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091B1 -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 - Google Patents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091B1
KR101976091B1 KR1020130008180A KR20130008180A KR101976091B1 KR 101976091 B1 KR101976091 B1 KR 101976091B1 KR 1020130008180 A KR1020130008180 A KR 1020130008180A KR 20130008180 A KR20130008180 A KR 20130008180A KR 101976091 B1 KR101976091 B1 KR 101976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mode
signal
auditory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662A (ko
Inventor
엄준훤
김종진
구윤서
김동욱
손준일
이흔철
최종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091B1/ko
Priority to US14/108,554 priority patent/US9628892B2/en
Publication of KR2014009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아래의 설명은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에 관한 것으로, 청각 기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상기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 모드와 관련된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청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DECISION METHOD FOR ACTIVITY MODE OF HEARING DEVICE AND THE AUDITORY DEVICE}
아래의 설명은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지된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에 관한 것이다.
청각 기기는 청각 기기를 착용한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기다. 이때,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청각 기기는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태로 청각 기기의 프로그램을 세팅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청각 기기는 청각 기기 내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청각 기기의 세팅을 위한 별도의 기기를 이용하여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 볼륨, 주파수 별 이득 등이 세팅된다. 이 때, 별도의 장비를 통해 청각 기기를 세팅하는 이러한 방법은 청각 기기 외에 별도의 기기가 필요하며, 청각 기기와 별도의 기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청각 기기를 세팅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발생하여 청각 기기를 사용하는데 번거러울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를 세팅하는데 있어, 별도의 기기는 사용자가 작동하기에는 작동 방법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청각 기기의 세팅과 관련하여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은 청각 기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상기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 모드와 관련된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청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단일 주파수를 나타내는 순음(pure tone)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나타내는 2개 이상의 순음이 조합된 혼합음(complex tone)으로 구성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된 음의 세기 차이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의 코드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에 포함된 알고리즘을 변경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인 경우,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프로그래밍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난청 보상을 위한 일반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프로그래밍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각 기기는 청각 기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상기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 모드와 관련된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청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단일 주파수를 나타내는 순음(pure tone)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나타내는 2개 이상의 순음이 조합된 혼합음(complex tone)으로 구성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된 음의 세기 차이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의 코드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에 포함된 알고리즘을 변경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인 경우,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프로그래밍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난청 보상을 위한 일반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프로그래밍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청각 기기의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의 코드와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의 코드를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청각 기기의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청각 기기(101)를 착용한 경우, 청각 기기(101)는 음성 신호, 사용자가 아닌 외부의 음성 신호 또는 주변에 위치한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 등의 입력 신호(104)를 감지할 수 있다. 청각 기기(101)는 감지한 입력 신호(104)가 청각 기기(101)에 미리 설정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지정 신호는 청각 기기(101)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101)는 입력 신호의 판단된 결과에 따라 청각 기기(1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청각 기기(101)는 음성 신호,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를 감지하여, 청각 기기(101)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청각 기기(101)는 청각 기기(101)의 일반 모드(102) 또는 프로그래밍 모드(103)에 대응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청각 기기(101)는 감지한 입력 신호(104)가 청각 기기(101)의 프로그래밍 모드와 관련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모드로 청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청각 기기(101)를 프로그래밍 하기 위한 별도의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지정 신호에 따라 청각 기기(101)가 프로그래밍되어 보다 편리하게 청각 기기(101)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간단한 방법은 미리 설정된 지정 신호에 따라 음성 신호,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 등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미리 지정 신호에 따른 입력 신호를 만들어 놓고, 사용자가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원할 때 만들어 놓은 입력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청각 기기(201)는 감지부(202), 결정부(203) 및 제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02)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래서, 감지부(202)는 음성 신호, 주변에 위치한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 등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감지한 소리는 청각 기기(201)가 감지한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감지부(202)는 청각 기기(201)의 내부 / 외부에 위치한 마이크를 통해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02)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02)는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순음은 단일 주파수를 나타내는 음일 수 있다. 그리고, 혼합음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나타내는 2개 이상의 순음이 조합된 음일 수 있다.
음성 신호,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는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신호,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는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신호로써 동작 모드의 결정과 관련된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된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부(202)는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일련의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음성 신호,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202)는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된 음의 세기 차이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감지부(202)는 동일한 순음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모드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결정부(203)는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지정 신호는 청각 기기(201)의 프로그래밍 모드와 관련된 신호로써 감지한 입력 신호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신호일 수 있다.
