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847B1 - 교반기 - Google Patents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847B1
KR101977847B1 KR1020170123891A KR20170123891A KR101977847B1 KR 101977847 B1 KR101977847 B1 KR 101977847B1 KR 1020170123891 A KR1020170123891 A KR 1020170123891A KR 20170123891 A KR20170123891 A KR 20170123891A KR 101977847 B1 KR101977847 B1 KR 101977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tirring ball
shaft
stirr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080A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7012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847B1/ko
Priority to PCT/KR2018/000185 priority patent/WO2019066150A1/ko
Publication of KR2019003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B01F13/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6Stirrers shaped as cylinders, balls or rollers
    • B01F27/1162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7/005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1805Kitchen, household equipment for mixing
    • B01F2215/00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 커플링 부재를 사용하는 교반기에서, 교반 부재가 용기의 바닥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회전 축선을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는 교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바닥부의 상측 표면에 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상기 용기; 구형인 하부를 갖는 교반볼로서, 상기 구형인 하부가 상기 안착부의 상측 표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상기 교반볼; 구형의 오목한 상측 표면을 갖는 자력축으로서, 상기 안착부의 하측으로 볼록한 구형 하측 표면 아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자력축; 상기 교반볼과 상기 자력축에 서로 분리되어 각각 배치되는 제1 자력 커플링 부재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 중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성체인,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자력축과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본체로서,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탑재되면, 상기 자력축이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상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상기 상측 표면에는 마찰감소돌기가 상기 상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볼의 상기 하부의 외측 표면과 접촉되는, 교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반기{MIXER}
본 발명은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용기의 바닥부에 교반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샤프트가 장착되는 관통공을 마련하지 않으면서, 자력 커플링 부재를 사용하여 용기 내의 교반 부재를 용기의 바닥부 외측에 있는 구동력 공급 수단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는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교반기는 식품, 예를 들어, 칵테일, 주스와 같은 음료를 혼합하거나, 가루주스 또는 선식 등과 같은 분말을 액체와 섞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가공되기 위한 식품을 담는 용기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교반 부재를 용기 외부의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용기 내에 담긴 음식을 교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교반기의 용기 바닥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의 일단에는 교반 부재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메커니즘과 연결되기 위한 기어 등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교반기는 용기 바닥의 관통공을 통한 용기 내의 식품에서 발생되는 액체의 누출을 막기 위해 관통공과 회전축의 사이에 씨일링 구조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액체의 누출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구조적으로도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서,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4577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바닥에 관통 공을 형성하지 않고 자력 커플링 부재(자성체 및 자력부)를 사용하여 용기 내의 교반 부재(필터)에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메커니즘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교반기에서, 교반 부재는 용기의 바닥에 고정된 회전 샤프트 둘레로 회전되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쉽게 회전 축선을 이탈하여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45775 (2015. 04. 29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9741 (2004. 01. 13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29322 (2003. 04. 14 공개)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자력 커플링 부재를 사용하는 교반기가 갖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교반 부재가 용기의 바닥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회전 축선을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는 교반기를 제공한다.
아울러, 자력 커플링 부재에 의해서 회전되는 교반 부재와 용기 바닥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반기를 제공한다.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300)로서, 바닥부(310)의 상측 표면에 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부(320)가 마련되는 상기 용기(300); 구형인 하부(550)를 갖는 교반볼(500)로서, 상기 구형인 하부(550)가 상기 안착부(320)의 상측 표면(321)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상기 교반볼(500); 구형의 오목한 상측 표면을 갖는 자력축(420)으로서, 상기 안착부(320)의 하측으로 볼록한 구형 하측 표면(326) 아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자력축(420); 상기 교반볼(500)과 상기 자력축(420)에 서로 분리되어 각각 배치되는 제1 자력 커플링 부재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 중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성체인,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 및 상기 자력축(420)과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61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장치(600)를 수용하는 본체(200)로서, 상기 용기(300)가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탑재되면, 상기 자력축(420)이 상기 구동축(610)과 결합되는, 상기 본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320)의 상기 상측 표면(321)에는 마찰감소돌기(325)가 상기 상측 표면(3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볼(500)의 상기 하부(550)의 외측 표면과 접촉되는, 교반기(100)가 제공된다.
