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980B1 -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980B1
KR100810980B1 KR1020060011727A KR20060011727A KR100810980B1 KR 100810980 B1 KR100810980 B1 KR 100810980B1 KR 1020060011727 A KR1020060011727 A KR 1020060011727A KR 20060011727 A KR20060011727 A KR 20060011727A KR 100810980 B1 KR100810980 B1 KR 100810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formation
signal
sound signal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429A (ko
Inventor
김정민
임창현
Original Assignee
김정민
임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임창현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06001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9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나 라디오와 같은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소정의 음향신호를 휴대폰과 같은 통신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음향신호에 이미 포함되어 있던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광고용 문자 및 전화번호 등이 문자메시지 형태와 같이 저장 및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추후 해당 광고를 확인 후 전화 걸기를 희망하는 경우 해당 광고사 등에 원터치로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광고개념을 도입한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60011727
휴대폰, 문자메시지, 저장, 광고, 음향, 소리, 전화, TV, 라디오

Description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Receiving and applying using of sound advertisement using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향발생원의 구체적인 회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보음향입력부의 구체적인 회로 블록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반음향신호와 정보음향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향발생원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회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음향발생원 110: 일반음향발생부
111: 마이크 112: 마이크입력부
113: 음향매체 114: 입력부
120: 합성부 130: 정보음향입력부
131: 정보저장부 132: 제1 제어부
133: D/A컨버터 134: 제1 키입력부
135: 제1 표시부 200: 음향출력기기
210: 스피커출력회로 220: 스피커
300: 통신용 단말기 310: 마이크로폰
320: 마이크입력회로 330: 검출 및 인식수단
331: 정보신호검출부 332: A/D컨버터
333: 분석 및 제어수단 340: 메시지저장부
350: 제1 표시부 360: 제2 키입력부
370: 전화기부
본 발명은 TV나 라디오와 같은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소정의 음향신호를 휴대폰과 같은 통신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음향 신호에 이미 포함되어 있던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광고용 문자 및 전화번호 등이 문자메시지 형태와 같이 저장 및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추후 해당 광고를 확인 후 전화 걸기를 희망하는 경우 해당 광고사 등에 원터치로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광고개념을 도입한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를 흔히 정보의 사회라 한다.
이러한 정보의 사회에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마케팅이며, 광고일 것이다.
주위를 살펴보면, 무수한 광고가 매스미디어를 통해 표출되고 있다. 특히 우리는 TV나 라디오를 통해 다양한 광고를 접하게 된다.
TV 또는 라디오의 경우, 특정 광고사가 자사 또는 자사의 제품 등을 홍보 내지 광고한 후, 자사의 전화번호 등을 광고하는 방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TV 홈쇼핑의 경우, 특정 제품을 소개하면서 화면에 구매 전화번호를 표시하거나 진행자가 음성으로 구매 전화번호를 알려주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품 구매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라면 상기 TV화면에 표시된 전화번호를 보고 전화를 걸거나, 옆에 전화가 없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기록하여 두었다가 나중에 전화를 거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TV의 경우는 그나마 화면을 보고 즉시 전화를 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라디오의 경우에는 소비자가 출력되는 전화번호 음성을 듣고, 이를 기억하여 전화 걸기를 수행하거나 아니면 별도로 전화번호를 메모해두었다가 전화 걸기를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설상가상, 운전중인 차량의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광고의 경우에는 메모가 사실상 어려워, 운전자의 기억력에 의존한 후, 전화 걸기를 해야하는 불편 아닌 불편함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은 TV나 라디오와 같은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소정의 음향신호를 휴대폰과 같은 통신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음향신호에 이미 포함되어 있던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광고용 문자 및 전화번호 등이 문자메시지 형태처럼 저장 및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추후 해당 광고를 확인 후 전화 걸기를 희망하는 경우 해당 광고사 등에 원터치로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광고개념을 도입한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정보음향신호를 일반음향신호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음향발생원과, 상기 음향발생원을 통해 입력받은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출력기기와, 상기 음향출력기기로부터 출력된 음향신호를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받아 상기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그 정보를 이용 할 수 있도록 한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유선TV 방송국, 인터넷 방송국 및 위성통신 방송국과 같이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곳으로, 광고용 일반음향신호에 소정의 정보를 가진 정보음향신호를 합성하여 정보음향이 포함된 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향발생원과; TV, 라디오 및 차량용 라디오와 같이 무선수신회로 또는 유선수신회로를 통해 상기 음향발생원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일반음향신호 및 정보음향신호를 수신받아 스피커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기기과;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 출력된 음향을 수신받아 다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및 마이크 입력회로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일반음향신호 중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정보음향신호의 정보를 분석하여 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표시하여 주는 통신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정보음향신호는 일정한 범위(진폭 또는 주파수)를 가지는 일정시간의 음향신호로, 어떤 규칙적인 데이터(2진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떤 규칙적인 데이터는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문 