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235B1 -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235B1
KR101976235B1 KR1020147022972A KR20147022972A KR101976235B1 KR 101976235 B1 KR101976235 B1 KR 101976235B1 KR 1020147022972 A KR1020147022972 A KR 1020147022972A KR 20147022972 A KR20147022972 A KR 20147022972A KR 101976235 B1 KR101976235 B1 KR 101976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lining wear
brake
adjustment device
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275A (ko
Inventor
베른하르트 밀러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3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6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both directions for adjusting excessive and insufficient play
    • F16D65/64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both directions for adjusting excessive and insufficient play by means of direct linea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04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permanent magnets combined with electro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 F16D27/04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movable friction surfaces
    • F16D27/06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electromagnets incorporated in the clutch, i.e. with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movable friction surfaces with friction surfaces arranged within the flu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7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on a disc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1Means for electric connection of the coils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2065/386Slack adjusters driven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22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transversely to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28Cams; Levers with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9/00Type of operation source for auxiliary mechanisms
    • F16D2129/06Electric or magnetic
    • F16D2129/08Electro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8Sensors; Details or arrange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Abstract

브레이크 조작 레버(9)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브레이크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조정 스핀들(3)에 삽입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는 외부 베어링(26)을 갖는 조정 샤프트(4); 회전 구동 요소(11); 및 회전 구동 요소를 조정 샤프트(4)와 스위칭 가능하게 커플링하는 클러치 장치(10)를 포함한다. 클러치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 코일(16)과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LINING WEAR ADJUSTMENT DEVICE FOR A DISC BRAK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 특히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마모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응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한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는 예컨대 마찰점(friction point)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계적 조정기와 같은 다양한 구성들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공지의 구성들에서, 조정 장치는 브레이크 작동 시마다 예컨대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브레이크 조작 요소에 의해 활성화된다. 브레이크 라이닝 및 브레이크 디스크가 마모되면, 조정 장치에 의해 예컨대 길이 가변적 압력 램들의 조정 이동이 일어남으로써 라이닝의 자동적인 조정이 이뤄진다.
EP 1 476 673 B1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조정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및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한 장치들은 그 적합성이 입증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과제는 개선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제들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에 의해, 청구항 26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30의 특징들을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해결된다.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코일과의 전기적 스위칭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클러치 장치를 포함한다. 구동을 위해, 이미 존재하고 있는 브레이크 조작 레버가 사용된다. 그러한 브레이크 조작 레버에 의해 일어나는 토크를 조정 스핀들에 전달하는 것이 스위칭 가능한 클러치 장치를 사용하여 스위치에 의해 간단하게 제어될 수 있다.
브레이크 라이닝/브레이크 라이닝들의 조정은 마모를 기반으로 한 조작으로서 이뤄질 수 있으나, 리셋(reset)으로서 이뤄질 수도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의 소위 에어 갭(air gap)이 설정될 수 있다. 브레이크 조작 레버의 복귀 이동 시에 클러치 장치를 넣으면, 리셋이 가능하다.
브레이크 조작 레버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브레이크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조정 스핀들에 삽입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 특히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는 외부 베어링을 갖는 조정 샤프트; 회전 구동 요소(rotary drive element); 및 회전 구동 요소를 조정 샤프트와 스위칭 가능하게 커플링하는 클러치 장치를 포함한다. 클러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하게 형성된다.
브레이크 조작 레버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스핀들을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특히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조정 장치를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미리 설정 가능한 기준치의 도달 후에 라이닝 마모가 검출되면, 브레이크 조작 레버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시에 클러치 장치의 전자기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여 조정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일 구성에 따르면, 클러치 장치는 회전 구동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 및/또는 회전 구동 요소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섹션, 클러치 커버,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코일, 및 코일 캐리어(coil carrier)를 포함한다. 그럼으로써, 콤팩트한 구조가 가능하다.
회전 구동 요소는 클러치 장치의 입력 측에서 조정 스핀들과 클러치 장치의 공통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그리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회전 구동 요소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섹션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회전 구동 요소가 선회 이동만을 수행한다. 그와 같이 하여, 회전 구동 요소가 조정을 수행함이 없이 브레이크 조작 레버에 의해 선회될 수 있다. 클러치 장치를 넣어야 비로소 조정 스핀들로의 토크 전달이 이뤄지는데, 클러치를 넣었을 때에 회전 구동 요소는 축 방향으로 클러치 장치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한다.
일 구성에 따르면, 코일 캐리어는 회전 구동 요소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콤팩트한 구조가 가능하면서 전자기 코일이 회전 구동 요소에 의해 선회할 수 있다.
대안적 구성에 따르면, 코일 캐리어는 조정 스핀들의 외부 베어링과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전자기 코일은 조정 과정 중에 선회하지 않는다. 표류 자기장(stray field)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고 높은 클러치 파워를 일으키기 위해, 코일 캐리어의 적절한 재료 선택에 의해 스위칭 온 상태에서의 전자기 코일의 자력선들에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 구성에 따르면, 코일 캐리어는 중앙 영역에 구형(spherical) 쉘 수납부를 갖는 디스크 섹션을 포함하는데, 구형 쉘 수납부는 조정 스핀들의 외부 베어링의 디스크의 구형 돌출부를 수납하고, 외부 베어링의 디스크의 구형 돌출부와 합치된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도 작동 중에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각도 방향 이동이 보상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클러치 커버는 전자기 코일을 컵 형태로 둘러싸고, 조정 샤프트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구동 요소의 일 섹션 또는 회전 구동 요소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섹션과 함께 클러치 섹션을 형성하는 클러치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구동 요소의 섹션들의 통합에 의해, 전체적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콤팩트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일 구성에 따르면, 클러치 섹션에 마찰 라이닝들이 형성된다. 마찰 라이닝들은 예컨대 코팅으로서 형성되거나 부착물로서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 구성에 따르면, 클러치 섹션은 톱니 클러치로서 형성된다. 톱니 클러치로서 형성된 클러치 섹션은 예컨대 2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는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를 넣은 상태에서 클러치 파워가 낮게 유지될 수 있는데, 전자기 코일이 공간을 그만큼 덜 소요한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클러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스프링 또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한다. 따라서 험한 주위 조건들, 예컨대 온도 차 및/또는 진동 하에서도 클러치 장치의 풀린 상태 또는 해제 상태가 보장된다.
대안적 구성에 따르면, 조정 장치의 각도 방향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외부 베어링에 조정 샤프트의 짐벌(gimbal) 베어링이 형성될 수 있다.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코일과 전기 전도 접속되는 접속 장치를 포함한다. 전자기 코일은 플러그인(plug-in) 커넥터에 의해 전기 접속된다. 그럼으로써, 보수 또는 교환 시에 공구에 의해 별도로 전기 연결을 분리하거나 전기 연결을 이룰 필요가 없이 접속 장치를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인 커넥터는 탄성 소켓에 의해 외부 베어링을 통해 안내되어 그에 유지되는 도체를 포함한다. 그럼으로써,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작동 중에 텐션 및 이동이 보상될 수 있다. 전자기 코일은 도체에 접속된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는 독립된 출원의 주제가 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마모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럼으로써, 클러치 장치를 상응하게 넣고 풀고 함으로써 조정 과정을 브레이크 라이닝 및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모에 의존하여 의도된 대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마모 센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속 장치의 구성 요소가 된다. 그럼으로써, 매우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조가 가능하다.
매우 바람직한 것은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마모 센서가 앵글 센서(angle sensor)로서 형성되되, 마모 센서 요소가 접속 장치에 배치되고, 조정 샤프트와 연결된 마모 검출 요소와 연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마모 센서 요소는 예컨대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고, 마모 검출 요소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이때, 센서 요소에 대한 영구 자석의 작용이 무선 자기장을 통해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컨대 마모 센서 요소를 접속 장치에 그리고 마모 검출 요소를 조정 샤프트 상에 별개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은 교환 및 보수 작업, 특히 조정 작업을 수월하게 한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는 독립된 출원의 주제가 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레버 센서를 포함한다. 그러한 조작 레버 센서도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속 장치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고, 앵글 센서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라이닝 마모 센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 센서 요소가 접속 장치에 배치될 수 있고, 브레이크 조작 레버와 커플링된 조작 검출 요소와 연동할 수 있다.
본 경우에도 역시, 라이닝 마모 센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 검출 요소가 영구 자석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동일한 센서 요소와 검출 요소를 선택함으로써, 예비 부품 수가 감소한다. 또한, 센서 요소들의 분석 및 접속에 똑같이 동일한 부품들 및 분석 프로그램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접속 장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기존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개조들이 가능해지는데, 왜냐하면 예컨대 종래의 전기 기계적 전위차계(electromechanical potentiometer)가 전자적으로 에뮬레이션(emulation) 가능하기 때문인데, 제어기에 있는 기존의 전위차계에 대한 접속 단자들이 예컨대 제어 장치에 의해 에뮬레이션된 접속 단자들에 의해 바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클러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자체 회전 방지 기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회전 방지는 예컨대 압축/인장 스프링들과 같은 에너지 축적 요소와 함께 클러치 장치의 부품들에 있는 별도의 마찰면들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한 유지력 및 견고한 구조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전자기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브레이크 조작 레버의 검출된 이동에 의존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것은 라이닝 마모 조정 센서와 조작 레버 센서의 조합이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브레이크 조작 레버의 조작 이동 및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조정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조정 스핀들의 정지 마찰을 통해 마찰점을 파악할 수 있다. 브레이크 조작 레버의 조작 이동 중에 동시에 조정 이동이 이뤄지고, 그러나 그 후에 추가의 조작 이동에도 더 이상 조정 이동이 존재하지 않으면, 마찰점에 도달한 것이다. 그것은 조작 이동의 시작 시에 조정 이동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도 해당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브레이크 라이닝 조정 장치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작동이 없음에도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하여 갈리는 경우에 브레이크 조작 레버의 복귀 이동 중에 전자기 코일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미리 설정 가능한 값만큼 리셋되도록 구성된다. 그와 같이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하여 갈리는 것은 예컨대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조작 레버를 복귀 이동하면서 동시에 클러치 장치를 넣음으로써 브레이크 라이닝/브레이크 디스크를 그 초기 위치로 리셋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것은 예컨대 교환 및 보수를 위해 필요하다.