상기 자력축(420)은 상기 안착부(320)의 상기 하측 표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부(421)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 중 하나가 배치되는, 상기 슬라이딩부(421) 및 상기 슬라이딩부(421)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연결부(423)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423)는 상기 구동축(610)의 결합홈(62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자력축(420)과 상기 안착부(320)의 상기 하측 표면(32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자력축(420)의 상기 슬라이딩부(421)와 상기 하측 표면(326)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상측 커버(4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부(310)의 하측 표면에서 상기 안착부(321)의 둘레를 따라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력축(42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자력축 가이드부(3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자력축 가이드부(330)에 하측으로부터 연결되는 외부 커버(430)로서, 상기 자력축(420)의 상기 연결부(423)가 관통되는 개구(431)를 갖는, 상기 외부 커버(4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교반볼(500)은 내부가 비어 있고 표면에는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공(511, 5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교반볼(500)은 상반구(510), 하반구(520) 및 상기 하반구(520)의 하측에 부착되는 슬라이딩 하측 커버(530)를 구비하고, 상기 하반구(520)와 상기 슬라이딩 하측 커버(530)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교반볼(5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관통공(511)의 사이즈는 상기 교반볼(500)의 중간부 및 상측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512)의 사이즈 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다르면,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300)로서, 바닥부(310)의 상측 표면에 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부(320)가 마련되는 상기 용기(300); 구형인 하부(550)를 갖는 교반볼(500); 구형의 오목한 상측 표면을 갖는 자력축(420)으로서, 상기 안착부(320)의 하측으로 볼록한 구형 하측 표면(326) 아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자력축(420); 상기 교반볼(1500)과 상기 자력축(420)에 각각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제1 자력 커플링 부재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 중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성체인,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 상기 교반볼(1500)의 상기 하부(550)에 고정되어, 상기 안착부(320)의 상측 표면(321)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 및 상기 자력축(420)과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61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장치(600)를 수용하는 본체(200)로서, 상기 용기(300)가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탑재되면, 상기 자력축(420)이 상기 구동축(610)과 결합되는, 상기 본체(200)를 포함하는, 교반기가 제공된다.
상기 안착부(320)의 상기 상측 표면(321)에는 융기부(1325)가 상기 상측 표면(321)으로부터 융기되어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의 하측 표면과 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는 상기 교반볼(1500)의 상기 하부에 고정 핀(570)에 의해서 고정되어, 상기 교반볼(1500)과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는 상기 안착부(320)에 안착되면,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의 상측 단부가 상기 안착부(3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교반기의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교반기의 교반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교반기의 교반볼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교반기의 변형예에 따른 교반기이고,
도 6은 도 1의 교반기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교반기의 용기 및 교반볼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교반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따른 교반기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어떤 실시형태의 특징이 다양하게 조합되거나 또는 단독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반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교반기(100)의 용기 (또는 텀블러; 300)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교반기(100)의 교반볼(500)의 분해 사시도(자석(540)은 생략됨)이고, 도 4는 도 1의 교반기(100)의 교반볼(5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반기(100)는, 교반기(100)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270)가 마련되고, 내부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 장치(미도시)가 수용되는 본체(200), 가공될 식품을 담고, 본체(200)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300), 용기(300)의 바닥부(310) 상측 표면(321)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자석(540; 자력 커플링 부재)을 수용하는 교반 부재, 즉 교반볼(500), 용기(300)의 바닥부(310) 하측 표면(326) 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300)가 본체(200)의 상측에 장착되면, 구동 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회전 자력부(400)로서, 내부에 자석(422; 자력 커플링 부재)이 장착되어, 교반볼(500)의 자석(540)과의 사이에서 서로 인력이 발생되는 상기 자력부(400)를 포함하며, 교반볼(500)은 회전 자력부(400)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서, 회전 자력부(400)가 구동 장치에 의해서 회전되면, 회전 자력부(400)와 함께 회전된다. 한편, 자력 커플링 부재(540, 422) 중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체일 수도 있다.
