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774B1 -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 Google Patents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774B1
KR101817774B1 KR1020160045310A KR20160045310A KR101817774B1 KR 101817774 B1 KR101817774 B1 KR 101817774B1 KR 1020160045310 A KR1020160045310 A KR 1020160045310A KR 20160045310 A KR20160045310 A KR 20160045310A KR 101817774 B1 KR101817774 B1 KR 10181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external sound
hearing aid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645A (ko
Inventor
박상재
Original Assignee
에스티씨테크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씨테크 ㈜ filed Critical 에스티씨테크 ㈜
Priority to KR102016004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77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83Aspects of electrical fitting of hearing aids related to problems arising from growth of the hearing aid user, e.g.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사용 과정에서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적용되고 있는 피팅 데이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는 외부 음이 유입되는 신호 입력 유닛(13); 신호 입력 유닛(13)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부 음을 순서대로 저장하여 전송하는 버퍼 유닛(11); 버퍼 유닛(11)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유닛(15)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 유닛(11)은 모드 설정 유닛(12)에 의하여 상기 외부 음의 유입의 차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A Hearing Aid Having a Structure of Regulating a Input Signal}
본 발명은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사용 과정에서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적용되고 있는 피팅 데이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난청을 가진 사람의 귀에 장착되어 난청 주파수 대역을 증폭시켜 청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보청기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마이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유입되는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하는 것에 의하여 청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유선, 무선 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유입된 소리 신호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하여 처리되어 리시버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청력도(audiogram)에 의하여 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소리 신호가 처리되어 귀로 전달될 수 있다. 청력도(audiogram)는 청력 테스트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청력 검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의 청력도에 따라 피팅 데이터가 만들어져 각각의 보청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만들어진 피팅 데이터는 시간의 경과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보청기의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피팅 데이터를 적용하는 것은 시간 또는 비용으로 인하여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간단하게 청력 변화 또는 사용 환경에 변화에 따라 피팅 데이터가 변경 또는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26932호는 다수 개의 환경 상황이 청력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환경 인자 보정 데이터를 준비하여 외부 서버 또는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개인별 청력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 환경이 선택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 환경과 매칭이 되는 환경 인자 보정 데이터가 검색되는 단계; 및 검색된 환경 인자 보정 데이터에 의하여 개인별 청력 데이터가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별 환경 맞춤 방식의 보청기의 피팅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33790호는 보청기와 다른 보청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개인 통신 장치에서 개인 통신 장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싱 수단 및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싱 수단은 파라미터 세팅에 의해 형성 가능한 제1 신호 경로에서 상기 음성 신호의 디지털 버전 상에서 필터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배치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제1 신호 경로와 병렬적인 제2 신호 경로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제2 신호 경로는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파라미터 세팅의 상기 디지털 버전을 수신하고, 상기 파라미터 세팅과 상기 음성 신호의 상기 디지털 버전에 기초한 상기 필터링 수단의 필터 계수를 결정하기 위해 배치되는 전달 함수 계산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싱 수단은 사용자 선호도, 청각적 정보, 청취 상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상기 파라미터 세팅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 로직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치되고, 상기에서 개인 통신 장치는 수신된 음성 신호의 음성 환경 분석을 통하여 상기 개인 통신 장치의 탐지 수단을 통하여 얻어지고 사용되어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싱 수단은 난청 보상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배치된 난청 보상 모듈로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개인 통신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바일 