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93B1 -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93B1
KR101976693B1 KR1020170120512A KR20170120512A KR101976693B1 KR 101976693 B1 KR101976693 B1 KR 101976693B1 KR 1020170120512 A KR1020170120512 A KR 1020170120512A KR 20170120512 A KR20170120512 A KR 20170120512A KR 101976693 B1 KR101976693 B1 KR 10197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detection switch
rollover
rollover detec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052A (ko
Inventor
배대권
Original Assignee
디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28Cranes on rails or on rail vehicles
    • B66C2700/035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n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는, 상기 아우트리거 하부에 결합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판; 상기 발판의 측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는 연장판; 상기 연장판 상부에 마련되는 전복감지 스위치; 상기 연장판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며, 조절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판;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조절핀; 상기 조절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상부에서 배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조절핀에 끼워지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측면판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은 4개의 아우트리거에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크레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turning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우트리거 발판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조절핀의 머리부가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고, 이를 통해 크레인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붐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붐을 사용하는 크레인은 붐에 의해 크레인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우트리거를 사용한다. 아우트리거는 크레인에 결합 되어 지면을 통해 크레인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4개의 아우트리거가 사용된다.
그러나 크레인에 아우트리거를 사용하여도 크레인이 전복될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를 위해 종래의 크레인에는 전복방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크레인은 아우트리거의 길이센서를 이용하여, 아우트리거가 연장된 길이를 감지하고, 이 정보를 컨트롤러에서 연산하여 전복 여부를 판단 및 크레인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복방지 장치 및 전복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아우트리거는 길이센서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전복방지를 위해 전복방지를 완벽하게 세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복방지를 완벽하게 세팅하는 경우 정확한 전복방지가 가능하지만, 전복방지를 완벽하게 세팅하는 것이 어려우며, 전복방지 장치를 완벽하게 세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우트리거의 길이센서를 이용하는 전복방지 장치는 원가가 비싼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아우트리거의 기울기 센서 및 하중을 측정하는 중량센서를 이용하여 아우트리거의 높낮이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크레인을 제어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도 전복방지 장치를 완벽하게 세팅하는 것이 어렵고, 크레인을 완벽하게 세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원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우트리거 발판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조절핀의 머리부가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고, 이를 통해 크레인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는 상기 아우트리거 하부에 결합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판; 상기 발판의 측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는 연장판; 상기 연장판 상부에 마련되는 전복감지 스위치; 상기 연장판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며, 조절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판;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조절핀; 상기 조절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상부에서 배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조절핀에 끼워지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측면판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부터 들리면, 상기 조절핀과 상기 머리부의 중력에 의해 상기 조절핀이 하강되면서 상기 발판 밑으로 돌출되며,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의 상기 조절핀은, 상기 머리부 하부에 결합되는 제1조절핀과, 상기 제1조절핀 하부에 결합되는 제2조절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조절핀은 상기 제1조절핀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의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며, 크레인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은, 아우트리거 하부에 결합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판; 상기 발판의 측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는 연장판; 상기 연장판 상부에 마련되는 전복감지 스위치; 상기 연장판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며, 조절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판;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조절핀; 상기 조절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상부에서 배치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와 상기 측면판 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링;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전복장지 장치를 이용하는 전복방지 방법으로서, 4개의 상기 아우트리거에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4개의 상기 아우트리거에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부터 들려, 상기 조절핀과 상기 머리부의 중력에 의해 상기 조절핀이 하강되어,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에서만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을 작동시키고, 2개 이상의 상기 아우트리거에서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에서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의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상기 발판이 지면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에서,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 들리게 될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를 뺀 값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의 상기 거리센서에서 일정 간격 이상이 측정되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에서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의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상기 발판이 지면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에서,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 들리게 될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를 