자메시지이며, 상기 문자는 광고문구나 광고사의 소개정보이고, 상기 숫자는 상기 광고사의 전화번호인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정보음향신호는 정보음향신호임을 알려주는 개시신호(start signal)와 문자메시지 데이터인 데이터신호(data signal)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음향발생원은 광고를 포함하는 일반방송의 음향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일반음향발생부와, 상기 일반음향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일반음향신호에, 정보음향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음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정보음향신호가 일반음향신호에 포함된 정보포함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와, 일정한 정보를 가지는 정보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보음향입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일반음향발생부는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입력부와, PC, 비디오레코드플레이어, CD플레이어, MP3 등과 같이 메모리, 비디오테이프, CD등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향출력을 수행하는 음향매체와, 상기 음향매체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정보음향입력부는 정보음향신호가 일정한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되는 정보저장부와, 외부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음향 신호 중 요청된 신호를 독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정보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합성부로 출력하는 D/A컨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정보음향입력부에는 다수개의 기능키를 구비하여 새로운 정보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정보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 키입력부와, 상기 제1 키입력부를 통해 키입력된 키값을 표시하여주는 제1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정보음향신호는 스피커 출력음이 차임벨 소리 또는 비프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음향발생원은 일반음향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일반음향신호에 이미 정보음향신호가 포함된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통신용 단말기는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 출력된 음향을 수신받아 다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입력회로와, 상기 마이크입력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일반음향신호 중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되, 이미 설정된 상기 정보음향신호의 진폭 또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검출(필터링)하는 상기 정보신호검출부와, 상기 정보신호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정보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정보음향신호임을 인식하고, 상기 정보음향신호를 분석하여 문자메시지로 처리한 후, 메시지저장수단에 저장하고, 동시에 메시지의 도착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여 주는 분석 및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통신용 단말기의 키 버튼에는 마이크로폰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을 키입력하는 선택 키 버튼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유선TV 방송국, 인터넷 방송국 및 위성통신 방송국과 같이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곳으로, 광고를 포함하는 일반방송의 음향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일반음향발생부와, 상기 일반음향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일반음향신호에, 정보음향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음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정보음향신호가 일반음향신호에 포함된 정보포함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와, 일정한 정보를 가지는 정보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보음향입력부로 구성된 음향발생원과; TV, 라디오 및 차량용 라디오와 같이 무선수신회로 또는 유선수신회로를 통해 상기 음향발생원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일반음향신호 및 정보음향신호를 수신받아 스피커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기기와;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 출력된 음향을 수신받아 다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입력회로와, 상기 마이크입력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일반음향신호 중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되, 이미 설정된 상기 정보음향신호의 진폭 또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검출(필터링)하는 상기 정보신호검출부와, 상기 정보신호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정보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정보음향신호임을 인식하고, 상기 정보음향신호를 분석하여 문자메시지로 처리한 후, 메시지저장수단에 저장하고, 동시에 메시지의 도착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여 주는 분석 및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통신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념을 도 8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TV(200a), 라디오(200b) 및 차량용 라디오(200c) 등과 같은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300a)과 같은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받는다. 즉 휴대폰(300)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휴대폰(300)의 마이크로폰(310)으로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소리)가 입력(수신)된다.
이때 상기 휴대폰(300a)은 상기 음향신호에 포함되어 나오는 소정의 정보음 향신호(예를 들어, 차임벨 또는 비프음 형태)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정보음향신호는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는 광고문구 및 광고사 소개문구가 될 수 있고, 상기 숫자는 광고사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상기 휴대폰(300a)은 검출된 상기 정보음향신호의 정보를 분석하여, 문자메세지 처리하고, 처리된 문자메시지를 저장함과 동시에 표시부(350)(LCD창)에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사용자는 문자메시지에 기록된 광고 등을 확인 후 키입력부(360)에 구비된 통화버튼을 눌러(원터치) 상기 광고사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음향출력기기를 통해 출력되는 수많은 광고와 그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일일이 기록하거나 저장하여 두지 않더라도 원터치 동작으로 해당 광고사로의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발생원(100), 음향출력기기(200) 및 통신용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발생원(100)은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유선TV 방송국, 위성통신 방송국, 인터넷 방송국 등과 같이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곳이 될 수 있다.
