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337B1 - 엘리베이터 칸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337B1
KR101976337B1 KR1020187003785A KR20187003785A KR101976337B1 KR 101976337 B1 KR101976337 B1 KR 101976337B1 KR 1020187003785 A KR1020187003785 A KR 1020187003785A KR 20187003785 A KR20187003785 A KR 20187003785A KR 101976337 B1 KR101976337 B1 KR 10197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car
floor
plate
receiv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571A (ko
Inventor
마사유키 미나미
다이지 사와키
히사시 오카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벽면보다 하부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 제1 및 제2 걸레받이를 설치하고, 제1 걸레받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의 접촉부에 자성체를 마련해 둔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제1 걸레받이와 제1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제1 공간 사이에 발판을 끼워넣어 두고, 비상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걸레받이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부터 떼어놓음과 아울러, 발판을, 제1 공간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는 상태로부터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 걸레받이와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제2 공간에 설치된 받이 브라켓에 걸어 사다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승객을 탈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엘리베이터 칸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다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엘리베이터 칸에는, 복수개로 접을 수 있는 사다리를 접어서, 그 일단을, 문턱(실(sill)) 아래에 마련한 에이프런(apron)의 중앙 상부에 피봇 장착한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이나, 엘리베이터 칸의 배면 패널 뒤측에서 엘리베이터 칸 밖으로 돌출하는 트렁크의 천정에 뚜껑이 부착된 구출구(救出口)를 마련하고, 트렁크 천정의 외측 상부의 엘리베이터 칸 배면 패널에 마련한 슬라이드식의 신장 사다리를, 구출구에 내릴 수 있도록 한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실용신안공개 소63-1846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5-186150호 공보
상기의 특허 문헌 1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보다 상부의 위치에서 정지한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보다 하부의 위치에서 정지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상승시키지 않으면, 사다리를 취출할 수 없다.
또, 특허 문헌 2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에 트렁크가 없으면 성립하지 않는 구조이며, 트렁크가 없는 엘리베이터 칸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엘리베이터 칸에 트렁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상승시킬 필요가 없이 승객을 구출할 수 있는 사다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벽면보다 하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벽면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의 접촉부에 자성체를 구비한 제1 및 제2 걸레받이와, 평상시에는, 상기 제1 걸레받이와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제1 공간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발판과, 상기 제2 걸레받이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제2 공간에 설치된 받이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걸레받이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부터 떼어놓여지는 비상시에는, 상기 발판은, 상기 제1 공간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는 상태로부터 지점(支点)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공간에서의 받이 브라켓에 걸려 사다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 벽면보다 하부에,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 걸레받이를 설치하고, 걸레받이에는,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의 접촉부에 자성체를 마련하며, 평상시에는, 걸레받이와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공간 사이에 발판을 끼워넣어 두고, 비상시에는, 걸레받이를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부터 떼어놓음과 아울러, 발판을, 상기 공간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는 상태로부터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다른 걸레받이와 다른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다른 공간에 설치된 받이 브라켓에 걸어 사다리를 형성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비상시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에서 사다리를 조립할 수 있음으로써, 나사 등의 장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또, 엘리베이터 칸에 트렁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상승시킬 필요가 없이 승객을 구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을 선 AA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을 화살표 B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칸을 화살표 C의 방향으로부터 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사용하는 걸레받이(발판 지지측)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칸을 화살표 D의 방향으로부터 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사용하는 걸레받이(받이 브라켓 설치측)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를 선 EE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를 선 FF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사다리를 조립할 때의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의 G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에 사용하는 사다리를 조립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로서, 사다리의 연장 부품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의 H부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에 사용하는 사다리의 연장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칸의 각 실시 형태를, 상기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도 3은, 엘리베이터 칸의 일반적인 도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승강로(1)를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3)은, 천정(2) 및 벽(4)을 가지며, 이 벽(4)에서의 측벽(4a~4d)과 바닥 타일(5)과의 사이에 걸레받이(6)가 개재하고 있다. 걸레받이(6)는, 도시의 예에서는, 측면 걸레받이(6a)가, 측벽(4a 및 4b)과 바닥 타일(5)과의 사이에 마련되고, 측면 걸레받이(6b)가, 측벽(4c 및 4d)과 바닥 타일(5)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4~도 7은, 각각, 사다리를 구성하는 걸레받이(6a 및 6b)의 통상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평상시의 걸레받이(6a)는, 측벽(4a 및 4b)보다 하부에서, 도 4 및 그 EE 단면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7) 및 너트(8)에 의해 측벽(4a 및 4b)에 장착된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a)에 접착되어 있다. 이 접착은, 걸레받이(6a)가,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a)과의 접촉부에, 강판(鋼板)성(性)의 자성체(13a)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따라서, 나사 등의 장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걸레받이(6a)는,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a)에 자력에 의해 붙어져 있다.
