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255Y1 -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255Y1
KR200262255Y1 KR2020010031517U KR20010031517U KR200262255Y1 KR 200262255 Y1 KR200262255 Y1 KR 200262255Y1 KR 2020010031517 U KR2020010031517 U KR 2020010031517U KR 20010031517 U KR20010031517 U KR 20010031517U KR 200262255 Y1 KR200262255 Y1 KR 200262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mber
blade
comb
scissors
raz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인 filed Critical (주) 한국인
Priority to KR2020010031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255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 단부를 따라 칼날이 형성된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회동되게 결합되는 하부 가위날부재(110)와;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에 형성되고, 단부에 머리카락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121)이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빗살돌기(120)와; 상기 빗살돌기(120)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하부 가위날부재(110)가 맞물려 포개지는 경우,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의 단부와 소정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빗살공간부(130); 그리고,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에 형성되어 레쟈용 면도날이 상기 빗살돌기(120) 형성부측으로 소정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면도날(150)을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미용가위를 틴닝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하며, 면도날(15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틴닝작업 및 레쟈작업을 하나의 미용기구를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하므로 작업이 편리해지고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scissors with razor and thinning function}
본 고안은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도날이 구비되어 머리를 다듬을 수 있는 레쟈기능과, 머리카락의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잘라내는 틴닝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발소나 미용실에서는 머리카락을 절단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미용기구가 사용된다. 상기 미용기구중에서 대표적인 것중의 하나가 틴닝용가위이다.
상기 틴닝용 가위는 컷팅용가위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일부 절단 시킨 후 머리카락을 선택적으로 일부만을 잘라내는데 사용되는 가위이다. 즉, 상부날과 하부날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날 또는 하부날의 일측에 다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날과 하부날이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이 절단되며, 머리카락 중 일부는 상기 공간부 내부로 삽입되어 잘리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되어 머리카락 중 일부만이 절단 되는 것이다.
또한 머리카락을 하측부분으로 비스듬하게 커팅시키는 도구로는 레쟈가 사용된다. 상기 레쟈는 소정의 칼날이 장착되어 상기 칼날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이 상기 칼날에 부딪치며 절단되는 것이다.
통상 머리카락을 절단, 커팅하기 위해 상기 틴닝가위및 레쟈가 사용되는 바,사용자는 상기 틴닝가위와 레쟈를 선택적으로 반복 사용하여 머리카락을 절단 하거나 고르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틴닝작업과 레쟈작업을 하기 위해 기구를 교체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상 번거롭고, 커트작업 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틴닝작업과 레쟈작업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가 펼쳐졌을때의 사시도.
도2 -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가 겹쳐졌을때의 사시도.
도3 - 본 고안에 따른 하부 가위날부재의 일부사시도.
도4 - 본 고안에 따른 하부 가위날부재의 면도날 수용홈에 면도날이 수용되는 형상을 보인도.
도5 - 본 고안에 따른 하부 가위날부재의 후크에 면도날이 결합되는 형상을 보인도.
도6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가 펼쳐졌을 때의 사시도.
도7 -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가 겹쳐졌을 때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상부 가위날부재 110 : 하부 가위날부재
120 : 빗살돌기 121 : 수용홈
130 : 빗살공간부 140 : 결합부
141 : 면도날 수용홈 142 : 면도날 결합홈
143 : 후크 144 : 후크결합공
150 : 면도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부를 따라 칼날이 형성된 상부 가위날부재와;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와 회동되게 결합되는 하부 가위날부재와;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에 형성되고, 단부에 머리카락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빗살돌기와; 상기 빗살돌기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와 하부 가위날부재가 맞물려 포개지는 경우,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의 단부와 소정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빗살공간부; 그리고,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에 형성되어 레쟈용 면도날이 상기 빗살돌기 형성부측으로 소정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의 내면에 하측으로 함몰연결되어 형성되며 면도날이 슬라이딩 수용되는 면도날수용홈과; 상기 면도날수용홈에서 외측으로 함몰 연결형성되어 상기 면도날수용홈에 수용된 면도날의 단부가 결합되어 면도날의 무단이탈을 방지시키는 면도날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의 내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돌출되도록 형성된 후크와; 상기 면도날에 형성된 후크결합공으로 구성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는, 단부에 칼날이 형성된 빗살돌기와; 빗살돌기의 사이 사이에 형성되며 머리카락이 수용되는 빗살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와 상부가위날 부재가 맞물리는 경우 수용홈에 수용된 머리카락은 절단되고, 빗살공간부에 수용된 머리카락은 절단되지 않는 선택적 컷팅이 가능하며, 결합부에 면도날이 결합된 상태에서 레쟈기능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 제1실시예 >
