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825B1 -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 Google Patents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825B1
KR101440825B1 KR1020140077474A KR20140077474A KR101440825B1 KR 101440825 B1 KR101440825 B1 KR 101440825B1 KR 1020140077474 A KR1020140077474 A KR 1020140077474A KR 20140077474 A KR20140077474 A KR 20140077474A KR 101440825 B1 KR101440825 B1 KR 10144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se plate
driver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주)조은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정밀 filed Critical (주)조은정밀
Priority to KR102014007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0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1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moto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2Microcars, e.g. golf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3Ridable golf 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05Motorized golf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카트에 탑승하여 골퍼가 직접 자신만의 카트를 운전하면서 필드를 주행하거나 상기 카트를 밀면서 필드를 걸어서 이동하면서 골프를 즐기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동으로 주행가능한 골프카트의 운전석에 골퍼가 탑승하여 직접 골프카트를 운전하면서 필드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운전석을 전방으로 접은 상태로 골프카트를 골퍼가 직접 밀면서 필드를 걸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Private use golf cart which is able to a riding}
본 발명은 골프카트에 탑승하여 골퍼가 직접 자신만의 카트를 운전하면서 필드를 주행하거나 상기 카트를 밀면서 필드를 걸어서 이동하면서 골프를 즐기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 골프가 대중화되고 있는 가운데 골프장 및 골프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골프인구의 증가 및 골프의 대중화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골프를 즐길 수 있는 골프 환경을 요구하고 있으나 한 번의 경기에 소요되는 비용은 여전히 높아 골프의 대중화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비용의 요인중 가장 큰 부분은 캐디피라고 불리는 캐디 봉사료이다.
따라서 골프장 내에서 골프장비를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캐디를 대체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였으며 그에 부응하여 개발된 것이 골프 장비를 운반하는 골프카트이다.
종래에 개발된 골프카트중 수동식 골프카트는 골프용품을 적재함에 적재하고 골퍼가 이를 밀거나 끌면서 이동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 장비는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골퍼가 이를 일일이 끌고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골퍼가 골프를 즐기기 이전에 장비의 이동 과정에서 지쳐 골프의 재미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체력소모가 심하여 실력이 발휘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많은 골퍼들이 이 장비의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상기한 수동식 골프카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특허등록 제884932호, 명칭/ 전동골프카트」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캐리어, 좌/우측 경사지지대 및 연결빔의 간단한 구조로 골격이 구성되고, 여기에 바퀴들, 모터들, 감속기들 및 배터리가 균형 있게 설치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성이 간소화되어, 취급이 간편하면서도 저가의 전동골프카트를 제공함으로써, 골프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골프카트를 골퍼가 수동으로 이동하지 않고 전동으로 작동하여 이동한다는 점에서 유용함이 있으나, 결국에는 골퍼가 카트를 탑승할 수 없고 장시간을 걸어서 이동하여야만 함으로써 힘이 들고, 체력 소모가 심한 문제점은 해소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이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으로 주행가능한 골프카트의 운전석에 골퍼가 탑승하여 직접 골프카트를 운전하면서 필드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운전석을 전방으로 접은 상태로 골프카트를 골퍼가 직접 밀면서 필드를 걸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도 센서부를 이용하여 경사가 심한 지점을 자동으로 피해갈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후방에 비승용 운전공간이 함몰 형성된 베이스판의 전방 양측에 전륜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상하면에 부착된 후륜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허브모터가 내장된 한 쌍의 후륜을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조향축 홀더의 상하를 관통하여 상기 전륜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조향축의 상단에 조향핸들을 틸팅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상부에는 운전석을 경첩을 매개로 전방으로 접힘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골프백 거치대를 연결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퍼의 선택에 따라 골프카트에 탑승하여 직접 운전하면서 필드를 주행함으로써 노약자나 체력이 약한 골퍼들의 체력소모를 줄여 별도의 캐디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스스로 힘들이지 않고 골프를 저렴한 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골프카트를 타고 이동하는 것을 싫어하거나 체력단련을 이유로 필드를 걷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골프카트의 운전석을 전방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골프카드를 전동으로 밀면서 필드를 걸어서 이동함으로써 골프를 즐김과 동시에 체력을 단련하여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급경사 지역 