브레이크 조작 레버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스핀들을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적어도 하나의 전술한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한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를 사용하여 전자기 코일을 구비한 클러치 장치에 의해, 환언하면 전자 클러치에 의해, 라이닝 마모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고장 시에 또는 교환 및 보수 시에 라이닝 리셋도 가능하다. 따라서 소위 에어 갭 설정도 간단하게 구현된다. 이때, 구동 소스는 종래의 기계적 조정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조작 레버이다.
또한, 종래의 표준 브레이크들에 나중에 추가로 조립될 수 있는 소위 독립형(stand-alone) 버전이 가능하다.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는 하나의 버전으로 라이닝 마모 센서와 조작 레버 센서(적용되는 경우)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는 접속 장치를 포함한다. 그를 위해, 접속 장치는 제어 장치,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소형 컴퓨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접속 장치는 제어 장치 없이 센서 신호를 상응하는 제어 장치를 갖춘 상위 제어기에 디지털로 전달할 수 있다.
전기 브레이크의 고장(예컨대, 전위차계의 5V 전압 공급의 결손)이 검출될 경우, 브레이크 라이닝의 추적이 보장될 수 있다. 그것은 에어 갭이 메워진 것을 검출한 후에 전자기 코일을 트리거링함으로써 이뤄지는데, 브레이크가 아직 조작 중인 동안에 그러하고, 브레이크가 해제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는다.
독립형 버전은 종래의 구성들과 호환될 수 있고, 따라서 개조를 위해 교체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라이닝 미모 조정 장치는 다음의 이점들을 갖는다.
- 자율적인 전기적 라이닝 검출 및 조정
- 아날로그 라이닝 마모 출력
- 톱니 클러치에 의한 조정에 가능한 높은 토크
-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마찰면들(마찰면들 대신에 램프 톱니들(ramp teeth)도 가능)에 의한 확실한 유지력
- 간단하고 견고한 구조
- 자체 급전 전압
- 브레이크의 비상 작동(백업) 시에도 라이닝 마모 추적
또한,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는 과부하 클러치(overload clutch), 예컨대 볼 램프 클러치(ball ramp clutch) 또는 헬리컬 기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 코일은 PWM 또는 다른 적절한 트리거링에 의해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그럼으로써, 예컨대 설정 가능한 과부하 클러치가 얻어질 수 있다.
전자기 코일은 플러그인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접속 와이어들을 구비한다. 이때, 접속 와이어들은 코드들이거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작동 시에 그 유연성에 의해 각도 방향 이동을 보상할 수 있는 플렉서블 회로 기판의 스트립 도체들일 수 있다.
또한, 접속 장치는 해당 휠의 회전 속도 센서의 회전 속도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속도 센서가 접속 장치에 접속될 수도 있는데, 회전 속도 센서의 회전 속도 신호는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분석용 제어기로의 공통의 케이블에 전달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그것은 독립된 출원의 주제가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해서 예시적 구성들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제1 실시예를 해제 위치 및 활성화된 위치에서 개략적인 단면도로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변형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변형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외부 베어링을 개략적인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6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들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의 제5 실시예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변형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도 3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개략적인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통상의 커넥터 핀 배치(connector pin arrangement)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 및 도 17은 도 3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상이한 커넥터 핀 배치들을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18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을 개략적인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통상의 커넥터 핀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의 커넥터 핀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을 또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통상의 커넥터 핀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의 또 다른 커넥터 핀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을 또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의 제1 실시예를 해제 위치에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를 활성화된 위치에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디스크 브레이크는 그 브레이크 작동 측으로부터 도시되어 있고, 도시를 생략한 브레이크 캘리퍼(brake caliper)를 포함하는데, 브레이크 캘리퍼는 역시 도시를 생략한 브레이크 디스크 위에 맞물린다. 브레이크 디스크에는 양쪽에 브레이크 라이닝들(2)이 배치되는데, 여기서는 그 중에서 브레이크 작동 측 브레이크 라이닝(2)만이 그 브레이크 라이닝(2)과 연결된 조정 스핀들(3)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다른 브레이크 라이닝은 브레이크 캘리퍼에 고정된다. 브레이크 캘리퍼는 예컨대 슬라이딩 캘리퍼일 수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를 작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조작 레버(9)가 도시되어 있다. 조정 스핀들(3)은 수나사를 구비하고, 브레이크 조작 레버와 연동하는 도시를 생략한 압력 램에 나사 체결된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조정 스핀들(3)을 각각 갖는 1개를 넘는 압력 램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정 스핀들(3)은 조정 샤프트(4)의 출력 휠(5)과 맞물리는 암나사를 구비한다. 여기서, 출력 휠(5)은 브레이크 라이닝(2) 쪽을 향한 조정 샤프트(4)의 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된다.
조정 샤프트(4)의 타 단부는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전동 단부(6)로서 전동 휠(7)을 구비하고, 라이닝 마모 센서(8)와 커플링된다. 전동 휠(7)은 예컨대 스프로킷(sprocket)으로서 형성되고, 체인(25)(도 3을 참조)을 통해 도시를 생략한 또 다른 조정 스핀들과 커플링된다. 라이닝 마모 센서(8)는 본 구성에서는 예컨대 기어를 갖거나 갖지 않는 전위차계를 포함한다. 전위차계는 멀티턴 전위차계(multiturn potentiometer)일 수도 있고, 연결 케이블(18)을 통해 연결 요소(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요소(19)는 브레이크 제어기 또는 다른 제어기와의 전기 연결을 위해 사용되고, 다수의 핀을 갖는, 예컨대 5-핀 라이트앵글 플러그(right angle plug)로서 형성될 수 있다. 멀티턴 전위차계의 전기 저항은 커플링된 조정 샤프트(4)의 회전각에 의해 변할 수 있고,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닝(2)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들의 라이닝 마모에 비례한다.
조정 샤프트(4)는 전동 단부(6)에 연접된 섹션에서 클러치 장치(10)와 커플링된다. 클러치 장치(10)는 전자 클러치로서 형성되고, 톱니 연동부(12)를 갖는 회전 구동 요소(11), 클러치 커버(13), 및 전자기 코일(16)을 포함한다. 톱니 연동부(12)를 갖는 회전 구동 요소(11)는 클러치 장치(10)의 입력 측에 장착되는데, 톱니 연동부(12)는 브레이크 조작 레버(9)와 연동한다. 톱니 연동부(12)는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 샤프트(4)로부터 떨어져 회전 구동 요소(11)의 디스크에 형성된다. 그 디스크는 코일 캐리어(26a), 여기서는 관 형태의 섹션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코일 캐리어(26a)는 링 형태의 전자기 코일(16)을 지지하고, 조정 샤프트(4) 상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 구동 요소(11) 및 본 실시예에서 그와 연결된 코일 캐리어(26a)의 축 방향 이동성은 조정 샤프트(4) 상의 축 방향 스토퍼들(20, 21)에 의해 제한된다. 전자기 코일(16)은 케이블(17)을 통해 연결 케이블(18)과, 그에 따라 연결 요소(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 캐리어(26a) 상의 링 형태의 전자기 코일(16)은 클러치 커버(13)에 의해 컵 모양으로 둘러싸인다. 클러치 커버(13)는 회전 구동 요소(11)의 디스크 쪽을 향한 그 측면에 플랜지 형태의 클러치 영역(13a)을 구비하고, 도 1에 도시된 해제 위치에서는 클러치 유격(15)을 통해 그와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진다. 그러한 클러치 영역(13a) 및 그와 대응하는 회전 구동 요소(11)의 영역은 클러치 섹션(14)을 형성한다. 그러한 클러치 섹션(14)의 영역들에는 예컨대 특수한 마찰 코팅들 또는 마찰 라이닝들이 형성될 수 있다.