상기 음향발생원(100)은 일반음향신호(S1)에, 소정의 정보를 가진 정보음향신호(S2)를 합성하여 정보음향이 포함된 음향신호(이하 '정보포함음향신호' 라 함 )(S3)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일반음향신호(S1)는 특히 TV 또는 라디오의 방송 중 일반적인 음향 광고방송을 의미한다. 그러나 광고방송 이외에 일반 정규방송의 음향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음향신호(S2)는 소정의 범위(진폭 또는 주파수)를 가지는 일정시간의 음향신호로, 이 정보음향신호(S2)에는 어떤 규칙적인 데이터(2진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어떤 규칙적인 데이터는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문자는 광고문구나 광고사의 소개정보(문자)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숫자는 상기 광고사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정보음향신호(S2)는 문자메시지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음향신호(S2)는 적어도 정보음향신호임을 알려주는 개시신호(start signal)와 문자메시지 데이터인 데이터신호(data signal)를 포함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향발생원(100)의 구체적인 회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발생원(100)은 일반음향발생부(110), 합성부(120), 정보음향입력부(130) 및 음향신호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일반음향발생부(110)는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11)와, 상기 마이크(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입력부(112)와, PC, 비디오레코드플레이어, CD플레이어, MP3 등과 같이 메모리, 비디오테이프, CD등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향출력을 수행하는 음향매체(113)와, 상기 음향매체(113)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입력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112)는 생 방송시 음향을 입력받는 수단이고, 상기 음향매체(113)는 상기 저장 매체(비디오 테이프 또는 CD 등)에 이미 녹화된 방송자료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이 경우 다양한 광고방송이 음향으로 출력되어 진다.
상기 합성부(120)는 상기 일반음향발생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일반음향신호(S1)에, 정보음향입력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음향신호(S2)를 합성하여 상기 정보음향신호(S2)가 일반음향신호(S1)에 포함된 정보포함음향신호(S3)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정보음향입력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정보를 가지는 정보음향신호(S2)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회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저장부(131), 제1 제어부(132) 및 D/A컨버터(133)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저장부(131)는 상기 정보음향신호(S2)가 일정한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된 장소로, 상기 정보음향신호(S2)는 일정한 규칙(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디지털 값으로 정해진다.
상기 제1 제어부(132)는 외부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정보저장부(131)에 저장된 정보음향신호(S2) 중 요청된 신호를 독출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D/A컨버터(133)는 상기 제1 제어부(13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정보음향 신호(S2)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합성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정보음향입력부(130)에는 제1 키입력부(134) 및 제1 표시부(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키입력부(134)는 다수개의 기능키를 구비하여 새로운 정보음향신호(S2)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저장부(131)에 저장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표시부(135)는 상기 제1 키입력부(134)를 통해 키입력된 키값을 표시하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정보포함음향신호(S3)는 도 4의 (a)와 같이 시간(t1~t4)의 일반음향신호(S1) 내에 일정시간(t3~t4) 동안 정보음향신호(S2)를 삽입(또는 중첩)하여 생성하거나, 도 4의 (b)와 같이 일반음향신호(S1)가 완료된 시점(t4)에서 일정시간(t4~t5) 동안 정보음향신호(S2)를 합성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음향신호(S2), 즉 음파는 상기 도 4의 (a)(b)와 같이, 일반음향신호(S1)와는 다른 진폭이나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로 구현하되, 정해진 일정시간(T)동안만 출력하여 준다.
상기 정보음향신호(S2)는 스피커 출력음이 차임벨 소리 또는 비프음 등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귀에 거슬리지 않은 음향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음향신호출력부(140)는 상기 합성부(120)로부터 출력된 정보포함음향신호(S3)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음향신호출력부(140)의 출력은 미 도시된 방송 통신용 여러 회로를 통하여 공중파, 또는 유선방식을 통해 외부로 전파( 송)된다.