이와 같이, 걸레받이(6a)가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a)에 자력 접착함으로써, 걸레받이(6a)와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a)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에는, 평상시에 발판(9)이 사이에 끼워넣어져 유지되어 있다.
걸레받이(6a)에 대면하는 걸레받이(6b)에도, 도 5 및 그 FF 단면도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b)과의 접촉부에, 자성체(13b)가 마련되어 있으며, 나사 등의 장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b)에 자력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걸레받이(6b)와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b)으로 구성되는 공간에는, 걸레받이(6a)에 마련되어 있는 발판(9)을, 비상시에 지지하기 위한 받이 브라켓(12)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판(9)은, 평상시, 걸레받이(6a)와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a)과의 공간 사이에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볼트(10)와 너트(11)에 의해, 걸레받이(6a)에 일단이 고정되고 또한 이들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발판(9)에 마련하는 볼트(10)의 통과 구멍을 볼트(10)의 지름보다 크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비상시에서의 사다리의 조립은, 먼저 걸레받이(6a 및 6b)를, 각각, 도 8의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14a 및 14b)으로부터, 자성체(13a 및 13b)에 의한 자력에 저항하여 떼어놓는다. 그리고, 도 8의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판(9)을, 볼트(10) 및 너트(11)의 고정부(도 6 참조)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회동시킨 발판(9)은, 도 8의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레받이(6a)측에 마련한 각 발판(9)의 구멍(9a)에, 걸레받이(6b)에 마련한 각 받이 브라켓(12)이 걸이부(12a~12c)(특히 12c)를, 도 8의 (6)의 G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한다. 이 상세가, 도 9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다리를 완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사다리를 엘리베이터 칸 내에서 완성한 다음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의 천정을 열어 탈출하는 방법 등이 고려되어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걸레받이(6a)측에 발판(9)을 배치하고, 걸레받이(6b)측에 받이 브라켓(12)을 배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사다리를 구성했을 때, 가장 아래가 되는 발판(9)을 걸레받이(6a)에 마련하고, 대면하는 걸레받이(6b)에 받이 브라켓(12)을 마련하며, 다음 단(段)의 발판(9)은 걸레받이(6b)에 마련하고, 받이 브라켓(12)은 걸레받이(6a)에 마련하는 것과 같이, 발판(9)과 받이 브라켓(12)을, 걸레받이(6a 및 6b) 사이에서 교호로 마련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도 11에 점선 부분 H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3)의 배면벽측의 걸레받이를 이용한다. 즉, 이 걸레받이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서 걸레받이(6c와 6d)로 나누어지고, 걸레받이(6d)에 발판(9)을 마련하며, 걸레받이(6c)에 받이 브라켓(12)을 마련하고 있다. 또, 배면 걸레받이(6c와 6d)는, 이 반대라도 괜찮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걸레받이(6c)의 일단과 걸레받이(6d)의 타단에는, 장착 브라켓(15)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면 걸레받이(6c 및 6d)와 측면 걸레받이(6a 및 6b)를, 각각, 배면 걸레받이(6c 및 6d)에 마련한 장착 브라켓(15)에 의해, 사다리를 연장시키는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13의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15)은, 최초, 배면 걸레받이(6c 및 6d)에 볼트(16)와 너트(17)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사다리를 연장할 때에는, 도 13의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16)를 느슨하게 하여, 장착 브라켓(15)을 슬라이드시킨다. 그리고, 측면 걸레받이(6a 및 6b)에 마련한 장착용 구멍에, 측면 걸레받이(6a 및 6b)에, 미리 장착되어 있던 볼트(16) 및 너트(17)를 떼어내어, 장착 브라켓(15)을 측면 걸레받이(6a 및 6b)에 삽입하고, 볼트(16)및 너트(17)에 의해 고정한다.
