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39B1 -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39B1
KR101976639B1 KR1020170180561A KR20170180561A KR101976639B1 KR 101976639 B1 KR101976639 B1 KR 101976639B1 KR 1020170180561 A KR1020170180561 A KR 1020170180561A KR 20170180561 A KR20170180561 A KR 20170180561A KR 101976639 B1 KR101976639 B1 KR 10197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veyor
adhesive tape
moving body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호
한석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스엔코프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스엔코프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스엔코프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8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2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시트가 적층된 제품으로부터 한장씩 낱장으로 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낱장으로 분리된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여 X방향 이동부와 Y방향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점착테이프에 의해 적층시트로부터 시트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상기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시트 분리부;로 구성된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분리부는 상기 X방향 이동부와 Y방향 이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구비된 제1롤;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롤; 상기 이동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롤러; 일측이 상기 제1롤에 권취되며, 타측은 상기 가압롤러를 경유하여 제2롤에 권취되는 점착테이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Apparatus to separate a sheet from laminated mask packs}
본 발명은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시트가 적층된 제품으로부터 한장씩 낱장으로 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얼굴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쓰는 마스크팩은 제조 공정에서 수백장이 적층된 시트로부터 한 장씩 낱개로 분리한 다음 이를 접어서 포장용지에 투입하게 되고, 이후 포장용지에 영양액을 주입한 후 씰링을 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다.
이러한 적층된 시트로부터 한 장씩 낱개로 분리하는 장치는 일예로 등록특허 제10-1722312호(마스크팩용 시트 자동 분리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나타나 있으며, 이를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기술은 적층딘 다수개의 시트를 낱장으로 분리하기 위해 브러쉬를 이용한 회전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그 구조로서 도1에서와 같이, 적층된 다수개의 시트를 낱장으로 분리하기 위한 제품 분리부(100)와, 상기 제품 분리부(100)를 상기 시트 위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200)와, 적층된 다수개의 시트가 수용되어 회전하는 시트 회전부(300)와, 분리된 낱장의 시트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품 분리부 또는 상기 시트 회전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400)와, 상기 제품 분리부가 하강 시 상기 시트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는 제품 완충부(500)와, 상기 제품 분리부의 회전을 지연하여 시간을 조절하는 회전 브레이크부(600)로 구성되어 있다.
제품 분리부(10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된 다수개의 시트를 낱장으로 분리하기 위해 시트에 밀착하는 브러쉬(120)와, 상기 브러쉬(120)가 하면에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시트를 흡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진 흡착판(110)과, 상기 흡착판(110)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브러쉬(120)가 삽입가능한 홀(132)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판(110)에 착탈되면서 낱장의 시트를 분리하는 분리판(130)과, 상기 흡착판(110) 또는 상기 분리판(130)을 승강시켜 상기 흡착판(110)에서 분리판(130)을 착탈하기 위한 실린더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3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제품 분리부(100)가 하강하여 시트와 접촉한 후 시트 수용부(310)가 소정각도로 회전하고(a), 정지된 후(b) 역방향으로 회전(c)함으로써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을 번갈아가며 하게 되어 분리하고자 하는 낱장의 시트와 서로 트위스트를 시켜줌으로써, 낱장의 시트에 브러쉬(120)가 비비는 효과를 줌으로 낱장제품이 브러쉬(1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상측의 시트를 낱장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브러쉬(120)에 의해 시트의 상부면을 트위스트로 비벼서 낱장으로 분리함으로써 자칫 시트의 표면이 손상되고, 상측의 시트와 하측의 시트가 비비는 동작으로 분리되므로 하측의 시트도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를 점착력을 가진 테이프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시키도록 한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는,
낱장으로 분리된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여 X방향 이동부와 Y방향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점착테이프에 의해 적층시트로부터 시트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상기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시트 분리부;로 구성된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분리부는
상기 X방향 이동부와 Y방향 이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구비된 제1롤;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롤;
상기 이동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롤러;
일측이 상기 제1롤에 권취되며, 타측은 상기 가압롤러를 경유하여 제2롤에 권취되는 점착테이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성 테이프에 의해 시트를 분리시킴으로써 시트의 표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공정이 매우 단순하여 생산수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기술에 의한 마스크팩용 시트 자동분리장치의 구조와 동작을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6은 시트 고정부의 구조를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4 내지 도6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700)와, 적층시트(900)로부터 낱장으로 시트를 분리시켜 컨베이어(700)로 이송시키는 시트분리부(800)로 구성된다.