결정부(203)는 감지한 입력 신호의 코드와 지정 신호의 코드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의 코드는 약속된 소리 신호, 약속된 시간 간격 신호 등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코드로 변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약속된 소리 신호, 약속된 시간 간격 신호는 일정한 딜레이를 가지는 신호, 약속된 주파수들이 조합된 신호 등이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입력 신호의 코드는 ‘도, 레, 미, 파, 솔’의 음계 소리로 구성된 입력 신호 또는 ‘도’의 음계 소리를 4초 간 발생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10101110’ 등의 코드로 변환된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 신호의 코드는 청각 기기(201)의 프로그래밍 하기 위한 구체적인 입력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 신호의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모드와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지정 신호의 코드는 ‘10 헤르츠’의 ‘1초’ 간격으로 발생되는 지정 신호에 따라 청각 기기(201)의 프로그래밍 모드에서 프로그래밍되는 동작과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결정부(203)는 감지한 입력 신호의 판단 결과에 따라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는 일반 모드(206) 또는 프로그래밍 모드(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반 모드(206)는 청각 기기(201)의 기본적인 동작으로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례로, 일반 모드(206)는 일상 생활에서 이용되는 청각 기기(201)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 모드(206)는 외부의 소리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일반 모드(206)는 사용자가 청각 기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결정부(203)는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프로그래밍 모드로 결정하고 이외의 감지한 입력 신호는 일반 모드(206)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래밍 모드(205)는 청각 기기(201)의 제어와 관련하여 청각 기기(201)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모드일 수 있다.
일례로, 결정부(203)는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201)에 포함된 알고리즘을 변경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청각 기기(201)에 포함된 알고리즘을 변경하기 위한 지정 신호는 기존에 청각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청각 기기의 기초가 되는 알고리즘을 새로운 알고리즘으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결정부(203)는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201)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청각 기기(201)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신호는 청각 기기의 볼륨 조절, 청각 기기의 전원 기능, 잔향음 제어,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음향 되울림 제어, 윈드 노이즈 제어 등의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결정부(203)는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201)의 피팅을 위한 알고리즘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청각 기기(201)의 피팅을 위한 알고리즘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지정 신호는 사용자의 난청 등의 사용자의 소리 인식 정도를 고려하여 이에 맞도록 청각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알고리즘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결정부(203)는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201)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청각 기기(201)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한 신호는 청각 기기에 포함된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결정부(203)는 감지한 입력 신호를 통해 상기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201)에서 감지하는 입력 신호의 소리를 교정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청각 기기(201)에서 감지하는 입력 신호의 소리를 교정하기 위한 신호는 입력 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의 소리를 교정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결정부(203)는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기기(201)는 감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청각 기기(201)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청각 기기(201)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04)는 프로그래밍 모드(205)와 일반 모드(2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4)는 전환된 동작 모드에 따라 청각 기기(201)를 제어할 수 있다.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206)로 전환된 경우, 제어부(204)는 청각 기기(201)가 청각 기기의 기본 동작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4)는 감지한 입력 신호를 난청 보상 등의 프로세싱을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206)로 전환된 경우는 감지한 입력 신호가 약속된 신호가 아닌 경우일 수 있다. 이 때, 약속된 신호는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가 프로그래밍 모드(205)로 전환된 경우, 제어부(204)는 결정된 프로그래밍 모드(205)에 대응하여 청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4)는 청각 기기(201)의 파라미터 설정, 펌웨어의 업그레이드, 청각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알고리즘 변경,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도록 청각 기기를 피팅하기 위한 알고리즘 설정 등의 다양한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여 청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가 프로그래밍 모드(205)로 전환된 경우는 감지한 입력 신호가 약속된 신호인 경우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4)는 프로그래밍 모드(205)에 대응하여 청각 기기를 프로그래밍 한 후, 더 이상의 약속된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일반적인 청각 기기(201)로써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청각 기기(201)는 청각 기기(201)의 동작 모드에 따라 약속된 신호일 경우 청각 기기(201)의 프로그래밍이 이루어지고, 약속된 신호가 아닌 경우, 청각 기기(201)로써 정상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는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래밍 모드에 따라 청각 기기를 프로그래밍 한 후, 청각 기기의 레지스터를 리셋할 수 있다. 청각 기기는 다음으로 감지되는 입력 신호를 지정 신호인지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청각 기기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 제어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의 코드와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의 코드를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입력 신호의 코드(3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의 코드(302)와 비교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코드(301)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코드(301)는 서로 다른 순음 또는 복합음으로 구성된 입력 신호를 이에 대응하는 코드로 변환한 코드일 수 있다.
