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08B1 -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 Google Patents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08B1
KR101976608B1 KR1020180022141A KR20180022141A KR101976608B1 KR 101976608 B1 KR101976608 B1 KR 101976608B1 KR 1020180022141 A KR1020180022141 A KR 1020180022141A KR 20180022141 A KR20180022141 A KR 20180022141A KR 101976608 B1 KR101976608 B1 KR 10197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board
wheel
post
support fram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영
심우빈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4Helic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올라서는 발판과, 상기 발판이 주행 가능하도록 하측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와, 상기 전방바퀴와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구비되는 포스트와, 사용자가 조향을 위해 양손을 파지하도록 하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킥보드와;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형성된 브라켓을 통해 상기 발판과 연장 선상으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을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킥보드의 주행 중 좌우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 측면에서 지면을 향해 사선으로 벌어지도록 연장 구비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돌출프레임과, 상기 킥보드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유연하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돌출프레임의 하단에 바퀴축을 통해 힌지 결합되어 있는 보조바퀴와, 상기 바퀴축에 권선 되어 상기 킥보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완충부재로 구성된 보조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를 제공하여, 킥보드가 익숙하지 않는 초보자 또는 아동들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을 할 수 있으며, 제동을 함에 있어서도 간편하고, 안정감을 향상시켜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킥보드를 탈 수 있으며, 모바일 또는 컴퓨터로 킥보드의 위치를 파악하여, 분실 또는 도난 시 되찾기가 용이하며, 부모들은 아이들이 안전한 곳에서 타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SAFE KICKBOARD WITH AUXILIARY WHEELS}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킥보드의 전방에 한 쌍의 보조바퀴를 구비하여 킥보드의 주행 중 좌우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충시켜 초보자도 쉽게 탈수 있으며, GPS모듈을 구비하여 킥보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 혹은 스쿠터 라 불려지는 주행용 보드는 통상 어린이들이 타고 다니면서 유희를 즐기는 것으로서 전, 후 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보드 프레임부재와 주행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 및 기타 부재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주행용 보드는 핸들을 조정하여 방향을 잡은 상태에서 보드 프레임부재에 한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발은 지면을 지치면서 전, 후 바퀴를 구동 회전시킴으로써 승용감과 속도감을 즐길 수 있도록 된 기구이다.
한편, 상기 킥보드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대학생이나 직장인들도 짧은 거리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특히 마땅한 이동수단이 없는 대학의 캠퍼스에서 상기 킥보드를 사용하는 학생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자전거와 같이 하나의 레저 스포츠로 자리함으로써 여럿이 함께 모여 킥보드를 타면서 여가시간을 보내며 취미생활을 하는 등 킥보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전 연령대에서 점차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모터 혹은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주행용 보드도 선보이고 있는데, 특히 모터로 구동되는 전동식 주행용 보드 혹은 전동 킥보드는 자동차 시동시와 같이 배터리 건전지 전원에 의해 모터가 시동 되고, 이후에도 배터리 전원의 공급에 의해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전동주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킥보드는 전방에 구비되는 바퀴 하나와 후방에 구비되는 바퀴 하나를 포함하여 2륜으로 제공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에 따라, 운행 능력이 떨어지는 초보자나 아동들이 킥보드를 타면서 평탄하지 않는 길 또는 곡선부를 주행할 때 균형을 잡기가 어려웠으며, 전기 모터의 동력으로 비교적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전동 킥보드의 경우에도 아무리 숙련자라 하여도 순간 방심하면 균형을 잃고 한쪽으로 쏠리거나 심지어 전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은 상부에 손잡이가 제공된 핸들, 상기 핸들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핸들에 장착되는 핸들 고정축, 상기 핸들의 하부에 장착된 앞바퀴, 상기 핸들과 상기 앞바퀴 사이에 장착된 조향 안전 부재, 일측이 상기 핸들에 연결되고 타측에 뒷바퀴가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뒷바퀴를 덮도록 연장되는 브레이크,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의 저면에 형성된 정지 안전 부재를 포함하여, 조향 안전 부재를 통해 핸들부의 회전 각도를 약 100~140° 정도의 범위 내로 제한하고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정지 안전 부재를 통하여 정지 안정성을 향상시킨 안전 장치를 구비한 킥보드를 제공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핸들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코너링을 조금 더 부드럽게 할 뿐 근본적으로 초보자나 아동들이 균형 잡고 타기 쉽도록 안전성을 향상시켰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정지 안전 부재인 브레이크가 뒷바퀴에 장착되어 발로 밟아야 하는 형식이라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나 