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 사이에 위치된 머리카락을 잘라 대략적인 머리의 형태를 잡은 후 상기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가 포개지도록 접은 상태에서 상부날부재(10)의 빗살홈(15)을 통해 일측으로 노출된 하부날부재(20)의 날부분(23)에 의해 머리의 숫을 치므로써 그 형태를 정밀하게 다듬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용가위는 하나의 가위로 컷팅작업과 다듬는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먼저 머리를 대략적인 형태로 컷팅한 후 빗살홈(15)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 다듬을 수도 있으며, 머리를 대략적인 형태로 컷팅하면서 바로바로 다듬을 수도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 상기 미용가위는 하부날부재(20)의 중앙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폭의 개방홈(25)이 형성되어 절단된 머리카락이 하부날부재(20)와 상부날부재(10) 사이에 끼이지 않고 상기 개방홈(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그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미용가위는 하나의 가위를 이용하여 머리를 자를 수도 있고 다듬을 수도 있기 때문에 컷팅용가위와 셋팅용가위를 각기 별도로 제조하고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설비투자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미용가위는 가위를 바꾸어가면서 작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머리를 컷팅하면서 바로 바로 다듬을 수 있으며, 하부날부재(20)의 중앙부에는 소정폭의 개방홈(25)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절단된 머리카락이 배출되므로, 사용도중 하부날부재(20)와 상부날부재(10) 사이에 끼인 머리카락을 제거할 필요가 없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Claims (2)

  1.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자를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부재(10)의 등부분(1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빗살홈(15)이 형성되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는 이 빗살홈(15)을 통해 하부날부재(20)의 날부분(23)이 일측으로 노출되어 이 빗살홈(15)을 통해 머리카락을 다듬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부재(10) 및 하부날부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폭으로 관통된 개방홈(25)이 형성되어 절단된 머리카락이 상부날부재(10)와 하부날부재(20) 사이에 끼이지 않고 이 개방홈(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KR2020000001625U 1999-09-14 2000-01-21 미용가위 KR200195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25U KR200195179Y1 (ko) 1999-09-14 2000-01-21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231A KR100330944B1 (ko) 1999-09-14 1999-09-14 미용가위
KR2020000001625U KR200195179Y1 (ko) 1999-09-14 2000-01-21 미용가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231A Division KR100330944B1 (ko) 1999-09-14 1999-09-14 미용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179Y1 true KR200195179Y1 (ko) 2000-09-01

Family

ID=2663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25U KR200195179Y1 (ko) 1999-09-14 2000-01-21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1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26Y1 (ko) * 2010-04-13 2012-12-06 서정래 미용가위
KR101597078B1 (ko) 2015-11-12 2016-02-24 정찬이 머리스타일 연출용 미용가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26Y1 (ko) * 2010-04-13 2012-12-06 서정래 미용가위
KR101597078B1 (ko) 2015-11-12 2016-02-24 정찬이 머리스타일 연출용 미용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8233A (en) Hair trimmer attachment for electric razors
US5107591A (en) Thinning scissors
CA2210358A1 (en) Cutter blade for hair clippers
US4003390A (en) Hair cutting guide for electric razor
JPS61290978A (ja) そぎばさみ
US5349971A (en) Clipper comb
KR200195179Y1 (ko) 미용가위
KR100330944B1 (ko) 미용가위
ES2217057T3 (es) Metodo de corte de pelo con ambas manos.
US3109236A (en) Hair trimming attachment for electric razors
JPS588868B2 (ja) サンパツキグヨウノ ハ
KR200307577Y1 (ko) 미용가위
KR200184868Y1 (ko) 이미용 커터
GB2153732A (en) Hairdressing scissors
EP0163381A1 (en) Hairdressing scissors
US4407309A (en) Hair styling method
KR200382980Y1 (ko) 존 앤드 섹션 가위
KR200240224Y1 (ko) 이미용 가위
KR20020096123A (ko) 양손을 이용한 커트방법
JP3066991U (ja) ヘアスタイル調整用鋏
JPH08299623A (ja) 調髪用梳鋏
JP2005034577A (ja) 理髪用梳鋏
KR200262255Y1 (ko)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US20020026713A1 (en) Hair-cutting scissor with combination cutting and blending blades
JPS5858115B2 (ja) ヘアカツ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