뺀 값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는 붐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한 측면에 있는 2개의 상기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거리의 합이 일정 간격이상이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에서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의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상기 발판이 지면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에서,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 들리게 될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를 뺀 값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는 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2개의 상기 거리센서에서 동시에 0 이상의 거리가 측정되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 발판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조절핀의 머리부가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게 되고, 이를 통해 크레인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복방지 장치는 세팅이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은 거리 조절이 가능한 제2조절핀 및 거리센서를 통해 들림량 조절이 가능하며, 원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크레인의 전복방지 장치가 4개의 아우트리거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전복방지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전복방지 장치가 지면과 붙어 있을 때와, 지면과 떨어져 있을 때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전복방지 장치를 이용한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2, 3, 4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의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 발판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조절핀의 머리부가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고, 이를 통해 크레인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는 발판(130), 연장판(131), 측면판(132), 전복감지 스위치(140), 조절핀(150), 머리부(160), 스프링(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는 붐(112)이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110)의 아우트리거(111)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크레인(110)의 상기 아우트리거(111)는 4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도 각각의 상기 아우트리거(111) 하부에 제1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1), 제2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2), 제3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3), 제4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4)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크레인(110)에 설치되는 상기 붐(112)이 상향 연장되는 곳을 전방이라 하며, 상기 붐(112)이 상향 연장되는 곳의 반대쪽을 후방으로 한다. 즉, 상기 붐(112)이 상기 크레인(110)에 결합되는 부분이 전방이 되며, 상기 붐(112)이 상기 크레인(110)에 결합되는 반대쪽이 후방이 된다. 또한, 후방에서 전방을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우측면과 좌측면을 설정한다. 즉, 우측면은 후방에서 전방을 바라보고 사용자가 서 있을 때, 우측 두 개의 크레인 전복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곳이며, 좌측면은 후방에서 전방을 바라고 사용자가 서 있을 때, 좌측 두 개의 크레인 전복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곳이 된다.
상기 제1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1)는 전방의 좌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제2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2)는 전방의 우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제3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3)는 후방의 좌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제4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4)는 후방의 우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판(130)은 상기 아우트리거(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과 닿는 부분이다. 상기 발판(130)은 지면과 닿아 상기 크레인(110)을 지지하기 위해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판(131)은 상기 발판(130)의 측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발판(130)은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연장판(131)은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발판(130)의 일 측면 모서리에서부터 상향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판(131)은 상기 발판(130)에 대하여 상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는 상기 연장판(131)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는 후술할 상기 조절핀(150)의 상기 머리부(160)가 상기 연장판(131) 위로 하강하였을 때, 상기 머리부(160)에 의해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가 눌릴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는 상기 머리부(160)에 의해 눌릴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에는 거리센서(14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141)는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머리부(160)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 상부에서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거리센서(141)를 통해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를 측정하면,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서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를 상기 거리센서(141)를 통해 측정한다. 이후,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서 들리게 되면, 이때 상기 거리센서(141)를 통해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를 한 번 더 측정한다. 처음 측정된 값에서 두 번째 측정된 값을 빼면,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서부터 얼마나 떨어졌는지의 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리센서(141)는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초음파를 이용하는 거리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판(132)은 상기 연장판(131)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며, 상기 조절핀(150)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133)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측면판(132)은 상기 연장판(131) 중간에서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측면판(132)은 상기 연장판(131)에 대하여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없는 방향으로 수평 돌출된다. 