또, 분할한 배면 걸레받이(6c 및 6d)로의 발판(9)과 받이 브라켓(12)의 장착은, 실시 형태 1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교호로 마련해도 좋다.

Claims (5)

  1.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벽면보다 하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벽면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의 접촉부에 자성체를 구비한 제1 및 제2 걸레받이와,
    평상시에는, 상기 제1 걸레받이와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제1 공간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발판과,
    상기 제2 걸레받이와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제2 공간에 설치된 받이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걸레받이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부터 떼어놓여지는 비상시에는, 상기 발판은, 상기 제1 공간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는 상태로부터 지점(支点)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공간에서의 받이 브라켓에 걸려 사다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및 제4 엘리베이터 칸 벽면보다 하부에 설치된 제3 및 제4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
    상기 제3 및 제4 엘리베이터 칸 벽면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과의 접촉부에 자성체를 구비한 제3 및 제4 걸레받이와,
    평상시에는, 상기 제3 걸레받이와 상기 제3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제3 공간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제2 발판과,
    상기 제4 걸레받이와 상기 제4 엘리베이터 칸 바닥판으로 형성된 제4 공간에 설치된 제2 받이 브라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레받이와 상기 제3 걸레받이, 및 상기 제2 걸레받이와 상기 제4 걸레받이가 각각 장착 브라켓에 의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이, 복수개 상기 제1 걸레받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걸레받이에는, 상기 발판의 각각을 거는 받이 브라켓을, 상기 발판에 대응하여 마련한 엘리베이터 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판이, 복수개 상기 제1 걸레받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걸레받이에는, 상기 발판의 각각을 거는 받이 브라켓을, 상기 발판에 대응하여 마련한 엘리베이터 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레받이에, 상기 제1 걸레받이에 마련한 발판과 동일 구조의 다른 발판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걸레받이에, 상기 제2 걸레받이에 설치된 받이 브라켓과 동일 구조의 다른 받이 브라켓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KR1020187003785A 2015-07-13 2015-07-13 엘리베이터 칸 KR101976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0054 WO2017009937A1 (ja) 2015-07-13 2015-07-13 エレベーターか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571A KR20180027571A (ko) 2018-03-14
KR101976337B1 true KR101976337B1 (ko) 2019-05-07

Family

ID=5775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785A KR101976337B1 (ko) 2015-07-13 2015-07-13 엘리베이터 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45351B2 (ko)
KR (1) KR101976337B1 (ko)
WO (1) WO201700993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6254A1 (ja) 2005-05-24 2006-1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JP2012046289A (ja) 2010-08-25 2012-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656Y2 (ja) * 1980-04-17 1984-09-0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タのかご室
JPS6318463U (ko) 1986-07-21 1988-02-06
JPH05186150A (ja) 1992-01-08 1993-07-27 Toshiba Corp トランク付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救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6254A1 (ja) 2005-05-24 2006-1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JP2012046289A (ja) 2010-08-25 2012-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5351B2 (ja) 2018-06-20
KR20180027571A (ko) 2018-03-14
JPWO2017009937A1 (ja) 2017-09-28
WO2017009937A1 (ja)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5303S1 (en) Wash pad for vehicles and equipment
JP5144791B2 (ja) おもり付き立ち上がり補助具
JP6565880B2 (ja) 車両下部構造
US20200156514A1 (en) Seat Stand And Method Of Using Same
USD666044S1 (en) Frame for a modular anti-fatigue floor mat assembly
JP6781531B2 (ja) 椅子
KR101976337B1 (ko) 엘리베이터 칸
JP2017190136A (ja) シート装置
JP2015009030A (ja) モップクリーナ
KR101125445B1 (ko) 차량의 카매트 고정 구조
JP6499544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3929042B2 (ja) ベッド用収納設備
JP6623455B2 (ja) 什器
JP3148696U (ja) マット用固定具
JP2012011962A5 (ko)
JP2008265955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WO2016162918A1 (ja) 航空機用ラバトリーユニット
JP6756238B2 (ja) 乗物用シート
JP5876276B2 (ja) 椅子
JP3173719U (ja) 収納体の取付構造
JP2009090677A (ja) 座席の脚部構造
JP3197348U (ja) ロータイプベッド
JP6501387B2 (ja) デスクトップパネル、デスクおよびデスクトップパネルの連結構造
JP6821143B2 (ja) 便器施工用補助部材
KR101115655B1 (ko)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