등의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각도 센서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골프카트가 급경사 지역을 우회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골프카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골프카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골프카트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운전석이 전방으로 접힌 골프카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운전석이 전방으로 접힌 골프카트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운전석이 전방으로 접힌 골프카트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향핸들의 틸팅각 조절상태 확대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판(10), 한 쌍의 전륜(20), 한 쌍의 후륜(30), 허브모터(40), 조향축(50), 조향핸들(60), 운전석(70), 골프백 거치대(8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판(10)은 자동차의 차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후방에 비승용 운전공간(11)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0)에 비승용 운전공간(11)이 형성된 이유는 골퍼가 본 발명의 골프카트(C)에 탑승하여 운전하지 않고 운전석(70)을 전방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골프카트(C)를 밀면서 이동할 때 베이스판(10)에 다리가 걸리면서 조작이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비승용 운전공간(11)은 도 7과 같이 운전석(70)을 전방으로 접은 상태에서 노출됨에 따라 골퍼가 상기 비승용 운전공간(11)으로 들어가서 상기 조향핸들(60)을 잡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베이스판(10)의 전방 저면에는 전륜 지지대(21)가 부착되고, 상기 전륜 지지대(21)의 양측에 방향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전륜(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0)의 후방 상하면에는 후륜 지지대(31)가 부착되고, 상기 후륜 지지대(31)의 양측에는 각각 후륜(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후륜(30)의 내부에는 통상의 허브모터(40)가 내장 설치됨으로써 상기 허브모터(40)의 작동에 따라 후륜(30)은 자체적인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전동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판(10)의 전방 상부에는 조향축 홀더(56)가 설치되고, 상기 조향축 홀더(56)의 상하를 관통하여 전륜(20)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있는 조향축(5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향축(50)의 상단에는 조향핸들(60)이 틸팅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핸들(60)의 조작에 따라 전륜(20)의 진행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목표지점으로 골프카트(C)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조향핸들(60)을 포함하는 전륜 조향장치(90)가 구비됨으로써 전륜(20)의 방향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전륜 조향장치(90)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전륜 지지대(21)의 양측 저면에 한 쌍의 휠 피벗(91)이 각각 수평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휠 피벗(91)의 측면에는 전륜(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휠 피벗(91)의 하부에는 너클 암(92)이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너클 암(92)에는 각각 한 쌍의 타이로드(93)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타이로드(93)의 타측은 조향축(50)의 하단에 일체로 부착된 피트먼 암(94)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향핸들(60)을 회전조작하면 피트먼 암(94)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이와 연동하여 타이로드(93)가 너클 암(92)을 회전시켜 전륜(20)의 방향을 좌우로 틀어 주행방향을 조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판(10) 후방 상부면에는 운전석(70)의 일측이 경첩(71)을 매개로 전방으로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운전석(70)은 베이스판(10)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좌대 프레임(72) 및 상기 좌대 프레임(72)에 부착되는 좌대(7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운전석(70)은 좌대 프레임(72)의 일측이 경첩(71)을 매개로 베이스판(10)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좌대 프레임(72)의 상단 및 후면을 연속적으로 경유하여 좌대(73)가 부착 설치된다.
이때 상기 좌대(73)의 중앙에는 상면 및 후면에 연속하여 간섭방지부(75)가 절개 형성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따라서 상기 운전석(70)을 전방으로 접을 때 상기 조향축(50) 및 조향핸들(60)은 상기 간섭방지부(75)를 통과하면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운전석(70)을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원활하게 접을 수 있어 골프카트(C)를 골퍼가 직접 밀면서 필드를 걸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골프카트(C)에 탑승하여 운전을 할 때에는 조향핸들(60)을 도 2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시켜 사용함이 편리하나,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운전석(70)을 전방으로 접고 밀면서 이동할 때에는 조향핸들(60)의 조작이 불편함을 고려하여 상기 조향핸들(60)의 틸팅각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운전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도 8과 같이 상기 조향축(50)의 상단에 핸들 틸팅브라켓(51)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핸들 틸팅브라켓(51)의 중앙에는 조향핸들(60)이 힌지축(52)으로 관통하여 틸팅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핸들 틸팅브라켓(51)의 양 측판에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장공(53) 및 상기 조향핸들(60)을 틸팅 조절구(54)가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틸팅 조절구(54)의 일측에는 틸팅 조절너트(55)가 나사결합되는 기술이 접목된다.