도1은 본 고안에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가 펼쳐졌을때의 사시도이고, 도2는 제1실시예의 미용가위가 겹쳐졌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3은 하부 가위날부재의 일부사시도이며, 도4는 하부 가위날부재의 면도날 수용홈에 면도날이 수용되는 형상을 보인도이고, 도5는 하부 가위날부재의 후크에 면도날이 결합되는 형상을 보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쟈(razor)기능과 틴닝(thinning)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는 크게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하부 가위날부재(110)와, 빗살돌기(120)와, 빗살공간부(130)와, 결합부(140) 그리고 면도날(15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는 단부를 따라 머리카락을 절단시키는 칼날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하부 가위날부재(110)와 회동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의 단부는 단부를 따라서 전체가 칼날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는 대략중앙부가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절단시킨다.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단부에는 빗살돌기(120)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빗살돌기(120)의 형성에 의해 빗살돌기(120)의 사이사이에는 빗살공간부(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빗살돌기(120)의 단부에는 단부측에서 빗살돌기(120)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수용홈(121)이 형성되며 머리카락을 절단시키는 경우 머리카락이 상기 수용홈(121)에 수용되어 하부 가위날부재(110)와 상부 가위날부재(100)가 맞물리는 경우 수용홈(121)에 수용된 머리카락이 절단된다.
상기 빗살공간부(130)는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내측으로 소정깊이 만큼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하부 가위날 부재(110)가 맞물리는 경우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의 칼날과 빗살공간부(130)의 내측까지는 겹쳐지지않는 공간이 존재한다.
즉, 미용가위로 머리카락을 절단하는 경우,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하부 가위날부재(110)가 맞물려야 하는 바,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수용홈(121)에 수용된 머리카락은 절단되게 되며,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빗살공간부(130)에 수용된 머리카락은 상,하부 가위날부재(100)(110)가 맞물리는 경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빗살공간부(130)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어 칼날이 절단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머리카락이 선택적으로 절단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내면에 하측으로 함몰연결된 면도날 수용홈(141)과, 상기 면도날 수용홈(141)에서 외측으로 함몰연결되어 면도날(150)의 단부가 결합되는 면도날 결합홈(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면도날 수용홈(141)은 소정폭과 넓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내면 단부 인접부에서 부터 상기 빗살돌기(120)측까지 걸쳐 형성되어 상기 면도날 수용홈(141)에 면도날(150)이 슬라이딩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면도날 결합홈(142)은 상기 면도날 수용홈(141)에서 후면 단부측으로 파여진 형상으로 한줄이 형성되고, 상기 면도날 수용홈(141)에서 빗살돌기(120)측으로 파여진 형상으로 또 한줄이 형성되어 면도날(150)의 단부가 면도날 결합홈(142)에 결합되어 면도날(150)의 무단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면도날 수용홈(141)에 형성된 면도날(150)은 상기 빗살공간부(130)와 일부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40)는 위에서 설명한 면도날 수용홈(141) 및 면도날 결합홈(142)으로 구성하는데 국한하지 않고 결합부(140)를 후크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5에서,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내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후크(143)를 형성시키며, 면도날(150)에 후크결합공(144)을 형성시켜 상기 후크(143)를 면도날(150)의 후크결합공(144)에 삽입하면 면도날(150)이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에 결합된다. 이때에도 면도날(150)의 단부는 상기 빗살돌기(120)와 일부 겹쳐지게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 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사용자가 미용가위를 틴닝용도로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면도날(150)을 결합부(140)에서 분리시켜 사용하게 되며, 이때 상부가위날 부재(100)와 하부 가위날 부재(110)가 맞물려 머리카락이 절단되는 경우에 상기 수용홈(121)에 수용되는 머리카락은 절단되고, 빗살공간부(130)에 수용되는 머리카락은 절단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빗살공간부(130)를 통하여 머리카락이 쉽게 빠진다.