자력부(400)의 자석(422)과 교반볼(500)의 자석(540)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돔형 또는 구형의 안착부(320)(후술됨)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도록 그리고 회전축 둘레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력부(400)의 자석(422)과 교반볼(500)의 자석(54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의 방향은 회전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용기(300)는, 예를 들어 휴대용 텀블러로 사용될 수 있는 사이즈로서,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300)의 개방된 상단에는 뚜껑(330)이, 예를 들어 마찰 끼움 방식으로 장착되어 개방된 상단을 닫을 수 있다.
용기(300)의 바닥부(310) 상측 표면(321)에는 후술되는 교반볼(500)의 하부(55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오목한 안착부(320)가 형성된다. 안착부(320)의 오목한 형상은 하부(550)의 형상에 대응하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교반볼(500)의 구형인 하부(55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또는 대략적으로 정합될 수 있는 구형의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안착부(320)는 상측 표면(321)의 중앙에 위치될 수도 있고, 평면상에서 안착부(320)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교반볼(500)의 하부(550)의 적어도 3개의 지점과 접촉될 수 있도록 바닥부(310)의 상측 표면(321) 상에서 삼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 또는 별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적어도 2개의 타원이 교차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안착부(320)는 후술되는 교반볼(500)의 슬라이딩 하측 커버(530)(하부(550)는 교반볼(500)의 전체 높이의 절반에 해당되고, 하측 커버(530)의 높이는 하부(550) 높이의 절반에 해당)가 안착부(320) 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반볼(500)의 무게와 무게 중심 등을 고려하여 안착부(320)에 삽입되는 교반볼(500)의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교반볼(500)의 하부가 오목한 안착부(320)에 의해서 적어도 3개의 측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교반볼(500)이 회전될 때, 원심력에 의해서 회전 축선을 이탈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어, 교반볼(500)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오목한 안착부(320)의 상측 표면(321)에는 상측 표면(3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예를 들어 구형으로 형성되어 교반볼(500)의 상기 하부(550)의 외측 표면과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감소돌기(325)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안착부(320)의 하측 표면(326)은, 예를 들어 구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볼록한 하측 표면(326)의 가장자리로부터 미리결정된 간격을 두고 둘레를 따라서 환상의 자력축 가이드부(330)가 하측 표면(326)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안착부(320)의 볼록한 하측 표면(326)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회전 자력부(400)가 배치된다. 회전 자력부(400)는, 상기 안착부(320)의 상기 하측 표면(326)과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자석(422)이 끼워지는 오목 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딩부(421) 및 슬라이딩부(421)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연결부(423)를 구비하는 자력축(420)을 포함한다. 또한, 용기(300)가 본체(200)에 장착되면, 용기(300)의 장착부(350)가 본체(200)의 장착홈(210)에 삽입되면서, 연결부(423)가 구동축(610)의 결합홈(620)에 삽입된다.
회전 자력부(400)는 또한 자력축(420)의 슬라이딩부(421)와 안착부(320)의 하측 표면(326)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부(421)와 하측 표면(326) 사이의 마찰 및 이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상측 커버(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상측 커버(410)의 내측 중앙부에는 홈(411)이 형성되어 회전 시 회전축을 벗어나려는 경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자력부(400)는 자력축 가이드부(330)와 결합되어 이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하여 슬라이딩부(421)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바닥의 개구(431)을 통해서는 연결부(423)이 하측으로 연장되게 노출되는 것을 허여하는 외부 커버(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볼(500)은 전체적으로 구형이고, 상반구(510)와 하반구(520)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는 중공이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511) 및 중간 부분과 상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5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반구(510)와 하반구(520)는 결합돌기(513)를 결합홈(522)에 끼움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상반구(510)는 전체적으로 반구형이고, 상부 및 상측 중앙에 형성되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511) 및 하측 부분에 형성되는 절결부(또는 관통공; 5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반구(510)의 상부 및 상측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511)은 교반기(100)의 작동 시에, 예를 들어 유동가능한 식품이 교반볼(5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여한다. 또한, 후술되는 관통공(512)에 비하여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어, 교반볼(500) 내부로 유입되는 식품의 양과 외부로 유출되는 식품의 양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하반구(520)는 전체적으로 반구형이며 이의 상측 부분에는 복수의 절결부(또는 관통공; 512)가 형성되나, 이의 하측 부분에는 절결부가 없고, 자석(540)이 끼워지는 자석 장착 홈(52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반구(520)의 관통공(512)은 교반기(100)의 작동 시에 교반볼(500) 내부에 유입된, 예를 들어 유동가능한 식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허여한다.