상기 음향발생원(100)은 도 5와 같이, 일반음향발생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일반음향신호(S1)에 이미 정보음향신호(S2)가 포함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음향매체(113)의 저장매체 자체에 이미 정보음향신호(S2)를 일반음향신호(S1)와 같이 저장하여 놓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정보음향입력부(130)는 별로도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도 1의 음향출력기기(200)는 스피커출력회로(210) 및 스피커(220)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출력기기(200)는 TV, 라디오, 차량용 라디오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기기(200)는 미 도시된 전파수신회로 또는 유선방송수신회로를 통해 상기 음향발생원(100)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일반음향신호(S1)는 물론 정보포함음향신호(S3)를 수신받아 스피커출력회로(210) 및 스피커(220)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220)로는 일반음향신호(S1)에 따른 소리와 상기 일반음향신호(S1)에 혼합되어 있거나 독립적으로 있는 정보음향신호(S2)에 따른 소리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일반음향신호(S1)에 따른 소리인, 일반 광고 방송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가운데, 정보음향신호(S2)인 "차임벨" 또는 "비프음" 신호가 출력된다.
즉 "000 대리운전, 000 대리운전 전화번호는 '딩동댕(차임벨)' 0000-0000입 니다.", 또는 "00홈쇼핑입니다. 구입문의는 0000-0000입니다.'삐리릭(비프음)'" 등이 될 수 있다.
이젠, 상기 통신용 단말기(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통신용 단말기(300)는 휴대폰(이동통신 단말기), 녹음기능이 있는 전화기, PDA,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용 단말기(300)는 적어도 마이크로폰(310)과, 마이크 입력회로(320)와, 검출 및 인식수단(330)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폰(310)은 상기 음향출력기기(200)의 스피커(220)로 출력된 음향을 수신받아 다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 입력회로(320)는 상기 마이크로폰(310)으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검출 및 인식수단(330)은 상기 마이크입력회로(320)로부터 입력되는 일반음향신호(S1) 중 정보음향신호(S2)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정보음향신호(S2)의 정보를 분석하여 인식하다.
상기 인식된 정보신호는 저장되거나 디스플레이된다.
도 6에는 상기 통신용 단말기(300)의 제1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바와 같이, 상기 통신용 단말기(300)는 마이크로폰(310)과, 마이크 입력회로(320)과, 검출 및 인식수단(330)과, 메시지저장부(340)와, 제2 표시 부(350)와, 제2 키입력부(360)와, 전화기부(370)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 및 인식수단(330)은 다시 정보신호검출부(331), A/D컨버터(332) 및 분석 및 제어수단(3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신호검출부(331)는 상기 마이크입력회로(320)로부터 입력되는 일반음향신호(S1) 중 정보음향신호(S2)를 검출하되, 이미 설정된 상기 정보음향신호(S2)의 진폭 또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검출(필터링)한다.
상기 A/D컨버터(332)는 상기 정보신호검출부(33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정보음향신호(S2)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분석 및 제어수단(333)은 상기 A/D컨버터(33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정보음향신호(S2)임을 인식하고, 상기 정보음향신호(S2)를 분석하여 문자메시지로 처리한 후, 메시지저장수단(340)에 저장하고, 동시에 메시지의 도착을 제2 표시부(350)에 표시하여 준다.
또한, 상기 메시지저장부(340)는 상기 분석 및 제어수단(333)의 출력에 의해 정보음향신호(S2)인 문자메시지를 저장한다.
상기 제2 표시부(350)는 상기 분석 및 제어수단(333)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시지저장부(340)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키입력부(360)는 통신용 단말기(300)에 이미 형성된 다수의 키버튼으로, 특정 버튼(예를 들어 '통화버튼')의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저장부(340)에 저장된 문자메시지에 기록된 전화번호로 전화걸기를 수행하여 준다.
상기 전화기부(370)는 상기 통신용 단말기(300)에 구성된 통상의 전화기회로 이다.
따라서, 상기 문자메시지가 상기 메시지저장부(340)에 저장되면, 그 이후로는 통상의 통신용 단말기(300)에서 수행하는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도 7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휴대폰인 통신용 단말기(300)의 제2 키입력부(360)의 샵(#) 버튼을 문자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는 선택키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선택키(#)의 키 입력이 있으면, 통신용 단말기(300)는 마이크로폰(310)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외부로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여주고(S10, S12 단계), 상기 선택키(#)의 입력이 없으면 통상적인 전화기 동작을 수행한다(S11 단계).