아동들은 제동을 하려다 되려 균형을 잃고 넘어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KR 20-0231574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향을 위해 양손을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에 제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된 포스트에 브라켓을 통해 지지프레임을 결합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돌출프레임 및 상기 돌출프레임의 하단에 바퀴축을 통해 보조바퀴를 결합함으로써, 킥보드의 주행 중 좌우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제동을 할 때 안정감 있고 간편한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모바일 또는 컴퓨터에 위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GPS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분실 또는 도난 시 되찾을 수 있으며, 아동들이 안전하게 타고 있는지 부모들이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올라서는 발판과, 상기 발판이 주행 가능하도록 하측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와, 상기 전방바퀴와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구비되는 포스트와, 사용자가 조향을 위해 양손을 파지하도록 하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킥보드와;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형성된 브라켓을 통해 상기 발판과 연장 선상으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을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킥보드의 주행 중 좌우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 측면에서 지면을 향해 사선으로 벌어지도록 연장 구비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돌출프레임과, 상기 킥보드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유연하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돌출프레임의 하단에 바퀴축을 통해 힌지 결합되어 있는 보조바퀴와, 상기 바퀴축에 권선 되어 상기 킥보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완충부재로 구성된 보조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돌출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킥보드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상기 보조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주행 시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조절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는, 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가충전이 가능한 충전모듈과; 상기 킥보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GPS모듈과; 상기 GPS모듈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또는 컴퓨터에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를 제어하여 상기 킥보드의 주행 속도를 조절하는 제동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에 제동을 가할 때 상기 보조바퀴에도 함께 제동이 가해지도록 상기 제동부와 송수신모듈이 전자신호를 통해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바퀴의 높낮이를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킥보드가 익숙하지 않는 초보자 또는 아동들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을 할 수 있으며, 제동을 함에 있어서도 간편하고, 안정감을 향상시켜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킥보드를 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 또는 컴퓨터로 킥보드의 위치를 파악하여, 분실 또는 도난 시 되찾기가 용이하며, 부모들은 아이들이 안전한 곳에서 타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의 측면도 및 보조바퀴부에 대한 상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의 돌출프레임에 대한 작동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킥보드(100)와 그에 결합되는 보조바퀴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킥보드(100)는 사용자가 올라서는 발판(110)과, 상기 발판(110)이 주행 가능하도록 하측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바퀴(120) 및 후방바퀴(130)와, 상기 전방바퀴(120)와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구비되는 포스트(140)와, 사용자가 조향을 위해 양손을 파지하도록 하는 상기 포스트(140)의 상단에 구비되는 손잡이(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조바퀴부(200)는 상기 포스트(140)의 하부에 형성된 브라켓(141)을 통해 상기 발판(110)과 연장 선상으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을 갖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좌우 양 측면에서 연장 구비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돌출프레임(220)과, 상기 돌출프레임(220)의 하단에 바퀴축(221)을 통해 결합되는 보조바퀴(230)와, 상기 바퀴축(221)에 권선 되어 구비되는 완충부재(2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내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충전이 가능한 충전모듈(211)과, 상기 충전모듈(211)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운영되는 GPS모듈(212)과 송수신모듈(213)이 있다.
상기 충전모듈(211)은 전방바퀴(120) 또는 후방바퀴(13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그 외에도 진동을 이용한 극소형 발전기를 결합하여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충전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충전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충전모듈(211)에 저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킥보드(100)가 주행하고 있지 않더라도 상기 충전모듈(211)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GPS모듈(212)과 송수신모듈(213)의 운영이 가능하다.