따라서 상기 틸팅 조절너트(55)의 조임력을 해제한 후 상기 조향핸들(60)의 틸팅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틸팅각의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틸팅 조절너트(55)를 조여주여 상기 조향핸들(60)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0)의 전방에는 골프백을 거치할 수 있는 골프백 거치대(80)가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골프백 거치대(80)는 베이스판(10)의 저면에 부착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된 거치대 받침대(81)의 상단에 일체화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골프백 거치대(80)에 골프백을 거치한 후 별도의 밴드 등을 이용하여 골프백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조향축(50)의 후방, 베이스판(10)의 상단에 상기 허브모터(4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10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제어부(100)의 일측에는 베이스판(10)에 설치되는 통상의 경사센서를 이용하여 필드의 경사가 심한 곳을 자동으로 피해가도록 진행방향을 조종하는 경사 센서부(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제어부(100)의 타측에는 허브모터(40)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12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드라이버(120)는 상기 허브모터(40)의 움직임 및 경사 센서부(11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허브모터(40)를 정밀 제어하며, 상기 조향축(50)의 양측에는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0)가 탑재됨으로써 본 발명의 골프카트(C)를 전동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골프카트(C)에 탑승하여 운전하거나 골프카트(C)를 직접 골퍼가 밀면서 이동할 때에도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 제어부(100), 경사 제어부(110), 모터 드라이버(120) 및 배터리(130)의 외측에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140)가 씌움 설치된다.
C: 골프카트 10: 베이스판
11: 비승용 운전공간 20: 전륜
21: 전륜 지지대 30: 후륜
31: 후륜 지지대 40: 허브모터
50: 조향축 51: 핸들 틸팅브라켓
52: 힌지축 53: 가이드장공
54: 틸팅 조절구 55: 틸팅 조절너트
60: 조향핸들 70: 운전석
71: 경첩 72: 좌대 프레임
73: 좌대 75: 간섭 방지부
80: 골프백 거치대 90: 전륜 조향장치
91: 휠 피벗 92: 너클 암
93: 타이로드 94: 피트먼 암
100: 모터 제어부 110: 경사 제어부
120: 모터 드라이버 130: 배터리

Claims (7)

  1. 베이스판(10)의 전방 저면에 부착된 전륜 지지대(21)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전륜(2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후방 상하면에 부착된 후륜 지지대(31)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후륜(30)과;
    상기 후륜(30)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어 후륜(30)이 자체적인 회전동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허브모터(40)와;
    상기 베이스판(1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조향축 홀더(56)의 상하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향축(50)과;
    상기 조향축(50)의 상단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된 조향핸들(6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후방 상부면에 부착된 한 쌍의 경첩(71)을 매개로 전방으로 접힘 가능하게 설치된 운전석(7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전방에 연결 설치된 골프백 거치대(8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베이스판(10)은 후방에 비승용 운전공간(1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운전석(70)을 전방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비승용 운전공간(11)으로 골퍼가 들어가 상기 조향핸들(60)을 밀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지지대(21)의 양측 저면에는 한 쌍의 휠 피벗(91)이 각각 수평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휠 피벗(91)의 측면에 전륜(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휠 피벗(91)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너클 암(92)에는 각각 타이로드(93)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타이로드(93)의 타측은 조향축(50)의 하단에 부착된 피트먼 암(94)에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륜 조향장치(9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50)의 상단에는 핸들 틸팅브라켓(51)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핸들 틸팅브라켓(51)의 중앙에 힌지축(52)으로 관통하여 조향핸들(60)이 상하 틸팅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핸들 틸팅브라켓(51)의 양 측판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장공(53) 및 상기 조향핸들(60)을 동시에 관통하는 틸팅 조절구(54)의 일측에 틸팅 조절너트(55)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70)은 좌대 프레임(72)의 일측이 경첩(71)을 매개로 베이스판(10)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좌대 프레임(72)의 타측 상단 및 후면을 경유하여 좌대(73)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좌대(73)의 중앙에는 상면 및 후면에 연속하여 간섭방지부(75)가 절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운전석(70)을 전방으로 접을 때 조향축(50) 및 조향핸들(60)이 상기 간섭방지부(75)를 통과하면서 충돌하지 않고 운전석(70)이 원활하게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50)의 후방에는 베이스판(10)의 상단에 상기 