한편, 방송국인 음향발생원(100)으로부터 전파 또는 전송되는 정보포함음향신호(S3)는 TV와 라디오와 같은 음향출력기기(200)의 스피커(220)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정보포함음향신호(S3)는 일반음향신호(S1)인 광고안내 소리와 정보음향신호(S2)인 정보음향(차임벨 또는 비프음)소리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여기는 000 피자전문점입니다. 이 방송은 문자메시지 접수가 가능합니다. .....000 피자전문점....., 전화번호는 0000-0000, '딩동댕(차임벨)', 전화번호는 0000-0000....'딩동댕(차임벨)'"와 같은 광고방송이 출력되면, 통신용 단말기(300) 사용자는, 상기 광고의 메시지(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싶은 경우, 상기 광고방송안내 중에 이 방송이 문자메시지 저장 가능 방송임을 인지한 후, 선택키(#)를 눌러 마이크로폰(310)을 활성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통신용 단말기(300)는 상기 선택키(#)의 입력 이후로는 마이크로폰(3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마이크로폰(310)으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는 마이크입력회로(320)를 거쳐 정보신호검출부(331)로 입력된다.
상기 정보신호검출부(331)는 입력된 음향신호 중 이미 설정된 진폭 또는 주파수범위에 해당되는 신호만(정보음향신호)을 필터링 하여 A/D컨버터(332)로 출력한다.
상기 A/D컨버터(332)는 상기 정보신호검출부(33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형 정보음향신호(S2)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분석 및 제어수단(333)에 입력하여 준다.
상기 분석 및 제어수단(333)은 상기 A/D컨버터(332)로부터 입력된 정보음향신호(S2)를 분석하여, 그 정보를 문자메시지(문자+전화번호) 처리하여 메시지저장부(340)에 저장하고, 동시에 제1 표시부(350)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여 준다(S13~S15 단계).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용 단말기(300)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메시지 표시를 보고 현재 음향출력기기(200)를 통해 방송된 광고의 문자메시지가 접수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선택키(#)를 누르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폰(310)은 비활성화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수신받지 않게 된다. 이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S19,S20 단계).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 후,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문자메시지와 같이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걸기를 수행하여 해당 광고사와 전화통하게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이얼링(전화걸기)이 수행된 이후에는 마이크론폰(310)이 비활성화 된다. 이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S16~S18 단계).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TV나 라디오와 같은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소정의 음향신호를 휴대폰과 같은 통신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음향신호에 이미 포함되어 있던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광고용 문자 및 전화번호 등이 문자메시지 형태처럼 저장 및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추후 해당 광고를 확인 후 전화 걸기를 희망하는 경우 해당 광고사 등에 원터치로 다이얼링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TV 시청시 홈쇼핑 관련 전화문의(구매)시나, 라디오 청취시 해당 광고사로의 전화 통화시 별도로 해당 전화번호를 기록하거나 기억해둘 필요없이 원터치를 전화번호를 접수하고, 또 원터치로 해당 광고사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매우 편리한 장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량 운행중 라디오에서 방송되는 퀴즈, 광고 등의 전화번호를 용이하게 접수 및 통화가 가능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운전중의 위험요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유선TV 방송국, 인터넷 방송국 및 위성통신 방송국과 같이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곳으로, 광고용 일반음향신호에, 일정한 범위(진폭 또는 주파수)를 가지는 일정시간의 음향신호로 어떤 규칙적인 데이터(2진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가진 정보음향신호를 합성하여 정보음향이 포함된 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향발생원;
    TV, 라디오 및 차량용 라디오와 같이 무선수신회로 또는 유선수신회로를 통해 상기 음향발생원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일반음향신호 및 정보음향신호를 수신받아 스피커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기기; 및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 출력된 음향을 수신받아 다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및 마이크 입력회로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일반음향신호 중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정보음향신호의 정보를 분석하여 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표시하여 주는 통신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음향신호의 어떤 규칙적인 데이터는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문자메시지이며, 상기 문자는 광고문구나 광고사의 소개정보이고, 상기 숫자는 상기 광고사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음향신호는 정보음향신호임을 알려주는 개시신호(start signal)와 문자메시지 데이터인 데이터신호(data signa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원은 광고를 포함하는 일반방송의 음향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일반음향발생부와, 상기 일반음향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일반음향신호에, 정보음향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음향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정보음향신호가 일반음향신 호에 포함된 정보포함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합성부와, 일정한 정보를 가지는 정보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보음향입력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음향발생부는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입력부와, PC, 비디오레코드플레이어, CD플레이어, MP3 등과 같이 메모리, 비디오테이프, CD등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향출력을 수행하는 음향매체와, 상기 