클러치 커버(13)는 클러치 영역(13a)으로부터 브레이크 라이닝(2)을 향한 측면까지 조정 샤프트(4)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측면에서 클러치 커버(13)는 반지름 방향으로 벽 섹션(13c)에 의해 중앙의 플랜지 형태의 연결 섹션(13b)까지 폐쇄된다. 플랜지 형태의 연결 섹션(13b)은 조정 샤프트(4)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추가로 축 방향 스토퍼(21)에 의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브레이크 라이닝(2)의 조정을 위해 조정 스핀들(3)을 회전시키는데에는, 디스크 브레이크 작동 시의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이동이 사용된다. 조정이 수행되어야 하면, 전자기 코일(16)이 스위칭 온 된다. 즉, 케이블(17)을 통해 전자기 코일(16)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때, 생성되는 전자기 작용에 의해 자기력선들이 발생하고, 그 자기력선들은 회전 구동 요소(11)와 클러치 커버(13)를 통과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조정 샤프트(4)도 통과한다. 이때,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 구동 요소(11)가 조정 샤프트(4) 상에서 부속된 클러치 요소들, 예컨대 마찰면들 또는 마찰 라이닝들을 통해 클러치 커버(13)의 플랜지 형태의 클러치 영역(13a)과 커플링된다. 그러면서 클러치 유격(15)이 닫힌다. 그와 같이 활성화된 위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회전 구동 요소(11)와 고정적으로 연결된 코일 캐리어(26a) 상에 장착된 전자기 코일(16)도 또한 회전 구동 요소(11)의 선회 이동에 따라 역시 선회한다. 케이블(17)은 여기서는 유연하게, 예컨대 코드 와이어로서 또는 플렉서블 도체 포일로서 형성된다.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브레이크 작동 이동 시에, 톱니 연동부(14)에 의해 회전 구동 요소(11)가 선회하고, 활성화된 클러치 장치(10)에 의해 클러치 섹션(140을 통해 클러치 커버(13) 및 조정 샤프트(4)에 토크가 전달된다. 조정 샤프트(4)의 그러한 회전에 의해, 조정 스핀들(3)도 또한 출력 휠(5)을 통해 선회하고, 압력 램에 있는 그 수나사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쪽으로 브레이크 라이닝(2)의 축 방향 조정을 일으켜 브레이크 라이닝(2)의 마모를 보상한다. 브레이크 조작 레버(9)가 다시 그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 전자기 코일(16)이 먼저 스위칭 오프 된다. 즉, 전자기 코일(16)에 더 이상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브레이크 조작 레버(9)로부터 조정 샤프트(4)로의 토크 전달이 더 이상 이뤄지지 않는다. 브레이크 조작 레버(9) 및 조정 샤프트(4)의 이동들이 화살표들로 지시되어 있다.
클러치 장치(10)의 토크 전달은 라이닝 마모가 없을 때에는, 즉 브레이크 라이닝(2)의 조정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클러치 장치(10)의 슬립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조정 이동 대신에, 클러치 장치(10)가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복귀 이동 시에만 활성화되어 브레이크 라이닝(2)의 리셋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클러치 장치(10)의 활성화는 상이한 기준들에 의거하여, 예컨대 지정 가능한 수의 작동 과정들과 라이닝 마모 센서(8)에 의한 라이닝 마모의 계측 후에 이뤄질 수 있다. 브레이크 라이닝(2)의 리셋을 위한 클러치 장치(10)의 활성화는 예컨대 고장 시에 및 라이닝 교환을 위해 그리고 브레이크조작 레버(9)의 작동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작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브레이크 라이닝(2)이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하여 갈리는 경우,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를 클러치 장치(10)의 활성화에 의해 리셋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것도 역시 상이한 기준들에 의해, 예컨대 브레이크 라이닝(2) 또는 그 캐리어의 근처의 적절한 위치에 있는 온도 센서들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예의 클러치 장치(10)도 또한 전자 클러치로서 형성되고, 톱니 연동부(12)를 갖는 회전 구동 요소(11), 클러치 커버(13), 및 전자기 코일(16)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전자기 코일(16)이 코일 캐리어(26a)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코일 캐리어(26a)는 여기서는 고정된 외부 베어링(26)의 관 형태의 섹션이고, 활성화 상태에서 회전 구동 요소(11)가 선회 이동하는 동안 그에 수반되는 선회 이동을 수행하지 않는다. 외부 베어링(26)은 브레이크 하우징(24)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톱니 연동부(12)를 갖는 회전 구동 요소(11)는 커플링 장치(10) 입력 측에 장착되는데, 톱니 연동부(12)는 브레이크 조작 레버(9)와 연동한다. 톱니 연동부(12)는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 샤프트(4)로부터 떨어져 회전 구동 요소(11)의 디스크에 형성된다. 그러나 그 디스크는 구멍을 갖는 짧은 플랜지를 구비하고, 그 구멍을 통해 코일 캐리어(26a)가 연장된다. 따라서 회전 구동 요소의 짧은 플랜지 섹션이 외부 베어링(26)의 코일 캐리어(26a) 상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 구동 요소(11)의 축 방향 이동성은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 쪽으로는 외부 베어링의 디스크 형태의 성형부에 의해 제한되고, 브레이크 라이닝 (2) 쪽으로는 클러치 커버(13)에 의해 제한된다. 전자기 코일(16)은 케이블(17)을 통해 플러그인 커넥터(31)의 도체 요소들(34)의 접속 단부들(3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한 연결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외부 베어링(26)의 코일 캐리어(26a) 상의 링 형태의 전자기 코일(16)은 본 제2 실시예에서도 또한 클러치 커버(13)에 의해 후드 모양으로 또는 컵 모양으로 둘러싸인다. 클러치 커버(13)는 회전 구동 요소(11)의 디스크 쪽을 향한 그 측면에 플랜지 형태의 클러치 영역(13a)을 구비하고, 마찰 라이닝(22)과 연결되는데, 그 마찰 라이닝(22)은 회전 구동 요소(11)의 디스크에 장착된 마찰 라이닝(23)과 연동한다. 물론, 다수의 마찰 라이닝들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한 마찰 라이닝들(22, 23)은 부속된 홀더들과 함께 클러치 섹션(14)을 형성한다.
클러치 커버(13)는 본 제2 실시예에서도 또한 클러치 영역(13a)으로부터 브레이크 라이닝(2)을 향한 측면까지 조정 샤프트(4)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반지름 방향으로 벽 섹션(13c)에 의해 중앙의 플랜지 형태의 연결 섹션(13b)까지 폐쇄된다. 본 경우에도 역시, 플랜지 형태의 연결 섹션(13b)은 조정 샤프트(4)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그와 동시에, 플랜지 형태의 연결 섹션(13b)은 그것과 출력 휠(5) 사이에서 조정 샤프트(4)의 둘레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인장 스프링(5a)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인장 스프링(5a)은 클러치 커버(13)의 벽 섹션(13c)의 내면을 마찰 요소(26b)에 맞대어 가압하여 제1 자체 회전 방지 기구를 형성한다. 마찰 요소(26b)는 마찰 라이닝(2) 쪽을 향해 클러치 커버(13)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 베어링(26)의 코일 캐리어(26a) 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다.
외부 베어링(26)은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 쪽을 향해 디스크로서 형성된 그 섹션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하우징(24)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외부 베어링(26)은 브레이크 하우징(24)에서 조정 샤프트(4)의 베어링 장치를 형성한다.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 쪽을 향한, 디스크로서 형성된 외부 베어링(26)의 섹션의 면은 조정 샤프트(4) 상의 축 방향 스토퍼(20)의 옆에서 조정 샤프트(4) 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 마찰 디스크(27)와 접촉한다. 마찰 디스크(27)와 외부 베어링(26)은 제2 자체 회전 방지 기구를 형성한다. 그러한 제1 및 제2 자체 회전 방지 기구들은 예컨대 약 2.4 Nm의 토크 저항을 형성한다. 물론, 구조 조건에 따라 다른 값들도 가능하다.
도 3에는, 토크 전달 부재로서 전동 휠(7)을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조정 샤프트의 다른 전동 휠과 연결하는 체인(25)이 도시되어 있다. 체인(25)은 도시를 생략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하우징(24)과 연결되는 덮개(24a)에 의해 차폐된다. 그러한 덮개(24a) 상에는,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의 영역에 접속 장치(28)가 배치된다.
접속 장치(28)는 연결 요소(19), 회로 기판(29), 플러그인 커넥터(31), 및 라이닝 마모 센서(8)를 포함한다. 연결 케이블들(18)(도 1 및 도 2를 참조)은 회로 기판(29)의 스트립 도체들로서 형성되고, 한편으로 플러그인 커넥터(31) 및 마모 센서 요소(8a)를 연결 요소(19)와 연결한다.
연결 요소(19)는 예컨대 라이트 앵글 플러그로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31)는 회로 기판(29) 상에 장착된 커넥터(32)와 도체 요소들(34) 사이의 플러그인 가능한 연결을 이룬다. 여기서, 도체 요소들(34)은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에 유연하게 수납된 소켓(33)에 고정된다. 도체 요소들(34)의 단부들은 브레이크 라이닝(2) 쪽을 향한 접속 단부들(34a)을 구비하고, 그 접속 단부들(34a)에는 케이블(17)로서의 전자기 코일(16)의 접속 와이어들이 접속된다. 여기서, 도체 요소들(34)의 타 단부들은 브레이크 라이닝(2) 쪽을 향한 회로 기판(29)의 측면에서 커넥터(32)에 꽂혀진다. 도체 요소들(34)은 예컨대 격리된 강성의 개별 금속 와이어들로서 자기 지지적으로 체인(25)과 수직으로 그를 통해 연장되어 배치된다. 그러나 도체 요소들(34)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된 절연체 내에 매설되거나 절연 재료로 그 둘레가 몰딩될 수도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31)는 소켓(33)이 접속 장치(28) 쪽을 향해 커넥터(32)를 갖되, 도체 요소들(34)이 회로 기판(29)에 도전적으로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브레이크 라이닝(2) 쪽을 향한 회로 기판(29)의 측면에는,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의 단부면의 맞은편에 마모 센서 요소(8a), 예컨대 홀 센서 요소가 배치되는데, 그 마모 센서 요소(8a)는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에 위치한 앵글 센서로서의 마모 검출 요소(8b), 예컨대 영구 자석과 연동한다. 마모 센서 요소(8a)도 또한 연결 요소(19)의 접속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예컨대 플러그가 전자기 코일(16)에 대한 전기 출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이닝 마모 센서(8)의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마모 센서 요소(8a)는 마모 검출 요소(8b)의 각위치에 의존하여 그 각위치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전기 신호는 부속된 분석 회로에서 분석되어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닝들(2)의 마모 및 또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모에 대한 척도로서 후속 사용된다. 그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속 장치(28)는 하우징(30)에 배치되어 외부 영향(먼지 및 습기의 침투, IP 보호 등급(IP protection class) 및 접근에 대해 보호된다. 하우징(30)은 모듈러 방식으로 체인(25)의 덮개(24a) 상에 끼워지고, 예컨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나사들에 의해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그러나 생각해 볼 수 있는 다른 구성에서는, 접속 장치(28)가 예컨대 외부 베어링(26)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변형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2개의 마찰면들의 사용, 즉 마찰면(26b)을 내부 벽 섹션(13c)과 함께 제1 자체 회전 방지 기구로서 사용하고 마찰면(27)을 외부 베어링(26)과 함께 제2 자체 회전 방지 기구로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한 최대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오물들로 인한 자체 회전 방지 기구의 고장에 대비한 전체적인 신뢰성도 향상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변형은 도 3에 따른 제2 실시예와 대비하여 램프 톱니(36)를 포함하는데, 그 램프 톱니(36)가 상세도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램프 톱니(36)는 조정 스핀들(3)의 단부면에 클러치 장치(10) 쪽을 향해 있는 톱니 및 그에 대응하는 톱니를 갖는 회전 제한 요소(35)를 포함한다. 회전 제한 요소(35)는 브레이크 하우징(24)에 적어도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클러치 장치(10)와 조정 스핀들(3)의 단부면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회전 제한 요소(25)는 클러치 커버(13)의 연결 섹션(13b)이 그를 통과하여 자유롭게 연장되는 구멍을 구비한다.