또한, 하반구(520)의 내측 중앙 부분에는 오목한 홈(523)이 형성되어, 필요한 경우, 균형 추(미도시)가 장착되어 교반볼(500)의 안정된 회전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하반구(520)의 하측 단부에서 대략 중간 높이까지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여기에, 자석 장착 홈(521) 장착된 자석(540)이 노출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하측 커버부(530)가 부착될 수 있다.
하측 커버부(530)는 교반볼(500)의 회전시 발생되는 안착부(320)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상반구(510) 및 하반구(520)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 커버부(530)의 오목한 내측 표면에는 자석(54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끼워질 수 있는 장착홈(53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커버부(530)와 하반구(520)는 결합하여 교반볼(500)의 하부(550)를 구성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믹서(100)에 있어서, 교반볼(500)의 하부(550)가 용기(300)의 바닥부(310)에 형성된 안착부(320)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고, 또한 자력 커플링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의 방향이 회전 축선과 교차되는 방향이기 때문에, 교반볼(500)의 회전이 더욱 안정될 수 있고, 아울러, 안착부(320)의 상측 표면(321)에 형성된 마찰감소돌기(325)에 의해서 교반볼(500)과 안착부(320)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어, 교반볼(500)의 안정된 회전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 하면, 도 1의 교반기(100)의 변형예에 따른 교반기(100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이하, 도 1에 개시된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하고, 간략성을 위해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교반기(1000)가 갖는 도 1의 교반기(100)와의 차이점은, 교반기(1000)가 용기(30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교반기(1000)는 본체(200)에 장착된 진공 펌프(220), 용기(300)의 뚜껑(360)에 형성된 배기밸브(361)와 탈착가능하게 접촉되는 흡착부(240), 및 일단이 진공 펌프(220)와 연결되고 타단이 흡착부(240)와 연결되는 진공 튜브(23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교반기(1000)는 필요에 따라 용기(300)의 내부를 미리결정된 진공도의 진공상태로 만든 후 또는 미리결정된 진공도를 형성하면서, 교반볼(500)을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교반기(100)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교반기의 용기(300) 및 교반볼(1500)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이하, 도 1에 개시된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고, 간략성을 위해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에 개시된 교반기가 갖는 도 1의 교반기(100)와의 차이점은, 교반볼(1500)의 하부와 용기(300) 바닥부(310)에 형성된 안착부(320) 사이에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가 배치되는 점이다.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는 고정핀(570)에 의해서 교반볼(150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는 전체적으로 돔 또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교반볼(1500)의 하부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교반볼(1500)과 스페이서(56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560)의 반경에 대응하여 안착부(320)의 반경이 설정될 수 있다.
안착부(320)의 상측 표면(321)에는 융기부(1325)가 형성되어 스페이서(560)의 하측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325)와 마찬가지로 이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표면(321)의 중앙부, 즉 안착부(320)의 가장 깊은 부분에 형성되는 융기부(1325)는 스페이서(56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홈(565)과 협력하여 스페이서(560)의 안정된 회전에 일조할 수 있다.