상기 발판(130), 상기 연장판(131), 상기 측면판(132)는 서로 결합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핀(150)은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판(132)의 상기 구멍(133)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핀(150)의 직경은 상기 구멍(13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조절핀(150)은 상기 측면판(132)의 상기 구멍(133)을 상, 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절핀(150)은 상기 구멍(133)을 통과하면서 상승할 수도 있고, 하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머리부(160)는 상기 조절핀(150)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머리부(160)는 상기 조절핀(150)의 끝단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를 누를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머리부(160)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를 가상의 선으로 수직 연장하였을 때, 상기 가상의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머리부(16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와 접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머리부(160)에는 상기 머리부(160)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6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61)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는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상의 선상에 바로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머리부(160)는 상기 돌출부(161)를 통해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를 누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170)은 상기 조절핀(150)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측면판(132)과 상기 머리부(160)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170)은 상기 조절핀(150)에 끼워지도록 상기 조절핀(150)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170)은 상기 조절핀(150)이 상승할 때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측면판(132) 사이에서 빠지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70)은 상기 머리부(160) 및 상기 측면판(132)의 크기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핀(150)은 상기 머리부(160) 하부에 결합되는 제1조절핀(151)과 상기 제1조절핀(151) 하부에 결합되는 제2조절핀(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조절핀(152)은 상기 제1조절핀(151)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2조절핀(152)을 통해 상기 조절핀(150)의 전체적인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핀(151)에 대하여 상기 제2조절핀(152)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조절핀(152)을 상기 제1조절핀(15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볼트 등으로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핀(150)의 전체적인 길이는 상기 연장판(131)이 상향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핀(150)이 하강하여 상기 머리부(160)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 접촉하였을 때, 상기 조절핀(150)은 상기 발판(130) 하부로 돌출되어야만 한다. 상기 조절핀(150)이 상기 발판(130) 하부로 돌출되어야만, 상기 발판(130)이 지면과 닿았을 때 상기 조절핀(150)이 상승하는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에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신호를 감지하며, 이를 통해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레인(110)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4개로 이루어진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 닿아 있을 때는 상기 조절핀(150)의 하부도 지면(G)과 닿아있게 되며,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는 일정 간격 떨어져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들려도 괜찮을 수 있는 허용량의 거리만큼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간격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는 상기 제2조절핀(152)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핀(152)을 상기 제1조절핀(151)에 대하여 길게 조절하면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간격은 길어지게 되며, 상기 제2조절핀(152)을 상기 제1조절핀(151)에 대하여 짧게 조절하면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간격은 짧아지게 된다.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서 점차 들리게 되면, 상기 조절핀(150)과 상기 머리부(160)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중력에 의해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조절핀(150)은 하강하게 된다.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서 들린 거리가,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들려도 괜찮을 수 있는 허용량의 거리(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간격) 이상이 되면, 상기 머리부(160)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를 누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 다시 닿게 될 때, 상기 조절핀(150)을 통해 상기 머리부(160)를 다시 상승시키기 위해서, 상기 조절핀(150)은 상기 발판(130) 밑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가 눌리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크레인(110)의 제어를 하게 된다.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들려도 괜찮을 수 있는 허용량의 거리는 크레인 종류, 무게, 크레인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사항이다. 따라서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의 사용자는 크레인의 종류, 무게, 크레인의 사용환경 등을 고려하여 허용량의 거리를 정하고, 상기 제2조절핀(152)을 통해 허용량의 거리만큼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에 상기 거리센서(141)가 마련된 경우에는 상기 제2조절핀(152)을 통해 상기 조절핀(150)의 길이를 조절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141)가 있으며, 상기 발판(130)이 들림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를 상기 거리센서(141)를 통해 측정한다. 이후,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서 들리게 되면, 이때 상기 거리센서(141)를 통해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를 한 번 더 측정한다. 처음 측정된 값에서 두 번째 측정된 값을 빼면,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서부터 얼마나 들렸는지의 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는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들려도 괜찮을 수 있는 허용량의 거리보다 길어야 한다.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가 상기 아우트리거(111)의 들림량을 측정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이기 때문에,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가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들려도 괜찮을 수 있는 허용량의 거리보다 길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크레인의 전복방지 방법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크레인의 전복방지 방법에 사용되는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는 상술한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와 동일한 것이므로,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를 이용한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은 4개의 아우트리거에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S100), 제어부를 통해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200), 제어부를 통해 크레인을 제어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4개의 아우트리거에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S100)는 상기 크레인(110)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에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0)는 각각의 상기 아우트리거(111) 하부에 제1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1), 제2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2), 제3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3), 제4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4)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크레인(110)에 설치되는 상기 붐(112)이 상향 연장되는 곳을 전방이라 하며, 상기 붐(112)이 상향 연장되는 곳의 반대쪽을 후방으로 한다. 