그러한 램프 톱니(36)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를 완전히 리셋하는 경우에 스핀들 나사가 스토퍼에 단단히 조여질 위험이 존재함이 없이 회전 제한이 달성될 수 있다.
도 5가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의 제3 실시예에서, 그 구조는 제2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클러치 섹션(14)은 기호로만 도시되어 있다. 앞의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자기 코일(16)의 접속을 위한 플러그인 커넥터(31)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도면에서 찾아볼 수는 없다.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는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부가의 조작 레버 센서(37)를 포함한다.
조작 레버 센서(37)는 조작 센서 요소(37a), 조작 검출 요소(37b), 및 캐리어 샤프트(38)를 포함한다. 조작 센서 요소(37a)는 마모 센서 요소(8a)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홀 센서일 수 있고, 브레이크 라이닝(2) 쪽을 향한 접속 장치(28)의 회로 기판(29)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때, 조작 레버 센서(37)는 라이닝 마모 센서(8)와 같이 구성되는데, 조작 센서 요소(37a)가 앵글 센서로서의 조작 검출 요소(37b)와 연동한다. 조작 검출 요소(37b)는 역시 예컨대 캐리어 샤프트(38)의 두꺼운 단부에 있는 캐리어 섹션(38a)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이다. 그 캐리어 섹션(38a)에 연이어 브레이크 라이닝(2) 쪽으로 연장되는 캐리어 샤프트(38)의 섹션은 캐리어 섹션(38a)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의 가장자리 섹션에서 베어링(39), 예컨대 황동 또는 플라스틱 부싱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캐리어 샤프트(38)는 회전 구동 요소(11)의 플랜지 섹션(11a)까지 조정 샤프트(4)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대안적 구성에서는, 캐리어 샤프트(38)의 축 회전점이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베어링의 축 회전점과 교차한다. 그것은 베벨 기어의 최적의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즉, 베벨 기어의 마모가 거의 없다. 플랜지 섹션(11a)은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8) 쪽을 향하고, 톱니 세그먼트(40)를 구비하고 그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톱니 세그먼트(40)는 캐리어 샤프트(38)의 캐리어 톱니(38b)와 맞물린다. 캐리어 톱니(38b)는 플랜지 섹션(11a)의 위에 배치된 캐리어 샤프트(38)의 단부에 형성된다.
브레이크 조작 레버(9)가 선회하면, 회전 구동 요소(11)도 또한 톱니 세그먼트(40)와 함께 선회한다. 이때, 톱니 세그먼트(40)와 캐리어 톱니(38)의 맞물린 톱니들에 의해 캐리어 샤프트(38)가 선회하고, 그와 동시에 조작 레버 센서(37)의 조작 검출 요소(37b)가 선회한다. 그와 같이 하여,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선회 이동이 조작 레버 센서(27)에 의해 검출되고, 전기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신호로서 회로 기판(29)을 통해 연결 요소(19)에 전달되어 후속 사용되는데, 후속 사용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연결 요소(19)는 전자기 코일(16)의 전기 출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이닝 마모 센서(8) 및 조작 레버 센서(37)의 전기 신호들을 전달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접속 장치(28)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라이닝 마모 센서(8), 플러그인 커넥터(31), 및 조작 레버 센서(37)를 탑재하고 있다.
클러치 섹션(14)은 여기서는 톱니 클러치로서 형성된다. 클러치 섹션(14)의 톱니는 회전 구동요소(11) 상에 배치된다. 그와 대응하는 톱니는 클러치 커버(13)의 클러치 영역(13a)에 형성되거나 부착된다. 클러치 커버(13)는 앞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조정 샤프트(4)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데, 반지름 방향의 벽 섹션(13c)은 조정 샤프트(4)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과부하 클러치(41)의 일 구성 요소를 형성한다.
과부하 클러치(41)는 여기서는 볼들(42)과 디스크형 커플링 요소(43)를 갖는 소위 볼 램프 클러치로서 형성된다. 브레이크 라이닝(2) 쪽을 향한 커플링 요소(43)의 측면이 볼들(42)을 통해 클러치 커버(13)의 벽 섹션(13c)과 연동하여 작용한다.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 쪽을 향한 커플링 요소(43)의 측면은 마찰 요소(26b)와 함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의 제1 자체 회전 방지 기구를 형성한다. 커플링 요소(43)는 플랜지에 의해 축 방향 스토퍼(21) 상에서 조정 샤프트(4)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과부하 클러치(41)는 축 방향으로 인장 스프링(5a)에 의해 출력 휠(5)과 벽 섹션(13c) 사이에 클램핑된다. 또한, 클러치 커버(13)의 원통형 외면 상에는 회전 구동 요소(11)와 클러치 커버(13)의 외면 상에 형성된 스토퍼 사이에 해제 스프링(13d)이 배치되는데, 그 해제 스프링(13d)은 조정 샤프트(4)의 축 방향으로 클러치 섹션(14)을 밀쳐 떼어내려고, 즉 클러치 장치(10)를 클러치를 넣지 않은 해제 위치로 옮기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제4 실시예에서는, 전자기 코일(16)이 앞의 실시예들에서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전자기 코일(16)이 클러치 섹션(14)의 클러치 연결, 즉 톱니들의 상호 맞물림을 위한 전자기력만 인가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한 클러치 연결 시에는, 마찰 라이닝들이 토크의 전달을 위해 일정한 수직력으로 서로 눌러질 필요가 없다. 토크는 맞물린 톱니들에 의해 전달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변형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조작 레버 센서(37)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쉽게 연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변형에서는, 외부 베어링(26)이 종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코일 캐리어(26a)가 활 모양으로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로 이행한다. 외부 베어링(26)의 가장자리 영역에 플러그인 커넥터(31)의 소켓(33)이 수납된다. 소켓(33)은 외부 베어링(26)에 고정될 수 있는데, 다만 소켓(33)이 이동 불가능하게 하우징(24)과 연결될 수 있다. 소켓(33)은 그 고정부와 접속 단부들(34a) 사이에 탄성이 있게, 즉 휘어질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단부들(34a)은 여기서는 외부 베어링(26)과 전자기 코일(16)과 회전 구동 요소(11)의 플랜지 섹션(11a)이 유지되는 리테이닝 링(26b) 사이의 영역에서 전자기 코일(16)의 직전까지 연장된다. 접속 단부들(34a) 및 리테이닝 링(26g)이 위치하는 영역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몰딩될 수 있다. 전자기 코일(16)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대해, 자기력선들의 진로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러한 자기력선들의 진로는 외부 베어링(26)의 구성 및 코일 캐리어(26a)로의 이행부의 구성에 의해 조정 샤프트(4)를 통과하지 않거나 매우 적은 정도로만 통과하도록 안내된다. 즉, 전자기 코일(16)의 표류 자기장 더 좁아지고, 그럼으로써 클러치 장치(10)를 넣기 위한 힘의 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 해제 스프링(13d)의 스토퍼는 여기서는 클러치 커버(13)의 벽 섹션(13c)의 반지름 방향 연장부에 형성된다. 커플링 요소(43)는 그 커플링 요소(43)를 조정 샤프트(4) 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하는 커플링 요소 플랜지(43a)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7) 대신에, 축 방향 고정부(26c)에서 외부 베어링(26)과 함께 제2 자체 회전 방지 기구를 형성하는 회전 방지 요소(45)가 마련된다. 제1 자체 회전 방지 기구는 브레이크 라이닝(2) 쪽을 향한 고정된 코일 캐리어(26a)의 단부면의 섹션과 커플링 요소 플랜지(43a)에 의해 형성된다.
