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906A -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906A
KR20060071906A KR1020040110387A KR20040110387A KR20060071906A KR 20060071906 A KR20060071906 A KR 20060071906A KR 1020040110387 A KR1020040110387 A KR 1020040110387A KR 20040110387 A KR20040110387 A KR 20040110387A KR 20060071906 A KR20060071906 A KR 2006007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e
voice
subject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철
Original Assignee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1906A/ko
Publication of KR2006007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4Li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화면에 거짓말 탐지 기능을 설정하고, 폴리그래프 방식에 따라 피측정자의 평상시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기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거짓말 탐지를 실행하여 마이크로 피측정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고 A/D변환하는 단계; 제어부에서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거짓말 탐지 및 심리추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 저장된 상기 기준 음성 데이타와 비교하는 단계; 기저장된 소리 데이터와 심리와의 관계에 대하여 기존의 학문적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분류된 자료에 근거해 분석된 음성 데이터와 뇌파를 유추하도록 심리 상태 추정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피측정자의 거짓말을 탐지 및 심리추정 결과를 LCD 표시부에 출력하고 스피커로 거짓말 유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폰으로 실시간으로 소리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를 분류하여 상대방의 뇌파를 유추하여 심리를 분석하여 상대방의 심리상태를 추정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여 거짓말 탐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거짓말, 탐지,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ie detec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도 1은 종래의 거짓말 탐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거짓말 탐지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키입력부 20: 센서부
30: 맥박측정부 40: A/D변환부
50: 제어부 60: 메모리
70: RF송수신부 80: 오디오부
90: 표시부 ANT: 안테나
SP: 스피커 MIC: 마이크
본 발명은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대방의 뇌파를 휴대폰으로 입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실시간으로 소리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를 분류하여 뇌파를 유추하여 상대방의 심리를 상태를 분석하는 구현하는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신생리학적인 측정에 의한 거짓말 탐지는 폴리그래프(Polygraphy)와 다른 기타 방법을 통해 거짓말을 탐지하거나 신뢰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있고, 최근에는 뇌파에 의해 입증된 중추신경계 활동의 측정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뇌파 기록(electroencephalography: EEG)은 뇌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활동에 대한 두피(scalp)에서의 비침입 방식(non-invasive) 측정을 포함한다. EEG측정은 기본적으로 2종류, 즉 사건관련 전위차(event-related potentials: ERPs) 및 진행형(ongoing) EEG가 있다.
상기 진행형 EEG는 진행중인 전기적인 뇌 활동은 센서와 뇌파 기록 증폭기를 사용하여 두피로부터 비침입 방식으로 측정된다. 뇌파기록(EEG) 데이터는 컴퓨터로 분석되어, EEG 신호는 측정되어 수초 내지 수분의 시간, 경우에 따라서는 수시간에 걸챠 분석된다. 진행형 EEG는 1초 내지 2초를 초과하는 시간 간격에 걸쳐 뇌에서 일어나는 처리에 관한 정보를 주로 제공한다. 진행형 EEG에 의해 측정된 처리는 분리된 자극 (discrete stimuli)에 대한 단기 처리와 관련되는 것이 아니고, 복합적인 정신적, 지적, 언어적, 창조적 활동을 포함하는 진행중인 뇌 처리와 관련된다.
상기 사건관련 전위차(event-related potentials: ERPs)는 단기 전기생리적(electrophysiological) 사건을 측정한다. 사건 관련 전위차는 두피로부터 측정된 사건에 관련된 전압의 단기적인 변화는 '전위차'이다. 사건이란 특정 자극 및 rm 자극에 대한 피검자(subject)의 처리이다. 사건 관련 전위차는 상기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감각적(sensory) 또는 인지적(cognitive) 처리의 발현(manifestation)이다. ERPs는 그것을 유도하는 자극에 따라 잠재기로(in latency) 수 밀리초 내지 1-2초 범위이다. 경고성 자극이 피검자에게 또 다른 예상 자극이 곧 도달한다는 경우에는, 사건관련 전위차는 2차 전극에 선행할 수 있고, 예상자극에 대한 준비적 활동 또는 그것에 대한 피검자의 예상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자극은 여러 번 반복되고, 그 자극에 시간 고정된 전기적 뇌 반응은 평균치로 계산되어 사건관련 전위차 크기가 얻어진다. 어떤 경우에는 사건관련 전위차는 단시간에 일어나며, 특정 시점에 발생되는 자극에 관계된다. 그것은 수초 이내 단위로 일어나는 짧은, 단기적 감각적 또는 인지적 처리의 지수(index)이다.