컨베이어(700)는 분리되어 놓인 한 장의 시트를 다음 공정 즉, 시트의 이물질을 검사하거나 또는 파우치에 넣기 위하여 접는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구조물이다.
상기 컨베이어(700)의 일측 상부로는 시트분리부(8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시티분리부(800)는 X방향 이동부(870)와 Y방향 이동부(880)를 구비하여 이동체(810)를 X방향 즉 컨베이어의 전후방향 및 Y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X방향 이동부(870)와 Y방향 이동부(880)는 일반적인 구조물이고,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부분이므로 구체적인 구조는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 이동체(810)에는 그 내부에 제1롤(820)과 제2롤(830)이 구비되고, 그 하측에는 적층시트(900)의 가장 상단에 위치한 시트의 상부면에 접촉되기 위한 가압롤러(84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롤(820)에 권취된 점착테이프(860)가 가압롤러(840), 텐셔너(850)를 거쳐서 제2롤(830)에 권취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롤(830)은 가압롤러(840)에는 동력이 인가되어 제1롤(820)에 권취된 점착테이프(860)를 당겨서 이동시키게 되며, 그 이동거리는 점착테이프(860)가 한 장의 시트에 접촉하는 길이만큼만 이동시키도록 회전하게 된다.
점착테이프(86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점착재가 도포된 테이프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도5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동체(810)는 Y방향 이동부(880)에 의해 승강된 상태에서 X축 이동부(870)에 의해 적층시트(90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적층시트(900)는 다수의 마스크팩 시트가 적층된 상태로서, 상기 이동체(810)의 이동에 의해 가압롤러(840)가 도5(a)에서와 같이 적층시트(900)의 후방부위로 이동한 다음 Y방향 이동부(880)에 의해 하강하여 적층시트(900)를 가압하여 접촉함으로써 가압롤러(840)의 외측으로 권취된 점착테이프(860)가 가장 상측의 시트에 면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후, Y방향 이동부(880)에 의해 이동체(810)가 상승함으로써 가장 상측의 시트가 점착테이프(860)에 점착되어 낱장으로 분리되며, X방향 이동부(870)에 의해 도5(b)와 같이 컨베이어(70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압롤러(840)의 하단면에 분리된 시트(910)의 일측이 점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시트(910)의 타측이 컨베이어(700)의 상부면에 먼저 놓여지며, X방향 이동부(870)와 Y방향 이동부(880)에 의해 이동체(810)가 도5(c)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컨베이어(700)에 한 장의 시트(910)가 바르게 놓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시트(910)의 일측은 가압롤러(840)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점착테이프(860)에 점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를 떼어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도6에서와 같이 고정부(890)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890)는 시트(910)가 놓이는 컨베이어(700)의 좌우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부(890)의 양측방향으로는 컨베이어(7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된 고정암(891,89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5(c)에서와 같이 시트(910)가 놓이게 되면, 고정부(890)가 하강하여 고정암(891,892)이 시트(910)의 가장자리를 누르게 되고, 이후 이동체(810)가 Y방향 이동부(880)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고정암(891,892)에 의해 눌려진 시트(910)가 점착테이프(86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후, 고정부(890)는 상승하게 되고, 컨베이어(700)가 구동되어 시트(910)를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점착테이프(860)는 시트(910)와 접촉한 부위에서 점착력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제2롤(830)이 구동하여 점착테이프(860)를 접촉한 부위만큼의 길이만 감게 됨으로써 가압롤러(840)에는 시트에 오염되지 않은 새로운 부위가 가압롤러(840)의 하측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적층시트(900)로부터 시트를 낱장씩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700 : 컨베이어
800 : 시트분리부
810 : 이동체
820 : 제1롤
830 : 제2롤
840 : 가압롤러
850 : 텐셔너
860 : 점착테이프
870 : X방향 이동부
880 : Y방향 이동부
890 : 고정부
891,892 : 고정암
900 : 적층시트

Claims (3)

  1. 낱장으로 분리된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여 X방향 이동부와 Y방향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점착테이프에 의해 적층시트로부터 시트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상기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시트 분리부;로 구성된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분리부는