외부 베어링(26)은 조정 샤프트(4)의 짐벌 또는 짐벌 베어링(26e)을 구비한다. 그것이 도 8에 확대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모 센서 요소(8a)를 지지하는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가 짐벌 베어링(26e)에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그 단부에서의 조정 샤프트(4)의 텐션이 회피되어 라이닝 마모 조정의 정확성이 증대된다. 외부 베어링(26)은 반지름 방향 고정부들(26c) 및 축 방향 고정부들(26d)에 의해 브레이크 하우징(24)에 장착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6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들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의 변형들은 모두 전술한 톱니 클러치 섹션(14)을 포함한다. 조작 레버 센서(37)가 도시되어있지는 않지만, 쉽게 연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변형들에서 존재한다.
도 9에 도시된 변형에서는, 도 7에 따른 변형과는 달리, 외부 베어링(26)에 쇼울더(shoulder)들이 형성된다. 코일 캐리어(26a)는 전자기 코일(16)과 조정 샤프트(4) 사이에서 그들과 평행하게 관 형태의 섹션으로서 연장되고,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 쪽을 향한 측에서 반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플랜지 섹션(11a)의 아래까지 대략 90°로 휘어진다. 따라서 전자기 코일(16)은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 쪽을 향한 측에서도 코일 캐리어(26a)에 의해 유지된다. 그럼으로써, 자기력선들의 진로가 개선된다. 코일 캐리어(26a)를 포함한 외부 베어링(26)은 예컨대 자기력선(44)을 유도하는데 적합한 금속 재료, 예컨대 철로 제조된다.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외부 베어링(26)은 플랜지 섹션(11a)의 아래에서 다시 조정 샤프트(4)와 평행하게 진행되어 쇼울더의 형태를 형성하는데, 그러한 쇼울더는 플랜지 섹션(11a)에 대해 반지름 방향의 서포트를 형성하여 회전 구동 요소(11)가 그 서포트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어서, 그 쇼울더는 다시 또 다른 쇼울더로, 그리고 나서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로 이행한다. 플러그인 커넥터(31)의 홀더는 여기서도 역시 외부 베어링(26)의 가장자리 영역에 수납된다. 접속 단부들(34a)은 여기서는 반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진행되는 코일 캐리어(26a)의 섹션의 앞까지 연장된다. 그러나 도시를 생략한 변형에서는, 접속 단부들(34a)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형성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외부 베어링(26)은 도 10에 도시된 제4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2개의 구성 요소들로 이뤄진다.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는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별개의 부품이다. 그러한 부품은 조정 샤프트(4)의 텐션 및 변위를 보상하기 위해 플러그인 커넥터(31)의 영역에서 탄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는 조정 샤프트(4)의 축 방향으로 중앙 영역에서 그 둘레를 둘러 브레이크 하우징에의 고정 영역들에서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그러한 중앙 영역에는, 코일 캐리어(26a)의 원통형 섹션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코일 캐리어(26a)는 외부 베어링(26)과 전자기 코일(16) 사이에서 반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디스크 섹션(26f)을 구비하고, 그 디스크 섹션(26f)은 그 바깥쪽 둘레에서 확장된다. 그러한 확장부는 회전 구동 요소(11)의 플랜지 섹션(11a)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브레이크 라이닝(2) 쪽을 향한 클러치 장치(10)의 클러치 커버(13)의 측면은 반지름 방향의 안쪽 및 반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한 에지 섹션을 구비한다. 클러치 커버(13)의 반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한 에지 섹션은 해제 스프링(13d)에 대한 카운터 베어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반지름 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한 섹션과 코일 캐리어(26a) 상에 고정된 전자기 코일(16) 사이에는 커플링 요소(43)가 배치된다. 클러치 커버(13)의 반지름 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한 에지 섹션과 접촉하는 커플링 요소(43)의 에지 섹션은 클러치 커버(13)의 그 에지 섹션과 함께 톱니에 의한 과부하 슬립핑 클러치(예컨대, > 10 Nm)의 형태의 과부하 클러치(41)로서 제1 자체 회전 방지 기구를 형성한다. 그러한 과부하 슬립핑 클러치는 클러치 커버(13)의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슬리브 형태의 스토퍼 제한 요소(46)를 사용하여 압력 섹션(46a)에 의해 결속되고, 인장 스프링(5a)에 의해 조정 샤프트(6)의 전동 단부(6) 쪽으로 축 방향 힘을 인가받는다.
도 11은 종 모양의 외부 베어링(26), 전자기 코일(16)에 밀접하게 배치된 플러그인 커넥터(31)의 접속 단부들(34a), 및 유지 링(26g)(도 7을 참조)을 포함하는 제4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볼들(42)과 커플링 요소(43)를 갖는 과부하 클러치(41)가 제1 자체 회전 방지 기구로서 추가로 마찰 요소(26b)와 조합된다.
본 변형에서는, 조작 레버 센서(37)의 캐리어 샤프트(38)의 구동부에 톱니 세그먼트(40)를 위한 톱니 세그먼트 홀더(40a)가 형성된다. 이때, 톱니 세그먼트 홀더(40a)는 브레이크 조작 레버(9)에 직접 장착되는데, 그 이유는 회전 구동 요소(11)가 클러치 커버(13)의 높이에서 유지 링(26g) 상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때, 톱니 세그먼트(40)는 조정 샤프트(4)의 반대쪽을 향한 캐리어 샤프트(38)의 측에서 캐리어 톱니(38b)와 맞물린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의 제5 실시예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앞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외부 베어링(26)은 제5 실시예에서는 2개의 구성 요소들로 이뤄진다.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는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별개의 부품이다. 코일 캐리어(26a)는 전자기 코일(16)을 지지한다. 코일 캐리어(26a)는 외부 베어링(26) 쪽을 향해 디스크 섹션(26f)을 구비하는데, 그 디스크 섹션(26f)은 중앙 영역에 볼 형태의 수납부를 갖고, 그 볼 형태의 수납부는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의 대응하는 볼 형태의 돌출부와 합치하여 그 볼 형태의 돌출부를 수납하고, 그를 통해 외부 베어링과 연동한다. 또한, 외부 베어링(26)은 전자기 코일(160의 코일 접속 와이어들의 케이블(17)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작동 중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의 각도 방향 이동이 보사오딜 수 있다. 케이블(17)은 플러그인 커넥터(31)로의 출력(접속 단부들(34a))에서만 전자기 코일(16)의 코일 몸체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17)이 구부러지면서 각도 방향 이동(약 ±0.5°)을 보상할 수 있다.
회전 구동 요소(11)는 디스크 섹션(26f)의 계단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 쪽으로는 회전 구동 요소(11)가 예컨대 샤프트 고정 장치에 의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즉, 회전 구동 요소(11)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다. 그 반대 방향으로는, 즉 클러치 커버(13) 쪽으로는 회전 구동 요소(11)가 클러치 요소(48)와 회전 불가능하게 커플링되는데, 그 클러치 요소(48)는 클러치 장치(10)의 클러치 커버(13)의 높이에 놓이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클러치 요소(48)와 클러치 영역(13a)으로 형성되는 클러치 섹션(14)은 경사각을 갖는 톱니 클러치로서 형성된다. 도 12의 우측 상부에 있는 확대된 부분 도면에 톱니가 도시되어 있다. 클러치 요소(48)는 브레이크 라이닝(2) 쪽을 향한 측에서 클러치 섹션(14)의 클러치 톱니 이빨들을 구비한다. 그러한 클러치 톱니 이빨들은 클러치 커버(13)의 클러치 영역(13a)의 대응하는 클러치 톱니 이빨들과 연동한다. 클러치 요소(48)의 클러치 톱니 이빨들의 반대 측에서는, 클러치 요소(48)의 연장부들이 회전 구동 요소(11)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또한, 클러치 요소(48)의 그러한 연장부들의 단부들은 조정 샤프트(4)의 전동 단부(6) 쪽을 향한 측에서 리턴 스프링(49), 예컨대 환형의 스프링 탄성 판금 링과 접촉한다. 리턴 스프링(49)은 클러치 장치(10)를 도 12에 도시된 해제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제 위치에서는, 클러치 섹션(14)의 클러치 톱니 이빨들이 맞물리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전자기 코일(16)에 전압이 인가되면, 클러치 요소(48)가 축 방향으로 브레이크 라이닝(2) 쪽으로 이동하여(이중 화살표) 클러치 요소(48)의 클러치 톱니 이빨들이 클러치 커버(13)의 클러치 톱니 이빨들과 맞물린다. 회전 불가능한 연결(클러치 요소(48)의 연장부들)에 의해, 클러치 요소(48)가 여전히 회전 구동 요소(11)와도 맞물려 있고, 그리하여 회전 구동 요소(11)의 선회 이동이 클러치 커버(13)에, 그에 따라 조정 샤프트(4)에 전달될 수 있다.
톱니 클러치로서 형성된 클러치 섹션(14)의 클러치 톱니 이빨들의 경사각은 과부하의 경우에 클러치 섹션(14)의 클러치 톱니 이빨들이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그러한 경사각은 예컨대 2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클러치 톱니 이빨들의 이뿌리면(tooth flank)들이 톱니 이빨들의 이끝면(tooth crest)들로 이행하는 것은 부드러운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둥글게 될 수 있다.