기기 또는 서버에 미리 저장된 피팅 데이터에 의하여 사용 환경에 적합한 피팅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거나, 상기 개인 통신 장치의 탐지 수단에 의하여 파라미터 세팅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 과정에서 직접 사용자에 의하여 간단하게 피팅 데이터를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26932호(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2014년11월03일 공개) 사용자 개별 환경 맞춤 방식의 보청기의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저장 매체 선행기술2: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33790호(자코티 브바, 2013년12월09일 공개) 보청기를 가진 개인 통신 장치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과정에서 난청 상태를 탐지하여 사용 과정에서 피팅 데이터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는 외부 음이 유입되는 신호 입력 유닛; 신호 입력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부 음을 순서대로 저장하여 전송하는 버퍼 유닛; 버퍼 유닛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 유닛은 모드 설정 유닛에 의하여 상기 외부 음의 유입의 차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 환경에 난청 상태를 탐지하는 탐지 유닛 및 난청 상태에서 유입되는 상기 외부 음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시키는 주파수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 환경에서 유입된 소음에 따른 난청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소음-난청 상관도 추출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사용 과정에서 간단하게 사용자에 의하여 피팅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현장에서 유입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피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피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다양한 사용 환경에 발생되는 소음에 따른 난청 주파수 대역을 탐지하는 것에 의하여 난청을 유발시키는 소음의 유입에 따른 피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서 피팅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서 사용 환경에 따라 피팅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청기는 외부 음이 유입되는 신호 입력 유닛(13); 신호 입력 유닛(13)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부 음을 순서대로 저장하여 전송하는 버퍼 유닛(11); 버퍼 유닛(11)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유닛(15)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 유닛(11)은 모드 설정 유닛(12)에 의하여 상기 외부 음의 유입의 차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유선 또는 무선 보청기가 될 수 있고, 스마트 폰 또는 다른 음향 기기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보청기는 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보청기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 음은 음성, 주변 환경 음, 통화 음 또는 보청기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음과 같이 보청기로 유입되는 다양한 소리 신호가 될 수 있고, 보청기 또는 보청기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배치된 마이크와 같은 신호 입력 유닛(13)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입력 유닛(13)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신호 입력 유닛(13)으로 입력된 외부 음은 버퍼 유닛(11)에 차례대로 저장될 수 있다. 버퍼 유닛(11)은 신호 입력 유닛(13)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음을 저장하여 차례대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퍼 유닛(11)은 외부 유입 음을 차단시키고 내부에 저장된 주파수 대역 별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은 피팅 기능을 할 수 있다. 보청기의 사용 과정에서 또는 특정 사용 환경에서 유입되는 외부 음에 대한 청력 수준이 감소되는 경우 모드 설정 유닛(12)의 작동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외부 음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신호 생성 유닛(17)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가 버퍼 유닛(1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버퍼 유닛(11)은 전송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로 전송할 수 있고, 신호 출력 유닛(15)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내부 신호 생성 유닛(17)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피팅을 위하여 주파수 대역별로 미리 저장된 신호가 될 수 있다.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유입된 외부 음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 유닛(11)에 일정 시간 동안 유입되는 외부 음이 저장되고, 내부 신호 생성 유닛(17)은 버퍼 유닛(11)에 저장된 외부 음을 주파수 대역 별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대역별로 분할된 외부 음을 다시 버퍼 유닛(11)으로 전송하여 신호 출력 유닛(15)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음이 차단된 상태에서 임시적으로 피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 환경과 함께 피팅 데이터가 저장 및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피팅이 완료되면 다시 버퍼 유닛(11)으로 유입되는 외부 음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로 전달될 수 있다. 버퍼 유닛(11)으로 유입된 외부 음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는 보청기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필터, 노이즈 감소 유닛, 피드백 회로 또는 압축 유닛과 같은 보청기의 기능을 위한 다양한 소자,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출력 유닛(15)은 예를 들어 리시버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신호 출력 유닛(15)은 보청기로 유입되어 처리된 외부 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 출력 설정 유닛(16)이 배치될 수 있다. 