지정 신호의 코드(302)는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지정 신호의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지정 신호의 코드(302)는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여 이를 코드로 변환한 코드의 형태일 수 있다. 그래서, 지정 신호의 코드(302)는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코드(301)가 감지되면, 청각 기기는 입력 신호의 코드(301)와 지정 신호의 코드(302)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청각 기기는 입력 신호의 코드(301)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의 코드(302)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함으로써 지정 신호의 코드(302)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입력 신호의 코드(301)가 지정 신호의 코드(302)인 경우, 청각 기기는 지정 신호의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래밍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신호의 코드(301)가 지정 신호의 코드(302)가 아닌 경우, 청각 기기는 청각 기기의 정상 동작을 하는 일반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청각 기기는 감지한 입력 신호의 코드가 지정 신호의 코드인지 여부에 따라 청각 기기를 프로그래밍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401)에서 청각 기기는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청각 기기는 청각 기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청각 기기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음성 신호,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청각 기기는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청각 기기는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기기는 판단된 결과에 따라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청각 기기는 감지한 입력 신호를 복수의 지정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동작 신호와 관련된 지정 신호 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청각 기기는 판단된 결과에 따라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와 프로그래밍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인 경우, 청각 기기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프로그래밍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가 아닌 경우, 청각 기기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403)는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래밍 모드에 따라 청각 기기를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래밍 모드는 청각 기기를 프로그래밍 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청각 기기는 프로그래밍 모드에 포함된 프로그래밍 코드를 이용하여 청각 기기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그래서, 청각 기기는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 설정, 펌웨어의 업그레이드, 청각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알고리즘 변경,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피팅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파라미터 등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따라서 청각 기기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청각 기기는 지정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래밍 모드에 따라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을 하고 난 후 청각 기기의 레지스터를 리셋 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기기는 다음으로 감지 되는 지정 신호에 따라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이 때, 더 이상 지정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청각 기기는 일반적인 청각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404)에서 일반 모드는 감지한 입력 신호의 판단된 결과에 따라 일반적인 청각 기기로써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도중에 의도치 않게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가 프로그래밍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때, 청각 기기는 감지한 입력 신호를 난청 보상 등의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기기,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1: 청각 기기
102: 일반 모드
103: 프로그래밍 모드
104: 입력 신호

Claims (20)

  1. 청각 기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상기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 모드와 관련된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청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의 코드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지정 신호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지정 신호에 대응되는 프로그래밍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프로그래밍 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지정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프로그래밍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단일 주파수를 나타내는 순음(pure tone)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나타내는 2개 이상의 순음이 조합된 혼합음(complex tone)으로 구성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된 음의 세기 차이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에 포함된 알고리즘을 변경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인 경우,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프로그래밍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난청 보상을 위한 일반 모드로 결정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프로그래밍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제어하는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11. 청각 기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입력 신호의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상기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 모드와 관련된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청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지정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응하는 지정 신호의 코드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지정 신호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지정 신호에 대응되는 프로그래밍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프로그래밍 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프로그래밍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청각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외부 단말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청각 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단일 주파수를 나타내는 순음(pure tone)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나타내는 2개 이상의 순음이 조합된 혼합음(complex tone)으로 구성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청각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순음 또는 혼합음으로 구성된 음의 세기 차이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청각 기기.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에 포함된 알고리즘을 변경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청각 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청각 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청각 기기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한 지정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청각 기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인 경우,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청각 기기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프로그래밍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가 지정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난청 보상을 위한 일반 모드로 결정하는 청각 기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프로그래밍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제어하는 청각 기기.