전자기 코일(16)의 자기장 강도를 예컨대 PWM 트리거링(PWM: 펄스 폭 변조)에 의해 매칭함으로써, 과부하점을 바꿀 수 있다. 또한, PWM 트리거링에 의해 조정 스핀들(3)의 마찰력을 포함한 정지 마찰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으로써, 보정된 PWM 트리거링에 의해 과부하 토크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스토퍼 제한 요소(46)는 클러치 장치(10)의 컵 형태의 덮개로서 형성되고,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영역에서 리세스를 구비한다. 제1 자체 회전 방지 기구에 대한 추가의 마찰면, 예컨대 마찰 디스크에 의한 추가의 마찰면은 클러치 커버(13), 즉 여기서는 폐쇄된 벽 섹션(13c)의 가장자리 영역과 연동하는 압력 섹션(46a)을 구현한다. 스토퍼 제한 요소(46)는 조정 스핀들(3) 쪽으로 압력 디스크(47)와 커플링되는데, 압력 디스크(47)는 다시 인장 스프링(5a)과 연동하고, 단부 측에서 조정 스핀들(3)을 덮는다.
경사져 도입되는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조작력이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베어링과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사이의 축 높이 오프셋에 의거하여 간섭을 받는 영향을 피하기 위해, 회전 구동 요소(11)는 수직 톱니에 의해 회전하게 중간 요소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여, 과부하에 대한 토크가 더욱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3에는 도 12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변형이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도 11과 관련하여 전술한 조작 레버 센서(37)가 마련된다. 조작 레버 센서(37)의 캐리어 샤프트(38)의 작동 또는 구동은 톱니 세그먼트 홀더(40a)에 배치된 톱니 세그먼트(40)를 통해 구성된다. 톱니 세그먼트(40a)는 예컨대 판금으로 이뤄진 프레스 벤딩 부품일 수 있다. 이때, 톱니 세그먼트(40a)는 축 방향 유격 보상을 위해 일정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톱니 세그먼트(40a)는 경사져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각도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4는 도 3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개략적인 블록도로 도시하고 있다.
접속 장치(28)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배치되고, 5핀 커넥터의 형태의 연결 요소(19)를 포함한다. 라이닝 마모 센서(8)가 마모 센서 요소(8a), 예컨대 홀 센서 및 마모 검출 요소(8b), 예컨대 N극(N)과 S극(S)을 갖는 영구 자석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마모 센서 요소(8a)는 연결 요소(19)의 접속 단자들 LWS A+(공급 전압 4.3...7V, 최대 ±16VDC), LWS A Signal(신호 출력), 및 LWS A Gnd(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클러치 장치(10)의 전자기 코일(16)은 플러그인 커넥터(31)를 통해 연결 요소(19)의 접속 단자들 LWC A+(공급 전압) 및 LWC A Gnd(접지)에 접속된다.
연결 요소(19)는 멀티코어 케이블을 통해 제어부(50)의 연결 요소(19a)와 연결된다. 제어부(50)는 공급 전압, 예컨대 5V 및 마모 센서 요소(8a)에 대한 접지 단자 그리고 클러치 장치(10)의 전자기 코일(16)에 대한 공급 전압 +UB(접지 단자와 함께)를 제공한다. 제어부(50)는 마모 센서 요소(8a)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51),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장치(51)는 클러치 스위치(52)의 제어에 제공된다. 클러치 스위치(52)는 전자기 코일(16)을 공급 전압 +UB와 연결함으로써 전자기 코일(16)을 스위칭 온 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치 스위치(52)는 예컨대 릴레이 및/또는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
라이닝 마모 센서(8)는 설명한 앵글 센서를 사용하여 조정 샤프트(4)의 다수의 회전을 통해 마모 거리를 파악한다. 마모센서 요소(8a)는 파악된 거리 및/또는 파악된 각도를 아날로그 신호로서 및/또는 예컨대 12 비트의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신호, 예를 들어 PWM 신호로서 출력한다. 그러한 신호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가 후속 분석될 수 있는 전기 신호 또는 전기적인 값으로서 존재하도록 제어 장치(51)에 의해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처리된다. 제어부(50)는 예컨대 소위 압력 제어 모듈 및/또는 브레이크 제어기일 수 있다.
그와 같이 파악된 라이닝 마모는 이어서 전기 신호 또는 대응하는 저장된 디지털 값으로서 조정을 수행하여야 할 마모 한계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 가능한 값과 비교된다. 그러한 미리 설정 가능한 값에 도달하였으면, 다음번 브레이크 작동 시에, 즉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조작 이동 시에 제어 장치(51)에 의해 클러치 스위치(52)를 사용하여 전자기 코일(16)을 스위칭 온 하고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복귀 이동 시에 다시 스위칭 오프 함으로써 클러치 장치(10)를 활성화한다. 그를 위해, 제어 장치(51)는 브레이크 제어기로부터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 신호를 수신한다.
도 15는 라이닝 마모 센서로서의 전위차계(예컨대, 도 1을 참조)를 각각 갖는 2개의 디스크 브레이크들(A, B)에 대한 압력 제어 모듈에서의 통상의 커넥터 핀 배치(connector pin arrangement)를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전체의 커넥터는 14핀의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3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연결 요소(19)의 상이한 커넥터 핀 배치들을 개략적인 도면으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서는, 추가의 6핀 커넥터가 필요한데, 그것은 각각의 클러치 장치(10)의 전자기 코일(16)에 대한 접속 단자들 LWC A 및 LWC B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를 위해, 공통의 접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라이닝 마모 센서에 대한 종래의 접속 단자들 LWS A 및 LWS B가 계속 사용될 수 있다. 전체의 커넥터는 20핀의 것이다.
도 17은 혼합된 할당을 갖는 3개의 6핀 커넥터들을 사용하는 연결 요소(19)의 변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소위 독립형 버전의 형태의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을 개략적인 블록도로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일점쇄선의 박스에 의해 표시된)에는 제어 장치(51),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가 접속 장치(28) 내에 있는데, 그 제어 장치(51)는 회로 기판(29) 상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29) 상에는 라이닝 마모 센서 요소(8a), 조작 센서 요소(37a), 및 클러치 스위치(52)도 또한 부착되어 제어 장치(51)와 연결된다. 또한, 영구 자석들로서의 검출 요소들(8, 37)이 작용 화살표들과 함께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클러치 장치(10)의 전자기 코일(16)은 케이블(17)을 통해 플러그인 커넥터(31)에 접속된다. 커넥터 요소(19)는 5핀의 것이다. 커넥터 요소(19)는 5V 전압 공급, 센서들의 접지, 센서들의 신호 출력, 전자기 코일(16)의 UB 전압 공급(예컨대, 24V) 및 그 접지를 위한 접속 단자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UB 전압 공급으로부터 제어된 5V 전압을 제공하는 추가의 전압 제어기(53)가 배치된다.
그러한 구성은 전술한 전위차계를 에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되고, 이전 버전과 완전히 호환될 수 있다(backwards compatible). 그러한 구성은 독립형 버전으로서 그리고 압력 제어 모듈(DRM)의 자동 인식 및 상응하는 디지털 출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5와 같이 압력 제어 모듈의 통상의 커넥터 핀 배치를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혼합된 할당을 갖는 3개의 6핀 커넥터들을 사용하는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의 연결 요소(19)의 커넥터 핀 배치를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전체의 커넥터는 16핀의 것이다.
도 21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을 또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로 도시하고 있다. 본 구성에서는, 분석 회로, 즉 제어 장치(51)가 압력 제어 모듈의 구성 요소인 소위 통합 솔루션이 형성되어 도시되어 있다(도 14를 또한 참조). 따라서 접속 장치(28)의 회로 기판(29) 상에 있는 제어 장치(51)가 필요하지 않다. 회로 기판(29)은 연결 요소(19), 플러그인 커넥터(31), 라이닝 마모 센서 요소(8a), 및 조작 센서 요소(37a)를 탑재한다. 연결 요소(19)의 접속 단자 배치는 공통의 접지, 5V 및 전자기 코일(16)에 대한 UB 전압 공급, 라이닝 마모 센서(8)의 앵글 센서 신호로서의 신호 출력 LWS, 및 조작 레버 센서(37)의 앵글 센서 신호로서의 신호 출력 ZSH를 포함한다.
도 22는 도 15 및 도 19와 같이 14핀을 갖는 통상의 커넥터 핀 배치를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16핀 커넥터를 갖는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의 또 다른 커넥터 핀 배치를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4에는,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이 또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의 기초는 도 18에 따른 구조이다. 그에 추가하여, 접속 장치에 있는 회로 기판(29)이 디스크 브레이크에 부속된 휠의 회전 속도 센서(55)의 회전 속도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부(54)를 포함한다. 회전 속도 센서(55)의 케이블은 적절하게, 예컨대 커넥터에 의해 회로 기판(29)에 접속된다. 그러면 전자기 간섭에 민감하지 않은 디지털 신호(또는 아날로그 신호도 가능)가 생성되도록 회전 속도 신호가 신호 처리부(54)에 의해 처리되고, 생성된 신호는 연결 요소(19)에 의해 공통의 케이블의 다른 접속 단자들과의 접속 단자 NC를 통해 제어기 또는 압력 제어 모듈로 보내진다. 그럼으로써, 회전 속도 센서(55)를 제어기 또는 압력 제어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및 상응하는 길이의 케이블이 생략된다. 연결 요소(19)의 접속 단자 NC에 있는 신호 처리부(54)의 출력은 선택적으로 제어 장치(51)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하여, 제어 장치(51)가 휠의 회전 이동 및 그에 따른 해당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그것은 예컨대 센서들(8, 37)의 신호들을 분석할 때에 추가의 휠 조건으로서 여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라이닝 마모 센서(8)를 갖고 예컨대 조작 레버 센서(37)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감지 장치를 갖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에 의해(예컨대, 도 5를 참조), 독립형 버전에서 조정 스핀들(4)의 정지 마찰을 통해 마찰점, 즉 브레이크 라이닝(2)이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것은 예컨대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조작 이동의 감지 시에 라이닝 마모 센서(8)에 의해 조정이 검출되지 않는 것에 의해, 즉 조정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조정은 미리 설정 가능한 기준치의 도달 후에 라이닝 마모가 검출되면 브레이크 조작 레버(9)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의 시작 직전에 클러치 장치(10)의 전자기 코일(16)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된다. 물론, 브레이크 조작의 시간에 따른 진행 중에 클러치 장치(10)를 넣고 빼는 것도 언제든지 가능하다.