상기 GPS모듈(212)은 킥보드(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함께 연동되는 상기 송수신모듈(213)을 통해 상기 킥보드(100)의 위치 정보를 모바일 또는 컴퓨터로 전송하여 킥보드(100)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했을 때, 되찾기가 용이하며, 어린 아이들이 타고 갔을 때, 부모들이 실시간으로 아이들이 타고 있는 위치를 파악하여 주변에 위험함이 없는지 미리 알고 혹시나 생길지 모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보조바퀴부(200)는 킥보드(100)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 또는 어린 아동들이 좌우 쏠림 현상이 없이 킥보드(100)를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상기 돌출프레임(220)은 지지프레임(210)의 좌우 양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지면을 향해 사선으로 벌어지도록 연장 구비되어 한 쌍의 보조바퀴(230)가 일정한 폭을 갖춰 지지해 줌으로써 전방바퀴(120)와 후방바퀴(130)가 일직선상으로 있는 2륜 구동 수단인 킥보드(100)에 대한 균형잡기가 월등히 좋아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프레임(220)의 하단에 바퀴축(221)을 통해 보조바퀴(2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킥보드(100)가 주행 중 코너링을 하거나 경사면을 달릴 때, 킥보드(100)가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보조바퀴(230)의 각도 역시 유연하게 조절되어 상기 보조바퀴(230)에 가해지는 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상기 보조바퀴(230) 또는 바퀴축(22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킥보드(100)가 주행할 때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퀴축(221)에 완충부재(240)가 권선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완충부재(240)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판 스프링 또는 미니블록스프링 등 다양한 완충부재를 사용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프레임(220)의 내부에는 조절댐퍼(222)를 더 포함하고 있어, 상기 킥보드(100)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 완충시켜 보다 안정감 있고 편안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댐퍼(222)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킥보드(100)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상기 킥보드(100)의 주행 시 기울임 정도에 따라 상기 보조바퀴(230)의 높낮이가 부드럽게 조절되어 상기 킥보드(100)가 좌우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조절댐퍼(222)는 유압 실린더에 한정하지 않고, 고체 마찰식, 유체 마찰식 또는 숏업쇼버(Shock Absorber)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킥보드(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킥보드(100)의 안정감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통상의 킥보드에 구비되는 제동수단인 브레이크는 대부분이 킥보드의 뒷바퀴를 덮고 있어 주행중인 킥보드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주행 도중에 발로 상기 브레이크를 밟아서 브레이크와 뒷바퀴 사이의 마찰력으로 킥보드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브레이크는 주행중인 킥보드의 위에서 사용자가 자세를 바꿔야 하여 킥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 또는 어린 아동들은 균형을 잡고 몸을 지탱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숙련자 역시 방심하는 순간 균형을 잃고 넘어질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킥보드(100)를 구성하는 손잡이(150)에 상기 손잡이(150)와 함께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상기 킥보드(100)의 주행 속도를 조절하는 제동부(151)를 두어 주행 중에도 자세의 흐트러짐이 없이 상기 킥보드(100)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전방바퀴(120) 및 후방바퀴(130)에 제동을 가할 때 상기 제동부(151)와 송수신모듈(213)이 전자신호를 통해 연계되어 상기 보조바퀴(230)에도 함께 제동이 가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킥보드(100)의 속도 조절을 쉽게 하면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50)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바퀴(230)의 높낮이를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152)을 더 구비하여, 상기 킥보드(100)의 주행에 익숙해진 사용자가 보조바퀴(230)의 지지 없이 주행하여 2륜 이동수단 특유의 속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152)은 내부에 속도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로 하여 상기 킥보드(100)의 주행 속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 또는 별도의 조절 스위치를 통해 상기 조절댐퍼(222)를 직접 조작하여 상기 보조바퀴(23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보조바퀴부(200)는 상기 킥보드(100)의 손잡이(150)와 포스트(140)에 연장선상으로 결합된 상기 전방바퀴(120)가 있는 위치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조향하고 몸을 지탱하는데 보다 더 안정감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브라켓(141)이 상기 발판(110)의 후방바퀴(130)가 있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바퀴부(20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킥보드(100)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두어 상기 킥보드(100)의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킥보드가 익숙하지 않는 초보자 또는 아동들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을 할 수 있으며, 제동을 함에 있어서도 안정감 있고 간편하여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킥보드를 탈 수 있으며, 모바일 또는 컴퓨터로 킥보드의 위치를 파악하여, 분실 또는 도난 시 되찾기가 용이하고, 부모들은 아이들이 안전한 곳에서 타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킥보드 110 : 발판
120 : 전방바퀴 130 : 후방바퀴
140 : 포스트 141 : 브라켓
150 : 손잡이 151 : 제동부
152 : 조절수단 200 : 보조바퀴부
210 : 지지프레임 211 : 충전모듈
212 : GPS모듈 213 : 송수신모듈
220 : 돌출프레임 221 : 바퀴축
222 : 조절댐퍼 230 : 보조바퀴
240 : 완충부재

Claims (5)