KR1020130008180A 2013-01-24 2013-01-24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 KR101976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180A KR101976091B1 (ko) 2013-01-24 2013-01-24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
US14/108,554 US9628892B2 (en) 2013-01-24 2013-12-17 Method of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180A KR101976091B1 (ko) 2013-01-24 2013-01-24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662A KR20140095662A (ko) 2014-08-04
KR101976091B1 true KR101976091B1 (ko) 2019-05-09

Family

ID=5120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180A KR101976091B1 (ko) 2013-01-24 2013-01-24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28892B2 (ko)
KR (1) KR101976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527B (zh) * 2020-01-20 2023-01-24 乾凰(重庆)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幼儿测听的客观测试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8262A1 (en) * 2007-04-25 2010-06-24 Daniel R. Schumaier Preprogrammed hearing assistance device with audiometric testing capability
US20110142273A1 (en) * 2008-08-20 2011-06-16 Panasonic Corporation Hearing aid and hearing ai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8157A1 (de) 1993-03-15 1994-09-22 Toepholm & Westermann Fernsteuerbares, insbesondere programmierbares Hörgerätesystem
JP2763022B2 (ja) * 1995-10-17 1998-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補聴器
US6590987B2 (en) * 2001-01-17 2003-07-08 Etymotic Research, Inc. Two-wired hearing aid system utilizing two-way communication for programming
JP2004032275A (ja) 2002-06-25 2004-01-29 Nec Corp 文字情報作成システムおよび文字情報作成装置
KR20040087505A (ko) 2003-04-08 2004-10-14 (학)창성학원 음성의 톤을 이용한 정보입력장치
ATE336876T1 (de) * 2003-11-20 2006-09-15 Phonak Ag Verfahren zum anpassen eines hörgerätes an eine momentane akustische umgebungssituation und hörgerätesystem
KR100549214B1 (ko) 2003-11-24 2006-0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E102004025691B3 (de) * 2004-05-26 2005-08-18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hilfegerät oder Hörgerätesystem mit einer Bedieneinrichtung
KR20060071906A (ko) 2004-12-22 2006-06-27 브이케이 주식회사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7545944B2 (en) * 2005-04-18 2009-06-09 Phonak Ag Controlling a gain setting in a hearing instrument
US7933419B2 (en) * 2005-10-05 2011-04-26 Phonak Ag In-situ-fitted hearing device
US7899199B2 (en) * 2005-12-01 2011-03-01 Phonak Ag Hearing device and method with a mute function program
KR100810980B1 (ko) 2006-02-07 2008-03-10 김정민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KR20080063936A (ko) 2007-01-03 2008-07-08 한국과학기술원 휴대형 통역기
KR20080086639A (ko) 2007-03-23 2008-09-26 주식회사 하라시스템 프리젠테이션 정보 기록 장치
DK2104378T4 (en) * 2008-02-19 2017-08-28 Starkey Labs Inc WIRELESS SIGNAL SYSTEM TO IDENTIFY ACOUSTIC ENVIRONMENT FOR HEARING DEVICES
JP5373473B2 (ja) 2009-05-11 2013-12-18 株式会社エー・アール・アイ 音声抽出装置
KR20110111752A (ko) 2010-04-05 2011-10-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운드 코드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K2567552T3 (en) * 2010-05-06 2018-09-24 Sonova Ag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AND HEARING
KR20120002737A (ko) 2010-07-01 2012-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8831256B2 (en) * 2011-12-09 2014-09-09 Cochlear Limited Controlling a link for different load cond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8262A1 (en) * 2007-04-25 2010-06-24 Daniel R. Schumaier Preprogrammed hearing assistance device with audiometric testing capability
US20110142273A1 (en) * 2008-08-20 2011-06-16 Panasonic Corporation Hearing aid and hearing ai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28892B2 (en) 2017-04-18
KR20140095662A (ko) 2014-08-04
US20140205118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420B2 (ja) 音を選択的に使用者に提供する耳栓
US8582790B2 (en) Hearing aid and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audio labels
DK2071873T3 (en) A hearing aid system comprising a custom filter and a measurement method
AU2006202798B2 (en) Hearing aid and an appropriate method for its adjustment
WO2021016899A1 (zh) 一种无线耳机控制方法、装置及无线耳机和存储介质
US20100098261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operational mode of a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36365A1 (en)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 room acoustic
EP3675519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976091B1 (ko)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
JP2014187413A (ja) 音響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JP6020461B2 (ja) 音声入出力装置、ハウリング防止方法およびハウリング防止用プログラム
JP6720896B2 (ja) 電子楽器
KR101065293B1 (ko) 진동강도 자동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진동강도 자동조절 방법
KR20080000095U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경고 장치
US20090067650A1 (en) Method and arrangements for detecting the type of acoustic signal source with a hearing device
JP6559051B2 (ja) 発声機能を備えたロボット装置、発声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03944A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音声出力方法
JP4404043B2 (ja) 補聴器および補聴器調整装置
JP2003037650A (ja) 携帯電話機
CN111246326B (zh) 耳机组控制方法和耳机组
KR101164964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보청기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보청기
KR101817774B1 (ko)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JP2008232526A (ja)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EP28275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amage to auditory organ of human body from terminal sound pressure
JP4051078B2 (ja) 報知音発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