사건관련 전위차(ERPs)의 기술은 정보를 탐지하는 것으로, 진실성, 허위 또는 신뢰성을 탐지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다. ERPs는 특정 개인이 저지른 범위 또는 기타 행위를 밝힐 수 있는 특별하고 특수한 자극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면, 범죄자만이 알 수 있는 범죄의 상세 사항)를 탐지하는 데 적합하다.
폴리그래프(Polygraphy)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는 피부 전도성(conductance), 심혈관 작용 및 호흡과 같은 자율신경계(ANS)에 의해 전달되는 생리학적 프로세스를 측정 하였다. 폴리그래프(Polygraphy)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 방법의 기본 원리는 통상 거짓말 탐지 또는 폴리그래프에 의해 사람이 거짓말을 할 때에는 그가 진실을 말할 때보다 감성적으로 더 각성되기 쉽고, 이러한 감성적 각성(emotional arousal)이 측정 가능한 각성의 생리적 상태를 야기한다.
상기 폴리그래프(Polygraphy)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는 피측정자의 동의를 얻어 피측정자의 발언에 대한 진실성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위화감을 느끼지 못하고, 방해받지 않는 환경에서 피측정자로부터 하여금 자연스런 발언을 유도하여 거짓말을 탐지한다.
폴리그래프(Polygraphy)란 사람의 흥분, 긴장 또는 감정적인 갈등 상태를 미리 정의해 놓은 기준에 의하여 감지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사람이 소리 내어 발언할 때, 폐에서 성대로 공기가 밀려 나가며 그 결과 성대는 특정의 빈도로 진동하게 된다. 이것을 발성자의 진동수라고 하는데, 그 후 공기는 구강까지 흘러가 혀, 치아, 입술을 통해 소리(말)가 외부로 나가게 된다. 그런데, 보통 사람이 거짓말을 할 경우에 나오는 음파는 동일 인물이 평소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경우 나오는 음성의 음파 진동 레벨과는 다소 다른 진동 레벨을 나타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그래프는 발언에 대한 진실성의 판단 대상이 되는 대화 상대자, 예를 들면 범죄자 또는 범죄 용의자의 발언에 대한 진실성을 판단하고자 하는 경우에 빈번히 사용된다. 상기 폴리그래프는 일반적으로 대화 상대자, 즉 피측정자의 특정 신체부위에 다수개의 센서를 동시에 부착시켜, 혈압, 발한, 호흡의 빠르기, 맥박 등의 신체 반응 등의 판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발언에 대한 진실성을 판단하게 된 다. 그런데, 사람마다 고유한 목소리 특성, 또는 속임수에 의해서 이러한 폴리그래프를 통해 발언의 진실성을 판단하지 못하거나, 사람의 목소리에 나타나는 정신적인 혼동, 불안, 흥분, 부끄러움, 신체적인 고통 등과 같은 많은 요소는 종래의 폴리그래프를 통해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거짓말 탐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이다.
상대방의 음성을 인식하여 거짓말을 판독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입력부(102), 음성증폭부(104), 마이크로 콘트롤러(106), A/D변환부(108), 통상입력부(110), MPU(112), ROM(114), RAM(116), LCD 드라이버부(118) 및 LCD(120)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 입력부(102)는 외부에서 직접 음성을 입력받는 콘덴서 마이크와, 휴대폰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음성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스테레오 잭 입력부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 증폭부(104)는 상기 음성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A/D변환부(108)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신호로 증폭하고, 상기 A/D변환부(108)에서 상기 음성증폭부(104)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씨피유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패턴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통상입력부(110)는 상기 A/D변환부(108)를 통해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 콘트롤러 내부의 상기 MPU(112)는 피측정자의 음성 데이터의 모든 입/출력 과정을 제어한다.
상기 ROM(114)은 피측정자의 발언에 대한 진실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프로그 래밍된 코드값이 저장되고, 상기 RAM(116)은 피측정자의 칼리브레이션(calibration) 데이터 및 갈리브레이션 종료 후 입력되는 상기 피측정자의 음성 신호의 디지털 값이 저장된다.