출력 설정 유닛(16)은 피팅 과정에서 피팅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시간을 조절하거나 반복 횟수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출력 설정 유닛(16)에 의하여 피팅 과정에서 신호 출력 유닛(15)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피팅 신호의 조절은 보청기 자체의 출력을 조절하는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출력 설정 유닛(16)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임시적인 또는 사용 환경에서 직접 피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입력 유닛(13)은 한 쌍의 마이크(211, 212)가 될 수 있고, 모드 설정 유닛(12)에 의하여 마이크(211, 212)로 입력되는 외부 음의 차단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피팅을 위하여 모드 설정 유닛(12)에 의하여 피팅 모드로 선택이 되면, 버퍼 유닛(11)의 신호 선택 유닛(222)에 의하여 마이크(211, 212)로 유입되는 음이 차단될 수 있다. 또는 신호 선택 유닛(222)에 의하여 외부 유입 음이 버퍼 유닛(11)에 저장이 되지만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피팅을 위하여 대역 선택 유닛(223)에 의하여 주파수 대역이 선택될 수 있다. 대역 선택 유닛(223)은 예를 들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 음 또는 버퍼 유닛(11)에 저장된 외부 음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위에서 설명된 내부 신호 생성 유닛에 의하여 버퍼 유닛(11)에 저장된 최근 외부 음에 근접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선택될 수 있다. 대안으로 피팅 데이터베이스(221)로부터 임의의 피팅 데이터가 선택되어 피팅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선택된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주파수 변환 유닛(231), 노이즈 감소 유닛(232), 광역 압축 유닛(WDRC)(24) 및 역 변환 유닛(25)을 통하여 리시버(26)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 유닛(27)에 의하여 사용자의 인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유닛(28)에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이와 같은 과정에 반복되어 데이터 저장 유닛(28)에 저장되고, 현재 적용되고 있는 피팅 데이터와 대비하여 피팅 데이터가 수정되거나 새로운 피팅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난청이 발생되는 소음 환경과 난청 발생 사이의 관계가 추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서 피팅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드 설정 유닛에 배치된 피팅 선택 유닛(311)에 의하여 피팅 모드로 전환이 될 수 있다. 탐지 유닛(312)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용자의 반응에 의하여 현재 유입되는 외부 음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 상태를 피팅 선택 유닛(3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현재 사용 환경에서 외부 유입 음에 대한 지각 능력이 감소되었다고 판단되면 탐지 유닛(312)을 작동시켜 피팅 선택 유닛(311)에 의하여 피팅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유입되고 있는 특정 외부 음에 대하여 사용자가 반응하지 않는다면 탐지 유닛(312)은 피팅 모드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탐지 유닛(312)이 작동되면, 탐지 유닛(312)은 피팅 모드로 전환되었다는 개시 신호를 주파수 선택 유닛(3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주파수 선택 유닛(32)은 위에서 설명된 대역 선택 유닛에 포함되거나 대역 선택 유닛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선택 유닛(32)은 피팅이 되어야 하는 주파수를 선택하거나 버퍼 유닛에 최근 유입된 외부 음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난청이 되는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주파수 선택 유닛(32)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대안으로 주파수 선택 유닛(32)은 내부 신호 발생 유닛에서 선택된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분리된 주파수 대역별 신호를 추출된 소음과 함께 신호 선택 유닛(222)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피팅 모드에서 주파수 선택 유닛(32)으로부터 전송된 주파수 대역별 신호는 독립적으로 또는 소음과 함께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14)를 경유하여 리시버(26)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반응 탐지 유닛(33)에 의하여 사용자의 인지 수준이 확인될 수 있다. 반응 탐지 유닛(33)을 통하여 사용자는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현재 소음 환경에 대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대한 청력 수준을 표시할 수 있다. 반응 탐지 유닛(33)에 의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사용자의 청력 수준이 확인되면 피팅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선택 유닛(222)으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청력 수준이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소음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함께 전송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는 주파수 선택 유닛(32)에서 추출된 소음 환경이 분석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소음 또는 소음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소음-난청 상관도 추출 유닛(35)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소음-난청도 상관 관계가 피팅 선택 유닛(311) 또는 피팅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버퍼 유닛으로 이와 유사한 소음이 유입되면 자동으로 수정된 피팅 데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차후 동일 또는 유사한 소음 환경에서 별도의 피팅 과정 없이 보청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버퍼 유닛에 의한 피팅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서 사용 환경에 따라 피팅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버퍼 유닛을 가진 보청기에 의하여 피팅 방법은 난청을 감지하는 단계(P41); 피팅 모드를 선택 단계(P42); 외부 음을 차단하는 단계(P43);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P44); 리시버 전송 단계(P45); 만족도 판단 단계(P46); 데이터 적용 단계(P47); 난청 소음을 저장하는 단계(P48); 및 외부 음이 유입되는 단계(P49)를 포함한다.
