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391B1 -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391B1
KR101193391B1 KR1020110104771A KR20110104771A KR101193391B1 KR 101193391 B1 KR101193391 B1 KR 101193391B1 KR 1020110104771 A KR1020110104771 A KR 1020110104771A KR 20110104771 A KR20110104771 A KR 20110104771A KR 101193391 B1 KR101193391 B1 KR 101193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asket
aerial platform
aeri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태
Original Assignee
하베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베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베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스켓에 탑승자를 포함한 적재량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바스켓과 붐대가 연결되는 부분에 하중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안전하게 바스켓을 작동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있어서, 바스켓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공이 다수개 구비된 플레이트몸체의 하방향으로는 힌지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저면에는 하중감지수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유동플레이트수단과;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방향조절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공이 다수개 구비된 플레이트몸체의 상방향으로는 힌지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상부면에는 하중감지수단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수단과; 상기 유동플레이트수단과 고정플레이트수단의 브라켓의 힌지공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하중방향전환수단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수단의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하중감지수단과; 상기 유동플레이트수단이 하중방향전환수단에 의하여 회전할 때 일정한 범위로 회전을 제한하는 높이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Basket Load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본 발명은 바스켓에 탑승자를 포함한 적재량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바스켓과 붐대가 연결되는 부분에 하중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안전하게 바스켓을 작동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는 붐대의 선단에 적재대가 설치되어 고층아파트나 빌딩에 물품운송용으로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붐대의 선단에 바스켓이 설치되어 바스켓에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 또한 전신주의 보수작업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붐대(200)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된 붐대(200)가 차량에 설치되고, 이 붐대(200)는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최상단의 선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바스켓(3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붐대(200)에는 붐대(200)의 각도를 조종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유압장치와 접첩되어 있는 붐들을 늘어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하는 윈치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바스켓(300)에 작업자를 탑승시켜 고소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 및 고소작업차(100)의 바스켓(300)에 작업자의 탑승 유무 즉 바스켓의 하중을 감지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26957호가 제안된바 상기한 종래의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공을 구비하면서 바스켓(30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연결프레임(311)에 제1 및 제2 연결공을 구비하여 붐의 일단에 형성된 제2연결프레임(211)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조는 제1연결프레임(311)과 제2연결프레임(211)의 제1 연결공에 연결핀(311)이 삽입 설치되며 제1연결프레임(311)과 제2연결프레임(211)의 제2 연결공에는 중량감지부재(320)가 설치되어 바스켓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된 구조이며 상기 중량감지부재로(320)는 핀형로드셀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핀형로드셀을 사용하는 종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26957호의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는 탑승자 및 적재물이 바스켓 내부에 어떤위치에 어떻게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회전모멘트 발생의 정도가 달라짐으로 불균일/불규칙한 하중 측정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바스켓의 하중 측정이 불규칙/불균일하게 발생 되면 바스켓에 과부하가 발생 될 수도 있으며 안정 상에 문제가 발생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54307호의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54307호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는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의 하단에 설치되어 바스켓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바스켓방향조절장치(310)의 프레임과 붐대(2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핀(P10)이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핀(P10) 상부와 하부에는 회전모멘트를 수직력으로 변경하는 하중방향전환수단(P20)이 설치되며, 상기 하중방향전환수단(P20)이 핀 상하부에 설치되도록 설치홈(P31)을 구비하고 핀(P1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P30)에 의하여 탈거가 방지되면서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중방향전환수단(P20)은 스트로크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바스켓의 탑승자 및 중량물의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화에 따라서 수직력으로 변화시켜 보다 정확한 중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하중방향전환수단(P20)에 의하여 수직력으로 변환된 하중을 측정하는 중량감지수단(40)이 바스켓의 하단에 설치되어 바스켓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바스켓방향조절장치의 프레임과 붐대(2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핀(P1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핀(10)과 핀 사이에는 중량감지수단(P40)을 보호하는 가이드부재(P60)가 설치되며 상기 중량감지수단(P40)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가이드부재(P6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P50)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량감지수단(P40)의 