상기 LCD 드라이버부(118)는 상기 MPU(112)에서 판단하는 모든 결과값(칼리브레이션 시작/종료, 결과 출력, 모드 선택, 시작/멈춤 등)을 LCD로 표현하기 위해 출력값을 디코딩하고, 상기 LCD 드라이버부(118)에서 출력되는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LCD(12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피측정자의 발언에 대하여 최대한 정확하게 진실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피측정자의 음성에 대하여 최적의 칼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행할 필요가 있다. 칼리브레이션이란 테스트를 하고자 하는 음성을 사전에 입력받아 분석한 뒤, 그 데이터 값을 RAM에 저장해 두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때, 피측정자의 발언에 대하여 최대한 정확하게 진실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피측정자의 음성에 대하여 최적의 칼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행할 필요가 있다. 칼리브레이션 이란 테스트를 하고자 하는 음성을 사전에 입력받아 분석한 뒤, 그 데이터 값을 저장해 두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칼리브레이션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피측정자의 긴장상태, 불안한 상태 등 신호의 미세한 패턴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칼리브레이션은 자연스럽게 행하여지도록 하며, 피측정자의 평상시 음성의 표본을 기록하는 시간과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실시한다. 바람직한 칼리브레이션 과정을 살펴보면, ① 전원을 온(ON) 상태로 하여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모든 소자들이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때 상기 MPU(112)는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된다. ② 시작 버튼을 누르면 상기 MPU(112)의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고, ROM(114)에 코딩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해 칼리브레이션 명령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MPU(112)에서는 LCD 드라이버부(118)에 칼리브레이션 시작 신호를 주고, LCD 드라이버부(118)에서는 상기 신호를 디코딩하여 LCD(120)를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한다. ③ 칼리브레이션 명령 진행중에는 상기 A/D변환부(108)를 통과한 디지털 음성 신호는 RAM의 일정 번지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LCD(120)에서는 계속해서 칼리브레이션의 진행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④ 상기 MPU(112)에서 데이터를 판단하기 위한 충분한 값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면, 칼리브레이션 종료 명령을 내리고, 이때 상기 LCD(120)에는 칼리브레이션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낸는 문자 또는 부호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⑤ 칼리브레이션이 종료된 후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칼리브레이션시에 저장되어 있던 값과 비교하여 상기 MPU(112)에서 피측정자의 발언에 대한 진실성 판단을 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 단말기의 음성입력부를 통하여 피측정자의 평상시 음성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칼리브레이션 단계 이후, 휴대폰 단말기의 음성 입력부를 통해 피측정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200 단계) 입력된 음성데이타를 증폭 및 필터링하고(202 단계) 입력된 음성데이타를 저장 및 재생한다(204 단계).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 재생함에 의해 칼리브레이션을 통해 이미 샘플링되어 있던 피측정자의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피측정자의 발언의 거짓의 정도를 판단한다(206 단계). 이어, 상대 피측정자의 음성 판단값을 휴대용 단말기의 LCD를 통해 나타낸다(208 단계).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나타나는 판단 레벨은 스트레스가 거짓말을 하는 것인지, 혹은 단순한 흥분, 긴장 등 감정적인 갈등에 의한 것인지까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뇌파를 이용하여 거짓말을 탐지하는 것은 정확한 뇌파 지표가 없으며 뇌파를 이용하여 허위 진술과 관련된 감성적 차이를 탐지하려는 시도에는 고유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통화나 SMS 문자데이타 송수신, 무선인터넷 접속 등의 통신 기능 이외에 폴리그래프(polygraphy)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 기능을 탑재하였더라도 피측정자의 발언에 대한 진실성 판단에 있어서 스트레스로 인해 거짓말을 하는 것인지, 혹은 흥분, 긴장 등 감정적인 갈등에 의해 거짓말을 하는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방의 뇌파를 휴대폰으로 입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소리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를 분석하여 뇌파를 유추하여 심리를 분석하도록 실시간 소리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대방의 심리상태를 추정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를 실행하는 데 특히 적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거짓말 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0), 음성 통화와 SMS문자 등의 무선 패킷 데이터를 위한 RF송수신부(70)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MIC)로부터 피측정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증폭 및 필터링 후 A/D변환하고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고, 음성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하는 오디오부(80); 거짓말 탐지 및 심리 추정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전 과정을 제어하여 기 저장된 상기 기준 음성 데이터와 피측정자로부터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 거짓말 유무와 심리 추정을 판단하는 제어부(50); 평상시 피측정자의 상기 기준 음성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와 피측정자로부터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를 저장하는 메모리(60); 및 상기 제어부(50)에서 거짓말 탐지 및 심리 추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 저장된 상기 기준 음성 데이타와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비교한 