액티브 압력 제어 모듈과 함께 통합된 버전에서는, 설정 압력의 도달 시에 브레이크 압력 및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이동을 측정함으로써 마찰점이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기준 특성 곡선에 대해 있을 수 있는 측정된 특성 곡선의 변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작동이 없음에도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하여 갈리는 경우,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복귀 이동을 통해 클러치 장치(10)의 전자기 코일(16)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를 리셋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를 위해, 예컨대 브레이크 라이닝(2) 또는 그 캐리어의 부근의 적절한 지점에 온도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는데, 디스크 브레이크를 작동하지 않았을 때의 그 온도 센서들의 온도 값들을 저장된 온도 값들과 비교한다. 이때, 지나치게 높은 온도가 나타나면, 그것은 브레이크 라이닝(2)이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하여 갈리는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회전 구동 레버(11)는 조정 과정 또는 리셋 과정에서만, 즉 전자기 코일에 전압이 인가될 때에만 토크의 전달에 의해 부하를 받기 때문에, 전자기 코일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회전 구동 레버가 선회하기는 하지만, 조정 과정과는 달리 무시할 만큼 작은 에너지만이 선회를 하는데 필요하다. 그것은 예컨대 공압 브레이크의 압축 공기 공급을 위한 에너지가 선행 기술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 구동 레버(11)는 예컨대 프레스 벤딩 부품일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의 5V 전압 공급의 결손 시에, 클러치 스위치(52)를 각각의 제동 과정 중에 예컨대 그 트리거의 OR 연산에 의해 켤 수 있고, 그에 따라 조정이 계속 보장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물론,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선회 이동의 감지를 전술한 방식과는 다르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기 코일(16)이 2개 이상의 코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4에 따른 구성에서, 도 18에 따른 기본 구조 대신에 도 14 또는 도 21에 따른 통합형 버전의 기본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접속 장치(28)는 브레이크에 있는 중앙 접속 장치로서 예컨대 주차 브레이크에 대한 접속 가능성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브레이크에 대한 중앙 집중식 케이블 안내 및 부설이 가능하다.
1: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 2: 브레이크 라이닝
3: 조정 스핀들 4: 조정 샤프트
5: 출력 휠 5a: 인장 스프링
6: 전동 단부 7: 전동 휠
8: 라이닝 마모 센서 8a: 마모 센서 요소
8b: 마모 검출 요소 9: 브레이크 조작 레버
10: 클러치 장치 11: 회전 구동 요소
11a: 플랜지 섹션 12: 톱니 연동부
13: 클러치 커버 13a: 클러치 영역
13b: 연결 섹션 13c: 벽 섹션
13d: 해제 스프링 14: 클러치 섹션
15: 클러치 유격 16: 전자기 코일
17: 케이블 18: 연결 케이블
19, 19a: 연결 요소 20, 21: 축 방향 스토퍼
22, 23: 마찰 라이닝 24: 브레이크 하우징
24a: 덮개 25: 체인
26: 외부 베어링 26a: 코일 캐리어
26b: 마찰 요소 26c: 축 방향 고정부
26d: 반지름 방향 고정부 26e: 짐벌 베어링
26f: 디스크 섹션 26g: 유지 링
27: 마찰 플레이트 28: 접속 장치
29: 회로 기판 30: 하우징
31: 플러그인 커넥터 32: 커넥터
33: 소켓 34: 도체 요소
34a: 접속 단부 35: 회전 제한 요소
36: 램프 톱니 37: 조작 레버 센서
37a: 조작 센서 요소 37b: 조작 검출 요소
38: 캐리어 샤프트 38a: 캐리어 섹션
38b: 캐리어 톱니 39: 베어링
40: 톱니 세그먼트 40a: 톱니 세그먼트 홀더
41: 과부하 클러치 42: 볼
43: 커플링 요소 43a: 커플링 요소 플랜지
44: 자기력선 45: 회전 방지 요소
46: 스토퍼 제한 요소 46a: 마찰 섹션
47: 압력 디스크 48: 클러치 요소
49: 리턴 스프링 50: 제어부
51: 제어 장치 52: 클러치 스위치
53: 전압 제어기 54: 신호 처리부
55: 회전 속도 센서 N, S: 영구 자석 극

Claims (31)

  1. 브레이크 조작 레버(9)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브레이크 액추에이터가 디스크 브레이크의 조정 스핀들(3)에 삽입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로서,
    a) 외부 베어링(26)을 갖는 조정 샤프트(4);
    b) 회전 구동 요소(11); 및
    c) 회전 구동 요소를 조정 샤프트(4)와 스위칭 가능하게 커플링하는 클러치 장치(10)를 포함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에 있어서,
    d) 클러치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 코일(16)과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 장치(10)는 회전 구동 요소(11)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 또는 회전 구동 요소(11)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섹션 또는 상기한 두 섹션 모두, 클러치 커버(13),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코일(16), 및 코일 캐리어(26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 요소(11)는 클러치 장치(10)의 입력 측에서 조정 스핀들(4)과 클러치 장치(10)의 공통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그리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4. 제2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 요소(11)는 클러치 장치(10)의 입력 측에서 조정 스핀들(4)과 클러치 장치(10)의 공통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그리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클러치 요소(48)와 회전 불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코일 캐리어(26a)는 회전 구동 요소(11)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코일 캐리어(26a)는 조정 스핀들(4)의 외부 베어링(26)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코일 캐리어(26a)는 중앙 영역에 구형 쉘 수납부를 갖는 디스크 섹션(26f)을 포함하되, 구형 쉘 수납부는 조정 스핀들(4)의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의 구형 돌출부를 수납하고, 외부 베어링(26)의 디스크의 구형 돌출부와 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8.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치 커버(13)는 전자기 코일(16)을 컵 형태로 둘러싸고, 조정 샤프트(4)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구동 요소(11)의 일 섹션 또는 회전 구동 요소(11)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섹션과 함께 클러치 섹션(14)을 형성하는 클러치 영역(1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클러치 섹션(14)에 마찰 라이닝들(22, 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0. 제8항에 있어서, 클러치 섹션(14)은 톱니 클러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톱니 클러치로서 형성된 클러치 섹션(14)은 20°의 범위에 있는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치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스프링(13d) 또는 리턴 스프링(4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베어링(26)에 조정 샤프트(4)의 짐벌 베어링(26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 코일(16)과 전기 전도 접속되는 접속 장치(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5. 제14항에 있어서, 접속 장치(28)는 전자기 코일을 전기 전도 접속하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6. 제15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커넥터(31)는 탄성 소켓(33)에 의해 외부 베어링(26)을 통해 안내되어 그에 유지되는 도체(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7. 제14항에 있어서,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마모 센서(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8.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마모 센서(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속 장치(28)의 구성 요소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19.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마모 센서(8)는 앵글 센서로서 형성되되, 마모 센서 요소(8a)가 접속 장치(28)에 배치되고, 조정 샤프트(4)와 연결된 마모 검출 요소(8b)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20. 제19항에 있어서, 마모 검출 요소(8b)는 영구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21. 제14항에 있어서,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레버 센서(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 레버 센서(3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속 장치(28)의 구성 요소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23.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 레버 센서(37)는 앵글 센서로서 형성되되, 조작 센서 요소(37a)가 접속 장치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조작 레버(9)와 커플링된 조작 검출 요소(37b)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24. 제23항에 있어서, 조작 검출 요소(37b)는 영구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25. 제14항에 있어서, 접속 장치(28)는 제어 장치(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2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치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자체 회전 방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
  27. 브레이크 조작 레버(9)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스핀들(3)을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조정 장치(1)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 가능한 기준치의 도달 후에 라이닝 마모가 검출되면, 브레이크 조작 레버(9)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시에 클러치 장치(10)의 전자기 코일(16)에 전압을 인가하여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전자기 코일(16)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검출된 이동에 의존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조작 이동 및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의 조정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조정 스핀들(4)의 정지 마찰을 통해 마찰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라이닝(2)이 브레이크 작동이 없음에도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하여 갈리는 경우, 브레이크 조작 레버(9)의 복귀 이동 중에 전자기 코일(16)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를 미리 설정 가능한 값만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브레이크 조작 레버(9)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스핀들(4)을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47022972A 2012-02-10 2013-02-06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 KR101976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2731.1 2012-02-10
DE102012002731A DE102012002731A1 (de) 2012-02-10 2012-02-10 Belagverschleißnachstell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bremse
PCT/EP2013/052277 WO2013117562A2 (de) 2012-02-10 2013-02-06 Belagverschleissnachstell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brem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275A KR20140134275A (ko) 2014-11-21
KR101976235B1 true KR101976235B1 (ko) 2019-08-28

Family

ID=4771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972A KR101976235B1 (ko) 2012-02-10 2013-02-06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060490B2 (ko)
EP (1) EP2812597B1 (ko)
JP (1) JP6129877B2 (ko)
KR (1) KR101976235B1 (ko)
CN (1) CN104204599B (ko)
BR (1) BR112014019268A8 (ko)
DE (1) DE102012002731A1 (ko)
MX (1) MX351795B (ko)
RU (1) RU2609842C2 (ko)
WO (1) WO20131175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2474A1 (de) * 2012-06-22 2013-12-2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nanordnung mit elektrischer Belagverschleissnachstellvorrichtung und Drehzahlsensor