스페이서(560)가 안착부(320)에 안착되면, 스페이서(560)의 상측 단부는 안착부(3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스페이서(5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며, 교반볼(1500)의 구형 몸체의 거의 전체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용기(300) 내의 식품과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이 커져 섞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고, 아울러, 교반볼(1500)의 회전이 더욱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된 실시예의 다양한 구성요소에서 변경, 수정 내지 치환이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변형예가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해당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1000 교반기
200 본체
210 장착홈
220 진공펌프
300 용기
310 바닥부
320 안착부
321 상측 표면
325 마찰 감소 돌기
326 하측 표면
330 자력축 가이드부
400 회전 자력부
410 슬라이딩 상측 커버
420 자력축
421 슬라이딩부
422 자석(자력 커플링 부재)
423 연결부
430 외부 커버
431 개구
500 교반볼
510 상반구
511 관통공
512 관통공(절결부)
520 하반구
530 슬라이딩 하측 커버
540 자석(자력 커플링 부재)
550 하부
560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
1325 융기부

Claims (12)

  1. 물과 물 이외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300)로서, 바닥부(310)의 상측 표면에 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부(320)가 마련되는 상기 용기(300);
    구형인 하부(550)를 갖는 교반볼(500)로서, 상기 구형인 하부(550)가 상기 안착부(320)의 상측 표면(321)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상기 교반볼(500);
    구형의 오목한 상측 표면을 갖는 자력축(420)으로서, 상기 안착부(320)의 하측으로 볼록한 구형 하측 표면(326) 아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자력축(420);
    상기 교반볼(500)과 상기 자력축(420)에 서로 분리되어 각각 배치되는 제1 자력 커플링 부재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 중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성체인,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 및
    상기 자력축(420)과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61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장치(600)를 수용하는 본체(200)로서, 상기 용기(300)가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탑재되면, 상기 자력축(420)이 상기 구동축(610)과 결합되는, 상기 본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320)의 상기 상측 표면(321)에는 마찰감소돌기(325)가 상기 상측 표면(3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볼(500)의 상기 하부(550)의 외측 표면과 접촉되고,
    상기 교반볼(500)은 내부가 비어 있고 표면에는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공(511, 512)이 형성되는, 교반기(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력축(420)은 상기 안착부(320)의 상기 하측 표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부(421)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 중 하나가 배치되는, 상기 슬라이딩부(421) 및 상기 슬라이딩부(421)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연결부(423)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423)는 상기 구동축(610)의 결합홈(620)에 삽입되는, 교반기(10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력축(420)과 상기 안착부(320)의 상기 하측 표면(32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자력축(420)의 상기 슬라이딩부(421)와 상기 하측 표면(326)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상측 커버(410)를 더 포함하는, 교반기(100).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310)의 하측 표면에서 상기 안착부(320)의 둘레를 따라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력축(42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자력축 가이드부(330)를 더 포함하는, 교반기(1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력축 가이드부(330)에 하측으로부터 연결되는 외부 커버(430)로서, 상기 자력축(420)의 상기 연결부(423)가 관통되는 개구(431)를 갖는, 상기 외부 커버(430)를 더 포함하는, 교반기(100).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볼(500)은 상반구(510), 하반구(520) 및 상기 하반구(520)의 하측에 부착되는 슬라이딩 하측 커버(530)를 구비하고, 상기 하반구(520)와 상기 슬라이딩 하측 커버(530)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교반기(10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볼(5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511)의 사이즈는 상기 교반볼(500)의 중간부 및 상측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512)의 사이즈 보다 더 큰, 교반기(100).