사용 환경에서 난청이 감지될 수 있다(P41). 그리고 버퍼 유닛에 의하여 피팅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피팅 모드의 선택에 따라 버퍼 유닛에서 외부 음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 전송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P43). 그리고 피팅을 위하여 피팅이 되어야 할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P44). 피팅이 되어야 할 데이터는 예를 들어 외부에서 유입되어 버퍼 유닛에서 저장된 신호 또는 내부 신호 발생 유닛에서 발생된 신호가 될 수 있다. 데이터는 주파수 대역 별로 분리되어 리시버로 전송될 수 있다(P45). 그리고 피팅을 위한 주파수 대역별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판단될 수 있다(P46).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청력 수준이 현저히 감소되고 이에 대하여 압축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에 대한 청력 수준이 판단될 수 있다(P46). 사용자가 피팅 결과에 대하여 충분한 청력 수준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NO), 다른 피팅 데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P44). 이에 대하여 피팅에 대하여 충분한 청력 수준을 회복한다면(YES),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한 피팅 결과가 피팅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P47). 그리고 현재 사용 환경에서 유입되는 소음과 난청을 유발시키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관계가 추출되어 저장될 수 있다(P48). 그리고 저장된 데이터는 추후 유사한 소음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임시 피팅이 완료되면 버퍼 유닛에서 다시 외부 음이 유입되어 보청기의 사용이 개시될 수 있다(P49).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서 피팅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버퍼 유닛 12: 모드 설정 유닛
13: 신호 입력 유닛 14: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15: 신호 출력 유닛 16: 출력 설정 유닛
17: 내부 신호 생성 유닛 24: 광역 압축 유닛
25: 역 변환 유닛 26: 리시버
27: 선택 유닛 28: 데이터 저장 유닛
32: 주파수 선택 유닛 33: 반응 탐지 유닛
34: 피팅 데이터베이스 35: 소음-난청 상관도 추출 유닛
211, 212: 마이크 221: 피팅 데이터베이스
222: 신호 선택 유닛 223: 대역 선택 유닛
231: 주파수 변환 유닛 232: 노이즈 감소 유닛
311: 피팅 선택 유닛 312: 탐지 유닛

Claims (3)

  1. 외부 음이 유입되는 신호 입력 유닛(13);
    신호 입력 유닛(13)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부 음을 순서대로 저장하여 전송하는 버퍼 유닛(11);
    버퍼 유닛(11)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유닛(15)을 포함하고,
    사용 과정 또는 특정 사용 환경에서 유입되는 외부 음에 대한 청력 수준이 감소되는 경우 상기 버퍼 유닛(11)은 모드 설정 유닛(12)에 의하여 상기 외부 음의 유입의 차단시키고, 일정 시간 동안 유입되어 상기 버퍼 유닛(11)에 저장된 최근 외부 음으로부터 선택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4)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현재 사용 환경에서 유입된 외부 음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 능력이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탐지 유닛(312) 및 상기 버퍼 유닛(11)에 최근 유입된 상기 외부 음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시키는 주파수 선택 유닛(32)을 더 포함하는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퍼 유닛(11)에 저장된 외부 음으로부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 환경에서 유입된 소음에 따른 난청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소음-난청 상관도 추출 유닛(35)을 더 포함하는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KR1020160045310A 2016-04-14 2016-04-14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KR101817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10A KR101817774B1 (ko) 2016-04-14 2016-04-14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10A KR101817774B1 (ko) 2016-04-14 2016-04-14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645A KR20170117645A (ko) 2017-10-24
KR101817774B1 true KR101817774B1 (ko) 2018-01-11

Family

ID=6029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310A KR101817774B1 (ko) 2016-04-14 2016-04-14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7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645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313B2 (ja) 補聴器、補聴装置、補聴方法、及び集積回路
US8873779B2 (en) Hearing apparatus with own speaker activity dete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pparatus
US20090076825A1 (en) Method of enhancing sound for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US20090074206A1 (en) Method of enhancing sound for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US9332359B2 (en) Customization of adaptive directionality for hearing aids using a portable device
AU20153490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recognition of a user's own voice
EP3337190B1 (en) A method of reducing noise in an audio processing device
US20090076636A1 (en) Method of enhancing sound for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EP2494792A2 (en) Speech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US20090076816A1 (en) Assistive listening system with display and selective visual indicators for sound sources
JP2008507207A (ja) 通信ユニットを聴力強化装置と選択的に結合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6797521B (zh) 基于音频的控制信号表征来配置听力假体声音处理器
DK2373064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control of binaural hearing aids
US8224002B2 (en) Method for the semi-automatic adjustment of a hearing device, and a corresponding hearing device
US2019038733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data between at least one hearing aid and a peripheral device of a hearing aid system and also a hearing aid
WO2014053023A1 (en) Automated program selection for listening devices
CN110620981B (zh) 控制听力设备与外设之间数据传输的方法和听力设备系统
EP2865197B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as well as a hearing device
KR101517143B1 (ko) 이명 치료 장치 및 이명 치료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
US2017032503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hear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600429B1 (ko)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817774B1 (ko)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US20160088406A1 (en) Configuration of Hearing Prosthesis Sound Processor Based on Visual Interaction with External Device
US20090074203A1 (en) Method of enhancing sound for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US2010031622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frequency response of a hearing apparatus and associated hea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