즉, 상기 붐(112)이 상기 크레인(110)에 결합되는 부분이 전방이 되며, 상기 붐(112)이 상기 크레인(110)에 결합되는 반대쪽이 후방이 된다. 또한, 후방에서 전방을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우측면과 좌측면을 설정한다. 즉, 우측면은 후방에서 전방을 바라보고 사용자가 서 있을 때, 우측 두 개의 크레인 전복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곳이며, 좌측면은 후방에서 전방을 바라고 사용자가 서 있을 때, 좌측 두 개의 크레인 전복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곳이 된다. 상기 제1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1)는 전방의 좌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제2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2)는 전방의 우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제3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3)는 후방의 좌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제4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4)는 후방의 우측면에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200)는, 상기 발판(130)이 지면(G)에서부터 들려, 상기 조절핀(150)과 상기 머리부(160)의 중력에 의해 상기 조절핀(150)이 하강되어, 상기 머리부(160)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를 누르는 신호에 따라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를 통해 크레인을 제어하는 단계(S300)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여 상기 크레인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에서만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110)을 작동시키고, 2개 이상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에서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4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 중 한 개만 들리는 경우(3점 지지)에는 상기 크레인(110)이 전복방지가 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에서만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110)을 작동시키고, 2개 이상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에서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한다. (2개 이상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에서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중지하여 상기 붐(112)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상기 크레인(110)의 무게 중심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한다.)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에 상기 거리센서(141)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은 다른 방법으로도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거리센서(141)에 의해 상기 머리부(160)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140)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상기 발판(130)의 들림량을 확인한다. (상기 발판(130)의 들림량을 확인하는 것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며, 후술할 상기 거리센서(141)에 의해 측정된 값이라는 기재는 상기 발판(130)의 들림량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판(130)의 들림량을 확인하여 다음과 같이 상기 크레인(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의 상기 거리센서(141)에서만, 들림량이 확인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한다.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의 상기 거리센서(141)에서 일정 간격 이상이 측정되면,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중지하여 상기 붐(112)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상기 크레인(110)의 무게 중심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한다.) 이는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지나치게 많이 들린 상황이며, 이 경우에는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들려도 상기 크레인(110)을 작동시킬 수 있으나,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지나치게 많이 들리면 작동을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해야 한다.)
여기서,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의 상기 거리센서(141)에서 측정되는 일정 간격은 크레인 종류, 무게, 크레인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사항으로, 50mm 내지 300mm의 값이 될 수 있다. 도 5는 200mm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의 상기 거리센서(141)에서 200mm 이상의 들림량이 확인되면,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2개의 상기 아우트리거(111)의 상기 거리센서(141)에서 들림량이 확인되면, 다음과 같이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110)에 설치되는 상기 붐(112)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한 측면에 있는 2개의 상기 거리센서(141)에서 측정된 거리의 합이 일정 간격 이상이면,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중지하여 상기 붐(112)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상기 크레인(110)의 무게 중심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한다.)
즉, 동일한 좌측면에 있는 상기 제1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1)와 상기 제3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3) 또는 동일한 우측면에 있는 상기 제2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2)와 상기 제4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4)에서 들림량이 측정되는 경우에, 들림량의 합이 일정 간격 이상이면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일정 간격은 크레인 종류, 무게, 크레인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사항으로, 50mm 내지 300mm의 값이 될 수 있다.
도 6은 100mm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상기 제1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1)와 상기 제3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3)의 들림량 합 또는 상기 제2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2)와 상기 제4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4)의 들림량 합이 100mm 이상이면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중지하여 상기 붐(112)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상기 크레인(110)의 무게 중심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인(110)에 설치되는 상기 붐(112)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붐(11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2개의 상기 거리센서(141)에서 동시에 0 이상의 거리가 측정되면,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중지하여 상기 붐(112)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상기 크레인(110)의 무게 중심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상기 크레인(110)을 제어한다.)