사용자가 면도날(150)을 결합부(140)에 결합시키는 경우에 미용가위는 틴닝용도와 레쟈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하부 가위날부재(110)를 맞물리도록 가위질을 하게 되면 머리카락은 잘리게 되고,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하부 가위날부재(110)를 맞물리지 않게 벌린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결합부(140)에 설치된 면도날(150)을 이용하여 면도날(150)을 경사지게 쓸어내림에 의해 머리카락을 소정 절단시키는 레쟈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용기구를 교체하지 않고도 틴닝작업 및 레쟈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번거로움이 상당부분 해소되며 작업이 간편해진다.
< 제2실시예 >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다른 구성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다른부분은 상부 가위날부재(100)이다.
제1실시예에서의 상부 가위날부재(100)의 단부는 단부를 따라서 전체에 칼날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지만, 제2실시예는 칼날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의 단부 근처에는 등간격으로 빗살돌기(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빗살돌기(101)의 단부에만 칼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빗살돌기(101)의 사이 사이에는 빗살돌기의 형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빗살공간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빗살공간부(102)에 머리카락이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빗살돌기(101)는 하부가위날 부재(110)의 빗살돌기(120)와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절단하게 되며, 상기 빗살공간부(102)에 수용된 머리카락은 미용가위가 겹쳐지는 경우,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빗살공간부(130)와 겹쳐지게 되어 수용된 머리카락은 절단되지 아니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면도날을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미용가위를 틴닝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하며, 면도날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틴닝작업 및 레쟈작업을 하나의 미용기구를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하므로 작업이 편리해지고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단부를 따라 칼날이 형성된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회동되게 결합되는 하부 가위날부재(110)와;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에 형성되고, 단부에 머리카락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121)이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빗살돌기(120)와;
    상기 빗살돌기(120)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와 하부 가위날부재(110)가 맞물려 포개지는 경우,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의 단부와 소정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빗살공간부(130); 그리고,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에 형성되어 레쟈용 면도날(150)이 상기 빗살돌기 (120)형성부측으로 소정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내면에 하측으로 함몰연결되어 형성되며 면도날(150)이 슬라이딩 수용되는 면도날수용홈(141)과;
    상기 면도날수용홈(141)에서 외측으로 함몰 연결형성되어 상기 면도날수용홈(141)에 수용된 면도날(150)의 단부가 결합되어 면도날(150)의 무단이탈을 방지시키는 면도날결합홈(14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하부 가위날부재(110)의 내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돌출되도록 형성된 후크(143)와;
    상기 면도날(150)에 형성된 후크결합공(14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위날부재(100)는,
    단부에 칼날이 형성된 빗살돌기(101)와;
    빗살돌기(101)의 사이 사이에 형성되며 머리카락이 수용되는 빗살공간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KR2020010031517U 2001-10-16 2001-10-16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KR200262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17U KR200262255Y1 (ko) 2001-10-16 2001-10-16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17U KR200262255Y1 (ko) 2001-10-16 2001-10-16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572A Division KR20010103120A (ko) 2001-10-16 2001-10-16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255Y1 true KR200262255Y1 (ko) 2002-03-18

Family

ID=7307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517U KR200262255Y1 (ko) 2001-10-16 2001-10-16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057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영거제이영 다기능 미용 가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057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영거제이영 다기능 미용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743B2 (en) Electric hair clipper
US20080016691A1 (en) Multi-use shaving implement
KR101082303B1 (ko) 면도기
JP2009500113A (ja) 一体型湿式シェービング及びトリミング手段
CA2293332C (en) Folding razor
US4401129A (en) Comb and cut baton
CN109153138B (zh) 包括形成有贯通孔的手柄的剃须刀
US20070209214A1 (en) Hybrid scissor and razor
JPS61290978A (ja) そぎばさみ
KR200262255Y1 (ko)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KR100582029B1 (ko) 미용가위
KR20010103120A (ko)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JP3515978B1 (ja) 理美容具
WO2007092291A1 (en) Multi-use shaving implement
US2228768A (en) Hair clipping and shaving device
KR200195179Y1 (ko) 미용가위
JP2001259258A (ja) 散髪用鋏
KR200240224Y1 (ko) 이미용 가위
KR200430058Y1 (ko) 미용가위
KR200263262Y1 (ko) 클린 면도기
KR200260239Y1 (ko) 손톱소제용 가위
CN213859378U (zh) 一种理发剃刀
KR20090011790A (ko) 다중 절단기능을 갖는 미용가위
KR940001721Y1 (ko) 면도기 겸용 전동식 손톱깍기
KR20030018794A (ko) 머리손질용 가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