설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하부는 붐대(200)에 고정부재(P5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고정부재(P50)에 하중방향전환수단(P20) 즉, 스트로크 베어링을 더 설치되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중량감지수단(P40)의 상단과 하단이 가이드부재(P60)에 고정부재(P5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54307호의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2695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543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바스켓의 탑승자 및 중량물의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화에 따라서 수직력 변화를 최소화하여 바스켓의 중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고 장비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하도록 한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있어서, 바스켓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공이 다수개 구비된 플레이트몸체의 하방향으로는 힌지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저면에는 하중감지수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유동플레이트수단과;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방향조절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공이 다수개 구비된 플레이트몸체의 상방향으로는 힌지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상부면에는 하중감지수단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수단과; 상기 유동플레이트수단과 고정플레이트수단의 브라켓의 힌지공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하중방향전환수단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수단의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하중감지수단과; 상기 유동플레이트수단이 하중방향전환수단에 의하여 회전할 때 일정한 범위로 회전을 제한하는 높이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와 가압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하중방향전환수단는 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높이유지수단은 유동플레이트수단과 고정플레이트수단이 마주보는 면의 일정부위에 부착되는 고정편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고정편에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되 상기한 가이드부재는 로드부의 일 끝단 또는 양 끝단에 볼트부를 형성하고 볼트부에 너트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하중감지수단은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하중방향전환수단은 브라켓의 힌지공을 관통하는 축에 축설되는 파이프 형태의 홀더부를 양단에 구비하고 연결판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하중방향전환수단은 브라켓의 힌지공을 관통하는 축에 축설되는 파이프 형태의 홀더부를 양단에 구비하고 연결판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로드부의 일측에는 헤드부를 형성하고 일 끝단에 볼트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로드부의 양 끝단에 볼트부를 형성하고 볼트부에 너트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바스켓의 탑승자 및 중량물의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화에 따라서 수직력 변화를 최소화하여 바스켓의 중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고 장비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고소작업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일반적인 고소작업차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도 3은 다른 종래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인 종래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정상작동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작동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의 구조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30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도록 연결공(11)이 다수개 구비된 플레이트몸체(12)의 하방향으로는 힌지공(13)이 형성된 브라켓(14)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12)의 저면에는 하중감지수단(40)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유동플레이트수단(10)을 설치한다.
한편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방향조절장치(200)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공(21)이 다수개 구비된 플레이트몸체(22)의 상방향으로는 힌지공(23)이 형성된 브라켓(24)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22)의 상부면에는 하중감지수단(40)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부재(25)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수단(20)을 연결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바스켓(300)에는 유동플레이트수단(10)을 바스켓 방향조절장치(200)에는 고정플레이트수단(20)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 바스켓(300)과 바스켓 방향조절장치(200)에 각각 유동플레이트수단(10)을 고정플레이트수단(20)을 결합 설치한다.
설명의 편의상 유동플레이트수단(10)을 바스켓(300)의 하단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유동플레이트수단(10)과 고정플레이트수단(20)을 먼저 결합한 후 상기 유동플레이트수단(10)에 바스켓(300)을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반대로 바스켓(300)과 연결된 유동플레이트수단(10)에 고정플레이트수단(20)을 설치한 후 바스켓 방향조절장치(200)에 고정플레이트수단(20)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조는 유동플레이트수단(10)과 고정플레이트수단(20)에 일체로 구비된 브라켓(14)(24)의 힌지공(13)(23)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하중방향전환수단(50)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한 하중방향전환수단(50)은 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방향전환수단(5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4)(24)의 힌지공(13)(23)을 관통하는 축에 축설되는 파이프 형태의 홀더부(51)를 양단에 구비하고 연결판(5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수단(20)의 고정부재(25)에는 하중감지수단(40)이 설치되며, 상기 하중감지수단(40)으로는 로드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5)와 가압부재(30)가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동플레이트수단(10)이 하중방향전환수단(50)에 의하여 회전할 때 일정한 범위로 회전을 제한하도록 유동플레이트수단(10)과 고정플레이트수단(20)의 사이에 일 끝단이 고정되는 높이유지수단(60)이 설치된다.