즉, 전방에 있는 상기 제1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1)와 상기 제2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2) 또는 후방에 있는 상기 제3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3)와 상기 제4크레인 전복방지 장치(124)에서 들림량이 동시에 0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상기 아우트리거(111)가 동시에 들리는 상황은 전복에 매우 취약한 상태이므로,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2개의 상기 거리센서(141)에서 동시에 0 이상의 거리가 측정되면, 상기 크레인(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 발판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조절핀의 머리부가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게 되고, 전복감지 스위치가 눌린 신호를 통해 크레인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전복방지를 위한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는 세팅이 쉬워, 크레인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리 조절이 가능한 제2조절핀을 통해 조절핀의 길이를 조절하여 아우트리거의 허용 가능한 들림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거리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아우트리거의 각 지점에서 들림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황에 맞게 크레인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크레인 111...아우트리거
112...붐 120...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121...제1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122...제2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123...제3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124...제4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130...발판 131...연장판
132...측면판 133...구멍
140...전복감지 스위치 150...조절핀
151...제1조절핀 152...제2조절핀
160...머리부 161...돌출부
170...스프링
S100...4개의 아우트리거에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S200...제어부를 통해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S300...제어부를 통해 크레인을 제어하는 단계

Claims (8)

  1. 아우트리거를 사용하는 크레인의 전복방지를 위한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 하부에 결합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판;
    상기 발판의 측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는 연장판;
    상기 연장판 상부에 마련되는 전복감지 스위치;
    상기 연장판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며, 조절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판;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을 상, 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조절핀;
    상기 조절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상부에서 배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조절핀에 끼워지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측면판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부터 들리면,
    상기 조절핀과 상기 머리부의 중력에 의해 상기 조절핀이 하강되면서 상기 발판 밑으로 돌출되며,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를 수 있으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핀은,
    상기 머리부 하부에 결합되는 제1조절핀과,
    상기 제1조절핀 하부에 결합되는 제2조절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조절핀은 상기 제1조절핀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며, 크레인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5. 아우트리거 하부에 결합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판; 상기 발판의 측면에서부터 상향 연장되는 연장판; 상기 연장판 상부에 마련되는 전복감지 스위치; 상기 연장판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며, 조절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판;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측면판의 상기 구멍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조절핀; 상기 조절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상부에서 배치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와 상기 측면판 사이에 끼워지는 스프링;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전복장지 장치를 이용하는 전복방지 방법으로서,
    4개의 상기 아우트리거에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4개의 상기 아우트리거에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부터 들려, 상기 조절핀과 상기 머리부의 중력에 의해 상기 조절핀이 하강되어,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에서만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을 작동시키고, 2개 이상의 상기 아우트리거에서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의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상기 발판이 지면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에서,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 들리게 될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를 뺀 값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1개의 상기 아우트리거의 상기 거리센서에서 일정 간격 이상이 측정되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의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상기 발판이 지면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에서,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 들리게 될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를 뺀 값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는 붐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한 측면에 있는 2개의 상기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거리의 합이 일정 간격이상이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의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를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상기 발판이 지면에 접촉하여 있을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에서, 상기 발판이 지면에서 들리게 될 때의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전복감지 스위치의 거리를 뺀 값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는 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2개의 상기 거리센서에서 동시에 0 이상의 거리가 측정되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KR1020170120512A 2017-09-19 2017-09-19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KR10197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12A KR101976693B1 (ko) 2017-09-19 2017-09-19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12A KR101976693B1 (ko) 2017-09-19 2017-09-19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52A KR20190032052A (ko) 2019-03-27
KR101976693B1 true KR101976693B1 (ko) 2019-05-09

Family

ID=6590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512A KR101976693B1 (ko) 2017-09-19 2017-09-19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923A (ko) 2020-08-19 2022-03-02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9695A (en) * 1979-03-07 1980-09-13 Unic Corp Crane overload preven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923A (ko) 2020-08-19 2022-03-02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52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55489B (zh) 用于自推进式工作机器的改进稳定器
KR101976693B1 (ko) 크레인 전복방지 장치 및 크레인 전복방지 방법
KR20070047071A (ko)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KR100797930B1 (ko) 안전센서가 구비된 카리프트
KR200454307Y1 (ko)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KR102325981B1 (ko) 중량 구조물 무인화 정밀 거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 구조물 무인화 정밀 거치방법
JPH0967099A (ja)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JPH0986878A (ja) クレーン車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の重量検出装置
JP2007197139A (ja) 作業機械の警報装置
KR100980668B1 (ko) 3차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형 구조물 양중을 위한 계측 판단 제어 통합 자동화 시스템
JP2008070123A (ja) 車両傾斜角測定機
JP3853146B2 (ja) 高所作業車の作動制御装置
JPH0721503Y2 (ja) 点検機構付過負荷防止装置
KR102528664B1 (ko) 이동식 비계
KR101765007B1 (ko) 고소 작업용 버스켓의 수평 유지장치
JP3923362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H0441784Y2 (ko)
JP3117902B2 (ja) 高所作業車の作業範囲規制装置
KR20240069328A (ko) 차량용 밀림 방지장치
JP2003221193A5 (ko)
JPH0721504Y2 (ja) 点検機構付過負荷防止装置
JPH0623994U (ja) アウトリガジャッキの接地状態検出装置
KR101193391B1 (ko)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JP2574935Y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取付構造
JP2590740Y2 (ja) 軸力検出手段のエラー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