후, 기저장된 소리 데이터와 심리와의 관계에 의해 학문적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분류된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거짓말 유무와 심리 상태를 판단하여 LCD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측정자의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0); 측정된 맥박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측정하는 맥박 측정부(30); 및 측정된 맥박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A/D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 또는 외장형 형태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화면에 거짓말 탐지 기능을 설정하고, 폴리그래프(Polygraphy) 방식에 따라 피측정자의 평상시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기준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거짓말 탐지를 실행하여 마이크로 피측정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고 A/D변환하는 단계; 제어부에서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를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거짓말 탐지 및 심리추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 저장된 상기 기준 데이타와 비교하는 단계; 기저장된 소리 데이터와 심리와의 관계에 대하여 기존의 학문적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분류된 자료에 근거해 분석된 음성 데이터와 뇌파를 유추하도록 심리 상태 추정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피측정자의 거짓말을 탐지 및 심리추정 결과를 LCD 표시부에 출력하고 스피커로 거짓말 유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거짓말 탐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대방의 진술의 진실성 판단의 기초되는 데이터가 상대방의 뇌파를 휴대폰을 통해 입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피측정자의 소리(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리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 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등)--> 뇌파의 유추 -->심리의 분석" 또는 "소리 데이터 --> 심리의 분석)"의 방식으로, 말하자는 운세 프로그램과 같이 실시간의 소리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대방의 심리 상태를 추정하는 프로세스를 기술적으로 구현한다. 물론, 소리 데이터와 심리간의 관계에 대하여는 기존의 학문적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분류되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0), 음성 통화와 SMS문자 등의 무선 패킷 데이터를 위한 RF송수신부(70)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짓말 탐지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MIC)로부터 피측정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증폭 및 필터링 후 A/D변환하고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고, 음성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하는 오디오부(80); 거짓말 탐지 및 심리 추정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전 과정을 제어하여 기 저장된 상기 기준 음성 데이터와 피측정자로부터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 거짓말 유무와 심리 추정을 판단하는 제어부(50); 평상시 피측정자의 상기 기준 음성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와 피측정자로부터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를 저장하는 메모리(60); 및 상기 제어부(50)에서 거짓말 탐지 및 심리 추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 저장된 상기 기준 음성 데이타와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비교한 후, 기저장된 소리 데이터와 심리와의 관계에 의해 학문적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분류된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거짓말 유무와 심리 상태를 판단하여 LCD로 출 력하기 위한 표시부(90)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거짓말 탐지하는 요인으로, 거짓말할 때 평상시 기준 맥박수 보다 커지는 현상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피측정자의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0); 측정된 맥박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측정하는 맥박 측정부(30); 및 상기 측정된 맥박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A/D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형 형태로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거짓말 탐지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화면에 거짓말 탐지 기능을 설정하고(단계 S1), 폴리그래프(Polygraphy) 방식에 따라 칼리브레이션(calibration) 과정에서 피측정자의 평상시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거짓말 탐지 및 심리 추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준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를 상기 메모리(60)에 저장한다(단계 S2).
거짓말 탐지를 실행하여 마이크(MIC)로 상기 피측정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단계 S3),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고(단계 S4) A/D변환한(단계 S5) 후, 상기 제어부(50)에서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를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60)에 저장하고(단계 S6), 상기 제어부(50)에 저장된 상기 거짓말 탐지 및 심리추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 저장된 상기 기준 음성 데이타와 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 등의 패턴을 비 교한다(단계 S7).
기저장된 음성 데이터와 심리와의 관계에 대하여 기존의 학문적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분류된 자료에 의해 비교 분석된 음성 데이터와 뇌파를 유추하도록 심리 상태 추정 프로세스를 실행하고(단계 S8), 상기 피측정자의 거짓말을 탐지 및 심리추정 결과를 LCD 표시부에 출력하고 스피커(SP)로 거짓말 유무를 출력한다(단계 S9).