DE102012015377B3 (de) * 2012-08-03 2013-12-1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elektrischen Belagverschleissnachstell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bremsenanordnung, Scheibenbremsenanordnung und Scheibenbremse
DE102015202744B4 (de) * 2015-02-16 2017-08-24 Saf-Holland Gmbh Nachstelleinheit
DE102015112232A1 (de) * 2015-07-27 2017-02-0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Analyse des Verschleißverhaltens von Bremsbelägen
DE102015117252A1 (de) * 2015-10-09 2017-04-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Elektrische Verschleißnachstellvorrichtung einer Scheibenbremse, eine entsprechende Scheibenbremse und Verfahren zum Lüftspielmessen, -einstellen und Verschleißmessen
DE102015117249B4 (de) 2015-10-09 2017-07-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schleisssensor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bremsenanordnung
DE102015013240A1 (de) 2015-10-12 2017-04-13 Wabco Europe Bvba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CN105712281B (zh) * 2016-02-18 2017-08-04 国家纳米科学中心 一种锥形纳米碳材料功能化针尖及其制备方法
DE102016002645A1 (de) * 2016-03-04 2017-09-0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Elektromechanischer Aktuator zur Betätigung eines durch Reibungskraftschluss kraftübertragenden Systems
DE102016206389A1 (de) * 2016-04-15 2017-10-1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Raddrehzahlsensor und Befestigungssystem zur Montage eines Raddrehzahlsensors
CN108006116B (zh) * 2017-12-26 2023-12-05 隆中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调整臂的角度传感器
US10995804B2 (en) * 2018-04-26 2021-05-0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Actuator with rotating electromagnetic clutch utilizing inductive coupling
US11215252B2 (en) * 2019-03-29 2022-01-04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Wheel end brake pad wear sensor
DE102019206232A1 (de) * 2019-04-30 2020-11-05 Zf Friedrichshafen Ag Kupplungsbetätigungseinheit
EP3885597A1 (de) * 2020-03-25 2021-09-29 Flender GmbH Kupplung und verfahren zum berührungslosen erfassen von verschleiss an der kupplung
CN111927908B (zh) * 2020-07-20 2021-09-14 东风商用车有限公司 S凸轮鼓式制动器的自调臂失效时报警器
CN114396442B (zh) * 2022-01-06 2024-03-19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制动装置、动力总成以及设备
CN114321225B (zh) * 2022-01-06 2024-03-19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制动装置、动力总成以及设备
DE102022204782A1 (de) 2022-05-16 2023-11-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Identifizieren eines Schleifens einer Bremsvorrichtung zum Bremsen eines Rads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KR102639353B1 (ko) * 2023-07-12 2024-02-22 손성민 초소형 전기차용 주차 브레이크 캘리퍼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1894A1 (en) 2002-02-13 2005-11-03 Johann Baumgartner Disc brake with an electric motor driven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k brake
US20060201756A1 (en) 2003-09-25 2006-09-14 Lars Severinsson Disc brake
DE102008017225B4 (de) 2008-04-04 2017-04-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Notlösevorrichtung für elektromechanische Bremsen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2035A (en) * 1949-12-20 1954-10-19 Rabinow Jacob Self-adjusting clutch or brake
US3848704A (en) * 1973-11-19 1974-11-19 Wagner Electric Corp Parking brake and wear adjustment means
DE2747466C2 (de) * 1977-10-22 1983-11-03 Karl Ernst Brinkmann Industrieverwaltung, 4924 Barntrup Nachstelleinrichtung zur Veränderung des maximal möglichen Abstandes zwischen Magnetgehäuse und Ankerscheibe bei einer Elektromagnet-Bremse
US4270642A (en) * 1979-01-08 1981-06-02 Canadian Fram Limited Castellated spool for electromagnetic band clutch
US4718529A (en) * 1986-07-31 1988-01-12 Dana Corporation Friction face for a magnetic coupling
US4966255A (en) * 1988-11-16 1990-10-30 Reliance Electric Industrial Company Automatic wear compensator for electromagnetic brake
US5009292A (en) * 1989-05-19 1991-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positive arcuate orientation of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particularly for brake adjusted orientation of a drive member and a driven member in a disc brake assembly having parking brake mechanism
US4935713A (en) * 1989-06-12 1990-06-19 Ford Motor Company Field coil assembly for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clutch
GB9320369D0 (en) * 1993-10-02 1993-11-24 Lucas Ind Plc Brake wear sensor
US6206149B1 (en) * 1997-01-29 2001-03-27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Inc. Caliper disk brake for steel mill cranes
NL1006542C2 (nl) 1997-07-10 1999-01-12 Skf Ind Trading & Dev Remklauw met slijtagecompensatie.
DE19731696A1 (de) * 1997-07-23 1999-02-11 Knorr Bremse Systeme Verschleißnachstellvorrichtung für Scheibenbremsen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 Vorrichtung
US6250436B1 (en) * 1998-07-31 2001-06-26 Tokico Ltd. Motor-driven brake apparatus
DE19926432A1 (de) 1999-06-10 2000-12-14 Bosch Gmbh Robert Elektromechanische Radbrem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DE19957632B4 (de) 1999-11-30 2010-12-30 Volkswagen Ag Radbremsenanordn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 Radbremsmomentes
SE517117C2 (sv) * 1999-12-02 2002-04-16 Haldex Brake Prod Ab Skivbroms
DE10252301B4 (de) * 2002-02-13 2006-01-0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mit elekrisch angetriebener Nachstellvorrichtung
DE10214669B4 (de) * 2002-04-03 2014-01-23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r elektrisch betätigten Verschleißnachstelleinrichtung
DE10349303B3 (de) 2003-10-23 2005-05-2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JP5000893B2 (ja) * 2005-01-27 2012-08-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電動ブレーキ制御方法
GB0608956D0 (en) * 2006-05-05 2006-06-14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Disc brake wear aduster
CN201121672Y (zh) * 2007-08-16 2008-09-24 焦作制动器股份有限公司 带自动补偿和磨损显示的常闭液压盘式制动器
US8220594B2 (en) * 2007-08-30 2012-07-17 Nippon Soken, Inc Electric brake device
DE102010006207B4 (de) * 2010-01-29 2022-06-23 Zf Active Safety Gmbh Scheibenbremse mit reduziertem Restschleifmoment
DE102010011725A1 (de) * 2010-03-17 2011-09-22 Haldex Brake Products Ab Scheibenbremse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Scheibenbremse
CN103119318B (zh) * 2010-09-07 2015-12-16 Ntn株式会社 电动式直动致动器以及电动式盘形制动装置
DE102012012818B4 (de) * 2012-06-28 2015-08-2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1894A1 (en) 2002-02-13 2005-11-03 Johann Baumgartner Disc brake with an electric motor driven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k brake
US20060201756A1 (en) 2003-09-25 2006-09-14 Lars Severinsson Disc brake
DE102008017225B4 (de) 2008-04-04 2017-04-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Notlösevorrichtung für elektromechanische Brem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351795B (es) 2017-10-30
US20140345985A1 (en) 2014-11-27
RU2609842C2 (ru) 2017-02-06
CN104204599A (zh) 2014-12-10
BR112014019268A8 (pt) 2017-07-11
BR112014019268A2 (ko) 2017-06-20
JP6129877B2 (ja) 2017-05-17
WO2013117562A3 (de) 2013-10-17
JP2015507156A (ja) 2015-03-05
US10060490B2 (en) 2018-08-28
DE102012002731A1 (de) 2013-08-14
KR20140134275A (ko) 2014-11-21
RU2014136741A (ru) 2016-04-10
EP2812597B1 (de) 2016-12-28
MX2014009159A (es) 2014-08-27
CN104204599B (zh) 2016-11-09
EP2812597A2 (de) 2014-12-17
WO2013117562A2 (de)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235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 조정 장치
US926115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lining wear compensator device for a disk brake arrangement and disk brake
US8650984B2 (en) Electronic clutch pedal assembly having varying resistance
CA2706191C (en) Drive system for pivotal and/or slidable doors or for entry and exit facilities with improved position acquisition
AU2003216868A1 (en) Electrically actuatable vehicle brak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ly actuatable vehicle brake
NL1013783C2 (nl) Trommelrem en elektrische actuator daarvoor.
HK1099632A1 (en) Food processing device
KR20060128935A (ko) 세팅 장치, 특히 차량 파킹 브레이크
CN109555402A (zh) 用于至少部分自动地操纵门扇的设备
MXPA02009989A (es) Conjunto de pedal con sensor de solapamiento radial e histeresis.
EP0789156B1 (en) Brake condition monitoring means
US20170108065A1 (en) Driving unit for electronic parking brake
KR100905748B1 (ko)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리미트 스위치
KR101454925B1 (ko) 로드 감응형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전자 주차 브레이크장치
JP2005127509A (ja) 検知範囲が拡大されたホール効果変位センサ
KR10161227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JP2009012576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1633845B1 (ko) 자동차의 전자식 제동 장치
KR101518910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20200098333A (ko) 웜기어 캠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US20210381566A1 (en) Load applying device
US9678510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KR20110123017A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20110055802A (ko)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0452289B1 (ko) 모터로 작동되는 주차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