허브모터(40)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10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제어부(100)의 일측에는 경사센서를 이용하여 필드의 경사가 심한 곳을 피해가도록 제어하는 경사 센서부(110)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 제어부(100)의 타측에는 상기 허브모터(40)의 움직임 및 경사 센서부(11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상기 허브모터(40)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12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조향축(50)의 양측에는 배터리(130)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백 거치대(80)는 베이스판(10)의 저면에 부착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된 거치대 받침대(81)의 상단에 일체화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KR1020140077474A 2014-06-24 2014-06-24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KR10144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74A KR101440825B1 (ko) 2014-06-24 2014-06-24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74A KR101440825B1 (ko) 2014-06-24 2014-06-24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825B1 true KR101440825B1 (ko) 2014-09-17

Family

ID=5176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474A KR101440825B1 (ko) 2014-06-24 2014-06-24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8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94B1 (ko) 2015-01-15 2015-03-27 (주)조은정밀 후륜 조향식 개인용 승용 골프카트의 비승용 주행장치
KR101506615B1 (ko) 2015-01-15 2015-03-27 (주)조은정밀 후륜 조향식 개인용 승용 골프카트의 조향핸들 회전방지장치
KR101506495B1 (ko) 2015-01-15 2015-03-27 (주)조은정밀 후륜 조향식 개인용 승용 골프카트
KR101776802B1 (ko) * 2015-12-11 2017-09-08 주식회사 골프존 양방향 조향 기구를 구비한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1651A (ja) * 1992-02-28 1993-09-21 Sanyo Electric Co Ltd 乗用型ゴルフカート
JP2000163125A (ja) 1998-11-26 2000-06-16 G Three:Kk 自動走行カートシステム
KR20030000733A (ko) * 2001-06-26 2003-01-06 김종림 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JP2006068212A (ja) 2004-09-01 2006-03-16 Kyosan Electric Mfg Co Ltd 警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1651A (ja) * 1992-02-28 1993-09-21 Sanyo Electric Co Ltd 乗用型ゴルフカート
JP2000163125A (ja) 1998-11-26 2000-06-16 G Three:Kk 自動走行カートシステム
KR20030000733A (ko) * 2001-06-26 2003-01-06 김종림 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JP2006068212A (ja) 2004-09-01 2006-03-16 Kyosan Electric Mfg Co Ltd 警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94B1 (ko) 2015-01-15 2015-03-27 (주)조은정밀 후륜 조향식 개인용 승용 골프카트의 비승용 주행장치
KR101506615B1 (ko) 2015-01-15 2015-03-27 (주)조은정밀 후륜 조향식 개인용 승용 골프카트의 조향핸들 회전방지장치
KR101506495B1 (ko) 2015-01-15 2015-03-27 (주)조은정밀 후륜 조향식 개인용 승용 골프카트
KR101776802B1 (ko) * 2015-12-11 2017-09-08 주식회사 골프존 양방향 조향 기구를 구비한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0227B2 (ja) 使用者の位置に基づく個人輸送機器の制御
USRE49608E1 (en) Two-wheel self-balancing vehicle with independently movable foot placement sections
EP3634840B1 (en) Golf-bag carrying vehicle
US11279432B2 (en) Self-balancing foot platform devices
KR101440825B1 (ko) 승용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US9932087B2 (en) Vehicle drivable in use by a person walking or running whilst seated and the use of such vehicle
US8807250B2 (en) Powered single-wheeled self-balancing vehicle for standing user
US5265695A (en) Portable collapsible motorized golf cart
EP2643063B1 (en) Self-propelled golf vehicle
US20140008138A1 (en) Electric Vehicle Driven with Interaction with Rider
US10035557B2 (en) Self-balancing vehicle frame
US5346028A (en) Golf cart with adjustable steering assembly
US10723403B2 (en) Scooter assembly with auto-balancing drive wheel
US11931633B2 (en) Rideable golf bag cart/cycle
KR101440827B1 (ko) 탑승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US6397961B1 (en) Individualized golf cart
KR101440828B1 (ko) 승용형 개인용 골프카트
KR101976608B1 (ko) 보조바퀴를 갖는 안전 킥보드
KR101010117B1 (ko) 후륜 조향식 자전거
KR101506494B1 (ko) 후륜 조향식 개인용 승용 골프카트의 비승용 주행장치
KR101506615B1 (ko) 후륜 조향식 개인용 승용 골프카트의 조향핸들 회전방지장치
KR101506495B1 (ko) 후륜 조향식 개인용 승용 골프카트
JP2020032991A (ja) 電動式スケートボード
JPH06305476A (ja) 電動二輪スケート
KR20190028239A (ko) 틸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전동 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