  1. 사용자가 올라서는 발판과, 상기 발판이 주행 가능하도록 하측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와, 상기 전방바퀴와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구비되는 포스트와, 사용자가 조향을 위해 양손을 파지하도록 하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킥보드와;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형성된 브라켓을 통해 상기 발판과 연장 선상으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을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킥보드의 주행 중 좌우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 측면에서 지면을 향해 사선으로 벌어지도록 연장 구비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돌출프레임과, 상기 킥보드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유연하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돌출프레임 하단의 바퀴축을 통해 힌지 결합되어 있는 보조바퀴와, 상기 바퀴축에 권선 되어 상기 킥보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완충부재로 구성된 보조바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킥보드의 기울임 정도에 따라 상기 보조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주행 시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조절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조절댐퍼를 직접 조작하여 상기 보조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는,
    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가충전이 가능한 충전모듈과;
    상기 킥보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GPS모듈과;
    상기 GPS모듈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또는 컴퓨터에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22141A 2018-02-23 2018-02-23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KR10197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141A KR101976608B1 (ko) 2018-02-23 2018-02-23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141A KR101976608B1 (ko) 2018-02-23 2018-02-23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08B1 true KR101976608B1 (ko) 2019-05-09

Family

ID=6654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141A KR101976608B1 (ko) 2018-02-23 2018-02-23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3777B2 (en) 2019-10-11 2022-07-12 Honda Motor Co., Ltd. Scooter auxiliary wheel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220163705A (ko) * 2021-06-03 2022-12-12 넥스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보조바퀴가 구비된 전동 킥보드
KR20230069319A (ko) * 2021-11-11 2023-05-19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자율 주행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574Y1 (ko) 2001-02-16 2001-07-19 정채영 안전 장치를 구비한 킥보드
JP2009286314A (ja) * 2008-05-30 2009-12-10 Kawamura Cycle:Kk 自転車
KR20100097894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동광금속 위치추적부를 갖는 자전거
CN202557704U (zh) * 2012-05-15 2012-11-28 肖楠 滑板车旅行箱
KR101306910B1 (ko) * 2012-01-05 2013-09-26 황성민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574Y1 (ko) 2001-02-16 2001-07-19 정채영 안전 장치를 구비한 킥보드
JP2009286314A (ja) * 2008-05-30 2009-12-10 Kawamura Cycle:Kk 自転車
KR20100097894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동광금속 위치추적부를 갖는 자전거
KR101306910B1 (ko) * 2012-01-05 2013-09-26 황성민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CN202557704U (zh) * 2012-05-15 2012-11-28 肖楠 滑板车旅行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3777B2 (en) 2019-10-11 2022-07-12 Honda Motor Co., Ltd. Scooter auxiliary wheel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220163705A (ko) * 2021-06-03 2022-12-12 넥스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보조바퀴가 구비된 전동 킥보드
KR102484843B1 (ko) 2021-06-03 2023-01-06 넥스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보조바퀴가 구비된 전동 킥보드
KR20230069319A (ko) * 2021-11-11 2023-05-19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자율 주행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KR102541776B1 (ko) * 2021-11-11 2023-06-14 한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 주행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608B1 (ko)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US9932087B2 (en) Vehicle drivable in use by a person walking or running whilst seated and the use of such vehicle
US8807250B2 (en) Powered single-wheeled self-balancing vehicle for standing user
CN204452718U (zh) 一种轮外侧站立式的电动平衡车
JP2018536590A (ja) サスペンション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セルフバランスボード
EP0973674A2 (en) Portable scooter
JP2008540216A (ja) 乗物、これに使用されるハブ、自転車に乗るための学習方法、三輪車、四輪車、及び自転車を安定させる安定方法
AU2006206010A1 (en) Tracked ATV
JPH10211313A (ja) 自走式ローラーボードにおける操舵装置
JPH01153391A (ja) 走行および曲乗り用装置
US10870459B2 (en) Learning aid for central wheel structure auto-balancing device and auto-balancing device having same
MXPA01007504A (es) Maquina de remolque para personas, la cual se mueve sobre rodillos o cuerpos deslizantes.
CN104648570A (zh) 一种轮外侧站立式的电动平衡车
JP2009515644A (ja) 車椅子
KR101729620B1 (ko) 전동식 주행 보드
JP2010530290A (ja) ステップボード
KR101440825B1 (ko)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CA2827300A1 (en) Apparatus ann method of powering a wheeled vehicle
CN205469469U (zh) 一种电动平衡车的车轮连接机构
KR101440827B1 (ko) 탑승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KR102484843B1 (ko) 보조바퀴가 구비된 전동 킥보드
CN105564560A (zh) 一种自平衡电动滑板车
WO2005120939A1 (en) Tricycle for extreme sports
WO1995021006A1 (en) Scooter for descending rough terrain
UA126426C2 (uk) Електричний транспортний засіб, який балансується (варіан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