상기 높이유지수단(6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플레이트수단(10)과 고정플레이트수단(20)이 마주보는 면의 일정부위에 부착되는 고정편(61)에는 관통공(62)이 형성되고 고정편(61)에는 가이드부재(63)가 관통되게 설치되고 가이드부재(63)는 너트(64)가 나사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63)는 로드부(63-1)의 일측에는 헤드부(63-2)를 형성하고 일 끝단에 볼트부(63-3)를 형성하거나 또는 로드부(63-1)의 양 끝단에 볼트부(63-3)를 형성하고 볼트부(63-3)에 너트(64)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의 작동은 바스켓(300)에 작업자가 탑승하게 되면 하중이 바스켓(300)에 전달된다. 이때 하중감지장치(40)가 수직하중만을 감지한다면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서 하중이 다르게 전달 및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탑승자가 바스켓(300)의 정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하중이 수직으로 작동될 때 하중감지수단(40)은 정확한 바스켓에 작용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으나 탑승자가 바스켓(300)의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되면 바스켓(300)에는 회전모멘트가 걸리게 되며 상기 회전모멘트는 하중감지수단(40)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멀게 탑승자가 위치하게 되면 커지므로 하중이 크게 검출되고 반대로 하중감지수단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가깝게 탑승자가 위치하게 되면 하중이 작게 검출된다.
즉, 종래의 회전모멘트를 이용하여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장치는 작용하는 작용점에 대하여 비례함으로 동일한 작업자가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의해 하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회전모멘트를 이용하여 하중이 수직이 아닌 분력으로 작용되도록 하므로써 아래와 같은 힘에 대한 분력의 공식으로 측정된다.
Figure 112011080168492-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 표기되어 있듯 본 발명은 회전모멘트를 수직하중이 아닌 경사각을 갖는 힘 즉, 사선방향의 힘으로 나타내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바스켓(300)의 정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하중이 수직으로 작동될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1)에서는 힘을 검출하여 계산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인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1)와 연결 설치된 바스켓(300)에 탑승시 탑승자의 위치가 어디에 위치하든 하중이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설치된 하중감지수단(40)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되어 측정되게 된다.
이때 높이유지수단(60)의 가이드부재(63)를 따라 흔들림이 방지되면서 하방으로 가압되며, 하중방향전환수단(50)에 의해 유동플레이트수단(10)이 회전되다.
이때 유동플레이트수단(10)이 회전은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하중방향전환수단(50)에 의해 유동플레이트수단(10) 전체가 사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고정판(61)의 관통공(62)을 관통하는 가이드바(6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62)은 가이드바(63)의 지름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유동플레이트수단(10)이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하중방향전환수단(50)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높이유지수단(60)은 항상 유동플레이트수단(10)과 고정플레이트수단(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바스켓(300)이 연결 설치된 유동플레이트수단(10)이 상부로 들어 올려져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양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하중방향전환수단(10)에 의하여 유동플레이트수단(10)이 회전하게 되며 회전이 급격히 이루어져 유동플레이트수단(1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하중감지수단(40)을 가압하고 있던 가압부재(30)의 위치가 180°회전되어 반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은 높이유지수단(60)에 의하여 방지된다.