상기 폴리그래프에 의한 방식으로 거짓말을 판단하여, 대화 상대자, 즉 피측정자의 측정된 음성신호에 대한 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및 추가적으로 맥박 등으로 거짓말을 판단하여 피측정자의 발언에 대한 진실성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이 거짓말을 할 때에는 그가 진실을 말할 때보다 감성적으로 기준치보다 음성 진동 레벨과 맥박수가 높아지고 더 각성되므로, 이러한 감성적 각성(emotional arousal)이 거짓말을 탐지하고 뇌파를 유추한 심리 상태를 측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으로 소리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를 분석 하여 상대방의 뇌파를 유추하여 심리를 분석하도록 실시간 소리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대방의 심리상태를 추정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함으로써, 심리 추정의 오락적 기능을 통하여 연인간에 커플폰으로 마케팅할 수 있다. 또한, 수사기관의 휴대폰을 모두 "모래시계폰"으로 이용하여 거짓말 탐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0), 음성 통화와 SMS문자 등의 무선 패킷 데이터를 위한 RF송수신부(70)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MIC)로부터 피측정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증폭 및 필터링 후 A/D변환하고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고, 음성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하는 오디오부(80);
    거짓말 탐지 및 심리 추정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전 과정을 제어하여 기 저장된 상기 기준 음성 데이터와 피측정자로부터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 거짓말 유무와 심리 추정을 판단하는 제어부(50);
    평상시 피측정자의 상기 기준 음성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와 피측정자로부터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를 저장하는 메모리(60); 및
    상기 제어부(50)에서 거짓말 탐지 및 심리 추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 저장된 상기 기준 음성 데이타와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비교한 후, 기저장된 소리 데이터와 심리와의 관계에 의해 학문적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분류된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거짓말 유무와 심리 상태를 판단하여 LCD로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자의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0);
    측정된 맥박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측정하는 맥박 측정부(30); 및
    상기 측정된 맥박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A/D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형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화면에 거짓말 탐지 기능을 설정하고, 폴리그래프(Polygraphy) 방식에 따라 피측정자의 평상시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기준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거짓말 탐지를 실행하여 마이크로 피측정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고 A/D변환하는 단계;
    제어부에서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고저, 속도, 떨림정도, 옥타브, 반응속도, 음성 진동 레벨)를 측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거짓말 탐지 및 심리추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 저장된 상기 기준 음성 데이타와 비교하는 단계;
    기저장된 소리 데이터와 심리와의 관계에 대하여 기존의 학문적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분류된 자료에 근거해 분석된 음성 데이터와 뇌파를 유추하도록 심리 상태 추정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피측정자의 거짓말을 탐지 및 심리추정 결과를 LCD 표시부에 출력하고 스 피커로 거짓말 유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거짓말 탐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자의 거짓말을 탐지 및 심리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센서부와 맥박측정부를 통해 평상시 피측정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A/D변환후 기준 맥박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거짓말 탐지를 위해 상기 피측정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측정 맥박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거짓말 탐지 및 심리추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 저장된 상기 기준 맥박수와 상기 측정 맥박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맥박수가 상기 기준 맥박수보다 크면 상기 피측정자의 거짓말을 탐지 및 심리추정 결과와 함께 거짓말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거짓말 탐지 방법.
KR1020040110387A 2004-12-22 2004-12-22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71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387A KR20060071906A (ko) 2004-12-22 2004-12-22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387A KR20060071906A (ko) 2004-12-22 2004-12-22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906A true KR20060071906A (ko) 2006-06-27

Family

ID=3716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387A KR20060071906A (ko) 2004-12-22 2004-12-22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19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8892B2 (en) 2013-01-24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8892B2 (en) 2013-01-24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5805A1 (en) Method and System of Indicating a Condition of an Individual
JP3824848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4142067A (en) Speech analyzer for analyzing frequency perturbations in a speech pattern to determine the emotional state of a person
ES2261706T3 (es) Metodo y aparato para analisis de la conversacion.
CN110520041B (zh) 脑波数据分析系统、信息处理终端、电子设备以及用于认知症检查的信息的呈现方法
KR20200120660A (ko) 초저주파 음파 바이오센서 시스템 및 방법
JP3151489B2 (ja) 音声による疲労・居眠り検知装置及び記録媒体
WO2002085215A1 (fr) Appareil d&#39;evaluation de facteurs humains selon la theorie du chaos
CN108874130B (zh) 播放控制方法及相关产品
JP2007006970A (ja) 生理・心理状態判定装置、生理・心理状態判定方法、リファレンスデータ生成装置、及びリファレンスデータ生成方法。
US20170325718A1 (en) Neuropathic Diagnosis and Monitoring Using Earpiece Device, System, and Method
EP3852857B1 (en) Biometric feedback as an adaptation trigger for active noise reduction and masking
KR20190114303A (ko) 인지 기능 검사 방법 및 시스템
CN113397548A (zh) 驾驶员监测系统中将驾驶情绪与媒体诱发情绪分离的技术
CN108392201B (zh) 大脑训练方法及相关设备
CN11320881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US20030109797A1 (en) Chromatic display-type biofeedback system and method using brain waves
KR100718941B1 (ko) 졸음 경고장치 및 졸음 경고방법
Myakala et al. An intelligent system for infant cry detection and information in real time
JP2004314750A (ja) 車両機器操作制御装置
JP2000245718A (ja) 精神状態評価装置
KR20060071906A (ko) 거짓말 탐지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115524B1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감성 추론 장치
CN108922224B (zh) 位置提示方法及相关产品
CN114821962B (zh) 紧急求助功能的触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