  9. 물과 물 이외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300)로서, 바닥부(310)의 상측 표면에 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부(320)가 마련되는 상기 용기(300);
    구형인 하부(550)를 갖는 교반볼(1500);
    구형의 오목한 상측 표면을 갖는 자력축(420)으로서, 상기 안착부(320)의 하측으로 볼록한 구형 하측 표면(326) 아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자력축(420);
    상기 교반볼(1500)과 상기 자력축(420)에 각각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제1 자력 커플링 부재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 중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성체인, 상기 제1 및 제2 자력 커플링 부재(422, 540);
    상기 교반볼(1500)의 상기 하부(550)에 고정되어, 상기 안착부(320)의 상측 표면(321)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 및
    상기 자력축(420)과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61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장치(600)를 수용하는 본체(200)로서, 상기 용기(300)가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탑재되면, 상기 자력축(420)이 상기 구동축(610)과 결합되는, 상기 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볼(1500)은 내부가 비어 있고 표면에는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공(511, 512)이 형성되는, 교반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320)의 상기 상측 표면(321)에는 융기부(1325)가 상기 상측 표면(321)으로부터 융기되어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의 하측 표면과 접촉되는, 교반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는 상기 교반볼(1500)의 상기 하부에 고정 핀(570)에 의해서 고정되어, 상기 교반볼(1500)과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교반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는 상기 안착부(320)에 안착되면, 상기 슬라이딩 회전 스페이서(560)의 상측 단부가 상기 안착부(3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교반기
KR1020170123891A 2017-09-26 2017-09-26 교반기 KR10197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891A KR101977847B1 (ko) 2017-09-26 2017-09-26 교반기
PCT/KR2018/000185 WO2019066150A1 (ko) 2017-09-26 2018-01-04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891A KR101977847B1 (ko) 2017-09-26 2017-09-26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80A KR20190035080A (ko) 2019-04-03
KR101977847B1 true KR101977847B1 (ko) 2019-08-28

Family

ID=6590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891A KR101977847B1 (ko) 2017-09-26 2017-09-26 교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7847B1 (ko)
WO (1) WO2019066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004827U1 (de) * 2020-11-18 2020-12-07 Felix Fitze Rührvorrichtung für Küchenanwendung
CN113398787B (zh) * 2021-06-22 2023-05-26 集韵化妆品(上海)有限公司 一种粉底液及其加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4838A (ja) * 2015-05-18 2016-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撹拌子および撹拌装置
JP2017093980A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プロスパイン 調理器具および調理器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322A (ko) 2001-10-06 2003-04-14 임재열 자력을 이용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한 믹서
US6783664B2 (en) 2002-11-27 2004-08-31 Hyun Jong Kim Water-treating device
CN201658273U (zh) * 2010-01-21 2010-12-01 俞春平 一种奶泡壶
KR101271358B1 (ko) * 2012-11-21 2013-06-07 장승룡 자동 교반 용기
KR20150045775A (ko) 2013-10-21 2015-04-29 (주)매직코스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4838A (ja) * 2015-05-18 2016-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撹拌子および撹拌装置
JP2017093980A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プロスパイン 調理器具および調理器具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80A (ko) 2019-04-03
WO2019066150A1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978B2 (en) Tumbler with stirring assembly
KR101977847B1 (ko) 교반기
KR100618080B1 (ko) 혼합기 및 머그컵
US20200146509A1 (en) Magnetic mixing apparatus
RU2569594C2 (ru) Вспениватель молока
US884477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everage dispensing with rotary agitation
US20050207270A1 (en) Off-axis goblet for food mixer
US20070062942A1 (en) Cup assembly
JP4261188B2 (ja) 実験室用試験容器内の材料を撹拌部材により混合し均質化するための装置
CN108601483A (zh) 一次性容器搅拌装置和方法
KR20170138523A (ko) 유체 제품들을 위한 혼합기
US6811049B2 (en) Splash-proof lid assembly
TW200911357A (en) Degassing and mixing apparatus, and container for use therein
US20160249773A1 (en) Liquid agitation container
JP2005181338A (ja) 粒子含有試薬を非侵襲的に均一化するための、粒子含有試薬用試薬容器を有する試薬カートリッジ
EP4104710A1 (en) Multifunctional bottle lid assembly
JP2010240172A (ja) 泡立て器
WO2018134341A1 (en) Portable foodstuff mixer
JP2020511204A (ja) 飲料を混合して飲むための容器
ES2231605T3 (es) Inserto para recipiente de liquidos bajo presion, especialmente recipiente de bebidas.
CN208228868U (zh) 搅拌装置和泡奶机
TWI792191B (zh) 通氣裝置、蓋體以及包括該蓋體的容器
CN109452890A (zh) 投料模块及调味机
KR200369670Y1 (ko)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101641989B1 (ko) 유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