상기한 높이유지수단(60)은 유동플레이트수단(10)과 고정플레이트수단(20)이 마주보는 면의 일정부위에 부착되는 고정편(61)의 관통공(62)에는 가이드부재(63)가 설치되고 가이드부재(63)에는 너트(63-3)가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방향전환수단이 수직의 중심을 넘어가지 않게 하도록 하는 안전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바스켓의 탑승자 및 중량물의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화에 따라서 수직력 변화를 최소화하여 바스켓의 중량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고 장비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10 : 유동플레이트수단 11 : 연결공
12 : 플레이트몸체 13,23 : 힌지공
14,24 : 브라켓 20 : 고정플레이트수단
21 : 연결공 22 : 플레이트몸체
25 : 고정부재 30 : 가압부재
40 : 하중감지수단 50 : 하중방향전환수단
51 : 홀더부 60 : 높이유지수단
61 : 고정편 62 : 관통공
63 : 가이드부재 63-1 : 로드부
63-2 : 헤드부 63-3 : 볼트부
64 : 너트

Claims (6)

  1.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에 있어서,
    바스켓(30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공(11)이 다수개 구비된 플레이트몸체(12)의 하방향으로는 힌지공(13)이 형성된 브라켓(14)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12)의 저면에는 하중감지수단(40)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유동플레이트수단(10)과;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방향조절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공(21)이 다수개 구비된 플레이트몸체(22)의 상방향으로는 힌지공(23)이 형성된 브라켓(24)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22)의 상부면에는 하중감지수단(40)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부재(25)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수단(20)과;
    상기 유동플레이트수단(10)과 고정플레이트수단(20)의 브라켓(14)(24)의 힌지공(13)(23)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하중방향전환수단(50)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수단(20)의 고정부재(25)에 설치되는 하중감지수단(40)과;
    상기 유동플레이트수단(10)이 하중방향전환수단(50)에 의하여 회전할 때 일정한 범위로 회전을 제한하는 높이유지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방향전환수단(50)은 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유지수단(60)은 유동플레이트수단(10)과 고정플레이트수단(20)이 마주보는 면의 일정부위에 부착되는 고정편(61)에는 관통공(62)이 형성되고 고정편(61)에는 가이드부재(63)가 설치되고 가이드부재(63)에는 너트(64)가 나사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감지수단(40)은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방향전환수단(50)은 브라켓(14)(24)의 힌지공(13)(23)을 관통하는 축에 축설되는 파이프 형태의 홀더부(51)를 양단에 구비하고 연결판(5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63)는 로드부(63-1)의 일측에는 헤드부(63-2)를 형성하고 일 끝단에 볼트부(63-3)를 형성하거나 또는 로드부(63-1)의 양 끝단에 볼트부(63-3)를 형성하고 볼트부(63-3)에 너트(64)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KR1020110104771A 2011-10-13 2011-10-13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KR101193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771A KR101193391B1 (ko) 2011-10-13 2011-10-13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771A KR101193391B1 (ko) 2011-10-13 2011-10-13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391B1 true KR101193391B1 (ko) 2012-10-22

Family

ID=4728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771A KR101193391B1 (ko) 2011-10-13 2011-10-13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3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498A (ja) 2001-07-23 2003-02-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高所作業車の過負荷検出装置
US6585079B1 (en) 1999-12-14 2003-07-01 1994 Weyer Family Limited Partnership Work platform with rotary actu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5079B1 (en) 1999-12-14 2003-07-01 1994 Weyer Family Limited Partnership Work platform with rotary actuator
JP2003034498A (ja) 2001-07-23 2003-02-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高所作業車の過負荷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0228B2 (en) Portable anchorage assembly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CN109937355B (zh) 架车机举升单元加载试验测控系统及方法
KR102036152B1 (ko) 과하중 방지용 작업대 클라이밍 장치
US9573797B1 (en) Boom protection system
KR200454307Y1 (ko)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JP52283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6219459B (zh) 一种支腿和高空作业平台
KR101193391B1 (ko)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CN204310629U (zh) 一种电梯断绳检测装置
WO2006113779A1 (en) Load sensing system for an aerial work apparatus
KR101233749B1 (ko)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JPH0967099A (ja)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CN114845951B (zh) 剪式升降支架和确定这种支架的稳定性的方法
KR102325981B1 (ko) 중량 구조물 무인화 정밀 거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 구조물 무인화 정밀 거치방법
KR102178506B1 (ko) 건설 현장 승강기의 중량 계측장치
CN208921553U (zh) 彩钢瓦与光伏夹具拉拔力检测装置及检测系统
CN219669863U (zh) 升降机吊笼用极限限位检测装置
JP2008045951A (ja) 荷重計測装置および作業機械
CN220449627U (zh) 一种具有安全保护功能的桁架式液压顶升工作平台
CN202012188U (zh) 提升脚手架断绳保护装置
KR102531417B1 (ko) 레벨 측량을 위한 거치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벨 측량 방법
CN219015589U (zh) 一种建筑栏杆撞击试验装置
CN208383252U (zh) 一种带水平拉杆的称重模块
CN213516625U (zh) 端子静拉力试验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