음향매체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음향입력부는 정보음향신호가 일정한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되는 정보저장부와, 외부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음향신호 중 요청된 신호를 독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정보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합성부로 출력하는 D/A컨버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음향입력부에는 다수개의 기능키를 구비하여 새로운 정보음향신호를 생성하여 정보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 키입력부와, 상기 제1 키입력부를 통해 키입력된 키값을 표시하여주는 제1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음향신호는 스피커 출력음이 차임벨 소리 또는 비프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단말기는 음향출력기기의 스피커로 출력된 음향을 수신받아 다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입력회로와, 상기 마이크입력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일반음향신호 중 정보음향신호를 검출하되, 이미 설정된 상기 정보음향신호의 진폭 또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검출(필터링)하는 상기 정보신호검출부와, 상기 정보신호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정보음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정보음향신호임을 인식하고, 상기 정보음향신호를 분석하여 문자메시지로 처리한 후, 메시지저장수단에 저장하고, 동시에 메시지의 도착을 제2 표시부에 표시하여 주는 분석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단말기의 키 버튼에는 마이크로폰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을 키입력하는 선택 키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60011727A 2006-02-07 2006-02-07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KR100810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27A KR100810980B1 (ko) 2006-02-07 2006-02-07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27A KR100810980B1 (ko) 2006-02-07 2006-02-07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429A KR20070080429A (ko) 2007-08-10
KR100810980B1 true KR100810980B1 (ko) 2008-03-10

Family

ID=3860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727A KR100810980B1 (ko) 2006-02-07 2006-02-07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63A1 (ko) * 2015-04-14 2016-10-20 주식회사 디지워크 광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91B1 (ko) 2013-01-24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각 기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청각 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193A (ja) 2000-11-24 2002-06-07 Sharp Corp テレビ電話システム
KR20050058691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카오디오를 이용한 상품 주문 시스템 및 그 주문방법
KR20060011333A (ko) * 2004-07-30 2006-0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시지 분석을 통한 지역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193A (ja) 2000-11-24 2002-06-07 Sharp Corp テレビ電話システム
KR20050058691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카오디오를 이용한 상품 주문 시스템 및 그 주문방법
KR20060011333A (ko) * 2004-07-30 2006-0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시지 분석을 통한 지역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63A1 (ko) * 2015-04-14 2016-10-20 주식회사 디지워크 광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429A (ko) 200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2238B (zh) 用于信息处理设备的音频输出方法
CN104346217A (zh) 推送消息的提示方法和系统
CN104301877A (zh) 短消息提醒方法及装置
JP2001358602A (ja) 文字情報受信装置
KR20050051935A (ko)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정보 추출방법
US20070101366A1 (en) Method for analyzing information and execut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analyzed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13005301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play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200601161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incoming call or message reception through vo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0980B1 (ko)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음향 광고의 접수 및 응용 시스템
CN105120061A (zh) 消息的显示方法及装置
US20040203975A1 (en) Remote control for a cellular phone
WO2006075719A1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方法
CN100539616C (zh) 用于在移动电话上显示消息的方法和装置
CN104794074A (zh) 外接设备识别方法及装置
CN100559805C (zh) 便携式通信终端与用于该终端的消息输出方法
US20060143683A1 (en) System comprising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CN101119563A (zh) 快速搜索消息的方法和移动终端
JPH09238112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その装置及び方法
KR100892463B1 (ko) 음원 정보 제공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음원 정보 제공 방법
CN106487989A (zh) 信息发送、接收方法、装置及终端
CN1937841A (zh) 接收呼叫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无线终端
KR1007744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변환 장치 및 방법
JP2011193427A (ja) 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069719B2 (ja) Fm多重受信機
JP5342257B2 (ja) コンテンツ接触調査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コンテンツ接触調査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