    상기 X방향 이동부와 Y방향 이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구비된 제1롤;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롤;
    상기 이동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롤러;
    일측이 상기 제1롤에 권취되며, 타측은 상기 가압롤러를 경유하여 제2롤에 권취되는 점착테이프;
    상기 컨베이어의 측부에 위치하여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놓여진 낱장의 시트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가압롤러가 상기 적층시트의 후방부위로 이동한 다음 Y방향 이동부에 의해 하강하여 적층시트의 후방부위를 가압하여 접촉함으로써 가압롤러의 외측으로 권취된 점착테이프가 상기 적층된 시트의 가장 상측의 시트의 후방부위에 면으로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Y방향 이동부에 의해 이동체가 상승함으로써 가장 상측의 시트가 점착테이프에 점착되어 낱장으로 분리되며, X방향 이동부에 의해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시트의 전방부위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먼저 놓여지며, 상기 X방향 이동부와 Y방향 이동부에 의해 이동체가 전방부위를 향하여 사선방향으로 하향 이동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에 한 장의 시트가 뒤집어진 상태로 놓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은 시트에 접촉하는 점착테이프의 길이만큼씩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
KR1020170180561A 2017-12-27 2017-12-27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 KR10197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61A KR101976639B1 (ko) 2017-12-27 2017-12-27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61A KR101976639B1 (ko) 2017-12-27 2017-12-27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39B1 true KR101976639B1 (ko) 2019-05-10

Family

ID=6658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561A KR101976639B1 (ko) 2017-12-27 2017-12-27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861B1 (ko) * 2020-05-08 2020-09-15 김용식 마스크 제조 장비
KR102554583B1 (ko) * 2022-10-04 2023-07-11 이재형 커피필터 사출성형기의 필터체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348A (ja) * 1993-05-31 1994-12-13 Ibiden Co Ltd ワークの移送方法及び装置
JP6039294B2 (ja) * 2012-08-07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348A (ja) * 1993-05-31 1994-12-13 Ibiden Co Ltd ワークの移送方法及び装置
JP6039294B2 (ja) * 2012-08-07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861B1 (ko) * 2020-05-08 2020-09-15 김용식 마스크 제조 장비
KR102554583B1 (ko) * 2022-10-04 2023-07-11 이재형 커피필터 사출성형기의 필터체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8474B (zh) 一种全自动膜片检测及贴膜生产线及其贴膜工艺
TWI541134B (zh) Sheet peeling apparatus and peeling method, and sheet bonding apparatus and sticking method
TWI500559B (zh) 保護片裝載裝置
KR101614591B1 (ko)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시스템
KR101976639B1 (ko) 마스크팩용 시트 분리장치
CN106904470A (zh) 自动接带装置
CN106226968B (zh) 一种卷对卷柔性电子纸贴合装置及贴合方法
JP5024253B2 (ja) ガラス板取り出し方法
JP4340788B2 (ja) 基板への偏光板貼付装置
WO2021026815A1 (zh) 薄膜处理系统以及撕膜装置的撕膜方法
JPH08318913A (ja) 袋開口装置
JP5785430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2005321582A (ja) フィルム貼付方法及びフィルム貼付装置
JP6401447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並びに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6550246B2 (ja) 封入封緘装置
JP6027397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シート貼付方法
JP5604724B2 (ja) 封緘装置
JP2006039238A (ja) 偏光板やarフィルム等の機能性フィルムの貼付装置
JP5703461B2 (ja) 封緘装置
JP6211828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5857289B2 (ja) 封緘装置
JP5719226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2008184230A (ja) 紙継ぎ装置およびコルゲートマシン
JP2014024616A (ja) 合紙取り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00053176A (ko) 라미네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